KR100881393B1 -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393B1
KR100881393B1 KR1020060137166A KR20060137166A KR100881393B1 KR 100881393 B1 KR100881393 B1 KR 100881393B1 KR 1020060137166 A KR1020060137166 A KR 1020060137166A KR 20060137166 A KR20060137166 A KR 20060137166A KR 100881393 B1 KR100881393 B1 KR 100881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ath
phase
mirror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1952A (ko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13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393B1/ko
Priority to US11/778,154 priority patent/US7590014B2/en
Publication of KR2008006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3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Control signal input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반도체 칩의 대응 영역과 동일한 신호를 공유하기 위한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미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버퍼에서 출력된 제 1 신호가 전송되는 제 1 경로와 제 2 경로를 제공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에 포함되고, 상기 제 1 신호가 상기 제 2 경로에 도달하는 시간에 대응되는 지연 시간이 모델링되어서 상기 제 1 신호를 지연하는 지연부; 상기 제 1 경로에 포함되고, 가중치 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1 신호의 위상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위상 혼합기; 상기 미러 기능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 전달을 선택하는 제 1 선택부; 및 상기 미러 기능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제 2 경로 상의 신호 전달을 선택하는 제 2 선택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MIRROR FUNCTION}
도 1은 종래의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기판의 양면에 부착되는 두 메모리 칩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기판의 양면에 부착되는 두 메모리 칩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도 2의 위상 혼합기(5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러 기능을 가진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램(DRAM)은 딤(Double In-line Memory Module:DIMM) 형태의 모듈(Module)이나, 실장 시에 보드의 라인을 줄이기 위해 기판의 양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주로 제작된다.
특히, 기판의 양면에 부착되어 어드레스와 커맨드 등의 신호를 공통으로 사 용하는 경우, 패키지 외부의 핀에 할당된 신호가 서로 대칭적으로 바뀌어야 기판의 양면에서 동일한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램에서 지원하는 것이 미러 기능(Mirror Function)이다.
종래에 미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는 도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미러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 두 패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예를 들어,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CAS와 칩 선택 신호 /CS를 각 버퍼(10,20)를 통해 버퍼링하고, 버퍼링된 신호를 미러 기능 온/오프를 결정하는 신호 MF에 따라 각 선택부(30,40)를 통해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0,MF_ON1)와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0,MF_OFF1)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한다.
즉, 미러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기판의 양면에 부착된 두 메모리 칩 중 어느 하나는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CAS와 칩 선택 신호 /CS를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0,MF_OFF1)로 각각 전달하고, 상기 두 메모리 칩 중 나머지 하나는 칩 선택 신호 /CS와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CAS를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0,MF_ON1)로 각각 전달한다.
이때, 각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CAS와 칩 선택 신호 /CS가 미러 기능 온/오프 시에 동일한 지연으로 도착해야 외부 신호와의 스큐(skew)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레이아웃상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0,MF_OFF1)와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0,MF_ON1)에 대응되는 라인들을 동일한 길이로 배치하기 힘들며, 만약,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0,MF_OFF1)와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0,MF_ON1)를 동일한 라인 길이로 배치하더라도 기생적으로 발생하는 캐패시터 및 저항 성분으로 인하여 미러 기능 온/오프에 적용되는 신호들의 지연 차에 의한 스큐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발생한 스큐는 패키지별 셋업(setup)/홀드(hold) 윈도우(window)의 스큐를 발생시켜 셋업/홀드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러 기능 온 경로와 미러 기능 오프 경로 간의 지연 차이를 줄여 미러 기능에 의해 발생하는 스큐를 줄이고자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반도체 칩의 대응 영역과 동일한 신호를 공유하기 위한 미러 기능을 가지며, 상기 미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버퍼에서 버퍼링된 신호가 전송되는 제 1 경로와 제 2 경로를 제공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에 포함되며, 상기 버퍼링된 신호가 상기 제 2 경로에 도달하는 시간에 대응되는 지연 시간이 모델링되어서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지연하는 지연부; 상기 제 1 경로에 포함되며, 가중치 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의 위상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위상 혼합기; 상기 미러 기능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 전달을 선택하는 제 1 선택부; 및 상기 미러 기능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제 2 경로 상의 신호 전달을 선택하는 제 2 선택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가중치 신호로써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경로로 전달된 상기 버퍼링된 신호 간의 지연 차를 보상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1 에지 조절부; 상기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버퍼링된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2 에지 조절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상 혼합기의 구성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는 상기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반전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3상 인버터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3상 인버터들은 상반되게 동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제 1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를 공통 노드로 입력받으며, 상기 공통 노드로 전달된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선택부는 상기 미러 기능 오프시 상기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1 경로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선택부는 상기 미러 기능 온시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상기 제 2 경로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 1 버퍼와 제 2 버퍼에서 각각 출력된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제 1 경로와 제 2 경로 상의 미러 전송을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가 상기 제 2 경로에 도달하는 시간에 대응되는 지연 시간이 모델링되어서 상기 제 1 신호를 지연하고 제 1 경로에 포함되는 제 1 지연부;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제 1 경로에 도달하는 시간에 대응되는 지연 시간이 모델링되어서 상기 제 2 신호를 지연하고 제 2 경로에 포함되는 제 2 지연부; 상기 제 1 경로에 포함되고, 제 1 가중치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1 신호의 위상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 1 위상 혼합기; 상기 제 2 경로에 포함되고, 제 2 가중치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위상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 2 위상 혼합기; 상기 미러 기능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 1 경로로 전달하는 제 1 선택부; 및 상기 미러 기능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제 2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1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 2 경로로 전달하는 제 2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는 메모리 칩의 가운데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두 패드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신호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제 1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1 가중치 신호로써 상기 제 1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1 경로로 전달된 상기 제 2 신호 간의 지연 차 를 보상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동작을 하는 상기 제 1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1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지연부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1 에지 조절부; 상기 제 1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2 에지 조절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 1 혼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위상 혼합기의 구성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는 상기 제 1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지연부의 출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반전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3상 인버터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3상 인버터들은 상반되게 동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혼합부는 상기 제 1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를 제 1 공통 노드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 1 공통 노드로 전달된 신호를 반전하는 제 1 인버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2 가중치 신호로써 상기 제 2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경로로 전달된 상기 제 1 신호 간의 지연 차를 보상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동작을 하는 상기 제 2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2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2 지연부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3 에지 조절부; 상기 제 2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2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4 에지 조절부; 및 상기 제 3 및 제 4 에지 조절부의 출 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 2 혼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위상 혼합기의 구성에서, 상기 제 3 및 제 4 에지 조절부는 상기 제 2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2 지연부의 출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반전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제 3 및 제 4 3상 인버터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 제 4 3상 인버터들은 상반되게 동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혼합부는 상기 제 3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4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를 제 2 공통 노드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 2 공통 노드로 전달된 신호를 반전하는 제 2 인버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선택부는 상기 미러 기능 오프시 상기 제 1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1 경로로 전달하고, 상기 미러 기능 온시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제 1 경로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선택부는 상기 미러 기능 오프시 상기 제 2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2 경로로 전달하고, 상기 미러 기능 온시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 2 경로로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미러 기능의 적용 여부에 따라서, 미러 오프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 1 전송 신호와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 2 전송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 및 상기 미러 오프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 2 전송 신호가 상기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상기 선택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모델링된 지연 시간을 상기 제 1 전송 신호에 적용하여 지연 전송하고, 미리 설정된 가중치에 따라 지연 전송되는 상기 제 1 전송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는 미러 오프 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 상기 미러 오프 회로는, 상기 제 2 전송신호가 상기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상기 선택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모델링된 상기 지연시간에 상응하는 시간만큼 상기 제 1 전송신호의 전송을 지연시키는 지연부; 및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1 전송신호와 위상을 혼합하고, 상기 가중치로써 상기 위상의 혼합을 조절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가중치로써 혼합된 위상을 갖는 신호의 스큐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1 에지 조절부; 상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전송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2 에지 조절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는 각각 같은 수로 병렬 결합된 3 상 인버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에지 조절부의 3 상 인버터들과 상기 제 2 에지 조절부의 3 상 인버터들 간의 동작이 서로 상반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제 1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를 공통 노드로 입력받으며, 상기 공통 노드로 전달된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전송 신호와 상기 제 2 전송 신호는 패키지 레벨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임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모듈은, 기판의 양면에 서로 대칭되게 실장되며, 적어도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전송 신호와 제 2 전송 신호들이 패키지 레벨에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패드들에 각각 입력되며, 상기 각 패드로 입력된 상기 제 1 전송 신호와 상기 제 2 전송 신호들을 자신에 대한 미러 온 경로와 미러 오프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미러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한 쌍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실장하며, 상기 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미러 기능의 적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제 1 전송 신호와 제 1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제 2 전송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1 선택부; 상기 미러 기능의 적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제 2 전송 신호와 제 2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제 1 전송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2 선택부; 상기 제 1 전송 신호를 상기 제 1 선택부로 전달하는 제 1 미러 기능 오프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 2 전송 신호가 상기 제 1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 1 선택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델링하여 상기 제 1 전송 신호의 전달을 지연시키는 제 1 미러 오프 회로; 및 상기 제 2 전송 신호를 상기 제 2 선택부로 전달하는 제 2 미러 기능 오프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 1 전송 신호가 상기 제 2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선택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델링하여 상기 제 2 전송 신호의 전달을 지연시키는 제 2 미러 오프 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 상기 제 1 미러 오프 회로는, 상기 제 2 전송 신호가 상기 제 1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 1 선택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델링하여 상기 제 1 전송 신호의 전달을 지연시키는 지연부; 및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1 전송신호의 위상을 혼합하고, 제 1 가중치에 따라 상기 위상의 혼합을 조절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중,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1 가중치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1 에지 조절부; 상기 제 1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전송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2 에지 조절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는 각각 같은 수로 병렬 결합된 3 상 인버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에지 조절부의 3 상 인버터들과 상기 제 2 에지 조절부의 3 상 인버터들 간의 동작이 서로 상반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미러 오프 회로는, 상기 제 1 전송 신호가 상기 제 2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선택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델링하여 상기 제 2 전송 신호의 전달을 지연하는 지연부; 및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전송 신호의 위상을 혼합하고, 제 2 가중치에 따라 상기 위상의 혼합을 조절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2 가중치로써 혼합된 위상을 갖는 신호의 스큐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2 가중치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1 에지 조절부; 상기 제 2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2 전송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2 에지 조절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는 각각 같은 수로 병렬 결합된 3 상 인버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에지 조절부의 3 상 인버터와 상기 제 2 에지 조절부의 3 상 인버터 간의 동작이 서로 상반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디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미러 기능 오프 경로로 전달되는 신호를 미러 기능 온 경로와 유사하게 지연을 준 뒤, 지연된 신호를 미러 기능 온 경로로 전달된 신호와 동일한 지연을 갖도록 미세 조절하는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버퍼(100,200), 두 지연부(300,400), 두 위상 혼합기(500,600), 및 두 선택부(700,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는 기판의 양면에 부착되는 두 메모리 칩 중 어느 하나만을 도시하며, 상기 두 메모리 칩 중 나머지 하나도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버퍼(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IN1를 버퍼링하여 내부 신호 INN1로 출력하고, 버퍼(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IN2를 버퍼링하여 내부 신호 INN2로 출력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두 신호 IN1, IN2는 메모리 칩의 가운데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두 패드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신호, 예를 들어,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CAS와 칩 선택 신호 /CS 등이다.
지연부(300)는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2)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1를 지연시켜 지연 신호 INN1_DL로 출력하고, 지연부(400)는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3)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2를 지연시켜 지연 신호 INN2_DL로 출력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지연부(300)는 내부 신호 INN1가 미러 기능 온 경로(MF_0N2)를 경유하여 선택부(700)로 전달되기까지의 시간에 대응되도록 내부 신호 INN1를 지연시키며, 저항 및 캐패시터 등과 같은 지연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연부(400)는 내부 신호 INN2가 미러 기능 온 경로(MF_0N3)를 경유하여 선택부(800)로 전달되기까지의 시간에 대응되도록 내부 신호 INN2를 지연 시키며, 저항 및 캐패시터 등과 같은 지연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위상 혼합기(500)는 지연 신호 INN1_DL와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2)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1의 위상을 혼합하여 혼합 신호 INN1_MIX로 출력하고, 위상 혼합기(600)는 지연 신호 INN2_DL와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3)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2의 위상을 혼합하여 혼합 신호 INN2_MIX로 출력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각 위상 혼합기(500,600)는 가중치 신호들 W1<0:n>, W2<0:n>에 따라 내부 신호 INN1와 지연 신호 INN1_DL의 위상 혼합과, 내부 신호 INN2와 지연 신호 INN2_DL의 위상 혼합 정도를 각각 조절한다.
내부 신호 INN1와 지연 신호 INN1_DL의 위상을 혼합하는 위상 혼합기(500)는 도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위상 혼합기(600)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 3과 같이, 위상 혼합기(500)는 가중치 신호들 W1<0:n>의 상태에 따라 지연 신호 INN1_DL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에지 조절부(510), 가중치 신호들 W1<0:n>의 상태에 따라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2)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1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에지 조절부(520), 및 두 에지 조절부(510,520)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혼합 신호 INN1_MIX로 출력하는 혼합부(530)를 포함한다. 도 3에서 W1B<0:n>는 W1<0:n>와 위상이 반대인 신호를 나타낸다.
에지 조절부(510)는 가중치 신호들 W1<0:n>의 상태에 따라 지연 신호 INN1_DL를 선택적으로 반전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3상 인버터(TIV1)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에지 조절부(520)는 가중치 신호들 W1<0:n>의 상태에 따라 내부 신호 INN1를 선택적으로 반전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3상 인버터(TIV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두 에지 조절부(510,520)의 각 3상 인버터(TIV1,TIV2)는 서로 상반되게 동작한다. 즉, 각 에지 조절부(510,520)가 3개의 3상 인버터(TIV1,TIV2)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가중치 신호들 W1<0:1>에 의해 에지 조절부(510)의 2개의 3상 인버터(TIV1)가 턴 온되면, 에지 조절부(520)에서는 가중치 W1<2> 신호에 의해 1개의 3상 인버터(TIV2)가 턴 온된다.
그리고, 각 3상 인버터(TIV1,TIV2)의 구동을 제어하는 가중치 신호들 W1<0:n>의 상태는 지연 신호 INN1_DL를 위상 혼합 없이 선택부(700)로 전달하여 미러 기능 온 경로(MF_0N3)를 통해 전달된 내부 신호 INN2와의 지연 시간 차를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혼합부(530)는 두 에지 조절부(510,520)의 출력 신호들을 공통 노드(ND_COMM)로 입력받으며, 공통 노드(ND_COMM)를 통해 혼합된 신호를 반전하여 혼합 신호 INN1_MIX로 출력하는 인버터(IV)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에지 조절부(510,520)와 혼합부(530)를 포함하는 위상 혼합기(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중치 신호들 W1<0:n>의 상태에 따라 지연 신호 INN1_DL와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2)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1 중 어느 하나에 가중치를 더 크게 주어 지연 신호 INN1_DL와 내부 신호 INN1를 혼합한다.
즉, 위상 혼합기(500)는 지연 신호 INN1_DL와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3)의 지연 정도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가중치 신호들 W1<0:n>의 상태를 결정한 뒤, 지연 신호 INN1_DL와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2)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1에 가중치 신호들 W1<0:n>의 상태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줌으로써, 혼합 신호 INN1_MIX의 지연 정도를 결정한다.
만약, 각 에지 조절부(510,520)가 3개의 3상 인버터(TIV1,TIV2)로 구성되고, 가중치 신호들 W1<0:3> 중 가중치 신호 W1<0>만이 인에이블된다고 가정하면, 혼합 신호 INN1_MIX는 지연 신호 INN1_DL와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2)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1의 위상 사이에서 내부 신호 INN1 쪽으로 치우친 위상을 갖는다.
선택부(700)는 미러 기능 동작 여부를 알 수 있는 미러 신호 MF에 따라 혼합 신호 INN1_MIX와 미러 기능 온 경로(MF_0N3)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신호 OUT1로 출력하고, 선택부(800)는 미러 신호 MF에 따라 혼합 신호 INN2_MIX와 미러 기능 온 경로(MF_0N2)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신호 OUT2로 출력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미러 기능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미러 기능 온시 외부 신호 IN1는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2), 즉, 버퍼(100)와 선택부(800)를 거쳐 출력 신호 OUT2로 출력되고, 외부 신호 IN2는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3), 즉, 버퍼(200)와 선택부(700)를 거쳐 출력 신호 OUT1로 출력된다.
그리고, 미러 기능 오프시 외부 신호 IN1는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2), 즉, 버퍼(100), 지연부(300), 위상 혼합기(500), 및 선택부(700)를 거쳐 출력 신호 OUT1로 출력되고, 외부 신호 IN2는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3), 즉, 버퍼(200), 지연부(400), 위상 혼합기(600), 및 선택부(800)를 거쳐 출력 신호 OUT2로 출력된다.
즉, 미러 기능 오프시 외부 신호 IN1는 버퍼(100)를 통해 버퍼링된 후, 지연부(300)에 의해 지연되어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2)만큼 지연된다.
지연부(300)에서 출력된 지연 신호 INN1_DL는 위상 혼합기(500)를 통해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2)로 전달된 외부 신호 IN1와 혼합된다.
이때, 지연 신호 INN1_DL가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3)와 동일한 지연량을 갖는 경우, 지연 신호 INN1_DL는 그대로 혼합 신호 INN1_MIX로 출력된다.
그리고, 지연 신호 INN1_DL의 지연량이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3)의 지연량과 다른 경우, 지연 신호 INN1_DL는 가중치 신호들 W1<0:n>에 의해 결정된 가중치에 따라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2)로 전달된 외부 신호 IN1와 혼합되어 혼합 신호 INN1_MIX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버퍼(200)를 통해 버퍼링된 내부 신호 INN2는 지연부(400)와 위상 혼합기(600)를 통해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2)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1와 동일한 지연량을 갖는 혼합 신호 INN2_MIX로 출력된다.
그리고, 선택부(700)는 미러 신호 MF에 의해 혼합 신호 INN1_MIX를 선택하여 출력 신호 OUT1로 출력하고, 선택부(800)는 미러 신호 MF에 의해 혼합 신호 INN2_MIX를 선택하여 출력 신호 OUT2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미러 기능 오프시 지연부(300)와 위상 혼합기(500)를 통해 출력된 혼합 신호 INN1_MIX는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3)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2와 동일한 지연량을 가지고, 지연부(400)와 위상 혼합기(600)를 통해 출력된 혼합 신호 INN2_MIX는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2)로 전달된 내부 신호 INN1와 동일한 지연량을 가진다.
즉, 두 지연부(300,400)와 두 위상 혼합기(500,600)의 지연 시간 조절에 의해 미러 기능 오프 경로(MF_OFF2,MF_OFF3)와 미러 기능 온 경로(MF_ON2,MF_ON3)가 각각 동일한 지연 시간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미러 기능 온시에 두 선택부(700,800)에서 각각 출력되는 출력 신호들 OUT1, OUT2과 미러 기능 오프 시에 두 선택부(700,800)에서 각각 출력되는 출력 신호들 OUT1, OUT2은 동일한 지연 시간을 갖고 출력되므로, 미러 기능 동작에 따른 스큐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소정 지연과 위상 혼합을 통해 미러 기능 온 경로와 미러 기능 오프 경로 간의 지연 차를 줄임으로써, 미러 기능 동작시 발생하는 스큐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35)

  1.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반도체 칩의 대응 영역과 동일한 신호를 공유하기 위한 미러 기능을 가지며, 상기 미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버퍼에서 버퍼링된 신호가 전송되는 제 1 경로와 제 2 경로를 제공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에 포함되고, 상기 버퍼링된 신호가 상기 제 2 경로에 도달하는 시간에 대응되는 지연 시간이 모델링되어서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지연하는 지연부;
    상기 제 1 경로에 포함되고, 가중치 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버퍼링된 신호의 위상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위상 혼합기;
    상기 미러 기능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 전달을 선택하는 제 1 선택부; 및
    상기 미러 기능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제 2 경로 상의 신호 전달을 선택하는 제 2 선택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가중치 신호로써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경로로 전달된 상기 버퍼링된 신호 간의 지연 차를 보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1 에지 조절부;
    상기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버퍼링된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2 에지 조절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는 상기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반전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3상 인버터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3상 인버터들은 서로 상반되게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제 1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를 공통 노드로 입력받으며, 상기 공통 노드로 전달된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부는 상기 미러 기능 오프시 상기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1 경로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택부는 상기 미러 기능 온시 상기 버퍼링된 신호를 상기 제 2 경로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1 버퍼와 제 2 버퍼에서 각각 출력된 제 1 신호와 제 2 신호를 제 1 경로와 제 2 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가 상기 제 2 경로에 도달하는 시간에 대응되는 지연 시간이 모델링되어서 상기 제 1 신호를 지연하고 제 1 경로에 포함되는 제 1 지연부;
    상기 제 2 신호가 상기 제 1 경로에 도달하는 시간에 대응되는 지연 시간이 모델링되어서 상기 제 2 신호를 지연하고 제 2 경로에 포함되는 제 2 지연부;
    상기 제 1 경로에 포함되고, 제 1 가중치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1 신호의 위상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 1 위상 혼합기;
    상기 제 2 경로에 포함되고, 제 2 가중치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의 위상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 2 위상 혼합기;
    상기 미러 기능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 1 경로로 전달하는 제 1 선택부; 및
    상기 미러 기능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제 2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1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 2 경로로 전달하는 제 2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는 메모리 칩의 가운데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두 패드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1 가중치 신호로써 상기 제 1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1 경로로 전달된 상기 제 2 신호 간의 지연 차를 보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1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지연부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1 에지 조절부;
    상기 제 1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2 에지 조절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 1 혼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는 상기 제 1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1 지연부의 출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반전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3상 인버터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3상 인버터들은 상반되게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부는 상기 제 1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를 제 1 공통 노드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 1 공통 노드로 전달된 신호를 반전하는 제 1 인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2 가중치 신호로써 상기 제 2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경로로 전달된 상기 제 1 신호 간의 지연 차를 보상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2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2 지연부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3 에지 조절부;
    상기 제 2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2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4 에지 조절부; 및
    상기 제 3 및 제 4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 2 혼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에지 조절부는 상기 제 2 가중치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 2 지연부의 출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반전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제 3 및 제 4 3상 인버터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 제 4 3상 인버터들은 상반되게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부는 상기 제 3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4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를 제 2 공통 노드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 2 공통 노드로 전달된 신호를 반전하는 제 2 인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부는 상기 미러 기능 오프시 상기 제 1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1 경로로 전달하고, 상기 미러 기능 온시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제 1 경로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택부는 상기 미러 기능 오프시 상기 제 2 위상 혼합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2 경로로 전달하고, 상기 미러 기능 온시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제 2 경로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0. 미러 기능의 적용 여부에 따라서, 미러 오프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 1 전송 신호와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 2 전송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 및
    상기 미러 오프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 2 전송 신호가 상기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상기 선택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모델링된 지연 시간을 상기 제 1 전송 신호에 적용하여 지연 전송하고, 미리 설정된 가중치에 따라 지연 전송되는 상기 제 1 전송신호의 위상을 조절하는 미러 오프 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오프 회로는,
    상기 제 2 전송신호가 상기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상기 선택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모델링된 상기 지연시간에 상응하는 시간만큼 상기 제 1 전송신호의 전송을 지연시키는 지연부; 및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 1 전송신호와 위상을 혼합하고, 상기 가중치로써 상기 위상의 혼합을 조절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가중치로써 혼합된 위상을 갖는 신호의 스큐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1 에지 조절부;
    상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전송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2 에지 조절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는 각각 같은 수로 병렬 결합된 3 상 인버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에지 조절부의 3 상 인버터들과 상기 제 2 에지 조절부의 3 상 인버터들 간의 동작이 서로 상반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제 1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를 공통 노드로 입력받으며, 상기 공통 노드로 전달된 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송 신호와 상기 제 2 전송 신호는 패키지 레벨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입력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7. 기판의 양면에 서로 대칭되게 실장되며, 적어도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 1 전송 신호와 제 2 전송 신호들이 패키지 레벨에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 패드들에 각각 입력되며, 상기 각 패드로 입력된 상기 제 1 전송 신호와 상기 제 2 전송 신호들을 자신에 대한 미러 온 경로와 미러 오프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미러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한 쌍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실장하며,
    상기 각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미러 기능의 적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제 1 전송 신호와 제 1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제 2 전송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1 선택부;
    상기 미러 기능의 적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제 2 전송 신호와 제 2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제 1 전송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 2 선택부;
    상기 제 1 전송 신호를 상기 제 1 선택부로 전달하는 제 1 미러 기능 오프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 2 전송 신호가 상기 제 1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 1 선택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델링하여 상기 제 1 전송 신호의 전달을 지연시키는 제 1 미러 오프 회로; 및
    상기 제 2 전송 신호를 상기 제 2 선택부로 전달하는 제 2 미러 기능 오프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 1 전송 신호가 상기 제 2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선택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델링하여 상기 제 2 전송 신호의 전달을 지연시키는 제 2 미러 오프 회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러 오프 회로는,
    상기 제 2 전송 신호가 상기 제 1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 1 선택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델링하여 상기 제 1 전송 신호의 전달을 지연시키는 지연부; 및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1 전송신호의 위상을 혼합하고, 제 1 가중치에 따라 상기 위상의 혼합을 조절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1 가중치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1 에지 조절부;
    상기 제 1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전송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2 에지 조절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는 각각 같은 수로 병렬 결합된 3 상 인버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에지 조절부의 3 상 인버터들과 상기 제 2 에지 조절부의 3 상 인버터들 간의 동작이 서로 상반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러 오프 회로는,
    상기 제 1 전송 신호가 상기 제 2 미러 온 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선택부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모델링하여 상기 제 2 전송 신호의 전달을 지연하는 지연부; 및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와 상기 제 2 전송 신호의 위상을 혼합하고, 제 2 가중치에 따라 상기 위상의 혼합을 조절하는 위상 혼합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2 가중치로써 혼합된 위상을 갖는 신호의 스큐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혼합기는,
    상기 제 2 가중치에 따라 상기 지연부의 출력 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1 에지 조절부;
    상기 제 2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2 전송신호의 라이징 및 폴링 타임을 조절하는 제 2 에지 조절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에지 조절부는 각각 같은 수로 병렬 결합된 3 상 인버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제 1 에지 조절부의 3 상 인버터와 상기 제 2 에지 조절부의 3 상 인버터 간의 동작이 서로 상반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디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KR1020060137166A 2006-12-28 2006-12-28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881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166A KR100881393B1 (ko) 2006-12-28 2006-12-28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1/778,154 US7590014B2 (en) 2006-12-28 2007-07-16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mirror function module an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166A KR100881393B1 (ko) 2006-12-28 2006-12-28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952A KR20080061952A (ko) 2008-07-03
KR100881393B1 true KR100881393B1 (ko) 2009-02-02

Family

ID=3958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166A KR100881393B1 (ko) 2006-12-28 2006-12-28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90014B2 (ko)
KR (1) KR100881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1726B (en) 2005-06-24 2010-08-11 Metaram Inc An integrated memory core and memory interface circuit
US7386656B2 (en) 2006-07-31 2008-06-10 Metaram, Inc. Interface circuit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management operations in conjunction with only a portion of a memory circuit
US8438328B2 (en) 2008-02-21 2013-05-07 Google Inc. Emulation of abstracted DIMMs using abstracted DRAMs
US8796830B1 (en) 2006-09-01 2014-08-05 Google Inc. Stackable low-profile lead frame package
US8111566B1 (en) 2007-11-16 2012-02-07 Google, Inc. Optimal channel design for memory devices for providing a high-speed memory interface
US8335894B1 (en) 2008-07-25 2012-12-18 Google Inc. Configurable memory system with interface circuit
US9171585B2 (en) 2005-06-24 2015-10-27 Google Inc. Configurable memory circuit system and method
US9507739B2 (en) 2005-06-24 2016-11-29 Google Inc. Configurable memory circuit system and method
US8081474B1 (en) 2007-12-18 2011-12-20 Google Inc. Embossed heat spreader
US8327104B2 (en) 2006-07-31 2012-12-04 Google Inc. Adjusting the timing of signals associated with a memory system
US8055833B2 (en) 2006-10-05 2011-11-08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capacity, performance, and flexibility of flash storage
US8397013B1 (en) 2006-10-05 2013-03-12 Google Inc. Hybrid memory module
US8077535B2 (en) 2006-07-31 2011-12-13 Google Inc. Memory refresh apparatus and method
US10013371B2 (en) 2005-06-24 2018-07-03 Google Llc Configurable memory circuit system and method
US20080082763A1 (en) 2006-10-02 2008-04-03 Metara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memory circuits by a system or component thereof
US8359187B2 (en) 2005-06-24 2013-01-22 Google Inc. Simulating a different number of memory circuit devices
US20080028136A1 (en) 2006-07-31 2008-01-31 Schakel Keith R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esh management of memory modules
US8089795B2 (en) 2006-02-09 2012-01-03 Google Inc. Memory module with memory stack and interface with enhanced capabilities
US8130560B1 (en) 2006-11-13 2012-03-06 Google Inc. Multi-rank partial width memory modules
US8060774B2 (en) 2005-06-24 2011-11-15 Google Inc. Memory systems and memory modules
US7609567B2 (en) 2005-06-24 2009-10-27 Metaram,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n aspect of a memory circuit
US8090897B2 (en) 2006-07-31 2012-01-03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an aspect of a memory circuit
US8386722B1 (en) 2008-06-23 2013-02-26 Google Inc. Stacked DIMM memory interface
US8244971B2 (en) 2006-07-31 2012-08-14 Google Inc. Memory circuit system and method
US8041881B2 (en) 2006-07-31 2011-10-18 Google Inc. Memory device with emulated characteristics
US9542352B2 (en) 2006-02-09 2017-01-10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ommand scheduling constraints of memory circuits
DE112006004263B4 (de) 2005-09-02 2015-05-13 Google, Inc. Speicherbaustein
US9632929B2 (en) 2006-02-09 2017-04-25 Google Inc. Translating an address associated with a command communicated between a system and memory circuits
US7724589B2 (en) 2006-07-31 2010-05-25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aying a signal communicated from a system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memory circuits
US8209479B2 (en) 2007-07-18 2012-06-26 Google Inc. Memory circuit system and method
US8080874B1 (en) 2007-09-14 2011-12-20 Google Inc. Providing additional space between an integrated circuit and a circuit board for positioning a component therebetween
EP2441007A1 (en) 2009-06-09 2012-04-18 Google, Inc. Programming of dimm termination resistance values
US10108684B2 (en) * 2010-11-02 2018-10-23 Micron Technology, Inc. Data signal mirror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389B1 (ko) * 1995-12-27 1999-03-30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기 미러 지연회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8055A (en) * 1990-02-26 1991-09-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data rate selectable equalizer
US6614714B2 (en) * 2002-01-22 2003-09-02 Ibm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system having a data clock system for reliable high-speed data transfers
US7437500B2 (en) * 2005-08-05 2008-10-14 Lsi Corporation Configurable high-speed memory interface subsystem
KR100670731B1 (ko) * 2005-09-29 2007-01-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메모리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389B1 (ko) * 1995-12-27 1999-03-30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기 미러 지연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90014B2 (en) 2009-09-15
US20080159027A1 (en) 2008-07-03
KR20080061952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393B1 (ko) 미러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1567120B2 (en) Memory controller with integrated test circuitry
US6894379B2 (en) Sharing of multiple-access signal line in a printed circuit board
KR100601149B1 (ko) 데이터 전송장치
US9602080B2 (en) Phase interpolators and push-pull buffers
KR100550796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237464B2 (en)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output impedance
US7800416B2 (en) Data output buffer circuit
KR100284741B1 (ko) 로컬클럭 신호 발생회로 및 방법, 내부클럭신호 발생회로 및방법,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05353168A (ja) メモリ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及びメモリ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
US6574154B2 (en) Data transmitter
JP200827851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6630850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command decoder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US7286000B1 (en) Semiconductor device
TWI530100B (zh) 半導體裝置
KR20060117017A (ko) 심/딤 구조를 가지는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시스템
KR10040031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회로
TWI719622B (zh) 多晶片系統
KR100842913B1 (ko) 미러 기능을 가진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50063758A (ko) 반도체 장치
JP2007066026A (ja) 半導体装置とその試験方法及び製造方法
WO2009157134A1 (ja)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i/oドライブ能力調整方法
KR20060008678A (ko) 셋업/홀드 타임 제어회로
KR100559035B1 (ko) 오프칩 드라이버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 회로
KR20090089174A (ko) 패드를 공유하는 멀티 칩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