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939B1 -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석재 - Google Patents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939B1
KR100880939B1 KR1020080080683A KR20080080683A KR100880939B1 KR 100880939 B1 KR100880939 B1 KR 100880939B1 KR 1020080080683 A KR1020080080683 A KR 1020080080683A KR 20080080683 A KR20080080683 A KR 20080080683A KR 100880939 B1 KR100880939 B1 KR 10088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attern
forming
mold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섭
Original Assignee
동호마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호마블(주) filed Critical 동호마블(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1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using streams of abrasiv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4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manu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5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produced by processes involving moulding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석재를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필요에 따라, 석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 디자인 금형의 형상이 석재의 연마 또는 활석 상태 부분의 형상에 일치되고, 석재의 표면 가공 처리 부분에 목적하는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입체 구조를 갖는 것인 디자인 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금형을 상기 석재의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석재의 표면을 표면 가공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형에 일치되는 일정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 및 필요에 따라, 상기 표면에 디자인 문양이 형성된 석재를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인공색소, 착색제와 같은 화학적 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자연 석재의 질감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문양이 형성된 석재는 기능성 제품으로도 널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석재의 시공 방법은 각층에 적절한 골재의 사용에 의해 지반침하 방지, 양호한 배수성 유지, 및 과도한 하중에도 견딜 수 있어서 내구성이 매우 강하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석재, 문양, 금형

Description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석재{Method for forming features on natural stones and process for constructing the stones}
본 발명은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석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표면가공 처리 상태와 활석 상태의 결합에 의해 독특한 문양을 형성하고, 화학 첨가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특징을 갖는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 및 상기 석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내, 외장재로 사용되는 석재 표면에는 외관 미를 고려하여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여러 형태의 무늬모양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보도 블록, 조경석, 판석, 또는 이정 표지물 등과 같은 용도로 이용되는 석재에는 문자나 숫자 등을 음각하여 표출되도록 함에 따라 외부에서 쉽게 인식하거나 예술적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흔히 자연석재 표면에 무늬모양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얇은 장식재를 절단하여 부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자연석재에 문양 또는 문자나 숫자 등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공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술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55841호(2004. 07.19)에는 착색제를 사용하여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 출원에 개시된 바의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은 석재의 표면 중 채색될 부분의 경계 외측에 일정 넓이로 유성페인트 20~40중량%와, 방수제 20~40중량%와, 접착제 30~5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호제를 도포하는 단계; 보호제가 경화되어 단단한 도장막을 형성한 후 보호제가 도포되지 않은 채색 될 부분에 메틸알콜 30~65중량%와, 톨루엔 30~65중량%와, 염료1~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채색제를 도포하여 석재의 내부로 침투시켜 염색하는 단계; 석재의 표면에 도포된 보호제와 채색제를 제거하는 단계; 석재의 표면을 깨끗히하고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은 석재 표면에 특정 문양을 형성하기 위하여 유성페인트, 방수제, 접착제 및 채색제와 같은 화학물질을 적정한 비율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정 자체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색 등이 일어나 수명이 길지 않으며 친환경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연석 질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한계성이 있다.
한편, 보도 블록은 다양한 형상과 두께를 갖도록 제작되어 설치되며 하나의 보도 블록과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보도 블록이 상호 맞대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방법에 의해 시공된다.
이러한 보도 블록은 단순히 지반층을 다지고, 지반층 위에 자갈 및 모래를 혼합한 기층을 형성한 후 기층위에 모래를 도포한 후 설치하기 때문에 충격에 약하고, 과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지반이 침하되거나 보도가 파손되고, 이로 인하여 보 도 블록을 걷어 내고 재차 지반을 다져서 새로이 보도 블록을 시공하고 보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보도의 유지 보수는 상당한 비용 및 노동력의 투입을 요하므로, 고급의 문화공간이나 야외 시설의 보도 블록은 거의 반영구적으로 시공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석재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자연석 질감을 제공하면서도 수명이 오래가고 실용적인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일부는 석재를 절단한 활석 상태 또는 이를 연마한 상태로 유지하고 다른 일부는 표면가공 처리 처리에 의해 요철이 있는 표면가공 처리 상태를 독특한 문양으로 형성시킴으로써 화학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려한 천연색의 질감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하는 디자인의 문양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문양이 형성된 석재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공할 경우 내구성이 강하여 유지 보수의 비용이 절감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에 있어서, 석재를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필요에 따라, 석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 디자인 금형의 형상이 석재의 연마 또는 활석 상태 부분의 형상에 일치되고, 석재의 표면 가공 처리 부분에 목적하는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입체 구조를 갖는 것인 디자인 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금형을 상기 석재의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석재의 표면을 표면 가공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형에 일치되는 일정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 및 필요에 따라, 상기 표면에 디자인 문양이 형성된 석재를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석재를 표면 처리하지 않는 연마 또는 활석 상태와 표면 가공 처리 상태의 배열의 조합에 의해 문양을 형성하고 안료나 색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색소, 착색제와 같은 화학적 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자연 석재의 질감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학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자연석의 질감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표면가공 처리 상태와 활석 상태의 독특한 배열 구조를 제공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석재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각층에 적절한 골재와 그리드 및 부직포층의 사용에 의해 지반침하 방지, 양호한 배수성 유지, 및 과도한 하중에도 견딜 수 있고 내구성이 매우 강하여 유지·보수에 있어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석재를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필요에 따라, 석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
디자인 금형의 형상이 석재의 연마 또는 활석 상태 부분의 형상에 일치되고, 석재의 표면 가공 처리 부분에 목적하는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입체 구조를 갖는 것인 디자인 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금형을 상기 석재의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석재의 표면을 표면 가공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형에 일치되는 일정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 및
필요에 따라, 상기 표면에 디자인 문양이 형성된 석재를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석재를 표면 처리하지 않는 연마 상태 또는 활석 상태와 표면 가공 처리 상태의 배열의 조합에 의해 문양을 형성하고 안료나 색소를 사용하지 않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된 용어 '활석 상태'란 석재를 절단하여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고, '연마 상태'란 상기 활석 상태의 석재를 자연석의 질감을 구현하기 위해 간단히 연마 처리한 석재의 표면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표면 가공 상태'란 일정 문양을 표현할 수 있는 금형을 이용하여 수작업, 물리적 방식 또는 기계적인 방식에 의해 절단된 석재의 표면에 요철 등의 상태를 형성시켜 심미감을 유발하거나 다양한 디자인 문양을 형성한 상태를 의미하고, 자연석의 미려한 색상을 구현한 부분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가공 수단의 예로서는 정다듬, 메다듬, 줄정다듬, 도두락 다듬, 잔다듬, 쇠구슬 블래스팅 고압 분사법, 모래 블래스팅 고압 분사법 등을 들 수 있다.
정다듬이란 정으로 돌을 쪼아서 평탄한 거친 면으로 다듬는 상태를 일컫는 것에서 유래되었으나 기계적인 방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메다듬(knobbing)은 마름돌의 거친 면을 쇠메로 다듬어 면을 보기 좋게 한 것으로 혹두기라고도 한다.
줄정다듬은 정다듬의 일종으로 정으로 일정 방향으로 줄지어 쪼아 평탄하게 하는 것으로 줄의 간격으로 대·중·소로 나눈다.
도드락다듬(bush hammered course)은 약 35mm각의 네모 망치형에 네모뿔대의 날이 돋힌 작은 메로써 거친 정다듬을 한 면을 더욱 평탄하게 다듬는 것이다. 따라서 도드락망치를 사용한다.
잔다듬(dabbed finish)은 도드락다듬을 한 위를 날망치로 곱게 쪼아 표면을 더욱 평탄하고 균일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을 날망치다듬이라 한다.
상기 표면 가공 수단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0.1∼0.4㎜의 미세 쇠구슬들을 블래스팅기로 고압 분사하여, 상기 석재 표면을 엠보싱하여 특정 문양을 형성하는 수단을 들 수 있다.
상기 표면 가공 수단의 다른 일례로는 0.1∼0.4㎜의 모래 입자를 블래스팅기로 고압 분사하는 것으로, 상기 자연석재 표면에 엠보싱으로 특정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형을 제거한 이후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석재의 표면을 코팅 처리 등에 의해 마감 처리하여 제품의 질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해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은 화학 첨가제나 인공 색소 또는 착색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자연석 질감을 구현할 수 있고, 활석 상태 또는 연마 상태와 표면 가공 상태의 조합에 의한 독특한 배열 구조에 의해 심미감과 기능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는 요철구조 또는 엠보싱 구조에 의해서 미끄럼 방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도 블록의 소재나 바닥재 또는 기능성 건축 자재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에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에 문형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석재에 문형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은 모재(母材)의 석재(1)를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S110); 필요에 따라, 석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S120); 디자인 금형(2)의 형상이 석재의 연마 상태 또는 활석 상태 부분의 형상에 일치되고, 석재의 표면 가공 처리 부분에 목적하는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입체 구조를 갖는 것인 디자인 금형(2)을 제작하는 단계(S130); 상기 금형을 상기 석재(1)의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S140); 상기 석재의 표면(1)을 표면 가공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형에 일치되는 일정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150); 상기 금형(2)을 제거하는 단계(S160); 및 필요에 따라, 상기 표면에 디자인 문양이 형성된 석재를 마감 처리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1단계(S110)에 있어서, 건축용 석재(1)를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재단한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보도 블록의 형태를 들 수 있다. 물론, 상기 석재는 인조석이 사용가능하나 미려한 질감의 구현을 위해서는 자연 석재가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석재(1)를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절단하는 방법은 통상의 절단 장치 및 절단 공구(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S120)에서 필요에 따라 절단된 석재를 연마 처리하여 자연석의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사용 목적에 따라서 연마 처리를 하지 않고 석재를 재단한 그대로인 활석 상태로도 석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 3단계(S130)에 있어서는, 표면 가공 처리를 하기 위한 일정 문양이 새겨진 디자인 금형(또는 마스크)(2)을 제작한다.
상기 디자인 금형(2)의 형상은 석재의 연마 또는 활석 상태 부분의 형상에 일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마 또는 활석 상태 부분은 석재의 표면 가공을 수행하지 않는 부위에 해당하고 이 부분은 필요에 따라서 연마 처리하여 자연석의 미려한 질감을 구현하거나 석재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활석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디자인 금형(2)은 석재의 표면 가공 처리 부분에 목적하는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입체 구조를 갖는다.
이어서, 상기 금형(2)을 상기 석재(1)의 표면에 부착한다(S140).
상기 디자인 금형(2)에는 일정 문양이 다수의 구멍(2a)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표면 가공 처리를 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연마 또는 활석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금형(2)은 그 금형(2)에 쇠구슬, 모래, 물 등이 고속 분사될 경 우에도 변형되지 않는 재질, 예를 들어 고강도 금속 및 합금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금형(2)을 상기 석재(1)의 표면에 부착함에 있어서, 상기 금형(2)의 위치가 임의로 바뀌지 않도록 상기 금형(2)의 양쪽에서 금형(2)을 견고하게 위치시켜 고정하는 금형 고정 치구들(미도시)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금형(2)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야 석재(1) 표면에 특정 문양이 명확하게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 5단계(S150)에 있어서는, 표면 가공 처리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자연석재(1) 표면에 목적하는 바의 일정 문양을 형성한다. 석재의 표면 가공 방식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다.
전술한 표면 가공 처리 수단들을 이용하여, 석재(1) 표면에 특정 문양을 형성하는 공정은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공정으로, 상기 석재(1) 표면에 특정 문양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석재(1) 자체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분사 압력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6단계(S160)에 있어서는, 상기 디자인 금형(2)을 제거하고 석재(1) 표면에 특정 문양을 형성하는 공정을 완료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7단계(S170)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석재(1) 표면에 형성된 일정 문양을 코팅 처리, 방수처리 등의 마감처리를 하여, 질감이 더욱 선명하고 우수하게 하는 한편, 오랜 시간이 지나도 문양이 부식되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단계를 생략하더라도 미려한 자연색의 질감을 나타내는 것 이 가능하나 고도의 심미감이 요구되는 석재의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마감처리에 의해 더욱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문양 형성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의 문양의 일례를 보인 문양처리된 제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의 다른 예를 보인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100)(101)는 그 표면에 디자인 금형의 공간 부분의 문양에 상응하는 일정한 문양이 새겨진다. 이 문양의 형태는 제한이 없으며 전술한 표면가공 처리 수단들을 이용하여 석재 표면에 엠보싱으로 형성된 것이다.
도 5는 마감 처리를 포함하는 방식에 의해 제조된 석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200)는 석재 표면에 특정 문양이 형성되고, 그 문양 위에는 코팅처리(5) 등의 마감 처리를 하여 오랫동안 시간이 지나도 문양이 부식되거나 훼손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석재에 문양을 형성함에 있어서, 인공색소, 착색제와 같은 화학적 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자연석재의 질감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표면가공 처리 상태와 활석 또는 연마 상태의 독특한 배열 구조를 제공하여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인공색소, 착색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 니라 장시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색깔이 변색될 우려가 높지만, 본 발명의 방법은 자연석의 질감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는 엠보싱 구조에 의해서 미끄럼 방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보도 블록 등의 바닥재 또는 장식재로 널리 사용되는 등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건축용 석재는 판재(판석)와 가공석(통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건축용 석재에는 화강석, 대리석, 사암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건축용 석재는 물론 조경석 등의 기능서어 석재에도 적용될 수 있는 범용적인 방법으로, 자연석 그대로의 천연 질감을 유지하면서도 독특하고 미려한 문양을 형성하여 심미감과 기능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문양이 형성된 석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문양이 형성된 석재의 시공 방법은
원지반을 롤러로 수평하게 다지는 지반층 형성단계,
상기 지반층의 상면에 입자 크기가 50~80㎜인 쇄석을 200~400㎜의 두께로 채운 다음 롤러로 수평하게 다져서 하부기층을 형성하는 하부기층 형성단계,
필요에 따라, 상기 하부기층의 상면에 격자형의 섬유로 이루어진 그리드층을 0.5~3.0 mm의 두께로 설치하는 그리드층 형성 단계,
상기 그리드층의 상면에 입자크기가 25~45㎜를 갖는 조골재와 입자 크기가 5~13㎜인 쇄석을 7~9: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포설한 다음 롤러로 압력을 가하면 서 수평하게 다져서 180~220㎜의 두께로 보조기층을 형성하는 보조기층 형성단계,
상기 보조기층의 상면에 10~20mm의 두께 및 500~700g/㎡의 중량을 갖는 부직포를 설치하여 부직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층 설치단계,
상기 부직포층의 상면에 입자 크기가 2~5 ㎜를 갖는 석분을 50~80 ㎜의 두께로 포설하여 상부기층을 형성하는 상부기층 형성단계, 및
상기 상부기층의 상면에 상기한 바와 같이 문양이 형성된 석재와 문양이 형성되지 않은 연마 또는 활석 상태 석재를 조합하여 석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석재의 시공방법의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석재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석재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구조물(예, 보도)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지반층(11) 형성단계(S210)는 원지반을 롤러로 수평하게 다지는 단계이다.
상기 하부기층 형성단계(S220)는 상기 지반층(11)의 상면에 그 입자 크기가 50~80㎜를 갖는 쇄석을 200~400㎜, 바람직하게는 300㎜의 두께로 채운 다음 롤러로 수평하게 다져서 하부기층(1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입자 크기가 50~80㎜인 골재의 사용은 지반침하를 방지하고, 배수성을 유지시키며 동결방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과도한 하중에도 견딜 수 있다.
상기 그리드층 형성단계(S230)는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하중 이 많이 받는 지역이나 모래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연약지반의 경우 필수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그리드는 예컨대 섬유를 격자형으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격자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1~2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섬유사의 표면에 폴리염화비닐이 코팅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그 두께는 0.5~3.0 m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보조기층 형성단계(S240)는 상기 그리드층(13)의 상면에 그 입자크기가 25~45㎜를 갖는 조골재와 입자 크기가 5~13㎜인 쇄석을 7~9:1~3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8:2의 비율로 혼합하여 포설한 다음 롤러로 압력을 가하면서 수평하게 다져서 180~220㎜의 두께로 보조기층(14)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바의 입도 범위의 혼합 골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반의 침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부직포층 설치단계(S250)는 상기 보조기층(14)의 상면에 부직포를 설치하여 부직포층(15)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부직포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부직포 섬유를 사용할 수 있고, 10~20mm의 두께와 500~700g/㎡의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부직포층(15)을 형성함으로써 보조기층의 쇄석과 상부기층의 쇄석이 섞이는 것을 차단하고 투수성을 향상시키므로 보도블록이나 구조물의 침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기층 형성단계(S260)에서는 상기 부직포층(15)의 상면에 그 입자 크기가 2~5 ㎜를 갖는 석분을 50~80 ㎜의 두께로 채운 다음 롤러로 수평하게 다져서 상부기층(16)을 형성한다.
상기 문양이 형성된 석재의 설치단계(S270)는 상기 상부기층(16)의 상면에 본 발명에 의한 문양이 형성된 석재와 문양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 석재(예, 상기 문양이 형성된 석재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활석 상태 또는 연마 상태의 석재)를 조합하여 설치하고 롤러로 압력을 가하면서 수평하게 다져서 석재 구조물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색소, 착색제와 같은 화학적 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자연 석재의 질감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학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자연석의 질감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표면가공 처리 상태와 활석 또는 연마 상태의 독특한 배열 구조를 제공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는 표면가공 처리 상태의 엠보싱 구조에 의해서 미끄럼 방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보 도블록이나 조경석 등의 기능성 석재로서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석재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보조 기층과 상부 기층 사이에 투수 및 충격 흡수가 가능한 필터 부직포를 삽입하여 투수가 가능하면서도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격자 형태의 그리드를 하부 기층과 보조 기층 사이에 설치하여 얇은 두께로도 지면에 걸리는 하중을 견딜 수 있다. 특히, 각층에 적절한 골재의 사용에 의해 지반침하 방지, 양호한 배수성 유지, 및 과도한 하중에도 견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에 문형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에 문형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Ⅰ-Ⅰ선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석재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석재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구조물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모재의 석재 2: 디자인 금형
2a: 구멍 5: 마감 처리
100: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
200: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
11: 지반층 12: 하부기층
13: 그리드층 14: 보조기층
15: 부직포층 16: 상부기층
17: 문양이 형성된 석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석재 표면에 블래스팅기를 이용하여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석재를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석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
    디자인 금형의 형상이 석재의 연마 또는 활석 상태 부분의 형상에 일치되고, 석재의 표면 가공 처리 부분에 목적하는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입체 구조를 갖는 디자인 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금형을 상기 석재의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석재의 표면에 블래스팅기를 이용하여 상기 금형에 일치되는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에 디자인 문양이 형성된 석재를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석재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는 0.1∼0.4㎜의 미세 쇠구슬들을 블래스팅기로 고압 분사하여, 상기 석재 표면에 엠보싱으로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4. 석재 표면에 블래스팅기를 이용하여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석재를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석재의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
    디자인 금형의 형상이 석재의 연마 또는 활석 상태 부분의 형상에 일치되고, 석재의 표면 가공 처리 부분에 목적하는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입체 구조를 갖는 디자인 금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금형을 상기 석재의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석재의 표면에 블래스팅기를 이용하여 상기 금형에 일치되는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에 디자인 문양이 형성된 석재를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석재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는 0.1∼0.4㎜의 모래 입자들을 블래스팅기로 고압 분사하여, 상기 석재 표면에 엠보싱으로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6. 삭제
KR1020080080683A 2008-07-21 2008-08-19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석재 KR100880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0540 2008-07-21
KR1020080070540 2008-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939B1 true KR100880939B1 (ko) 2009-02-13

Family

ID=4068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683A KR100880939B1 (ko) 2008-07-21 2008-08-19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9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728B1 (ko) 2009-02-13 2011-06-14 주식회사 뉴브라이트 유리, 석재, 타일, 목재를 조각하기 위한 성형판넬 제조방법
KR101836676B1 (ko) 2016-08-03 2018-03-08 김로조 입체무늬 판석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840A (ko) * 1996-06-03 1998-03-30 오정택 석재의 가공방법
KR20010037019A (ko) * 1999-10-13 2001-05-07 박예순 석재 표면의 문양 형성용 인쇄 잉크, 석재 표면의 문양 형성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
KR20070081292A (ko) * 2006-02-10 2007-08-16 이재영 석재 표면의 문양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840A (ko) * 1996-06-03 1998-03-30 오정택 석재의 가공방법
KR20010037019A (ko) * 1999-10-13 2001-05-07 박예순 석재 표면의 문양 형성용 인쇄 잉크, 석재 표면의 문양 형성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재
KR20070081292A (ko) * 2006-02-10 2007-08-16 이재영 석재 표면의 문양 성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728B1 (ko) 2009-02-13 2011-06-14 주식회사 뉴브라이트 유리, 석재, 타일, 목재를 조각하기 위한 성형판넬 제조방법
KR101836676B1 (ko) 2016-08-03 2018-03-08 김로조 입체무늬 판석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65017A3 (en) Faux stone concrete panel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10096181A2 (en) Cladding having an architectural surface appearance
KR100777962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용 마감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80939B1 (ko) 석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석재
CN104816572A (zh) 一种混凝土墙面浮雕装饰工艺
KR101032321B1 (ko) 성형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성형블록
KR20070081292A (ko) 석재 표면의 문양 성형방법
KR101612493B1 (ko) 천연 질감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2664626B2 (ja) 建築用化粧板の製造方法
KR100502726B1 (ko) 에폭시수지 모르타르 블록 및 제조 방법
KR101379975B1 (ko)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10508170U (zh) 一种一体成型镂空石材板
KR101459992B1 (ko)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는 바닥 마감재 시공방법
KR100741166B1 (ko) 인조석재 제조 방법
EP1524089A2 (en) Procedure for generating a special surface of the palladium-type covering on concrete panels
KR100976416B1 (ko) 자연석의 이미지를 갖는 블럭의 제조 방법
KR200316294Y1 (ko) 인조석
KR102541435B1 (ko) 천연 세립 잔자갈을 이용한 내, 외벽 시공용 친환경 불연타일 및 그 제조방법
RU100758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накрывной элемент
CN217000562U (zh) 一种用于外墙装饰的真石漆贴片
KR100802316B1 (ko) 기능성 시트지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시트패널
JP2627248B2 (ja) 建築用又は土木用化粧コンクリー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236574A1 (en) Crushed stone surface textur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applying the same
KR20050030321A (ko) 건축물의 마감재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건축물 마감재
KR101729936B1 (ko) 자갈형태의 입체감을 부여하는 우레탄 금형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갈형태의 측면을 갖는 테이블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