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769B1 - 싱크대 - Google Patents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769B1
KR100880769B1 KR1020080073464A KR20080073464A KR100880769B1 KR 100880769 B1 KR100880769 B1 KR 100880769B1 KR 1020080073464 A KR1020080073464 A KR 1020080073464A KR 20080073464 A KR20080073464 A KR 20080073464A KR 100880769 B1 KR100880769 B1 KR 100880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sink bowl
sink
pipe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영
Original Assignee
최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영 filed Critical 최낙영
Priority to KR102008007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에 싱크보울이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발받침부와; 상기 발받침부의 상부면으로 회전이동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발받침부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발받침부를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에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혔다 펼쳐지는 지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부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싱크보울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싱크보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몸체의 싱크보울의 상부에 구비된 세척수분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분사부재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척수공급관과, 상기 세척수공급관이 내부에 나선형으로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제 1수용통과, 상기 제 1수용통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며 상기 제 1수용통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공급관이 나선형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에 상기 세척수공급관이 감겨지는 제 1가이드축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수공급부 재와; 상기 몸체의 싱크보울상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조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각각 연결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척수배출관과, 상기 세척수배출관이 내부에 나선형으로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제 2수용통과, 상기 제 2수용통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며 상기 제 2수용통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배출관이 나선형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에 상기 세척수배출관이 감겨지는 제 2가이드축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수배출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특히, 키가 큰 사용자가 상기 싱크보울방향으로 허리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식기세척 등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공급부재의 세척수공급관과 세척수배출부재의 세척수 배출관이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꼬일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높이조절부재, 세척수공급부재, 세척수배출부재

Description

싱크대{SINK}
본 발명은 상단에 싱크보울이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발받침부와; 상기 발받침부의 상부면으로 회전이동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발받침부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발받침부를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에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혔다 펼쳐지는 지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부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싱크보울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싱크보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몸체의 싱크보울의 상부에 구비된 세척수분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분사부재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척수공급관과, 상기 세척수공급관이 내부에 나선형으로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제 1수용통과, 상기 제 1수용통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며 상기 제 1수용통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공급관이 나선형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에 상기 세척수공급관이 감겨지는 제 1가이드축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수공급부재와; 상기 몸체의 싱크보울상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조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각각 연결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척수배출관과, 상기 세척수배출관이 내부에 나선형으로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제 2수용통과, 상기 제 2수용통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며 상기 제 2수용통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배출관이 나선형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에 상기 세척수배출관이 감겨지는 제 2가이드축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수배출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각 가정의 주방에 설치되어 설거지를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써, 그 높이는 주로 주방에서 일을 하는 주부의 신체, 즉 키 높이에 맞게 대략 80 ~ 90cm 사이로 정형화되어 있으며, 예외적으로 특수한 신체조건을 갖춘 사람을 위해 주문 제작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싱크대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싱크대용 발판을 설치하여 특히, 키가 작은 주부나 아이 혹은 신체 부자유자도 싱크대에서 보다 용이하게 식기세척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싱크대가 제안된 바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싱크대용 발판이 설치된 상기 싱크대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단에 싱크보울(11)이 설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30)와; 상기 케이스(3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발받침부(50)와; 상기 발받침부(50)의 상부면으로 회전이동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발받침부(50)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발받침부(50)를 따라 상기 케이스(3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높이조절부(70)와; 상기 케이스(30)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에 다수의 지압돌기(미도시)가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혔다 펼쳐지는 지압판(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자 특히, 키가 작은 주부나 아이 혹은 신체부자유자는 상기 발받침부(50) 또는 상기 발받침부(50)의 상부면으로 회전이동하여 안착된 상기 높이조절부(70)를 딛고 올라서서 보다 용이하게 식기세척 등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발받침부(50) 또는 상기 발받침부(50)의 상부면으로 회전이동하여 안착된 상기 높이조절부(70)를 딛고 올라설 필요가 없는 키가 큰 사용자는 대게 상기 싱크보울(11)방향으로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식기세척 등을 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특히, 키가 큰 사용자가 싱크보울방향으로 허리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식기세척 등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공급부재의 세척수공급관과 세척수배출부재의 세척수 배출관이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꼬일 우려가 없는 싱크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에 싱크보울이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발받침부와; 상기 발받침부의 상부면으로 회전이동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발받침부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발받침부를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에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혔다 펼쳐지는 지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부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싱크보울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싱크보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몸체의 싱크보울의 상부에 구비된 세척수분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분사부재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척수공급관과, 상기 세척수공급관이 내부에 나선형으로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제 1수용통과, 상기 제 1수용통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며 상기 제 1수용통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공급관이 나선형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에 상기 세척수공급관이 감겨지는 제 1가이드축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수공급부재와; 상기 몸체의 싱크보울상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조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각각 연결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척수배출관과, 상기 세척수배출관이 내부에 나선형으로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제 2수용통과, 상기 제 2수용통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며 상기 제 2수용통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배출관이 나선형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에 상기 세척수배출관이 감겨지는 제 2가이드축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수배출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부가 상기 싱크보울의 하부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제 1수직관의 내부에 나사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몸체의 수납부 각 모서리에 구비되고 하단이 상기 몸체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 2 수직관의 내부에 베어링고정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주연에 축결합되어 상기 제 2수직관의 상단에 안착되는 제 1스프로켓과; 상기 제 2수직관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축결합된 제 2스프로켓과; 상기 제 1스프로켓과 제 2스프로켓의 외주연에 감겨지는 체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재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1스프로켓과 제 2스프로켓의 외주연에 감겨진 체인을 회전시킬 시 상기 리드스크류가 상기 체인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싱크보울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리드스크류와 제 1스프로켓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 1수직관의 하부면과 상기 제 2수직관의 상부면에 고정부착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는 별도의 연결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체인은 상기 연결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릿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는 상기 싱크보울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 2수직관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며, 내부에 횡방향의 일측이 개방된 제 1안내홈과 상기 제 1안내홈과 연통되는 종방향의 제 2안내홈이 형성되는 안내판과; 상기 제 1수직관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판의 제 1안내홈에 삽입되는 횡방향의 삽입돌기와, 상기 삽 입돌기의 단부에 종방향으로 구비되고 양측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판의 제 2안내홈에 게재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싱크보울상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조의 상부에는 복수의 상기 수조를 개폐하는 타공판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타공판의 일단이 복수의 상기 수조의 상부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타공판의 타단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복수의 상기 수조를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부에 구비된 높이조절부재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몸체의 상단에 설치된 싱크보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특히, 키가 큰 사용자가 상기 싱크보울 방향으로 허리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식기세척 등을 행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세척수공급부재의 세척수공급관과 세척수배출부재의 세척수배출관이 각각 제 1가이드축 및 제 2가이드축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공급관과 세척수배출관이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꼬일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리드스크류, 제 1스프로켓, 구동부재, 제 2스프로켓, 제 3스프로켓 및 체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높이조절부재로 인해 상기 싱크보울의 높낮이 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전후이동가능하게 상기 몸체의 수납부 바닥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상기 구동부재로 인해 상기 체인의 장력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리드스크류와 제 1스프로켓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제 1수직관의 하부면과 제 2수직관의 상부면에 고정부착되는 별도의 연결관으로 인해 상기 제 2수직관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상기 연결관의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관이 상하이동하는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그 길이가 신장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싱크보울이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연결관이 훼손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 구비되어 상기 싱크보울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로 인해 상기 싱크보울이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좌우로 흔들릴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타공판의 타단이 상기 싱크보울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복수의 상기 수조를 개폐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타공판의 상부에 세척한 식기 등을 올려놓게 될 경우 세척한 식기 등에 뭍은 물 등의 세척수가 상기 타공판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 상기 싱크보울의 상부면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식기 등에 묻은 물 등의 세척수 또한 상기 수조의 배출구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싱크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싱크대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단에 싱크보울(11)이 설치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도 1의 30)와; 상기 케이스(3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발받침부(도 1의 50)와; 상기 발받침부(50)의 상부면으로 회전이동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발받침부(50)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발받침부(50)를 따라 상기 케이스(3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높이조절부(도 1의 70)와; 상기 케이스(30)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에 다수의 지압돌기(미도시)가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혔다 펼쳐지는 지압판(도 1의 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 케이스(30), 발받침부(50), 높이조절부(70) 및 지압 판(90)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함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5)에는 높이조절부재(100), 세척수공급부재(130) 및 세척수배출부재(1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 3은 몸체(10)의 수납부(15)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재(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싱크보울(11)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높이조절부재(100)는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기 싱크보울(11)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싱크보울(1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싱크보울(11)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재(100)는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가 상기 싱크보울(11)의 하부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제 1수직관(101a)의 내부에 나사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5) 각 모서리에 구비되고, 하단이 상기 몸체(1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 2수직관(101b)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고정되는 리드스크류(101)와; 상기 리 드스크류(101)의 외주연에 축결합되어 상기 제 2수직관(101b)의 상단에 안착되는 제 1스프로켓(103)과;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5) 바닥면에 수직으로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105)와; 상기 구동부재(105)의 구동축에 축결합된 제 2스프로켓(107)과; 상기 구동부재(105)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5)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축(109a)의 상단에 축결합된 제 3스프로켓(109)과; 상기 제 1, 2, 3스프로켓(103, 107, 109) 또는 제 1, 2, 3풀리의 외주연에 감겨지는 체인(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105)는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5) 바닥면에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릿(15a)을 따라 전후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부재(105)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105a)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05a)를 관통하여 상기 슬릿(15a)에 삽입된 후 상기 슬릿(15a)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볼트(105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구동부재(105)를 전후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볼트(105b)의 하단에 너트(미도시)를 나사결합시켜 전후이동시킨 상기 구동부재(105)를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재(105)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1, 2, 3스프로켓(103, 107, 109)의 외주연에 감겨진 상기 체인(11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리드스크류(101)는 상기 체인(110)을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싱크보울(11)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승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105)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1, 2, 3스프로켓(103, 107, 109)의 외주연에 감겨진 상기 체인(11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리드스크류(101)는 상기 체인(110)을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싱크보울(11)을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부재(105)로 스탭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리드스크류(101)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01), 제 1스프로켓(103), 구동부재(105), 제 2스프로켓(107), 제 3스프로켓(109) 및 체인(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00)로 인해 상기 싱크보울(11)의 높낮이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전후이동가능하게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5) 바닥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상기 구동부재(105)로 인해 상기 체인(110)의 장력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제 1, 2, 3스프로켓(103, 107, 109)과 체인(110) 대신에 제 1, 2, 3풀리(미도시)와 벨트(미도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제 1, 2, 3스프로켓(103, 107, 109)과 체인(110) 대신에 제 1, 2, 3풀리(미도시)와 벨트(미도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싱크보울(11)이 상승 및 하강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3 내지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싱크보울(1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리드스크류(101)와 제 1스프로켓(103)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 1수직관(101a)의 하부면과 상기 제 2수직관(101b)의 상부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부착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170a)가 형성되는 별도의 연결관(170)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체인(110)은 별도의 상기 연결관(170)에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릿(도 4의 17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105)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리드스크류(101)와 제 1스프로켓(103)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제 1수직관(101a)의 하부면과 제 2수직관(101b)의 상부면에 고정부착되는 별도의 상기 연결관(170)으로 인해 상기 제 2수직관(101b)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상기 연결관(170)의 외주연에 다수의 상기 주름부(170a)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싱크보울(11)이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연결관(170)이 훼손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별도의 상기 연결관(170)은 PVC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5)에는 상기 싱크보울(11)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3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부(30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수직관(101b)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며, 내부에 횡방향의 일측이 개방된 제 1안내홈(301a)과, 상기 제 1안내홈(301a)과 연통되는 종방향의 제 2안내홈(301b)이 형성되는 안내판(301)과; 상기 제 1수직관(101a)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판(301)의 제 1안내홈(301a)에 삽입되는 횡방향의 삽입돌기(305)와, 상기 삽입돌기(305)의 단부에 종방향으로 구비되고 양측에 이동바퀴(307a)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판(301)의 제 2안내홈(301b)에 게재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보울(11)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이동부재(307)로 이루어지는 안내부재(3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5)에 구비되어 상기 싱크보울(11)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안내부(300)로 인해 상기 싱크보울(11)이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좌우로 흔들릴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안내부(3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4 내지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싱크보울(11)의 상하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수공급부재(130)는 상기 몸체(10)의 싱크보울(11) 상부에 구비된 세척수분사부재(11a)로 물 등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으로써,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몸체(10)의 싱크보울(11)의 상부에 구비된 세척수분사부재(11a)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분사부재(11a)로 물 등의 세척수를 공급 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131a)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기 싱크보울(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척수공급관(131)과; 상기 세척수공급관(131)이 내부에 나선형으로 수용되고,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5)에 고정설치되는 제 1수용통(133)과; 상기 제 1수용통(133)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며 상기 제 1수용통(133)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공급관(131)이 나선형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135a)에 상기 세척수공급관(131)이 감겨지는 제 1가이드축(13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공급관(131)의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131a)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공급관(131)이 상기 싱크보울(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시 그 길이가 보다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공급관(131)이 상기 제 1가이드축(135)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135a)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싱크보울(11)을 따라 상하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공급관(131)이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꼬일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131)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상기 세척수분사부재(11a)가 분사하는 물 등의 세척수가 수용된 세척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분사부재(11a)로 물 등의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세척수공급부는 일반상하수도로 구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물 등의 세척수를 수용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수용된 물 등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상기 세척수공급관(131)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공급관(131)은 PVC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척수공급부재(1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10)의 싱크보울(11) 상부에 구비된 상기 세척수분사부재(11a)로 물 등의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수배출부재(150)는 식기 등을 세척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몸체(10)의 싱크보울(11)상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조(11b)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1c)와 각각 연결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151a)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기 싱크보울(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척수배출관(151)과; 상기 세척수배출관(151)이 내부에 나선형으로 수용되고, 상기 몸체(10)의 수납부(15)에 설치되는 제 2수용통(153)과; 상기 제 2수용통(153)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며, 상기 제 2수용통(153)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배출관(151)이 나선형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155a)에 상기 세척수배출관(151)이 감겨지는 제 2가이드축(15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배출관(151)의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151a)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배출관(151)이 상기 싱크보울(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될 시 그 길이가 보다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배출관(151)이 상기 제 2가이드축(155)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155a)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싱크보울(11)을 따라 상하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배출관(151)이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꼬일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세척수배출관(151)은 PVC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척수배출부재(1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기 등을 세척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7은 타공판(310)이 복수의 수조(11b)를 개폐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의 a,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싱크보울(11)상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수조(11b)의 상부에는 복수의 상기 수조(11b)를 개폐하는 타공판(310)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공판(310)의 일단은 복수의 상기 수조(11b)의 상부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타공판(310)의 타단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으로써, 복수의 상기 수 조(11b)가 개폐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공판(310)의 타단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복수의 상기 수조(11b)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세척수분사부재(11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사용하여 세척한 식기(도 7의 b의 5) 등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기 타공판(310)의 상부에 올려놓게 된다.
이때, 상기 타공판(310)의 상부에 올려진 세척한 식기(5) 등에 묻은 세척수는 상기 타공판(310)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311)을 지나 상기 싱크보울(11)의 상부면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1d)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조(11b)의 배출구(11c)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식기(5) 등에 묻은 세척수 또한 상기 수조(11b)의 배출구(11c)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도 7의 b 화살표 참조.)
도 8은 제어부(50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감지센서(3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105)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더욱 좋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330)로는 예를 들어, 초음파를 발생시켜 거리나 두께, 움직임들을 검출하는 공지된 초음파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음파센서는 예를 들어, 상기 몸체(10)가 설치된 주 방의 천장 등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초음파센서(330)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몸체(10)로 접근한 사용자의 머리와 천장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0)에 미리 내장된 공지된 연산부(미도시)는 상기 초음파센서가 출력하는 신호를 근거로 상기 싱크보울(11)의 상승높이를 연산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싱크보울(11)이 상기 연산부(미도시)의 연산값만큼 상승될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구동부재(105)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에서 사용자가 멀어지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싱크보울(11)이 하강하여 원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구동부재(105)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몸체(10)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상기 감지센서(3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구동부재(105)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싱크보울(11)의 높낮이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구동부재(105)의 구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7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700)는 상기 제어부(500)상에 예를 들어, 누름식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700)를 조작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구동부재(105)의 구동을 수동상태로 전환시킨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상에 누름식 버튼 등으로 구비되는 상승버튼(미도시)과 하강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구동부재(105)를 각각 수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700)를 조작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구동부재(105)의 구동을 자동상태로 전환시킨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감지센서(3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구동부재(105)를 자동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구동부재(105)의 구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상기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700)가 더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높이조절부재(100)의 구동부재(105)의 구동을 필요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부(15)에 구비된 상기 높이조절부재(100)가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싱크보울(11)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특히, 키가 큰 사용자가 상기 싱크보울(11) 방향으로 허리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식기세척 등을 행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세척수공급부재(130)의 세척수공급관(131)과 세척수배출부재(150)의 세척수배출관(151)이 각각 상기 제 1가이드축(135) 및 제 2가이드축(155)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상기 홈(135a, 155a)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싱크보울(11)을 따라 상하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공급관(131)과 세척수배출관(151)이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꼬일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싱크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싱크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절개사시도이고,
도 3은 몸체의 수납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싱크보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7은 타공판이 복수의 수조를 개폐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고,
도 8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싱크보울,
11a; 세척수분사부재, 11b; 수조,
11c; 배출구, 11d; 경사부,
15; 수납부, 15a, 171; 슬릿,
30; 케이스, 50; 발받침부,
70; 높이조절부, 90; 지압판,
100; 높이조절부재, 101; 리드스크류,
101a; 제 1수직관, 101b; 제 2수직관,
103; 제 1스프로켓, 105; 구동부재,
105a; 돌출부, 105b; 고정볼트,
107; 제 2스프로켓, 109; 제 3스프로켓,
109a; 고정축, 110; 체인,
130; 세척수공급부재, 131; 세척수공급관,
131a, 151a, 170a; 주름부, 133; 제 1수용통,
135; 제 1가이드축, 135a, 155a; 홈,
150; 세척수배출부재, 151; 세척수배출관,
153; 제 2수용통, 155; 제 2가이드축,
170; 연결관, 300; 안내부,
301; 안내판, 301a; 제 1안내홈,
301b; 제 2안내홈, 303; 안내부재,
305; 삽입돌기, 307; 이동부재,
307a; 이동바퀴, 310; 타공판,
311; 관통공, 330; 초음파센서,
500; 제어부, 510; 전원공급부,
700;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

Claims (5)

  1. 상단에 싱크보울이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발받침부와; 상기 발받침부의 상부면으로 회전이동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발받침부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발받침부를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부에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혔다 펼쳐지는 지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부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싱크보울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싱크보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몸체의 싱크보울의 상부에 구비된 세척수분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분사부재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척수공급관과, 상기 세척수공급관이 내부에 나선형으로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제 1수용통과, 상기 제 1수용통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며 상기 제 1수용통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공급관이 나선형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에 상기 세척수공급관이 감겨지는 제 1가이드축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수공급부재와;
    상기 몸체의 싱크보울상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조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각각 연결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척수배출관과, 상기 세척수배출관이 내부에 나선형으로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제 2수용통과, 상기 제 2수용통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작아지며 상기 제 2수용통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배출관이 나선형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에 상기 세척수배출관이 감겨지는 제 2가이드축으로 이루어지는 세척수배출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부가 상기 싱크보울의 하부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제 1수직관의 내부에 나사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몸체의 수납부 각 모서리에 구비되고 하단이 상기 몸체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제 2수직관의 내부에 베어링고정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주연에 축결합되어 상기 제 2수직관의 상단에 안착되는 제 1스프로켓과; 상기 몸체의 수납부 바닥면에 수직으로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축결합된 제 2스프로켓과; 상기 구동부재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수납부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축의 상단에 축결 합된 제 3스프로켓과; 상기 제 1, 2, 3스프로켓의 외주연에 감겨지는 체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제 1, 2, 3스프로켓의 외주연에 감겨진 체인을 회전시킬 시 상기 리드스크류가 상기 체인으르 따라 회전하여 상기 싱크보울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리드스크류와 제 1스프로켓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제 1수직관의 하부면과 상기 제 2수직관의 상부면에 고정부착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는 별도의 연결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체인은 상기 연결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릿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는 상기 싱크보울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 2수직관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상부방향으로 절곡형 성되며, 내부에 횡방향의 일측이 개방된 제 1안내홈과 상기 제 1안내홈과 연통되는 종방향의 제 2안내홈이 형성되는 안내판과; 상기 제 1수직관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판의 제 1안내홈에 삽입되는 횡방향의 삽입돌기와, 상기 삽입돌기의 단부에 종방향으로 구비되고 양측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판의 제 2안내홈에 게재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싱크보울상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조의 상부에는 복수의 상기 수조를 개폐하는 타공판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타공판의 일단이 복수의 상기 수조의 상부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타공판의 타단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복수의 상기 수조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KR1020080073464A 2008-07-28 2008-07-28 싱크대 KR100880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464A KR100880769B1 (ko) 2008-07-28 2008-07-28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464A KR100880769B1 (ko) 2008-07-28 2008-07-28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769B1 true KR100880769B1 (ko) 2009-02-02

Family

ID=4068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464A KR100880769B1 (ko) 2008-07-28 2008-07-28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938A (ko) 2022-03-30 2023-10-10 서정윤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세척용기 저수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122A (ja) 2001-11-28 2003-06-03 Yamaha Livingtec Corp 昇降テーブル
JP2006325907A (ja) 2005-05-26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キッチン用フロアキャビネット
KR100835602B1 (ko) 2007-03-14 2008-06-05 최낙영 싱크대용 발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122A (ja) 2001-11-28 2003-06-03 Yamaha Livingtec Corp 昇降テーブル
JP2006325907A (ja) 2005-05-26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キッチン用フロアキャビネット
KR100835602B1 (ko) 2007-03-14 2008-06-05 최낙영 싱크대용 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938A (ko) 2022-03-30 2023-10-10 서정윤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세척용기 저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88337B (zh) 喷淋式多功能水槽
KR101156904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소음 감소방법
US11229327B2 (en) Bath with elliptical air flow and/or moveable bottom
JP2010516423A (ja) 食器洗浄器一体形シンク台及びこれの為の洗浄水噴出装置
CN203841594U (zh) 一种智能洗澡机
CN106073680B (zh) 一种水槽式清洗机的箱体结构
JP2017014703A (ja) 便器装置、および局部洗浄装置
KR100880769B1 (ko) 싱크대
CN208058943U (zh) 厨房电器
CN108332242B (zh) 厨房电器
KR102192914B1 (ko) 다기능 스마트 세면대
KR20100003896A (ko) 식기세척기
CN113854918B (zh) 多功能超声波洗碗机及其控制方法
JP2008291619A (ja) 高さ調整可能な男子用トイレ
CN208926253U (zh) 洗碗机和厨房电器
KR101338493B1 (ko) 온수세정기용 맥동 펌프
JPH1066659A (ja) 浴槽洗浄装置
CN1319374A (zh) 洗碗机
CN208301616U (zh) 清洗机
KR101214493B1 (ko) 벽면 부착형 접이식 좌변기
CN206120277U (zh) 一种水槽式清洗机的箱体结构
CN214289698U (zh) 一种手术器械预清洗装置
TR201810767T4 (tr) Taban kapaklı çamaşır makinesi.
KR20150019824A (ko) 간병용 침대
CN219557085U (zh) 足浴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