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668B1 - 유모차를 개량한 청소용 손수레 - Google Patents

유모차를 개량한 청소용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668B1
KR100880668B1 KR1020070029215A KR20070029215A KR100880668B1 KR 100880668 B1 KR100880668 B1 KR 100880668B1 KR 1020070029215 A KR1020070029215 A KR 1020070029215A KR 20070029215 A KR20070029215 A KR 20070029215A KR 100880668 B1 KR100880668 B1 KR 10088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troller
frame
baby carriage
cleaning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255A (ko
Inventor
이인용
Original Assignee
이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용 filed Critical 이인용
Priority to KR102007002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668B1/ko
Publication of KR20080087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tiltably-mount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50/00Material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50/116Recycl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상적인 생활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유모차를 개량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 수거를 위한 청소용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시트부분을 떼어내고 대신 일정규격의 상부개방형 트레이를 2개 설치하여 각각 쓰레받기와 쓰레기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분리수거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규모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여 이동하면서 청소하기에 편리하고, 동시에 헌 유모차를 재활용함으로써 환경보호에도 기여하며 누구든지 쉽게 제작이 가능한 유모차형 청소용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를 개량하여 제작한 청소용 손수레는, 측면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동가능한 유모차 프레임;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장착된 작동부재;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된 상부 개방형 제1 트레이; 및 상기 제1 트레이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장착된 작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트레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개방형 제2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모차를 개량한 청소용 손수레{Stroller-type Handcart for Clea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개량한 청소용 손수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 손수레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a)는 작동 전, (b)는 작동 후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작동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유모차형 청소용 손수레
10: 유모차 프레임
11: 측면 프레임 12: 하부 프레임
13: 상부 프레임 14: 바퀴
15: 손잡이 16: 빗자루 걸이부
20: 트레이
21: 제1 트레이 22: 제2 트레이
23: 연결핀 24: 그물망
30: 작동부
31: 작동부재 32: 연결부재
33: 홈 34: 실린더형 하우징
본 발명은 일상적인 생활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유모차를 개량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 수거를 위한 청소용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시트부분을 떼어내고 대신 일정규격의 상부개방형 트레이를 2개 설치하여 각각 쓰레받기와 쓰레기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분리수거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규모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여 이동하면서 청소하기에 편리하고, 동시에 헌 유모차를 재활용함으로써 환경보호에도 기여하며 누구든지 쉽게 제작이 가능한 유모차형 청소용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학교에서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손수레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은, 도로의 청소를 위하여 환경미화원이 사용하는 쓰레기 수거용 손수레와 동일한 것으로, 폭 80㎝, 길이 120㎝ 및 높이 100㎝이고, 손잡이 부분만 100㎝로 총 연장은 220㎝나 되며, 무게는 70㎏~110㎏ 정도나 되는 소위 리어카(rear-car)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수레는 일반인들이 쉽게 구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이나 학교에서 일반인들이나 학생들이 청소할 때 사용하기에는 매우 무겁고 규모가 커서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특히 분리수거가 필요한 쓰레기인 경우, 쓰레기를 일일 이 분리하여 쓰레받기에 담아 다시 별도의 손수레에 옮겨 담아야 하는 등 운반, 이동이 불편하고 작업능률에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모차를 이용하여 유모차의 시트부분을 제거하는 대신 일정규격의 2개의 트레이를 설치하여 각각 쓰레받기와 쓰레기통으로 이용함으로써, 빗자루로 쓰레기를 쓸어모아 담은 후 쓰레기 집결지로 이동하기 위해 다시 별도의 손수레에 담아야 하는 작업이 없이도 쓰레기를 쓰레받기용 트레이에 쓸어담아 부착된 다른 쓰레기통용 트레이에 적체한 후 일정량이 적체되면 곧바로 유모차의 바퀴를 이용해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 및 이동이 간편한 청소용 손수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 내부에 그물망을 설치하여 손수레의 이동시 차체의 흔들림에 의해 입자크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걸러지게 함으로써 흙, 모레 및 낙엽 등 분리수거가 필요한 쓰레기를 별도의 수작업 없이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한 청소용 손수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 유모차를 재활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한편 생산단가를 최소화함으로써 누구든지 제작이 용이한 청소용 손수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를 개량하여 제작한 청소용 손수레는, 측면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동가능한 유모차 프레임;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장착된 작동부재;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된 상부 개방형 제1 트레이; 및 상기 제1 트레이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장착된 작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트레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개방형 제2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트레이는 그물코가 형성된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그물망은, 그 일면이 상기 제1 트레이의 바닥면에 접하고 그 타면이 상기 제1 트레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는, 제2 트레이가 제1 트레이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정육면체 박스를 사선형으로 일부 절단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는 각각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제2 트레이가 제1 트레이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의 일단부에서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에 형성된 홈 또는 별도의 실린더형 하우징에 내설되고, 상기 작동부재는 연결부재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상기 제2 트레이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2 트레이가 제1 트레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개량한 청소용 손수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를 개량하여 제작한 청소용 손수레는, 유모차 프레임(10)과 상기 유모차 프레임(10)에 장착된 작동부재(31), 및 상기 유모차 프레임(10)에 장착된 상부 개방형 제1 트레이(21)와 제2 트레이(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모차 프레임(10)은 통상적인 유모차에서 시트 부분을 제거한 것으로서, 크게 측면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2)을 포함하여 바퀴(14) 등에 의하여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빗자루 걸이부(16)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13)이 추가적으로 유모차 프레임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유모차 프레임(10)의 하부 프레임(12) 상에는 쓰레기통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그 상부가 개방된 제1 트레이(21)가 장착된다.
또한, 쓰레받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그 일단부가 지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제2 트레이(22)가 설치된다. 상기 제2 트레이(22)는, 상기 제1 트레이(21)의 일단과 결합또는 연결되어 후술하는 작동부재(31)에 의하여 상기 제1 트레이(21) 방 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트레이(21) 및 제2 트레이(22)는, 기존의 폐 박스의 재활용 측면에서 제2 트레이(22)가 제1 트레이(2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를 사선형으로 일부 절단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육면체 박스의 상면 일 모서리로부터 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일 모서리 부근으로 박스를 절단하되, 제1 및 제2 트레이(22)에 해당하는 부분이 서로 완전히 분리되기 전까지만 일부 절단한 후, 일부 절단된 상부를 외측 방향으로 펼치게 되면,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제1 트레이(21)(쓰레기통 기능) 및 제2 트레이(22)(쓰레받기 기능)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위와 같은 재활용 측면이 아니라, 대안적으로 상기 제1 트레이(21) 및 제2 트레이(22)는 각각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제2 트레이(22)가 제1 트레이(2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22)의 일단부에서 연결핀(23)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트레이(21)는 그물코가 형성된 그물망(2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그물망(24)은, 그 일면이 상기 제1 트레이(21)의 바닥면에 접하고 그 타면이 상기 제1 트레이(2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그물망(24)은 그 내부측에 형성된 그물코의 크기에 의하여 흙, 모래 등은 통과되고 종이, 낙엽 등을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한다.
일정 크기의 그물코를 가진 그물망(24)이 설치됨으로써 차체의 이동시 흔들림에 의해 입자가 작은 흙, 모래 등은 밑으로 통과되고 입자가 큰 종이, 낙엽 등은 그물망(24) 위에 남게 되어 별도의 쓰레기 분리 수작업이 필요없이 분리수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그물망(24)은 제1 트레이(21)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기술적 구성이 제2 트레이(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작동과 관련하여, 제2 트레이(22)가 제1 트레이(2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작동부재(31)(소위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인 청소용 손수레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작동부재(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모차 프레임(10)의 측면 프레임(11)에 형성된 홈(33)에 일부 내설된 상태로 연결부재(32)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32)의 타단이 상기 제2 트레이(22)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즉, 작동부재(31)를 가령 잡아당기거나 하여 이러한 작동부재(31)에 연결된 스트링 등과 같은 연결부재(32) 또한 잡아당겨져서 상기 연결부재(32)의 타단과 연결된 제1 트레이(21)가 제2 트레이(22)로 회전하게 되어(소위, 지렛대의 원리), 제2 트레이(22)에 담겨져 있던 쓰레기가 제1 트레이(21)로 수거되게 된다.
물론, 기존의 유모차 프레임(10)의 측면 프레임(11)에 홈(33)을 형성하지 않고도 위 작동원리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 프레임(10)의 측면 프레임(11)에 작동부재(31)가 안착될 수 있는 별도의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34)을 부착한 후, 상기 하우징(34) 내부에 작동부재(31)를 삽입할 수도 있다. 나머지 구성들은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작동부재(31)는 그 둘레를 둘러싼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34)을 설치하여 제2 트레이(22)와 스트링(string) 등과 같은 연결부재(32)에 의해 연결되는 레버와 같은 작동부재(31)의 단부가 그 내부에 위치되게 한다. 작동부재(31)를 그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작동부재(31)는 측면 프레임(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이 이동에 의해서 제2 트레이(22)가 제1 트레이(21)를 향하여 회전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술된 작동부재(31)의 작동은 사용자의 손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발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작동부재(31)의 장착위치(가령, 유모차 프레임(10)의 하부 프레임(12) 측면에 장착)만 변경될 뿐,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는 작동부재(31), 이러한 작동부재(31)의 외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재(32)가 동일하게 적용, 구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과 같은 회전운동에 의해 제2 트레이(22)에 쓸어담긴 쓰레기가 제1 트레이(21)에 적체된다. 제2 트레이(22)가 일정량 채워지면 바퀴(14)와 손잡이(15)를 이용하여 청소용 손수레를 소정의 위치로 운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모차를 개량하여 시트부분에 그물망이 설치된 트레이와 레버가 장착된 구성으로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이동이 간편할 뿐 아니라, 트레이 내부의 그물망은 차체의 이동시 그 흔들림에 의해 쓰레기 분리가 용이하고 레버에 의해 트레이가 회전운동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폐유모차를 재활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한편 생산단가를 최소화함으로써 누구든지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유모차를 개량하여 제작한 청소용 손수레에 있어서,
    측면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이동가능한 유모차 프레임;
    상기 유모차 프레임에 장착된 작동부재;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된 상부 개방형 제1 트레이; 및
    상기 제1 트레이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작동부재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트레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개방형 제2 트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 중 하나 이상은, 그물코가 형성된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형 청소용 손수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그 일면이 상기 트레이의 바닥면에 접하고 그 타면이 상기 트레이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형 청소용 손수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는, 제2 트레이가 제1 트레이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정육면체 박스를 사선형으로 일부 절단하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형 청소용 손수레.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는 각각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제2 트레이가 제1 트레이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트레이의 일단부에서 서로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형 청소용 손수레.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에 형성된 홈 또는 별도의 실린더형 하우징에 내설되고, 상기 작동부재는 연결부재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상기 제2 트레이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2 트레이가 제1 트레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형 청소용 손수레.
KR1020070029215A 2007-03-26 2007-03-26 유모차를 개량한 청소용 손수레 KR100880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215A KR100880668B1 (ko) 2007-03-26 2007-03-26 유모차를 개량한 청소용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215A KR100880668B1 (ko) 2007-03-26 2007-03-26 유모차를 개량한 청소용 손수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255A KR20080087255A (ko) 2008-10-01
KR100880668B1 true KR100880668B1 (ko) 2009-01-30

Family

ID=4014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215A KR100880668B1 (ko) 2007-03-26 2007-03-26 유모차를 개량한 청소용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9186A1 (en) * 2015-03-16 2016-09-22 Mark Noonan Reconfigurable carts for loading, transporting, and/or dispensing materi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4862A (zh) * 2018-06-14 2018-10-19 郝鹏飞 一种建筑工地用垃圾收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357U (ko) * 1985-11-25 1987-06-11 함영식 걸레와 빗자루가 결합된 다용도 쓰레기함
KR960013355U (ko) * 1994-10-26 1996-05-17 이동 가능한 쓰레받기
KR20070025078A (ko) * 2005-08-31 2007-03-08 황혜인 기능성 쓰레받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357U (ko) * 1985-11-25 1987-06-11 함영식 걸레와 빗자루가 결합된 다용도 쓰레기함
KR960013355U (ko) * 1994-10-26 1996-05-17 이동 가능한 쓰레받기
KR20070025078A (ko) * 2005-08-31 2007-03-08 황혜인 기능성 쓰레받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9186A1 (en) * 2015-03-16 2016-09-22 Mark Noonan Reconfigurable carts for loading, transporting, and/or dispensing materials
US10953902B2 (en) 2015-03-16 2021-03-23 Mark Noonan Reconfigurable carts for loading, transporting, and/or dispensing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255A (ko)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7912A (en) Manually operated sweeper
KR100880668B1 (ko) 유모차를 개량한 청소용 손수레
CN202477549U (zh) 风动地刷
CN2934346Y (zh) 街道、草坪小型清洁车
CN112709183B (zh) 一种节能环保公园垃圾清理装置
KR200442269Y1 (ko) 쓰레기 수거장치
JP2003237904A (ja) ごみ回収袋の袋口保持具
CN205612409U (zh) 微型厂区清扫环卫车
CN211870349U (zh) 一种环卫垃圾捡拾装置
KR20090008445U (ko) 쓰레기 분리수거용 카트
CN109338963B (zh) 一种设有自动卸灰斗的手推式微型清扫机
CN2828130Y (zh) 新型垃圾清扫车
CN201405899Y (zh) 环保垃圾车
CN201668352U (zh) 手推式扫地机
CN211568999U (zh) 一种环卫多功能清运车
CN206275377U (zh) 一种用于客运列车车厢清洁的手推车
CN201598590U (zh) 多功能清扫车
CN2609865Y (zh) 改进的环卫小车
CN201003150Y (zh) 一种手控电动吸尘清扫车
CN217125789U (zh) 一种新农村垃圾分类处理装置
CN219525021U (zh) 一种医院便于垃圾车推出的锁定装置
CN215247208U (zh) 一种生活垃圾收集用便于倾倒的垃圾箱
KR102066220B1 (ko) 끌면서 작업 및 이동할 수 있는 쓰레받기
CN206655162U (zh) 一种清扫机的垃圾倾倒装置
CN212452418U (zh) 一种土木工程作业清扫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