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6220B1 - 끌면서 작업 및 이동할 수 있는 쓰레받기 - Google Patents

끌면서 작업 및 이동할 수 있는 쓰레받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220B1
KR102066220B1 KR1020190059383A KR20190059383A KR102066220B1 KR 102066220 B1 KR102066220 B1 KR 102066220B1 KR 1020190059383 A KR1020190059383 A KR 1020190059383A KR 20190059383 A KR20190059383 A KR 20190059383A KR 102066220 B1 KR102066220 B1 KR 10206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od
dustpan
garbag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종
Original Assignee
조경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종 filed Critical 조경종
Priority to KR1020190059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05Hand-operated refuse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2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쓰레기 수거 작업도중 및 작업 후에 힘들게 들고 다니지 않고 끌고 다니면서 작업 및 이동할 수 있어 육체적인 피로를 줄여주고 작업효율을 높여주어 쓰레기 수거 작업, 이동 및 비움 과정이 연속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끌면서 작업 및 이동할 수 있는 쓰레받기{Carrible dustpan}
본 발명은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쓰레기 수거 작업도중 및 작업 후에 힘들게 들고 다니지 않고 끌고 다니면서 작업 및 이동할 수 있어 육체적인 피로를 줄여주고 작업효율을 높여주어 쓰레기 수거 작업, 이동 및 비움 과정이 연속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쓰레받기는 청소할 때 사용하는 도구로써 쓰레기를 한데 모으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구조와 종류의 것들이 시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환경미화원용 쓰레받기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쓰레받기(10)는 전방이 개방되어 쓰레기(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양 측면 상단에 고리형태로 부착되어 상부로 돌출되며 작업자(1)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쓰레받기(10)는 휴대하면서 쓰레기(2)를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동시 작업자(1)가 들고 다녀야 하므로 육체적 피로가 증가하고 근골격계질환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도 2는 종래의 환경미화원용 쓰레받기의 쓰레기 비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쓰레받기(10)는 본체(11)의 개방된 전방이 바닥을 바라보게 함으로써 내부의 쓰레기(2)가 바닥을 향해 낙하하게 하여 쓰레기를 비우 수 있는데, 이때, 작업자(1)는 한 손은 손잡이(12)를 잡고 다른 한 손은 본체(11)의 후방 하단 모서리를 들어 올려야 한다.
즉, 작업자(1)는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쓰레기를 비워야 하며, 본체(11)를 손으로 만지게 되어 오염물질이 손에 묻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닿은 채로 끌고 다니면서 이동할 수 있는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손동작으로 쓰레받기 본체를 세우거나 눕힐 수 있고, 세운 상태에서 밀며 이동시킬 수 있는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으로 간편하게 쓰레기를 비울 수 있는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본체;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 전방 모서리 중앙부에 힌지되고, 타단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자유 단부로 이루어지는 봉형 몸체와 상기 봉형 몸체의 타단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고리로 구성되는 작업용 손잡이;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고 작업자가 상기 본체를 끌면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상기 후면의 두 하단 모서리 및 두 상단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는 쓰레기 봉투를 꽂아둘 수 있는 쓰레기 봉투 포켓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의 상면 길이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부착되어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비움용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봉형 몸체는 상기 본체의 상면 길이보다 길어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고리가 상기 본체의 상면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봉형 몸체를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회동시켰을 때, 중앙부분이 상기 비움용 손잡이와 인접하여 작업자가 상기 봉형 몸체의 중앙부분과 상기 비움용 손잡이를 한손으로 함께 움켜쥐고 수거된 쓰레기를 비울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에 의하면, 본체 후면에 바퀴들이 구비되어 있어 쓰레기 수거 작업 도중 및 작업 후에, 지면에 닿은 채로 끌고 다니면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고,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에 의하면, 작업용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단순한 손동작만으로 쓰레받기 본체를 세우거나 눕힐 수 있고, 세운 상태에서 밀며 이동시킬 수 있어 많은 양을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에 의하면, 작업용 손잡이와 비움용 손잡이를 서로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한 손으로 함께 움켜쥐고 쓰레기를 비울 수 있으므로 허리를 굽히거나 본체의 오염물질을 만지지 않고 쓰레기를 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환경미화원용 쓰레받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환경미화원용 쓰레받기의 쓰레기 비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를 세워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의 쓰레기 비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는 본체(110). 작업용 손잡이(120) 및 바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전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작되며 내부로 쓰레기를 쓸어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있다면, 육면체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전면 하단 모서리가 평평하여야 하므로 육면체 형상이나 터널 형상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전방 하단 모서리(113)은 하부로 경사져 돌출되어 있으며, 이는 전방 하단 모서리(113)가 지면과 밀착되게 하여 쓰레기가 더욱 잘 쓸어담길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일 측면에는 쓰레기 봉투(3)를 꽂아 둘 수 있는 쓰레기 봉투 포켓(140)이 형성되며, 이는 작업자가 쓰레기 봉투를 손으로 들고다니는 불편함을 없애 준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내측 공간 상단 일측 모서리에는 빗자루(20)를 꽂아 놓을 수 있는 빗자루 꽂이(114)가 마련되며, 이는 쓰레받기(100)와 빗자루(20)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빗자루(20)를 들던 손으로 쓰레기를 담은 쓰레기 봉투를 들고 갈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작업용 손잡이(120)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본체(110)를 끌 수 있는 손잡이이며, 봉형 몸체(121)와 고리(1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봉형 몸체(121)는 일단이 상기 본체(110)의 상면(111) 전방 모서리 중앙부에 힌지되며, 타단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자유 단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리(122)는 상기 봉형 몸체(121)의 타단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작업자는 쓰레기의 수거량이 적을 때는 상기 고리(122)를 잡고 끌고, 수거량이 많을 때는 상기 봉형 몸체(121) 부분을 짧게 잡고 끌 수 있으므로 많은 량의 쓰레기를 담으며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작업용 손잡이의 위치를 조절하며 잡을 수 있어서 작업의 전 과정에서 전혀 허리를 굽힐 수고가 없게 된다.
상기 바퀴(130)는 상기 본체(110)의 후면(112)에 부착되고 작업자가 상기 잡업용 손잡이(120)를 잡고 지면에 접촉되게 한 채, 끌면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바퀴(130)는 상기 후면(110)의 상단 및 하단의 양모서리 즉, 네 모서리에 각각 부착된다.
따라서, 이동시 쓰레받기의 무게감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육체적 피로를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쓰레받기(100)를 세워 놓을 때, 바퀴들(130)에 의해 본체(110)가 지면에서 지지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본체(110)를 세워 놓은 상태에서 작업용 손잡이(120)를 잡고 밀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쓰레기로 가득찬 쓰레받기(100)를 손으로 들고 이동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를 눕혀 쓰레기를 담을 때, 상기 본체(110)의 하면 전방 모서리(113)와 후면의 하단 바퀴(130) 만이 지면에 닿고 나머지 본체(110)의 마닥면은 지면(G)에서 떠있는 상태가 되며, 이는, 쓰레기를 쓸어담을 때 손목에 힘을 줄 필요없이 그냥 본체(110)를 바닥에 놓고 쓸어담기만 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의 쓰레기 비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의 상면(111) 중앙부에는 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부착된 비움용 손잡이(15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봉형 몸체(121)의 길이는 상기 본체(110)의 상면 길이보다 길어 상기 봉형 몸체(121)를 상기 본체(110)의 상면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고리(122)가 본체(110)에서 이격되는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고리에 의한 간섭이 없이 상기 봉형 몸체(121)가 상기 본체(110)의 상면(111) 쪽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형 몸체(121)는 상기 본체(110)의 상면(111)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비움용 손잡이(150)와 인접하여 밀착되고 작업자는 한손(1')으로 상기 봉형 몸체(121)와 상기 비움용 손잡이(150)를 함께 움켜쥐고 수거된 쓰레기를 비울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방식보다 손목의 힘이 훨씬 덜 들고 두 손이 아닌 한 손으로 비울 수 있으므로 오염물질에 접촉없이 쓰레기를 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봉형 몸체(121)의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110)를 향해 휘어진 굴곡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상기 봉형 몸체(121)가 상기 비움용 손잡이(150)와 상기 본체(110)의 상면(111)에 밀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쓰레기를 비울 때,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쓰레받기 110:본체
111:상면 112:후면
113:하면 전방 모서리 114:빗자루 꽂이
120:작업용 손잡이 121:봉형 몸체
122:고리 130:바퀴
140:쓰레기 봉투 포켓 150:비움용 손잡이

Claims (4)

  1. 전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본체;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 전방 모서리 중앙부에 힌지되고, 타단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자유 단부로 이루어지는 봉형 몸체와 상기 봉형 몸체의 타단에 구비되고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고리로 구성되는 작업용 손잡이;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고 작업자가 상기 본체를 끌면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의 상면 길이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부착되어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비움용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봉형 몸체는 상기 본체의 상면 길이보다 길어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고리가 상기 본체의 상면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봉형 몸체를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 회동시켰을 때, 중앙부분이 상기 비움용 손잡이와 인접하여 작업자가 상기 봉형 몸체의 중앙부분과 상기 비움용 손잡이를 한손으로 함께 움켜쥐고 수거된 쓰레기를 비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상기 후면의 두 하단 모서리 및 두 상단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는 쓰레기 봉투를 꽂아둘 수 있는 쓰레기 봉투 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4. 삭제
KR1020190059383A 2019-05-21 2019-05-21 끌면서 작업 및 이동할 수 있는 쓰레받기 KR102066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83A KR102066220B1 (ko) 2019-05-21 2019-05-21 끌면서 작업 및 이동할 수 있는 쓰레받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383A KR102066220B1 (ko) 2019-05-21 2019-05-21 끌면서 작업 및 이동할 수 있는 쓰레받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220B1 true KR102066220B1 (ko) 2020-01-14

Family

ID=6915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383A KR102066220B1 (ko) 2019-05-21 2019-05-21 끌면서 작업 및 이동할 수 있는 쓰레받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2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671Y1 (ko) * 1986-11-08 1990-01-30 장인락 고추분쇄기의 보조 탱크 장치
JP2006180984A (ja) * 2004-12-27 2006-07-13 Tanaka:Kk 塵取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671Y1 (ko) * 1986-11-08 1990-01-30 장인락 고추분쇄기의 보조 탱크 장치
JP2006180984A (ja) * 2004-12-27 2006-07-13 Tanaka:Kk 塵取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0113A (en) Refuse container having self-contained scoop and lid
US3804448A (en) Sanitary scavenging implement
CN105775473B (zh) 一种扫地吸尘垃圾桶
KR102066220B1 (ko) 끌면서 작업 및 이동할 수 있는 쓰레받기
CN202809544U (zh) 垃圾手动夹拾装置
KR101972710B1 (ko) 한 손 작업이 가능한 청소도구
US3833249A (en) Indoor and outdoor debris pan
KR102088225B1 (ko) 쓰레받기 일체형 쓰레기통의 쓰레받기 승강장치
KR200442269Y1 (ko) 쓰레기 수거장치
CN204581190U (zh) 一种组合式垃圾铲
KR101930712B1 (ko) 쓰레받기 일체형 쓰레기통
KR102062723B1 (ko) 박스형 쓰레받기 손잡이
KR20170014331A (ko) 청소용 핸드카
CN104013371A (zh) 一种新型簸箕
KR20100001216U (ko) 쓰레받기
CN215016801U (zh) 一种垃圾清扫机器人
KR102171885B1 (ko) 쓰레받기
KR20140132489A (ko) 사용이 용이한 쓰레받기
CN214731657U (zh) 一种医学实验废弃物无接触转移装置
US6854155B2 (en) Lobby dustpan
CN212670451U (zh) 一种省力垃圾铲车
RU6796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борки уличных урн
KR101300723B1 (ko) 쓰레기수거용 카트
CN213264009U (zh) 可移动垃圾架
JP3182766U (ja) ちりとり棒「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