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250B1 -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 - Google Patents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250B1
KR100880250B1 KR1020070106949A KR20070106949A KR100880250B1 KR 100880250 B1 KR100880250 B1 KR 100880250B1 KR 1020070106949 A KR1020070106949 A KR 1020070106949A KR 20070106949 A KR20070106949 A KR 20070106949A KR 100880250 B1 KR100880250 B1 KR 100880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ower crane
cylindrical body
base beam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주)부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일이엔씨 filed Critical (주)부일이엔씨
Priority to KR102007010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타워 크레인의 설치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타워 크레인을 지지할 수 있는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스트의 하부면이 중심에 고정되는 베이스 빔과 상기 베이스 빔과 타워 크레인의 마스트의 일정 지점을 연결하는 지지 부재로 구성되어 타워 크레인을 지지하기 위한 포탈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빔에는 상기 포탈 베이스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다리가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다리에는 높이 조절 수단이 포함되어 포탈 베이스의 수평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여, 베이스 빔에 고정된 다리에 높이 조절 수단이 포함되어 타워 크레인의 설치 시 베이스 빔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타워 크레인의 설치 시간이 단축되고, 수평이 조정된 다리를 베이스 빔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타워 크레인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타워크레인 포탈 베이스 고정장치 높이조절

Description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Potal base of tower crane}
본 발명은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워 크레인을 지지하기위한 포탈 베이스에 높이 조절 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이다.
타워 크레인은 고층 빌딩의 건축현장이나 선박의 제조에 이용되는 중장비로서 철재빔 등의 무거운 자재를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타워 크레인을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타워 크레인(100)은 전체를 지탱하는 지주역할을 하는 마스트(10)를 구비하고, 이 마스트(10)를 앵커 프레임을 연결하여 땅속에 매립시켜 콘크리트(12)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와이어(14) 등을 이용하여 크레인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고정 방법은 와이어의 설치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크레인의 설치 및 분해 시간이 오래 걸리고, 크레인 고정 장치를 다시 재사용할 수 없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타워 크레인의 마스트 하부에 이동 가능한 고정 장치가 결합되어 타워 크레인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식 고정 장치는 크레인의 마스트가 고정되는 포탈 베이스(portal base)를 지면에 수평으로 착설시키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평조절이 용이한 포탈 베이스를 제공하여 타워 크레인의 설치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타워 크레인을 지지할 수 있는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는 마스트의 하부면이 중심에 고정되는 베이스 빔과 상기 베이스 빔과 타워 크레인의 마스트의 일정 지점을 연결하는 지지 부재로 구성되어 타워 크레인을 지지하기 위한 포탈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빔에는 지면에 접촉된 받침대와, 하부는 상기 받침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높이 조절 수단을 통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의 베이스 빔에 고정되는 원통형 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포탈 베이스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다리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베이스 빔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가 결합되는 조절 나사와, 상기 조절 나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된 너트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주면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너트의 수직이동을 구속하는 돌출부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조절 나사가 수직이동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는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을 통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의 베이스 빔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부 외주면에 수직으로 복수 개의 체결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탈 베이스의 수평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트와 돌출부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와셔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는 베이스 빔에 고정된 다리에 높이 조절 수단이 포함되어 타워 크레인의 설치 시 베이스 빔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타워 크레인의 설치 시간이 단축되고, 수평이 조정된 다리를 베이스 빔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타워 크레인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의 일반적인 형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1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탈 베이스는 타워 크레인의 마스트(10)의 하부면이 중심에 고정되는 베이스 빔(110)과 상기 베이스 빔(110)과 타워 크레인의 마스 트(10)의 일정 지점을 연결하는 지지 부재(120)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빔(110)은 타워 크레인의 기본적인 지지 역할을 하며, 상기 지지 부재(120)는 상기 베이스 빔(110)의 가장 자리와 마스트(10)의 하부 지점을 경사 지게 연결하여 수평 지지 및 좌굴 방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마스트(10)의 하단부는 기초 앵커(Anchor)를 통해 베이스 빔(110)에 고정되어 체결 및 이탈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빔의 상부에는 베이스 발라스트 블럭(Base ballast block:130)이 올려져 베이스 빔(11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발라스트 블럭(130)의 수량과 무게는 타워 크레인의 정격 하중에 비례하여 적재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빔(110)의 모서리에는 다리(140)가 형성되어 전체 타워 크레인을 지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빔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빔(110)은 상부 빔(Upper beam:112)과 하부 빔(Lower beam)이 격자 형상으로 결합되고, 각 상부 빔과 하부 빔의 단부에는 조인트 빔(116)이 결합된 안정된 격자 형태를 취하게 되고, 작업자의 승강을 위한 플렛폼(118)이 일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빔(110)의 각 모서리의 하단부에는 베이스 빔을 지지하는 다리가 결합되며, 본 발명의 주 특징은 상기 다리에 높이 조절 수단이 포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를 도시하는 개념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리(140)는 베이스 빔(110)에 결합되고 지면에 접촉된 받침대(142)와 원통형 몸체(144)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114)의 하부는 상기 받침대(14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높이 조절 수단을 통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의 베이스 빔(110)에 고정된다.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베이스 빔에 고정된 조절 나사(146)와 상기 조절 나사(146)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된 너트(148)와 상기 원통형 몸체(114)의 외주면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너트(148)의 수직이동을 구속하는 돌출부(144a) 및 상기 너트(148)와 돌출부(114a) 사이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와셔(150)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리(140)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42)는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14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144)는 상기 받침대(14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142)의 상부에는 반원 형상의 안착부(142b)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144)의 하단부에는 반원 형상으로 돌출된 접촉부(144d)가 안착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부(144d)의 일정 거리 이격된 외주면에는 돌기(144c)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142)에 상부에 결합된 걸림턱(142a)에 구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원통형 몸체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원통형 몸체(144)는 상기 받침대(142)의 안착부(142b)에 안착되도록 하단부는 반원 형상의 접촉부(144d) 및 돌기(144c)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너트(148)의 수직이동을 구속하는 돌출부(144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몸체(144)의 상부 외주면에는 높이 조절 수단을 통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의 베이스 빔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수직으로 복수 개의 체결공(144b)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44b)은 상기 원통형 몸체(144)의 사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144b)는 핀(미도시)이 상기 원통형 몸체(144)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빔에 형성된 체결부(걸림턱 또는 체결공)에 상기 체결공(144b)를 관통한 상기 핀이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완료된 다리가 베이스 빔에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조절 나사(146)는 상기 베이스 빔(110)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관통공(146a)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144)가 결합되며, 나사 운동을 통해 상기 베이스 빔(110)의 수평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 빔(110)에 결합되기 위한 플랜지부(146c)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146)를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빔(110)의 하단부에 결합시키고, 외주면에는 나사(146b)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148)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와셔(150)는 상기 너트(148)와 상기 원통형 몸체(144)의 돌 출부(144a)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와셔(150)가 결합되는 개수에 따라 최초 너트의 체결 높이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구체적인 본 발명에 따른 포탈 베이스의 사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의 높이 조절 동작도이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몸체가 결합된 받침대를 지지 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원통형 몸체를 베이스 빔에 고정된 조절 나사와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조절 나사에 나사 결합된 너트의 최초 높이에 따라 상기 원통형 몸체에 결합되는 와셔의 개수를 조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를 왼쪽으로 회전시키면(오른 나사의 경우), 나사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너트는 와셔와 원통형 몸체의 돌출부에 구속되어 하부로 이동될 수 없으므로, 상기 조절 나사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베이스 빔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 빔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각 다리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베이스빔의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원통형 몸체의 체결공에 핀을 결합시켜 베이스 빔에 단단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베이스 빔에 형성된 체결부(미도시)와 상기 체결공이 일치하도록 상기 원통형 몸체를 회전시키고, 핀을 상기 체결부와 체결공에 결합시키게 된 다. 즉, 상기 높이 조절 과정에서 너트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원통형 몸체가 회전되더라도,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 몸체를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 빔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체결공은 상기 원통형 몸체의 사측면에 형성되어 미세하게 회전시키더라도 손쉽게 핀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높이 조절 수단을 가지는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타워 크레인을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도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빔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를 도시하는 개념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의 높이 조절 동작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스트 100: 타워 크레인
110: 베이스 빔 112: 상부 빔
114: 하부 빔 116: 조인트 빔
118: 플렛폼 120: 지지 부재
130: 베이스 발라스트 블럭
140: 다리 142: 받침대
142a: 걸림턱 142b: 안착부
144: 원통형 몸체 144a: 돌출부
144b: 체결공 144c: 돌기
144d: 접촉부 146: 조절 나사
146a: 관통공 146b: 나사
146c: 플랜지부 148: 너트
150: 와셔

Claims (6)

  1. 마스트의 하부면이 중심에 고정되는 베이스 빔과 상기 베이스 빔과 타워 크레인의 마스트의 일정 지점을 연결하는 지지 부재로 구성되어 타워 크레인을 지지하기 위한 포탈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빔에는,
    지면에 접촉된 받침대(142)와;
    하부는 상기 받침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높이 조절 수단을 통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의 베이스 빔에 고정되는 원통형 몸체(144);로 구성되어, 상기 포탈 베이스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다리(140)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베이스 빔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관통공(146a)이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144)가 결합되는 조절 나사(146)와;
    상기 조절 나사(146)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146b)와 결합된 너트(148)와;
    상기 원통형 몸체(144)의 외주면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너트의 수직이동을 구속하는 돌출부(144a);로 구성되어 상기 너트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조절 나사가 수직이동되고,
    상기 원통형 몸체(144)는,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을 통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의 베이스 빔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부 외주면에 수직으로 복수 개의 체결공(144b)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탈 베이스의 수평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148)와 돌출부(144a)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와셔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
  5. 삭제
  6. 삭제
KR1020070106949A 2007-10-24 2007-10-24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 KR100880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49A KR100880250B1 (ko) 2007-10-24 2007-10-24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949A KR100880250B1 (ko) 2007-10-24 2007-10-24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250B1 true KR100880250B1 (ko) 2009-01-28

Family

ID=4048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949A KR100880250B1 (ko) 2007-10-24 2007-10-24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2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5904A (zh) * 2014-04-22 2014-07-23 广西大学 一种高度自适应的塔式起重机半柔性加固装置
KR20160026097A (ko) * 2014-08-29 2016-03-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타워 크레인
KR102286399B1 (ko) * 2020-12-04 2021-08-04 장무기 타워 크레인의 마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571A (ja) 1998-04-22 1999-11-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殻外板支持用位置決め装置
JPH11322282A (ja) * 1998-05-15 1999-11-24 Taisei Corp 揚体の仮受け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177602Y1 (ko) * 1998-04-16 2000-04-15 동정태 타워 크레인 설치용 구조물
KR20000012119U (ko) * 1998-12-15 2000-07-05 김형벽 선박용 평 블록의 높이 레벨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602Y1 (ko) * 1998-04-16 2000-04-15 동정태 타워 크레인 설치용 구조물
JPH11301571A (ja) 1998-04-22 1999-11-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殻外板支持用位置決め装置
JPH11322282A (ja) * 1998-05-15 1999-11-24 Taisei Corp 揚体の仮受け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00012119U (ko) * 1998-12-15 2000-07-05 김형벽 선박용 평 블록의 높이 레벨 조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5904A (zh) * 2014-04-22 2014-07-23 广西大学 一种高度自适应的塔式起重机半柔性加固装置
KR20160026097A (ko) * 2014-08-29 2016-03-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타워 크레인
KR101644523B1 (ko) * 2014-08-29 2016-08-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타워 크레인
KR102286399B1 (ko) * 2020-12-04 2021-08-04 장무기 타워 크레인의 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0967A (ko) 교량용 점검대
KR20090119504A (ko) 버팀부재 지지용 스크류잭
KR100880250B1 (ko) 타워 크레인의 포탈 베이스
CN105544762A (zh) 隔震层的安装方法
CN104895106A (zh) 一种风力发电机施工用下锚板的安装装置及安装方法
CN216339647U (zh) 一种新型塔吊基础定位的预埋螺栓结构
KR20140009808A (ko) 기초용 철근 스페이서
KR100769552B1 (ko)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CN216810961U (zh) 一种用于直埋式桥架的加强配件
KR200415619Y1 (ko) 거푸집 설치용 수평 조절장치
CN207920122U (zh) 一种梁板支撑装置
JP2010236289A (ja) 基礎構造
KR200177602Y1 (ko) 타워 크레인 설치용 구조물
KR100745024B1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JP6127325B2 (ja) 風車タワーのアンカーリング据付用の支持架台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32750Y1 (ko) 교량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의 일체형 전도 방지시설
KR20160011982A (ko) 이동식 건물용 수평조절장치
CN215160489U (zh) 一种塔机箱型基础构件
CN114016749B (zh) 一种360度旋转舞台设备安装施工方法
CN219587286U (zh) 可调节高度的活动板房
CN220248113U (zh) 隧道止水带定位架
KR102250673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수평조절장치 및 설치방법
CN219622171U (zh) 一种加强型立柱结构
CN212715947U (zh) 一种可周转的牛腿支撑构件
CN211647492U (zh) 一种预制看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