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833B1 - 안구내 렌즈 - Google Patents

안구내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833B1
KR100879833B1 KR1020047006913A KR20047006913A KR100879833B1 KR 100879833 B1 KR100879833 B1 KR 100879833B1 KR 1020047006913 A KR1020047006913 A KR 1020047006913A KR 20047006913 A KR20047006913 A KR 20047006913A KR 100879833 B1 KR100879833 B1 KR 10087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l
sharp
edge
capsular bag
peripher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920A (ko
Inventor
팜하이-민
엔구옌투안안
Original Assignee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20050056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965Lens includes ultraviolet absorber
    • A61F2002/1699Addition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후방 수정체낭 혼탁 또는 2차 백내장을 억제하기 위한 안구내 렌즈는 적어도 두 개의 예리한 에지를 구비한 주연을 갖는 옵틱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예리한 에지는 렌즈 옵틱의 광축에 대해서 서로간에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안구내 렌즈, 렌즈 옵틱, 제1 에지, 제1 주연벽, 광축

Description

안구내 렌즈 {INTRAOCULAR LENS}
본 발명은, 원래의 수정체(예컨대 백내장 수정체)가 손상 또는 질병 때문에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 무수정체 안구에 이식하기 위한 안구내 렌즈(IOL)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IOL과 후방 수정체낭 사이에 있는 렌즈 상피 세포(LEC)의 불필요한 성장을 억제하도록 설계된 신규한 IOL에 관한 것인데, 이러한 성장은 당업자에게 후방 수정체낭 혼탁(posterior capsule opacification), 즉 "PCO"로 알려져 있다.
백내장이 생긴 안구를 치료하기 위한 일반적이고 바람직한 방법은 백내장 적출술로 알려진 수술을 통해 흐려진 본래의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 IOL로 교체하는 것이다. 낭외 적출법에서는, 본래의 수정체가 수정체낭으로부터 제거되면서 안구 내에 있는 수정체낭의 후방부(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정체낭 전방부의 적어도 일 부분)를 남긴다. 이러한 경우에, 수정체낭은 띠섬유를 통해 안구의 모양체에 부착된 채로 남아있게 된다. 낭내 적출법으로 알려진 다른 방법에서는, 띠섬유를 잘라 냄으로써 수정체 및 수정체낭이 완전히 제거되어 수정체낭이 없는 안구 내에 부착시키는 IOL로 교체된다. 낭외 적출법에서는 수정체낭이 안구의 모양체에 부착된 채로 남아 있어서 안구 내에 IOL을 위한 본래의 중심과 위치를 제공하므로, 낭 내 적출법은 낭외 적출법에 비해 관심을 덜 끈다. 또한 수정체낭은 안구 전방의 안구 방수(aqueous humor)와 안구 후방의 유리체액(vitreous humor) 사이에서 자연 방벽을 제공하는 기능을 계속한다.
낭외 백내장 적출법이 갖는 것으로 알려진 문제는 후방 수정체낭 혼탁(posterior capsule opacification) 또는 2차 백내장인데, 이런 경우는 광축을 따라 수정체낭 혼탁을 일으키는 IOL 후방면 뒤의 후방 수정체낭을 따라서 렌즈 상피 세포가 증식하고 이동한다. 이것은 Er:YAG(어븀-야그) 레이저를 이용한 수정체낭 절개술과 같은 추가 수술을 요구하는데, 이 수술은 후방 수정체낭을 개방시켜서 광축을 투명하게 한다. 수정체낭 절개술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합병증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후방 수정체낭은 안구 방수의 후방과 안구 유리체의 전방 사이에서 자연 장벽을 제공하기 때문에, 후방 수정체낭을 제거하는 것은 유리체액을 안구 방수로 이동하게 하여, 시력을 잃게 하는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후방 수정체낭 혼탁을 방지함으로써 이후에 후방 수정체낭 절개를 받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O를 방지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종래 기술에서 제시되었고, PCO로 인해 많은 Er:YAG 레이저 수정체낭 절개술이 필요했다. PCO 방지법은 기계식 수단과 약제 수단의 두 가지 주요 분류를 포함한다.
PCO를 방지하는 기계식 수단의 분류에서는, PCO를 최소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당업자에게 널리 인식된 후방 수정체낭 벽의 예리한 불연속 벤드를 만드는 데 노력을 기울여져 왔다. 예컨대 1999년 1월, 니시(Nishi)가 작성한 "후방 수정체낭 혼탁"(백내장과 굴절 교정 수술에 관한 논문 제25권)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후방 수정체낭 벽의 불연속 벤드는, IOL의 주연벽과 예리한 에지를 형성하는 후방 에지를 갖는 IOL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PCO를 방지하는 약제 수단으로, LEC 표적 약제를 사용함으로써 LEC를 제거시키거나 그리고/또는 LEC 유사분열을 억제시키는 방법이 제시된다. 예컨대 "잔류 수정체 상피 세포를 제거하는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브레튼(Bretton)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620,013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시도가 이론적으로 논리적이지만, 그런 방법을 치료 실무로 삼는 것은, 예컨대 수정체낭에 있는 모든 LEC를 전체적으로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점 뿐만 아니라 몇몇 LEC 억제제[예컨대 사포린(saporin)]의 독성에 의해 발생되는 합병증 때문에 어렵다. 결국 어떤 잔존 LEC가 증식하여 IOL로 이동해서, 수술하는 경우 LEC를 제거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PCO를 일으키게 된다.
IOL의 후방면에 LEC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가장 가망성 있는 방법은 기계식 수단이다. 즉, 이러한 기계식 수단은 특히 후방 수정체낭 벽에 불연속 벤드를 만드는 후방면 및 주연 에지의 연결부에 예리한 주연 에지를 갖도록 IOL을 설계하는 방법이다. 후방 수정체낭 벽의 불연속 벤드가 이러한 벤드를 지나 IOL 표면을 따라서 LEC가 증식하고 이동하는 것을 억제시킨다는 점이 임상적으로 입증되었다. 평볼록렌즈인 IOL의 PCO 억제 효과에 관한 초기 논문 중의 하나가 1996년 3월에 니시 등이 작성한 "자발적인 후방 전위 이후의 내부 피막 후방 수정체의 설명"(백내장과 굴절 교정 수술의 저널 제22권 제273페이지)이다. 이 논문에서 저자는, IOL 의 후방면이 평면이고 IOL의 주연 에지와 함께 사각 에지를 형성하는 평볼록렌즈 PMMA IOL을 시험했다.
"외식된 IOL 및 수정체낭을 거시적으로 보아 9.5㎜의 수정체낭 지름을 밝혀냈다. 개방 순환 루프가 수정체낭 적도판을 따라 잘 설치된다. 또한 햅틱(haptic)과 접촉하지 않은 수정체낭 적도판이 잘 유지되었다(도3). 불투명한 수정체덩이[소엠머링(Soemmering)의 링 백내장]가 햅틱 및 옵틱(optic) 사이에 보인다. IOL 옵틱과 대향하는 후방 수정체낭은 투명했다.
외식된 수정체낭의 병리학적인 시험에서는 후방 수정체낭에 렌즈 상피 세포(LEC)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루프와 옵틱 사이에서, 옵틱의 에지에 축적된 수정체덩이가 보인다(도4). 이 위치에서 후방 수정체낭에 명백히 벤드가 있었다." (강조 추가)
따라서 이러한 논문이 있은 후 수년동안, 산업에서는, 후방 수정체낭 벽에 예리한 불연속 벤드를 생성시키기 위해 예리한 후방 에지를 갖는 IOL을 만드는 데 많은 연구를 했다. 예리한 후방 에지를 갖는 IOL이 후방면 및 주연 에지 접합부에 둥근 에지를 갖는 IOL과 비교해서 PCO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특히 수정체낭을 갖는 IOL 주연의 고르지 않은 접촉 및 힘이 있다면, IOL 표면 뒤의 후방 수정체낭을 따라서 LEC가 이동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예컨대 IOL이 수술 이후에 수정체낭 내에서 움직인다면, LEC의 이동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예리한 단일 후방 에지를 구비한 IOL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LEC가 이동하여 PCO가 발생되는 문제를 처리하는 IOL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후방 에지와 주연벽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예리한 에지를 포함하는 주연을 갖는 IOL을 구비함으로써 IOL의 예리한 제1 후방 에지를 넘어서 PCO가 발생되는 문제를 처리한다. 이러한 예리한 에지는 대체로 IOL의 광축과 평행하게 뻗어 있고, 에지 사이에 있는 주연벽은 대체로 IOL의 광축과 수직하게 뻗어 있다. 이러한 IOL 옵틱 주연의 형상은 단일 사각 에지 렌즈 구조를 현저하게 개선시킨 것으로, LEC 이동에 대한 개선된 방벽을 제공한다. 또한 LEC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 제시된 더 복잡한 다른 IOL 주연 구조에 비해 옵틱 주연 구조는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된다. 예컨대 다양한 IOL 옵틱 주연 구조를 제시하는 아래의 특허와 공보를 참조한다.
1992년 12월 15일에 니시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171,320호를 참조한다.
1997년 12월 2일에 워핀든(Woffinden)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693,093호를 참조한다.
2000년 12월 19일에 데콘(Deacon)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6,162,249호를 참조한다.
도1은 안구의 수정체낭 내에 있는 본래의 수정체를 도시한, 인간 안구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래의 수정체가 제거되고 종래 기술의 IOL로 교체된 것을 도시한, 인간 안구의 단면도이다.
도3은 종래 기술의 IOL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IOL의 평면도이다.
도4b는 도4a의 선4b-4b를 따라서 취한, 본 발명의 IOL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IOL에 대한 주연 벽 형상을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IOL에 대한 주연 벽 형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5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홍채(30)에 의해 분리되는 전방(12) 및 후방(14)을 갖는 인간 안구(10)의 단면도가 도1에 도시된다. 후방(14) 내에는 안구의 본래 수정체(17)를 유지시키는 수정체낭(16)이 있다. 빛은 각막(18)을 통해 수정체(17)를 통과하여 안구로 들어오는데, 이러한 수정체(17)는 안구의 뒤쪽에 있는 망막(20)으로 빛을 향하게 하여 초점을 모은다. 망막에는 상(像)을 해석하기 위해 망막에 수용된 상을 뇌로 전송하는 시신경(22)을 연결시킨다.
본래의 수정체가 손상(예컨대 백내장에 의해 흐려짐)된 안구에서는, 본래의 수정체가 더 이상 입사광을 망막으로 적절히 향하게 하여 초점을 모을 수 없기 때문에 상이 흐려진다. 이러한 증세를 치료하는 공지된 수술 기술은 손상된 수정체의 제거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수정체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IOL(24)과 같은 안구내 렌즈 또는 IOL로 알려진 인공 렌즈로 교체된다. 안구 내에 IOL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선택 사항 뿐만 아니라 다양한 IOL 구조가 있을 지 라도, 본 발명은 안구(10)의 대체로 알형(ovid-shaped)인 수정체낭(16) 내에 이식하기 위한 IOL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식 기술은 "낭내(in-the-bag)" 기술로서 종래 기술에서 주로 언급된다. 이러한 수술 기술에서, 수정체낭 전방부의 일 부분이 제거되면서("수정체낭 절개술"로 칭함), 손상되지 않고 모양체(26)에 고정된 후방 수정체낭(16a)을 남긴다.
따라서 IOL 수술의 "낭내" 기술에서, IOL을 안구 후방(14)의 홍체(30) 뒤에 있는 수정체낭(16) 내에 위치시킨다. IOL은, 망막에 빛을 보내어 초점을 맞춤으로써 적출된 본래의 수정체 기능을 하는 중앙 옵틱부(24a)를 포함하고, 또한 수정체낭 내의 적절한 위치에 옵틱을 고정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옵틱을 고정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IOL 구조물은, 옵틱의 주연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부로 뻗어 있는 탄력있는 구조물인 햅틱으로 불려진다. 특히 일반적인 IOL 구조에서, 두 개의 햅틱(24b, 24c)은 옵틱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뻗어 있고, 수정체낭의 내부에 대해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휘는데, 이런 편향력은 수정체낭 내의 적절한 위치에 옵틱을 고정시킨다(도2 참조).
배경 기술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후방 수정체낭 혼탁, 즉 PCO로 알려진 바람직하지 않은 수술 후의 상태는 이식된 IOL이 흐려져서 더 이상 적절하게 빛을 보내어 초점을 모을 수 없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 대한 주요한 원인은 IOL 옵틱 뒤에 있는 수정체낭의 후방면을 따라서 렌즈 상피 세포(LEC)가 유사 분열하고 이동하는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체낭(16)의 후방면(16a)은 IOL 옵틱(24a)의 후방면과 인접한다. 손상된 본래의 렌즈가 수술로 제거될 때, 많은 LEC 가 수정체낭(16) 내에 잔존하는데, 특히 종자 LEC의 주요한 근원인 수정체낭(16)의 적도판(16b)에 잔존하게 된다. 외과 의사가 IOL 이식 수술을 할 때 수정체낭에서 모든 LEC를 제거하려고 해도, 모든 단일 LEC를 제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남아 있는 LEC가 후방 수정체낭 벽(16a)을 따라서 증식하고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둥근 에지를 갖는 IOL에서 전형적이며, 이러한 경우에 임상적으로 중요한 PCO가 수술을 한 지 3년이 지난 환자들 중 약 20% 내지 50%에게서 생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현재 PCO를 방지함에 있어서 인기있고 효과적인 방법은 본 명세서의 배경 기술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후방 수정체낭 벽(16a)에 예리한 불연속 벤드를 만드는 것이다.
도4a, 도4b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IOL(32)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다. IOL(32)은 대향하는 전방면(34a) 및 후방면(34b)을 갖는 중앙 옵틱(34)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안구 내에 이식될 때, 전방 옵틱면(34a)은 각막(18)과 대향하고, 후방 옵틱면(34b)은 망막(20)과 대향한다. 한 쌍의 햅틱(36, 38)은, 옵틱(34) 주연의 대향 측면에 부착되어 대향 측면으로부터 뻗어 있고, 수정체낭(16)의 내부에 대한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IOL(32)을 적절하게 위치시킨다. 더 상세하게는, 햅틱(36, 38)이 IOL을 수정체낭에 이식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햅틱(36, 38)은 수정체낭의 내부면과 결합한다. 햅틱과 수정체낭 사이의 결합은, IOL 옵틱(34)이 망막(20)을 향해 후방으로 움직이게 하는 편향력을 생성시켜서, IOL 옵틱의 후방면(34b)이 수정체낭(16)의 후방 수정체낭 벽(16a)의 내부로 단단히 가압된다. 공지된 다른 IOL을 위치시키는 수단이 가능하고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IOL(32)은 어떤 적합한 IOL 물질, 예컨대 PMMA, 실리콘, 수화겔 및 이들의 화합물로부터 만들어진다. 또한 IOL(32)은 일체 구조 또는 다중 조각 구조(예컨대 옵틱이 형성된 후에, 햅틱이 옵틱에 부착되는 경우)일 수 있다.
도4a, 도4b 및 도5를 참조하면, IOL 옵틱(34)은, 후방면(34b) 및 주연벽(P1)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예리한 제1 에지(E1)를 포함하는 주연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앞에서 설명된 편향력을 공급하는 햅틱(36, 38)에 의해서, 옵틱 후방면(34b)은 후방 수정체낭 벽(16a)으로 대해서 단단하게 가압된다. 수정체낭(16)은 본래 탄성적이기 때문에, 수정체낭 벽에 대한 IOL 옵틱의 힘은 IOL을 후방 수정체낭 벽으로 만입시킨다. 따라서 IOL 옵틱의 예리한 제1 에지(E1)가 수정체낭 벽 내로 강제 만입됨으로써, 도5 및 도6의 화살표(B1)로 지시되는 지점에서 후방 수정체낭 벽에 불연속 벤드를 생성시킨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후방 수정체낭 벽(16a)의 불연속 벤드(B1)는 이 지점[즉, 후방 수정체낭 벽(16a)과 IOL 후방면(34b) 사이]을 통해 LEC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시켜서, 결국 PCO를 억제시킨다.
도5를 참조하면, IOL 옵틱(34)의 주연은, 서로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는 방향을 갖는 제1 주연벽(P1) 및 제2 주연벽(P2)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내부 우측각 모퉁이(C1)를 더 포함한다. 예리한 제2 에지(E2)는 서로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는 주연벽(P2 및 P3)의 연결부에 형성된다. IOL 옵틱의 주연에 적어도 두 개의 예리한 에 지(E1 및 E2)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동하는 LEC에 대한 다중 방벽을 제공한다.
IOL이 후방 수정체낭으로 만입하는 정도는 환자들마다 다를 수 있다. 몇몇 환자에 있어서, IOL은 예리한 제1 에지(E1)만이 후방 수정체낭과 결합하도록 만입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단일 불연속 벤드(B1)가 LEC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수정체낭 벽에 구비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리한 제2 에지(E2)는, IOL 옵틱의 전방면(34a)을 향해서 전방면(34a)으로 이동하여 IOL에 부착될 수 있는 LEC를 방해하는 불연속 형상을 제공한다. 다른 환자들의 경우에, IOL은 후방 수정체낭으로 더 만입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 예리한 제1 에지(E1)와 예리한 제2 에지(E2) 모두가 후방 수정체낭과 결합하고 있음으로써 (도5 참조) 제1 벤드(B1) 및 제2 벤드(B2) 각각을 만든다. 따라서 각 경우에, LEC 이동이 억제된다.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LEC를 배양시키는 주요한 근원은 옵틱 주연의 반경 방향 외부에 있는 수정체낭의 적도판(16b)이다(도2 참조). LEC가 증식할 때, LEC는 수정체낭을 따라서 반경 방향의 내부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틱이 후방 수정체낭으로 만입하는 환자의 경우에, LEC가 IOL 옵틱(34)에 도달하면, LEC는 IOL의 예리한 에지(E2)에 의해 형성된 수정체낭의 예리한 제2 벤드(B2)를 만난다. 예리한 벤드(B2)는 LEC가 이동하는 것에 대한 제1 방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어떤 LEC는 벤드(B2)를 지나서 내부로 계속 이동하고, 그런 다음 LEC는 수정체낭의 예리한 제1 벤드(B1)를 만난다. 수정체낭에 하나 이상의 예리한 벤드를 구비함으로써, LEC를 이동시키는 것에 대한 하나 이상의 방벽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방 수정체낭을 따라서 LEC가 이동하는 기회를 실질적으로 방해하는 주연 에지 형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는 IOL의 예리한 다중 에지 형상은 종래 기술의 예리한 단일 에지 IOL 구조보다 수정체낭에 더 복잡한 주름 형상을 제공한다. 이에 관해서, 여기에서 인용되는 니시 논문(1995년 1월의 JCRS)을 참조하면, 이 논문은 LEC 이동을 억제시킨다고 생각되는 수정체낭 벤드에서 복잡한 주름 형상이 어떤 것인지를 설명한다.
IOL 옵틱(34)에 예리한 다중 에지 형상을 형성하는 현재의 양호한 방법은 IOL 옵틱이 고정물에 장착되고, 주연의 후방 옵틱면으로 절삭하기 위해 압연기가 사용되는 밀링 작업을 포함한다. 후방면(34b)의 에지로부터 표면벽(P2)까지 측정할 때, 압연기 절삭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1.5㎜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1.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8㎜이다. 벽(P1)으로부터 벽(P3)까지 측정할 때, 압연기 절삭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03㎜이다. 주연 에지 외형을 형성하기 위해 채택되는 다른 방법은 예컨대 선반작업법 및 주형법을 포함한다. IOL(32)이 에지 외형을 형성하기 전에 회전 연마를 시켜서 에지(E1, E2, E3)등의 예리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본 발명의 IOL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수직 벽면(P4 및 P5)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예리한 제3 에지(E3)를 더 포함한다. 도6은 수정체낭(16)과 결합되지 않은 예리한 제3 에지(E3)를 도시하지만, 몇몇 환자의 경우에 옵틱 주변은 수정체낭 벽으로 더 깊이 만입하여, 예리한 에지(E3)가 수정체낭 벽과 결합할 수 있다. 예리한 제3 에지(E3)가 실제로 수정체낭 벽과 결합한다면, 수정체낭 벽에 제3 벤드(도시 않음)가 형성될 것이고, 앞에서 예리한 에지(E1 및 E2)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LEC 이동에 대한 또 다른 방벽을 제공할 것이다. 예리한 제3 에지(E3)가 수정체낭과 결합하지 않는 경우에, IOL 옵틱의 전방면(34a)을 향해서 전방면(34a)으로 이동하여 IOL에 부착되는 LEC를 방해하는 불연속 외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이한 예리한 다중 에지 외형은 옵틱이 후방 수정체낭으로 얼마나 깊이 만입하는가에 상관없이 옵틱의 후방과 전방 모두로 LEC 이동에 대한 다중 방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예리한 에지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이러한 형상은 IOL 옵틱 주연에 "계단식" 형상을 형성한다. 임의의 수의 예리한 에지들은 앞에서 설명된 계단식 에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주연벽 면(P1, P3, P5)은 대체로 IOL 옵틱(도4a, 도4b 참조)의 광축(OA)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이격되어 평행한 평면을 따라 뻗어 있고, 그 사이에 있는 주연벽면(P2 및 P4)은 대체로 광축(OA)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뻗어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특이한 주연 형상은 대체로 PCO를 억제시키는 IOL을 제공한다.
따라서 인간 안구에 이식하기 위한 안구내 렌즈(32)가 설명되고, 안구내 렌즈는, 옵틱 주연에 의해 형성된 대향하는 전방면(34a) 및 후방면(34b)을 갖는 렌즈 옵틱(34)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옵틱(34)을 통해 뻗어 있는 광축(OA)을 더 갖는다. 상기 안구내 렌즈(32)는 상기 옵틱 주연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순차적인 예리한 에지(E1, E2)에 의해 특징되며, 상기 광축(OA)에 대해서 상기 예리한 제2 에지(E2)는 상기 예리한 제1 에지(E1)의 반경 방향 외부로 위치된다. 상기 예리한 제1 에지(E1)는 상기 옵틱 후방면(34b) 및 대체로 상기 광축에 평행하게 놓여 있는 제1 주연벽(P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예리한 제2 에지(E2)는 제2 주연벽(P2) 및 제3 주연벽(P3)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제2 주연벽(P2)는 대체로 상기 광축(OA)과 수직하게 놓여 있고, 상기 제3 주연벽(P3)은 대체로 상기 광축(OA)과 평행하게 놓여 있다.

Claims (8)

  1. 옵틱 주연에 의해 형성된 대향하는 전방면(34a) 및 후방면(34b)을 갖는 렌즈 옵틱(34)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옵틱(34)을 통해 뻗어 있는 광축(OA)을 더 갖는, 인간 안구에 이식하기 위한 안구내 렌즈(32)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순차적인 예리한 에지(E1, E2)는 상기 옵틱 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광축(OA)에 대해서, 상기 예리한 제2 에지(E2)는 상기 예리한 제1 에지(E1)의 반경 방향 외부로 위치되며,
    상기 예리한 제1 에지(E1)는 상기 옵틱 후방면(34b) 및 상기 광축에 대체로 평행하게 놓여 있는 제1 주연벽(P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예리한 제2 에지(E2)는 제2 주연벽(P2) 및 제3 주연벽(P3)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 주연벽(P2)은 상기 광축(OA)과 대체로 수직하게 놓여 있고,
    상기 제3 주연벽(P3)은 상기 광축(OA)과 대체로 평행하게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내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인간 안구 내에 상기 안구내 렌즈(32)를 위치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안구내 렌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시키는 수단은 상기 옵틱 주연으로부터 뻗는 하나 이상의 햅틱(36, 38)을 포함하는 안구내 렌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안구에 상기 안구내 렌즈(32)를 이식할 때, 상기 햅틱(36, 38)이 상기 후방 옵틱면(34b)의 방향으로 상기 옵틱(34)에 대하여 편향력을 가하는 안구내 렌즈.
  5. 제4항에 있어서, 예리한 제3 에지(E3)가 상기 예리한 제2 에지(E2)의 반경 방향 외부로 상기 옵틱 주연에 형성되는 안구내 렌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리한 제3 에지(E3)는 제4 주연벽(P4) 및 제5 주연벽(P5)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4 주연벽(P4)은 상기 광축(OA)과 대체로 수직하게 놓여 있고,
    상기 제5 주연벽(P5)은 상기 광축(OA)과 대체로 평행하게 놓여 있는 안구내 렌즈.
  7. 삭제
  8. 삭제
KR1020047006913A 2001-11-08 2002-10-24 안구내 렌즈 KR100879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05,864 2001-11-08
US10/005,864 US6558419B1 (en) 2001-11-08 2001-11-08 Intraocular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920A KR20050056920A (ko) 2005-06-16
KR100879833B1 true KR100879833B1 (ko) 2009-01-22

Family

ID=2171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913A KR100879833B1 (ko) 2001-11-08 2002-10-24 안구내 렌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6558419B1 (ko)
EP (1) EP1441670B1 (ko)
JP (1) JP4198059B2 (ko)
KR (1) KR100879833B1 (ko)
CN (1) CN1310625C (ko)
AR (1) AR037219A1 (ko)
AU (1) AU2002349936B2 (ko)
CA (1) CA2466092C (ko)
DE (1) DE60216493T2 (ko)
ES (1) ES2275930T3 (ko)
HK (1) HK1068244A1 (ko)
WO (1) WO20030394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7138B1 (en) * 1995-02-15 2008-05-07 Medevec Licensing B.V.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having T-shaped haptics
US20060149369A1 (en) * 1997-05-20 2006-07-06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Accommodating arching lens
FR2795944B1 (fr) * 1999-07-08 2001-11-02 Corneal Ind Implant intraoculaire
US6558419B1 (en) * 2001-11-08 2003-05-06 Bausch & Lomb Incorporated Intraocular lens
US7160324B2 (en) * 2002-05-17 2007-01-09 Amo Groningen, B.V. Method in eye surgery
US20040059414A1 (en) * 2002-09-25 2004-03-25 Green George F. Intraocular lens
EP1618857A4 (en) * 2003-04-28 2007-12-26 Hoya Healthcare Corp Single-piece Intraocular lense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for
EP1667610A1 (en) * 2003-09-30 2006-06-14 Bausch & Lomb Incorporated Intraocular lens for inhibiting pco and aco
US20050125058A1 (en) * 2003-12-03 2005-06-09 Eyeonics, Inc. Accommodating hybrid intraocular lens
US7553327B2 (en) * 2003-12-04 2009-06-30 The Nice Trust, A Trust Of The Isle Of Man Accommodating 360 degree sharp edge optic plate haptic lens
AU2004296880B2 (en) 2003-12-09 2011-02-24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Foldabl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king
US7615073B2 (en) 2003-12-09 2009-11-10 Advanced Medical Optics, Inc. Foldabl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king
US20050215516A1 (en) * 2004-03-29 2005-09-29 Claudio Bucolo New free-radical scavenger containing viscoelastic composition, methods of use and package
US20060002982A1 (en) * 2004-06-30 2006-01-05 Bausch & Lomb Incorporated Xanthan gum viscoelastic composition, method of use and package
US20060073184A1 (en) * 2004-09-29 2006-04-06 Bausch & Lomb Inc. Viscoelastic composition, methods of use and packaging device with anti-oxidant
US7569073B2 (en) * 2004-12-29 2009-08-04 Bausch & Lomb Incorporated Small incision intraocular lens with anti-PCO feature
US7771471B2 (en) 2005-05-13 2010-08-10 C & 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Floating opt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70010881A1 (en) * 2005-07-11 2007-01-11 Alcon, Inc. Intraocular lens system
US20080294254A1 (en) * 2005-12-06 2008-11-27 Cumming J Stuart Intraocular lens
US20070129803A1 (en) * 2005-12-06 2007-06-07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
US7985253B2 (en) * 2005-12-07 2011-07-26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Hydrol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70129800A1 (en) * 2005-12-07 2007-06-07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Hydrol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7981155B2 (en) * 2005-12-07 2011-07-19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Hydrol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7837730B2 (en) * 2006-02-21 2010-11-23 C & C International Limited Floating opt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7763070B2 (en) * 2006-07-25 2010-07-27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W”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8163015B2 (en) 2006-07-25 2012-04-24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W”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027539A1 (en) * 2006-07-25 2008-01-31 Cumming J Stuart "W"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027538A1 (en) * 2006-07-27 2008-01-31 Cumming J Stuart Polyspheri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027540A1 (en) * 2006-07-31 2008-01-31 Cumming J Stuart Stabilized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046077A1 (en) * 2006-08-15 2008-02-21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Multiocular Intraocular Lens Systems
US20080077238A1 (en) * 2006-09-21 2008-03-27 Advanced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es for managing glare, adhesion, and cell migration
US8568478B2 (en) 2006-09-21 2013-10-29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es for managing glare, adhesion, and cell migration
US20090005866A1 (en) * 2007-03-13 2009-01-01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First elastic hing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281415A1 (en) * 2007-03-13 2008-11-13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Second elastic hing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80288066A1 (en) * 2007-05-16 2008-11-20 C&C Vision International Limited Toric sulcus lens
FR2922096B1 (fr) 2007-10-16 2010-01-08 Ioltechnologie Production Lentille intraoculaire pour sac capsulaire
WO2010007646A1 (ja) 2008-07-15 2010-01-21 株式会社メニコン 眼内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685087B2 (en) 2008-12-11 2014-04-01 Bausch & Lomb Incorporated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king an intraocular lens
US8647384B2 (en) * 2009-11-17 2014-02-11 Kenneth L. Lu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8357196B2 (en) * 2009-11-18 2013-01-22 Abbott Medical Optics Inc. Mark for intraocular lenses
CN102283720A (zh) * 2011-08-01 2011-12-21 姚晓明 一种人工角膜
ES2836789T3 (es) * 2012-04-20 2021-06-28 Hanita Lenses R C A Ltd Ensamble intraocular
JP6257070B2 (ja) 2013-09-05 2018-01-10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
CN109303625B (zh) * 2017-07-28 2022-07-26 东莞东阳光医疗智能器件研发有限公司 具有防止后囊膜混浊和眩光的人工晶体及其制备方法
KR102610288B1 (ko) 2017-11-22 2023-12-05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안과 점탄성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3762A1 (de) * 1999-08-23 2001-03-01 Wilkhahn Wilkening + Hahne Gmbh + Co. Tisch mit verschwenkbarer tischplatte
WO2001037762A1 (en) * 1999-11-24 2001-05-31 Allergan Sales, Inc. Iol for inhibiting cell growth and reducing glar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340A (en) * 1981-02-18 1984-11-06 Shepard Dennis D Intraocular lens with resilient support means
CA1235252A (en) * 1981-10-29 1988-04-19 Dennis T. Grendahl Posterior chamber lens
US4536895A (en) * 1983-02-16 1985-08-27 Ioptex Inc. Vaulted intraocular lens
US4591358A (en) * 1983-03-31 1986-05-27 Kelman Charles D Intraocular lens
DE3439551A1 (de) * 1984-10-29 1986-04-30 Inprohold Establishment, Vaduz Einstueckige implantationslinse
US4738680A (en) 1986-07-03 1988-04-19 Herman Wesley K Laser edge lens
US4681586A (en) * 1986-08-22 1987-07-21 Woods Randall L Intraocular lens having unitary integral haptic means
US5002569A (en) 1987-04-28 1991-03-26 Lindstrom Richard L Intraocular lens
JP2540879Y2 (ja) 1990-11-30 1997-07-09 株式会社メニコン 眼内レンズ
US5755786A (en) 1992-09-28 1998-05-26 Iolab Corporation Ophthalmic lens with reduced edge glare
ES2131097T3 (es) 1992-09-28 1999-07-16 Iolab Corp Lente oftalmica con reduccion de reflejos en los bordes.
US5445637A (en) 1993-12-06 1995-08-29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US5445636A (en) 1993-12-06 1995-08-29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US5620013A (en) 1994-10-21 1997-04-15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for destroying residual lens epithelial cells
US5549670A (en) * 1995-05-09 1996-08-27 Allergan, Inc. IOL for reducing secondary opacification
US5693094A (en) 1995-05-09 1997-12-02 Allergan IOL for reducing secondary opacification
US6015435A (en) * 1996-10-24 2000-01-18 International Vision, Inc. Self-centering phakic intraocular lens
CN1252001A (zh) 1997-02-13 2000-05-03 博士伦外科公司 破坏视网膜色素上皮细胞的方法
US6096077A (en) * 1997-08-20 2000-08-01 Thinoptx, Inc. Deformable intraocular corrective lens
EP0958796B1 (de) * 1998-05-11 2003-10-15 Tobias Dr. Neuhann Intraokularlinse
US6884262B2 (en) * 1998-05-29 2005-04-26 Advanced Medical Optics, Inc. Enhanced intraocular lens for reducing glare
US6162249A (en) * 1998-05-29 2000-12-19 Allergan IOI for inhibiting cell growth and reducing glare
US6468306B1 (en) * 1998-05-29 2002-10-22 Advanced Medical Optics, Inc IOL for inhibiting cell growth and reducing glare
US6106554A (en) 1999-02-25 2000-08-22 Bausch & Lomb Surgical, Inc. Intraocular lens implants for the prevention of secondary cataracts
ATE331490T1 (de) 1999-04-30 2006-07-15 Advanced Medical Optics Inc Bewegbare intraokularlinse
FR2795944B1 (fr) 1999-07-08 2001-11-02 Corneal Ind Implant intraoculaire
CN1209965C (zh) * 1999-11-25 2005-07-13 Dct私人有限公司 用作浸渍织物和网织品的组合物
US6827738B2 (en) * 2001-01-30 2004-12-07 Timothy R. Willis Refractive intraocular implant lens and method
US6558419B1 (en) * 2001-11-08 2003-05-06 Bausch & Lomb Incorporated Intraocular lens
US20030120342A1 (en) * 2001-12-21 2003-06-26 Green George F. Intraocular lens
US20050107874A1 (en) * 2002-03-18 2005-05-19 Ehud Assia Sharp angle intraocular lens optic
US20040002757A1 (en) * 2002-06-27 2004-01-01 Bausch & Lomb Incorporated Intraocular lens
GB0217606D0 (en) * 2002-07-30 2002-09-11 Rayner Intraocular Lenses Ltd Intraocular lens
US20040059414A1 (en) * 2002-09-25 2004-03-25 Green George F. Intraocular lens
AU2004296880B2 (en) 2003-12-09 2011-02-24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Foldabl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king
US7615073B2 (en) 2003-12-09 2009-11-10 Advanced Medical Optics, Inc. Foldable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k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3762A1 (de) * 1999-08-23 2001-03-01 Wilkhahn Wilkening + Hahne Gmbh + Co. Tisch mit verschwenkbarer tischplatte
WO2001037762A1 (en) * 1999-11-24 2001-05-31 Allergan Sales, Inc. Iol for inhibiting cell growth and reducing gl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37219A1 (es) 2004-10-27
JP4198059B2 (ja) 2008-12-17
ES2275930T3 (es) 2007-06-16
WO2003039409B1 (en) 2003-09-04
KR20050056920A (ko) 2005-06-16
CA2466092A1 (en) 2003-05-15
JP2005507742A (ja) 2005-03-24
US6558419B1 (en) 2003-05-06
CN1582138A (zh) 2005-02-16
US20030171807A1 (en) 2003-09-11
HK1068244A1 (en) 2005-04-29
DE60216493D1 (de) 2007-01-11
EP1441670A1 (en) 2004-08-04
WO2003039409A1 (en) 2003-05-15
CA2466092C (en) 2007-01-16
US7862611B2 (en) 2011-01-04
AU2002349936B2 (en) 2006-11-09
CN1310625C (zh) 2007-04-18
EP1441670B1 (en) 2006-11-29
DE60216493T2 (de)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833B1 (ko) 안구내 렌즈
KR101276938B1 (ko) Pco 방지 특징을 가진 소절개 안구내 렌즈
US20040002757A1 (en) Intraocular lens
AU2002349936A1 (en) Intraocular lens
US4846833A (en) Sealed fresnel intraocular lens
US20040059414A1 (en) Intraocular lens
US20030120342A1 (en) Intraocular lens
US20070027539A1 (en) Intaocular lens for inhibiting pco and aco
US20040188872A1 (en) Method for fabricating intraocular lens with peripheral sharp edge
KR20060092228A (ko) 수정체 후낭 혼탁(pco) 및 수정체 전낭 혼탁(aco)을방지하는 내안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