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366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366B1
KR100879366B1 KR1020070051304A KR20070051304A KR100879366B1 KR 100879366 B1 KR100879366 B1 KR 100879366B1 KR 1020070051304 A KR1020070051304 A KR 1020070051304A KR 20070051304 A KR20070051304 A KR 20070051304A KR 100879366 B1 KR100879366 B1 KR 100879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transmitting
image source
image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475A (ko
Inventor
김현주
김대일
Original Assignee
김현주
김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주, 김대일 filed Critical 김현주
Priority to KR1020070051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366B1/ko
Priority to US12/127,674 priority patent/US20080297894A1/en
Priority to EP08450084A priority patent/EP2051116A2/en
Publication of KR2008010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G02B6/0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 G02B6/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with fibre bundle in form of pl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을 형성하는 판상의 화상소스(image source unit)와; 각각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광전달부재를 가지는 화상확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광전달부재는 길이방향이 상기 화상소스의 판면과 나란하며 높이방향이 상기 화상소스의 판면과 교차하는 판상 형태이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광유도채널을 형성하는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음매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문제가 감소된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서브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광전달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화상확대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화상확대부의 입사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화상확대부의 출사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빛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광전달부재의 정면도이 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광전달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광전달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광전달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4은 도 13의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광전달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광전달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광유도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D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 : 표시장치 2 : 서브 표시장치
100 : 화상소스 110 : 커버
120 : 광원 200 : 화상확대부
210 : 광전달부재 214 : 절취부
215 : 광유도채널 220, 230 : 스페이서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서브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대형화면을 형성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연장, 전시장, 옥외 광고판 등의 공공장소에 대화면을 가진 표시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화면 표시장치로는 투사형 디스플레이(Project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액정표시장치 및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집합시켜 대화면을 구성하는 엘이디(LED) 전광판이 있다.
이 중 투사형 디스플레이는 선명한 화질을 얻을 수 없으며 시야각이 불량한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서브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대화면을 구성할 경우 이음매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문제가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액정표시장치는 최근 100인치 이상의 제품이 출시되 고 있다. 그러나 더 큰 크기의 제품의 경우 양자 모두 경제성에 의문이 있고, 운반도 용이하지 않아 더 이상의 화면 크기 증대는 쉽지 않다.
엘이디 전광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소자들을 수지재로 몰딩(molding)하거나 지지체 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모듈(module)의 형태로 만들고, 그것을 타일과 같이 여러 장 붙이는 형태이다. 엘이디 전광판은 대화면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가격이 비싸고, 소비전력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별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하나의 셀(cell)이나 화소(pixel)로 이용함으로 인해 고해상도 구현이 제약이 있다.
엘이디 전광판에 있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중 크기가 작은 표면실장 디바이스(SMD, Surface Mount Devices)형을 사용한다고 하여도 화소 피치(pixel pitch)를 4mm이하로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상과 같이 100인치를 넘는 대형 표시장치를 단일판으로 제조하는 것은 쉽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서브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제조된 대형 표시장치는 이음매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음매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문제가 감소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판상의 화상소스(image source unit)와; 각각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방향을 가로지르 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광전달부재를 가지는 화상확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광전달부재는 길이방향이 상기 화상소스의 판면과 나란하며 높이방향이 상기 화상소스의 판면과 교차하는 판상 형태이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광유도채널을 형성하는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각 광전달부재의 길이는 상기 화상소스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광전달부재는 상기 화상소스와 마주하는 제1부분와 상기 입광부에 대향하는 제2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2부분의 단면적은 상기 제1부분의 단면적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한 상기 제1부분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접한 상기 제2부분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광전달부재의 길이방향의 단부는 굴곡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광전달부재에서 상기 광유도채널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1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광전달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유도채널 내에 위치하는 보조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절취부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유도채널은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단면적은 상기 화상 소스에서 멀어질수록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전달부재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 수지 및 유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취부와 접하는 상기 광유도채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유도채널 내의 빛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코팅층은 상기 광전달부재보다 굴절율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코팅층은 알루미늄, 크롬, 니켈 및 불화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코팅층은 불화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코팅층을 덮고 있으며 검은색인 제2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한 상기 광전달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는 검은 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상기 제1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서와; 인접한 상기 제2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제1스페이서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한 상기 제1부분은 직접 마주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상기 제2부분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한 쌍의 상기 광전달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소스는 액정표시패널, 플라즈마표시패널,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소스의 후방에 위치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의 빛이 상기 화상소스를 향하도록 상기 화상소스를 둘러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소스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은 상기 화상확대부의 중앙부보다 가장자리에 더 높은 휘도의 빛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은 상기 화상확대부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더 밀집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의 내면은 경면이며, 상기 커버의 내면에 도포되어 있으며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확산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소스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각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광유도채널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참조번호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였다.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에서 대표적으로 설명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표시장치(1)는 동일한 32개의 서브 표시장치(2)를 포함한다. 서브표시장치(2)는 4*8의 행렬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 서브 표시장치(2)는 전면의 출광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표시장치(1)는 대형의 화면을 가지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브 표시장치(2)의 개수와 배치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서브 표시장치(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보면 서브 표시장치(2)는 화상소스(100)와 화상확대부(20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서 화상소스(100)는 판상으로서 플라즈마 표시패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또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와 같은 자발광형 표시소자이다.
도 3을 보면 화상확대부(200)는 복수의 광전달부재(210)와 스페이서(220, 230)을 포함한다.
각 광전달부재(210)는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판형상이며, 제2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방향은 화상소스(100)의 마주하는 한쌍의 변과 평행하고, 제2방향은 화상소스(100)의 마주하는 다른 한쌍의 변과 평행하다. 화상소스(10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므로, 제1방향과 제2방향은 대략 직교한다.
제1실시예에서 광전달부재(210)의 두께(t1)는 일정하다.
광전달부재(210)는 높이방향이 화상소스(100)의 판면과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 자세하게는 화상소스(100)의 중심에 위치한 광전달부재(210) 는 화상소스(100)의 판면과 직각을 이루며, 화상소스(100)의 중심에서 벗어날수록 바깥방향으로 조금씩 눕는다(도 6참조). 광전달부재(210)의 눕는 정도가 달라지는 것은 광전달부재(210)를 이용하여 화상소스(100)보다 큰 화면을 구성하기 위함이다.
도 4를 보면 광전달부재(210)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입사면에 해당하는 제1부분(211)의 길이(d1)가 출사면에 해당하는 제2부분(212)의 길이(d2)보다 짧다. 이는 광전달부재(210)를 이용하여 화상소스(100)보다 큰 화면을 구성하기 위함이다.
도 5를 보면 광전달부재(210)는 제1부분(211), 제2부분(212), 제3부분 (213) 및 절취부(214)를 포함한다.
제1부분(211)은 화상소스(100)와 마주하며, 이웃한 제1부분(211)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2부분(212)은 제1부분(211)과 대향하는 부분으로 역시 이웃한 제2부분(212)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3부분(213)은 제1부분(211)과 제2부분(212)을 서로 연결한다. 이웃한 제3부분(213)은 절취부(214)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제1부분(211)의 폭(d3)은 대체로 일정하며 제2부분(212)의 폭(d4)도 대체로 일정하다. 제2부분(212)의 폭(d4)이 제1부분(211)의 폭(d3)보다 다소 크게 마련된다.
제3부분(213)은 빛의 전달이 대부분 일어나는 곳이다. 제3부분(213)은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내부로 유입된 광이 바깥쪽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표면의 조도(roughness)가 아주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웃한 제3부분(213)은 절취 부(214)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서로 연결된 제1부분(211), 제2부분(212) 및 제3부분(213)이 광유도채널(215)을 형성한다. 이웃한 광유도채널(215)은 실질적으로 광학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광유도채널(215)은 광전달부재(21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바깥방향으로 조금씩 눕는다.
절취부(214)는 광전달부재(2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형성간격은 대체로 일정하며 그 폭(d5)도 일정하다. 절취부(214)는 광전달부재(210)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광전달부재(210)는 투명한 고분자 또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분자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스페이서(220, 230)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페이서(220, 230)은 제1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스페이서(220, 230)는 광전달부재(210)를 고정시키며, 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220, 230)와 광전달부재(210) 사이에는 접착층이 위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220, 230)은 검은색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스페이서(220, 230)는 이웃한 제1부분(211)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 서(220)와 이웃한 제2부분(212)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페이서(230)를 포함한다.
도 6을 보면 제1스페이서(220)의 두께(t2)는 제2스페이서(230)의 두께(t3)보다 작게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부분(212)간의 간격이 제1부분(211)간의 간격보다 크게 되어 광전달부재(210)는 바깥쪽을 향하게 눕게 된다. 또한 화상소스(10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광전달부재(210)의 눕는 정도는 커진다.
이상 설명한 화상확대부(200)에 의한 광 전달 및 화상확대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보면 화상확대부(200)의 입사면은 복수의 입사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입사단위는 사각형 형상이며, 각 입사단위의 형태 및 크기는 동일하다. 각 입사단위는 제1부분(211)에 대응한다. 입사단위는 제1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입사단위 열 사이에는 제1스페이서(220)가 위치한다.
도 8을 보면 화상확대부(200)의 출사면은 복수의 출사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출사단위는 대략 사각형 형상이며, 각 출사단위의 형태 및 크기는 동일하다. 각 출사단위는 제2부분(212)에 대응한다. 출사단위는 제1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출사단위 열 사이에는 제2스페이서(230)가 위치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스페이서(230)의 두께(t3)는 제1스페이서(220)의 두께(t2)보다 두껍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2방향으로의 입사단위 간의 간격보다 제2방향으로의 출사단위 간의 간격이 커서 화면이 확대된다.
제2방향을 따른 출사단위와 입사단위의 길이(t1)는 동일한데, 이는 각 광전 달부재(210)의 두께(t1)가 일정하기 때문이다. 반면 제1방향을 따른 길이는 출사단위의 길이(d4)가 입사단위의 길이(d3)보다 큰데 이는 각 광전달부재(210)가 출사단위 쪽이 입사단위보다 더 긴 사다리꼴 형상이기 때문이다.
화상소스(100)는 복수의 화소를 가지고 있으며, 복수의 화소는 행렬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소가 하나의 입사단위에 대응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복수의 입사단위가 대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화소, 예를 들어 4*4의 화소가 하나의 입사단위에 대응할 수 있다. 단, 입사단위에 대응하지 않는 화소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서브 표시장치(2)는 해당하는 화상소스(100)에 비해 해상도가 떨어진다.
도 9를 보면 화상소스(100)의 한 화소에서 나온 빛은 제1부분(211), 제3부분(213) 및 제2부분(212)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외부로 출사된다.
이웃한 제1부분(211) 사이에 빛이 혼합될 수 있으나 제1부분(211)의 길이는 비교적 짧기 때문에 빛 혼합은 최소화 될 수 있다. 비교적 긴 제3부분(213)은 절취부(214)로 둘러싸여 있다. 즉 제3부분(213)은 공기로 둘러싸여 있어, 광섬유과 같이 작용한다. 즉 빛은 제3부분(213)에서 내부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를 반복하면서 제2부분(212)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웃한 제2부분(212) 사이에 빛이 혼합될 수 있으나 제2부분(212)의 길이는 비교적 짧기 때문에 빛 혼합은 최소화 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 광전달부재를 마련한다. 모 광전달부재는 광전달부재(210)와 전체 형상은 동일하며 다만 절취부(214)가 형성되지 않아 광유도채널(215)이 정의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후 레이저를 이용해 모 광전달부재에 절취부(214)를 형성하여 광전달부재(210)를 마련한다. 절취부(214)의 폭(d5, 도 5참조)은 0.1mm정도일 수 있다.
이후 스페이서(220, 230)를 이용해 광전달부재(210)를 결합하여 화상확대부(200)을 완성한다.
완성된 화상확대부(200)를 화상소스(100)에 정렬배치하고 고정시켜 서브 표시장치(2)를 마련한다. 마련된 서브 표시장치(2)를 출사면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하여 고정하면 표시장치(1)가 마련된다. 마련된 표시장치(1)는 이음매가 없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전달부재(210)는 인젝션 몰딩(injection molding)이나 스탬핑(stamping)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3부분(213)은 사각기둥이 아닌 원기둥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 광전달부재(210)와 스페이서(220, 23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스페이서(22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웃한 제 1부분(211)은 서로 직접 마주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전달부재(210)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높이 방향을 따라 증가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제1스페이서(220)와 제2스페이서(230)은 동일한 두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출사단위는 입사단위에 비해 가로와 세로가 모두 더 크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절취부(214)의 폭이 광전달부재(2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증가할 수 있다.
광전달부재(210)에 마련되는 광유도채널(215)은 제1방향을 따라 2열이상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3부분(213)의 표면에는 코팅층(240)이 형성되어 있다.
코팅층(240)은 빛이 제1부분(211)에서 제2부분(212)로 가는 도중에 광유도채널(215)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코팅층(240)으로 광전달부재(210) 보다 굴절율(refractive index)이 낮은 물질을 사용하여 내부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를 유도할 수 있다. 광전달부재(210)로 굴절율이 1.492인 PMMA를 사용할 경우, 코팅층(240)은 굴절율이 1.417인 불소 수지(Fluorinated Polymer)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코팅층(240)으로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층(240)이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면 내부전반사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금속물질로는 알루미늄, 크롬 또는 니켈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코팅층(240)을 불소 수지로 형성하고, 코팅층 상에 검은색 또는 회색으로 이루어진 추가의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코팅층은 광유도채널(215) 간의 빛 혼합을 더욱 억제하여, 표시장치(1)의 대비비(contrast ratio)를 증가시킬 수 있다. 추가의 코팅층은 검은 색 페인트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화상소스(100)와 마주하는 제1부분(211)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이웃한 광유도채널(215)간의 광학적 분리가 강화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빛이 외부로 출사되는 제2부분(212)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이웃한 광유도채널(215)간의 광학적 분리가 강화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광전달부재(210)의 양 측면은 곡선 형태로 되어 있다. 즉 반지름 R1과 R2인 곡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광전달부재(210)의 양 측 말단에 위치한 광유도채널(215)에서는 화상소스(100)의 빛이 제3부분(213)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입사되어 내부전반사에 불리하다.
빛이 굴절율이 서로 다른 두 물질의 경계면에 입사될 때 입사각이 임계각 보다 크면 내부 전반사가 일어난다. 그런데 빛의 방향이 급격히 바뀌는 광전달부재(410)의 양 단에서는 입사각이 작아져 내부 전반사에 불리하다.
제5실시예와 같이 양 측 말단을 곡선형태로 만들면 입사각이 커져서 내부전반사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도 15를 참조하여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광전달부재(210)의 양 측면은 곡선 형태로 되어 있다. 각 광유도채널(215)에는 보조절취부(214a)가 마련되어 있다. 보조 절취부(214a)는 제1부분(211)과 제2부분(212)에 인접하게, 즉 곡선부에 마련되어 있다.
보조 절취부(214a)는 곡선부에서 광유도 채널(215)을 분할하여 그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내부전반사가 강화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절취부(214)는 제1부분(211) 사이를 구별하는 제1절취부(2141), 제2부분(212) 사이를 구별하는 제2절취부(2142) 및 제1절취부(2141)와 제2절취부(2142)를 연결하는 제3절취부(2143)를 포함한다.
제3절취부(2143)는 제1절취부(2141) 및 제2절취부(2142)에 비해 폭이 크게 마련된다. 제1절취부(2141)와 제2절취부(2142)는 제1부분(211)과 제2부분(212)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3절취부(2143)은 제3부분(213)의 단면이 원형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제7실시예에 따른 광전달부재(210)는 인젝션 몰딩(injection molding)이나 스탬핑(stamping)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실시예에 따른 화상소스(100)는 액정표시패널이다. 액정표시패널은 비발광소자이므로, 화상소스(100)의 후방에는 광원(120)이 위치한다. 도면에서 광원(120)으로 발광다이오드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원(120)으로는 냉음극형광램프, 외부전극형광램프, 면광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120)은 화상확대부(200)의 중앙보다 가장자리에서 더 밀집되어 마련되어 있다 즉 화상확대부(200)의 중앙에서의 광원(120)간의 거리(d6)는 화상확대부(200) 가장자리에서의 광원(120) 간의 거리(d7)보다 큰 것이다. 비록 도 18은 제1방향으로 광원(120) 배치만 나타내었지만, 제2방향으로도 광원(120)은 화상확대부(200)의 가장자리에서 보다 더 밀집되어 마련되어 있다.
화상확대부(20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광유도채널(215)은 길이가 비교적 길고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빛 중 일부가 광유도채널(215) 외부로 새어나갈 수 있다. 외부로 새어나간 빛은 해당하는 출사면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광원(120)을 도 18과 같이 화상확대부(200)의 가장자리에서 밀집되게 마련하면 이 부분의 휘도가 증가하여, 화상확대부(200)의 출사면이 균일한 휘도를 가지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120)은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화상확대부(20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광원(120)의 더 높은 휘도의 빛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130)는 광원(120)을 감싸면서, 입사되는 광원(120)에서의 빛을 반사 및 확산시켜 화상소스(100)로 공급한다.
커버(130)의 내면은 경면(mirror surfac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사되는 빛을 정반사시킨다. 커버(130) 내면에는 확산코팅층(140)이 형성되어 있다. 확산코팅층(140)은 실리카나 티타늄 옥사이드(TiO2)와 같은 ㎛단위의 흰색 분말을 포함한다.
커버(130)로 입사되는 빛 중 일부는 확산코팅층(140)의 백색 분말과 직접 부딪치면서 완전확산된다. 커버(130)로 입사되는 빛 중 나머지는 커버(130)의 내면에 직접 부딪쳐 반사되고 리사이클링된다. 따라서 손실되는 빛을 최소화하면서 광원(120)에 확산된 빛을 공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130)의 내면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의 표면을 샌드블라스팅(sandblasting)하거나 식각(etching)하여 거칠기가 높은 면을 만들어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130)의 내면은 수 ㎛이상의 비교적 굵은 은 입자나 크롬 입자가 함유된 금속제 페인트로 도포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설명한다.
표시장치(1)는 사용자를 향해 U자 형태로 굽어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각 서브 표시장치(2)에서 화상확대부(200)는 가운데가 낮고 양단이 높은 형태를 가진다.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설명한다.
표시장치(1)는 사용자의 반대방향을 향해 U자 형태로 굽어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각 서브 표시장치(2)에서 화상확대부(200)는 가운데가 높고 양단이 낮은 형태를 가진다.
비록 본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음매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문제가 감소된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5)

  1. 표시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판상의 화상소스(image source unit)와;
    각각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광전달부재를 가지는 화상확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광전달부재는 길이방향이 상기 화상소스의 판면과 나란하며 높이방향이 상기 화상소스의 판면과 교차하는 판상 형태이며, 높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광유도채널을 형성하는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광전달부재의 길이는 상기 화상소스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전달부재는,
    상기 화상소스와 마주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대향하는 제2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2부분의 단면적은 상기 제1부분의 단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제1부분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접한 상기 제2부분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광전달부재의 길이방향의 단부는 굴곡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광전달부재에서 상기 광유도채널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1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광전달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유도채널 내에 위치하는 보조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절취부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채널은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단면적은 상기 화상 소스에서 멀어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재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 수지 및 유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와 접하는 상기 광유도채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광유도채널 내의 빛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층은 상기 광전달부재보다 굴절율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층은 알루미늄, 크롬, 니켈 및 불화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층은 불화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코팅층을 덮고 있으며 검은색인 제2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광전달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검은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1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제2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2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제1스페이서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제1부분은 직접 마주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제2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한 쌍의 상기 광전달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소스는 액정표시패널, 플라즈마표시패널,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소스의 후방에 위치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의 빛이 상기 화상소스를 향하도록 상기 화상소스를 둘러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상소스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화상확대부의 중앙부보다 가장자리에 더 높은 휘도의 빛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화상확대부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더 밀집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면은 경면이며,
    상기 커버의 내면에 도포되어 있으며 미세분말을 포함하는 확산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소스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각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광유도채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70051304A 2007-05-28 2007-05-28 표시장치 KR100879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304A KR100879366B1 (ko) 2007-05-28 2007-05-28 표시장치
US12/127,674 US20080297894A1 (en) 2007-05-28 2008-05-27 Display device
EP08450084A EP2051116A2 (en) 2007-05-28 2008-05-28 Large are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sub display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304A KR100879366B1 (ko) 2007-05-28 2007-05-28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475A KR20080104475A (ko) 2008-12-03
KR100879366B1 true KR100879366B1 (ko) 2009-01-19

Family

ID=4008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304A KR100879366B1 (ko) 2007-05-28 2007-05-2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297894A1 (ko)
EP (1) EP2051116A2 (ko)
KR (1) KR100879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578B1 (ko) * 2008-12-23 2014-03-18 주식회사 오리온 멀티 디스플레이
DE102009011948A1 (de) * 2009-03-10 2010-09-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Anzeig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Anzeigevorrichtung
CN102087814B (zh) * 2010-11-30 2016-04-27 曹嘉灿 一种无边框显示装置及大屏幕显示器
DE102014117775A1 (de) * 2014-12-03 2016-06-09 Osram Oled Gmbh Organisches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mit einer lichtbeeinflussenden Schichtenstruk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lichtbeeinflussenden Schichtenstruktur
CN104517547B (zh) * 2014-12-26 2017-12-26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04900166A (zh) * 2015-05-05 2015-09-09 吕东波 一种无边框显示罩
CN105448196B (zh) * 2015-12-21 2018-08-17 曹嘉灿 一种消隐边框显示装置及显示器
CN108603651B (zh) * 2016-02-09 2020-06-23 纳诺科普有限公司 带有多个光路的光导
US10527854B1 (en) * 2018-06-18 2020-01-07 Facebook Technologies, Llc Illumination source for a waveguide display
US11087701B1 (en) * 2018-10-26 2021-08-10 Facebook Technologies, Llc Head mounted display with angle compensation
US10838214B2 (en) 2018-12-14 2020-11-17 Facebook Technologies, Llc Angle compensating lens and display
US10783819B1 (en) 2019-01-22 2020-09-22 Facebook Technologies, Llc Digital color dispersion corr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983A (ja) * 1989-08-04 1991-03-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画像表示装置
KR20010073935A (ko) * 2000-01-22 2001-08-03 노봉규 화상이 연속적인 대화면 액정표시소자
KR20010075221A (ko) * 1998-09-21 2001-08-09 스크린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평면-패널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광학 장치
KR20060109672A (ko) * 2005-04-18 2006-10-23 임주상 디스플레이확대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9447A (en) * 1979-06-27 1981-11-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Liquid crystal fiber optics large screen display panel
JPS60203915A (ja) * 1984-03-28 1985-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大型液晶デイスプレイ
US4811179A (en) * 1986-04-28 1989-03-07 Koito Manufacturing Co., Ltd. Display device
US6400876B1 (en) * 1998-08-31 2002-06-04 Brookhaven Science Associates Ultrathin optical panel and a method of making an ultrathin optical panel
KR100318744B1 (ko) * 2000-02-21 2001-12-28 윤종용 광파이버를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어의 후방 조명장치
EP1461645A4 (en) * 2001-12-14 2006-09-06 Digital Optics Internat Corp UNIFORM LIGHTING SYSTEM
EP1472664A1 (en) * 2002-02-06 2004-11-03 Screen Technology Limited Display with optical fibre face plate
US6802618B2 (en) * 2002-02-20 2004-10-12 Kerry E. Wilkinson Optical screen apparatus having alternate opaque and clear layers and method of making such apparatus
GB0210659D0 (en) * 2002-05-09 2002-06-19 Screen Technology Ltd Display
US7197218B2 (en) * 2004-03-31 2007-03-27 Eastman Kodak Company Light pipe with molded optical surfaces
US7408727B2 (en) * 2004-09-17 2008-08-05 Nittoh Kogaku K.K. Lens holder and lens unit
US20060274419A1 (en) * 2004-11-30 2006-12-07 Charles Marshall Optical multiplexer and demultiplexer
US7413328B2 (en) * 2004-12-30 2008-08-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motely coupled hybrid HUD backligh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983A (ja) * 1989-08-04 1991-03-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画像表示装置
KR20010075221A (ko) * 1998-09-21 2001-08-09 스크린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평면-패널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광학 장치
KR20010073935A (ko) * 2000-01-22 2001-08-03 노봉규 화상이 연속적인 대화면 액정표시소자
KR20060109672A (ko) * 2005-04-18 2006-10-23 임주상 디스플레이확대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1116A2 (en) 2009-04-22
KR20080104475A (ko) 2008-12-03
US20080297894A1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366B1 (ko) 표시장치
US9618682B2 (en) Optical sheet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7300184B2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2075623B1 (en) Optical shee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978078B1 (ko) 프리즘 시트와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604243B1 (ko) 도광판, 이를 포함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058298B1 (ko) 도광판 및 백라이트부
JP2010067439A (ja) 面発光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100066001A (ko) 표시 장치
US10352530B2 (en) Lens, light emitting apparatus including the lens,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apparatus
US9690034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090060936A (ko) 백라이트부
JP2009164101A (ja) バックライト
JP5604342B2 (ja) 額縁被覆部材
JP4668281B2 (ja) 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107828B1 (ko) 광 편향 소자 및 광원 장치
CN114740652B (zh) 背光模组、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170059764A1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20140072635A (ko) 액정표시장치
JP2020004702A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4815930B2 (ja) 光透過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2043361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100817550B1 (ko) 표시장치
KR2012003940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74975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