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019B1 - 화상 비디오 도어폰 - Google Patents

화상 비디오 도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019B1
KR100879019B1 KR1020070073577A KR20070073577A KR100879019B1 KR 100879019 B1 KR100879019 B1 KR 100879019B1 KR 1020070073577 A KR1020070073577 A KR 1020070073577A KR 20070073577 A KR20070073577 A KR 20070073577A KR 100879019 B1 KR100879019 B1 KR 100879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dule
exposed
video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931A (ko
Inventor
오준수
Original Assignee
오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수 filed Critical 오준수
Publication of KR2008010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1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비디오 도어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비디오 도어폰은 도어의 외부에 고정되며 상하로 구성되어 상부가 하부에서 회전되는 몸체; 상기 상부 몸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 상기 하부 몸체의 일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 내측(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으로 외부 영상이 출력될 수 있게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계되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도어 내측(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하부 몸체의 타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 모듈; 및 상기 하부 몸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쇠 구동모듈과 연계되어 잠금 해제를 위해 설정 번호를 입력하는 입력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의 배면에 가압시 초인종 기능을 하도록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외벽에 설치되어 인터폰 기능과 도어락의 제어가 하나의 장치에서 가능하므로 설치 비용 및 구매 비용이 절감되고 차지 면적이 축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은 도어락의 제어가 무선통신 방법에 의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어폰, 도어(Door), 도어락, 무선 통신망

Description

화상 비디오 도어폰{A PICTURE VIDEO DOOR PHONE}
본 발명은 화상 비디오 도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외벽에 설치되어 인터폰 기능과 도어락의 제어가 하나의 장치에서 가능하므로 설치 비용 및 구매 비용이 절감되고 차지 면적이 축소될 수 있는 있고 제어가 무선통신 방법에 의해 가능한 화상 비디오 도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도어폰은 집의 내/외부, 또는 건물의 내/외부를 포함한 중간 매개물이 존재하는 모든 곳에 적용하며 도어의 내측(또는 댁내)에서 외부에 대해 음성 통화와 시각적으로 도어 외부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고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비디오 도어폰은 그 기능이 한정되므로 디지털 도어락이 필요할 경우 별도의 모듈을 구매하고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 및 구매 비용이 증가하고 설치 면적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의 외벽에 설치되어 인터폰 기능과 도어락의 제어가 하나의 장치에서 가능하므로 설치 비용 및 구매 비용이 절감되고 차지 면적이 축소될 수 있게 한 화상 비디오 도어폰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외부에 고정되며 상하로 구성되어 상부가 하부에서 회전되는 몸체; 상기 상부 몸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 상기 하부 몸체의 일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 내측(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으로 외부 영상이 출력될 수 있게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계되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도어 내측(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하부 몸체의 타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 모듈; 및 상기 하부 몸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쇠 구동모듈과 연계되어 잠금 해제를 위해 설정 번호를 입력하는 입력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의 배면에 가압시 초인종 기능을 하도록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비디오 도어폰으로써, 상기 몸체가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되 상부 몸체가 하부 몸체에서 회전되어 상기 입력 모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카메라 모듈로 촬영된 도어 외부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고 상기 마이크 모듈로 상기 도어 외, 내측 간 통화가 가능하며 상기 입력 모듈에 의해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쇠 구동모듈의 제어가 가능한 도어락 기능도 겸비하므로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 몸체의 외측벽 상, 하단에 카메라 모듈과 마이크 모듈이 각각 위치되는 상, 하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돌기에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상부 몸체의 상단에 삽입 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돌기의 하단에 상기 하부 돌기에 결합되도록 걸림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돌기를 기점으로 상기 상부 몸체가 회전되며 상기 걸림 홈을 상기 하부 몸체의 하부 돌기에 위치시켜 외력에 의해 상부 몸체가 쉽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입력 모듈은 외부의 무선(또는 유선) 통신망과 연계되어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휴대 전화나 인터넷 전화 등에 의해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므로 사용 폭이 방대하여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화상 비디오 도어폰은 도어의 외벽에 설치되어 인터폰 기능과 도어락의 제어가 하나의 장치에서 가능하므로 설치 비용 및 구매 비용이 절감되고 차지 면적이 축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 비디오 도어폰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비디오 도어폰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스피커 모듈(116), 카메라 모듈(126), 마이크 모듈(128), 입력 모듈(130), 잠금쇠 구동모듈(140) 및 디스플레이 모듈(150)로 구성된다. 이때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이동형/휴대형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 모듈(116), 카메라 모듈(126), 마이크 모듈(128) 및 입력 모듈(130)은 회로기판(19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로기판(193)은 후술할 너트(191)에 구비되는 보조 몸체(192)에 내장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너트(191)는 상기 보조 몸체(192)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 중 하부 몸체(120)의 배면에 구비되는 볼트(190)를 도어(1)를 거쳐 노출키 킨 후 선체결하고 그 후에 상기 보조 몸체(192)가 이 너트(191)의 외곽에 고정된다.
상기 몸체는 상기 도어(1)의 외벽 상단에 설치되되 상부 몸체(110) 및 하부 몸체(120)로 구성되며,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한 형상을 채택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원형으로 예시한다.
상기 상부 몸체(110)는 가장자리에서 이격된 상단에 후술할 하부 몸체(120)의 상부 돌기(1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응한 삽입 홀(112)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하단에 상기 하부 몸체(120)의 하부 돌기(124)에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 홈(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몸체(110)의 중심부에는 후술할 스피커 모듈(116)이 형성 되며 상기 스피커 모듈(116)의 후방에는 그와 접하면서 출몰하여 가압할 경우에 초인종 기능을 수행하도록 ON/OFF하는 스위치(118)가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 상부 몸체(110)는 상기 하부 몸체(120)의 상부 돌기(122)를 기점으로 360°까지 회전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하부 몸체(120)와 겹치게 위치되면서 후술할 입력 모듈(130)을 사용할 경우 회전시킨다.
상기 스피커 모듈(116)은 상기 상부 몸체(110)의 중심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1)의 인가 전원 또는 자체 내부전원(예: 배터리)에 의해 내측(또는 댁내)의 디스플레이 모듈(15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입력받는 음성을 외부로 출력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면서 초인종 작동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몸체(120)는 상기 상부 몸체(110)의 삽입 홀(1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상부 돌기(122)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돌기(122)와 수직선상 위치인 전면 하단에 상기 걸림 홈(114)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부 돌기(124)가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상부 돌기(122)에는 후술할 카메라 모듈(126)이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부 돌기(124)에는 후술할 마이크 모듈(128)이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126)은 상기 도어(1)의 외부 상황을 내측(또는 댁내)의 디스플레이 모듈(15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촬영하고 도어의 내측(또는 댁내)에 상기 카메라 모듈(126)과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연계되어 구비되는 후술할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 촬영 영상이 출력되게 한다.
상기 마이크 모듈(128)은 인가 전원에 의해 상기 도어(1)의 외부 음성을 내 측(또는 댁내)의 디스플레이 모듈(150)로 출력하여 외부에서 내부와 대화할 수 있도록 매개체 역할을 한다.
상기 입력 모듈(130)은 숫자 키패드로 상기 하부 몸체(120)의 전면에 구비되되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법으로 잠금쇠 구동모듈(140)을 작동시켜 상기 잠금쇠 구동모듈(140)의 구동에 의해 잠금쇠(142)가 이동하여 상기 도어(1)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도록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며 1~0까지 숫자와 *, # 등이 표기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 모듈(130)은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의 입력 모듈과 유사하다.
그리고 상기 입력 모듈(130)은 외부의 휴대 전화(H), 인터넷 전화 등과 같은 무선(또는 유선) 통신망과 연계되어 외부에서 상기 도어(1)의 잠금 또는 해제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잠금쇠 구동모듈(140)은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부에 일체로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500)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500)은 도어(1) 밖의 외부침입자에 의해 드릴, 망치, 송곳 등의 파손장치를 이용하여 손괴(부서뜨림)되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1) 밖에 부착하지 않고 도어(1)의 내측(댁내쪽)벽에 부착되므로 외부에서는 상기의 잠금쇠 구동모듈(140)이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잠금쇠 구동모듈(140)은 잠금쇠 구동회로부(501)를 기본으로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잠금쇠 구동회로부(501)가 하우징(500)과 완전히 절연되며 외부로부터의 고전압 전기충격에 대하여 손상되거나 오작동이 발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연수단(502)을 가지는 상태에서 이 잠금쇠 구동회로부(501)의 무선통신기능부(503)를 가질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하우징(500)에는 그 일단에 수동으로 작동되는 수동개폐손잡이(50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동개폐손잡이(504)의 조작시 화재 등에 의한 회로의 손상/오작동, 배터리의 방전 등의 긴급사고 발생 시에도 손(수동)으로 잠금쇠(142)를 해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쇠(142)를 해정시키는 수동개폐손잡이(504)는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10-0701857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간단하게 요약하면 구동력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기계식으로 이 잠금쇠(142)가 문틀의 홈의 내/외부로 이동하여 도어(1)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상기 도어(1)의 내측/댁내에 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126)과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연계되어 촬영된 외부 상황을 내부 사람이 인식하도록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에는 상기 마이크 모듈(128)과 상기 스피커 모듈(116)과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연계되는 내부 스피커 모듈(도면에 미도시)과 내부 마이크 모듈(도면에 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즉, 외부인이 상기 마이크 모듈(128)로 음성을 입력하면 상기 내부 스피커 모듈을 통해 내부인이 인식하게 되고 내부인이 내부 마이크 모듈로 음성을 입력하면 상기 스피커 모듈(116)을 통해 외부인이 인식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를 통해 각 종 콘텐츠(Contents)를 즐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상 비디오 도어폰(100)은 기존의 도어(1)에 형성되는 렌즈구멍에서 렌즈를 탈착한 후 장착하여 별도의 가공이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렌즈 구멍에 상응한 볼트(190)가 상기 하부 몸체(120)의 배면에 연장하여 상기 도어(1)의 내벽 안으로 또는 내벽을 관통하여 각종(신호선, 전원선 등) 케이블 등이 도어(1)의 내측 또는 댁내쪽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안쪽이 중공 형성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190)를 후술할 너트(191)로 체결하여 도어(1)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몸체(120)의 배면에 렌즈 구멍에 상응하여 연장되어 구비된 볼트(190)에 대응하는 너트(191)가 보조 몸체(192)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 몸체(192) 내부에는 전자/전기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193)이 내장되므로, 저가인 스피커 모듈(116), 카메라 모듈(126) 및 마이크 모듈(128) 등에 비해 고(높은) 가격의 전자/전기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193)을 외부의 파손작용(행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회로기판(193)에는 회로기판(193)의 무선통신기능부(194)가 구비될 수 있어서 잠금쇠 구동회로부(501)의 무선통신기능부(503)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여 잠금쇠 구동모듈(140)의 동작에 의해 자금쇠(142)를 시건(개폐)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 즉 이동형/휴대형 단말기(H)와도 잠금쇠 구동회로부(501)의 무선통신기능부(503)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기 때 문에 잠금쇠 구동모듈(140)의 동작에 의해 자금쇠(142)를 시건(개폐)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비디오 도어폰(100)의 작동 과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도어(1)를 개방할 경우 상기 상부 몸체(110)를 상기 하부 몸체(120)의 상부 돌기(122)를 기점으로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 모듈(130)을 통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잠금쇠 구동모듈(140)이 잠금쇠(142)를 이동시켜 상기 도어(1)의 잠금 해제가 된다.
여기서, 외부인이 방문할 경우 상기 스피커 모듈(116)을 가압하여 상기 스위치(118)가 ON 되면 초인종이 울리고 내부인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통해 이 디스플레이 모듈(150)과 연계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126)에서 촬영된 외부 영상을 시청한다.
이때, 내부인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내부 마이크 모듈로 음성을 입력하면 외부인은 상기 상부 몸체(110)의 스피커 모듈(116)을 통해 인식하게 되고 상기 하부 몸체(120)의 마이크 모듈(128)을 통해 음성을 입력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모듈(180)의 내부 스피커 모듈을 통해 음성을 인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비디오 도어폰이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계략도이다.
도 2는 상기 화상 비디오 도어폰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화상 비디오 도어폰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잠금쇠 구동모듈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상기 화상 비디오 도어폰에서 보조 몸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상 비디오 도어폰 110: 상부 몸체
116: 스피커 모듈 118: 스위치
120: 하부 몸체 126: 카메라 모듈
128: 마이크 모듈 130: 입력 모듈
140: 자물쇠 구동모듈 142: 잠금쇠
150: 디스플레이 모듈 190: 볼트
191: 너트 192: 보조 몸체
193: 회로기판 194: 회로기판의 무선통신기능부
500: 하우징 501: 잠금쇠 구동회로부
502: 절연수단 503: 잠금쇠 구동회로부의 무선통신기능부
504: 수동개폐손잡이

Claims (10)

  1. 도어의 외부에 고정되며 상하로 구성되어 상부가 하부에서 회전되는 몸체;
    상기 상부 몸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
    상기 하부 몸체의 일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 내측(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으로 외부 영상이 출력될 수 있게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계되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도어 내측(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하부 몸체의 타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 모듈; 및
    상기 하부 몸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쇠 구동모듈과 연계되어 잠금 해제를 위해 설정 번호를 입력하는 입력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의 배면에 가압시 초인종 기능을 하도록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비디오 도어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한 형상을 채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비디오 도어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외측벽 상, 하단에 카메라 모듈과 마이크 모듈이 각각 위치되는 상, 하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돌기에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상부 몸체의 상단에 삽입 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돌기의 하단에 상기 하부 돌기에 결합되도록 걸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비디오 도어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외부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과 연계되어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비디오 도어폰.
  6. 도어의 외부에 고정되며 상하로 구성되어 상부가 하부에서 회전되는 몸체;
    상기 상부 몸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
    상기 하부 몸체의 일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 내측(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으로 외부 영상이 출력될 수 있게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계되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도어 내측(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하부 몸체의 타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 모듈; 및
    상기 하부 몸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쇠 구동모듈과 연계되어 잠금 해제를 위해 설정 번호를 입력하는 입력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 자체에 상기 마이크 모듈 및 스피커 모듈과 연계되는 내부 마이크 모듈 및 내부 스피커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비디오 도어폰.
  7. 도어의 외부에 고정되며 상하로 구성되어 상부가 하부에서 회전되는 몸체;
    상기 상부 몸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
    상기 하부 몸체의 일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 내측(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으로 외부 영상이 출력될 수 있게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계되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도어 내측(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하부 몸체의 타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 모듈; 및
    상기 하부 몸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쇠 구동모듈과 연계되어 잠금 해제를 위해 설정 번호를 입력하는 입력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후방에는 상기 도어의 안쪽에 고정되어 내부에 회로 기판이 내장되는 보조 몸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비디오 도어폰.
  8. 도어의 외부에 고정되며 상하로 구성되어 상부가 하부에서 회전되는 몸체;
    상기 상부 몸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
    상기 하부 몸체의 일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 내측(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으로 외부 영상이 출력될 수 있게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과 연계되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도어 내측(또는 이동형/휴대형 단말기)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하부 몸체의 타단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에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 모듈; 및
    상기 하부 몸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쇠 구동모듈과 연계되어 잠금 해제를 위해 설정 번호를 입력하는 입력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쇠 구동모듈과 상기 몸체에 내장되는 회로기판에는 상호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기능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비디오 도어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 구동모듈의 무선통신기능부 외부에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하는 절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비디오 도어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 구동모듈에는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수동 개폐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비디오 도어폰.
KR1020070073577A 2007-05-29 2007-07-23 화상 비디오 도어폰 KR100879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1978 2007-05-29
KR1020070051978 2007-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931A KR20080104931A (ko) 2008-12-03
KR100879019B1 true KR100879019B1 (ko) 2009-01-21

Family

ID=4036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577A KR100879019B1 (ko) 2007-05-29 2007-07-23 화상 비디오 도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2382A1 (en) * 2011-01-16 2012-07-19 Pedro Serramalera Door mounted 3d video messaging system
CN110536107B (zh) * 2018-05-25 2021-03-19 珠海市京澳特电子有限公司 基于楼宇对讲系统的设置房号的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792A (ko) * 1999-06-21 1999-09-06 이남용 비디오도어폰과도어록이일체화된장치
KR200318523Y1 (ko) 2003-04-15 2003-07-02 고성범 무선 화상 전송 기능을 내장한 디지털 도어록
KR20050051944A (ko) * 2003-11-28 2005-06-02 배주운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
KR20060013718A (ko) * 2004-08-09 2006-02-14 주식회사 삼전 휴대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작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792A (ko) * 1999-06-21 1999-09-06 이남용 비디오도어폰과도어록이일체화된장치
KR200318523Y1 (ko) 2003-04-15 2003-07-02 고성범 무선 화상 전송 기능을 내장한 디지털 도어록
KR20050051944A (ko) * 2003-11-28 2005-06-02 배주운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
KR20060013718A (ko) * 2004-08-09 2006-02-14 주식회사 삼전 휴대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작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931A (ko)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922B1 (ko) 다기능 디지털 도어
KR101490583B1 (ko)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US20070176775A1 (en) Security door apparatus
WO2007126299A1 (en) Multi digital door
KR100879019B1 (ko) 화상 비디오 도어폰
KR101528526B1 (ko) 출입문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5074857B2 (ja) 電気錠システム
KR200426825Y1 (ko) 다기능 디지털 도어
KR20060053760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도어폰 원격제어 방법 및 장치
US20210067747A1 (en) Smart Visual Lock System
JP4599987B2 (ja) 表札表示装置
CN109191632A (zh) 安防指纹锁
JP2013532243A (ja) 自動で呼び鈴が鳴る電子式ドアロック
JP5066230B2 (ja) 表札表示装置
KR102311910B1 (ko) 보안성이 향상된 도어폰 연동 도어록 시스템
KR102183174B1 (ko)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200257592Y1 (ko) 무선 디지털 도어 자물쇠 개폐 장치
KR19990068792A (ko) 비디오도어폰과도어록이일체화된장치
KR100544599B1 (ko) 비상 해정을 위한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 포트를 구비한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9437B1 (ko) 추가 내부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0561080B1 (ko) 경보 장치가 장착된 도어록
JP5891159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取付ボックス
WO2024068037A1 (en) Alarm system
KR100929354B1 (ko) 전자식 비디오폰 카메라 도어록장치
CN109798026B (zh) 一种具有防撬报警功能的智能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