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158B1 -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 - Google Patents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158B1
KR100878158B1 KR1020080033484A KR20080033484A KR100878158B1 KR 100878158 B1 KR100878158 B1 KR 100878158B1 KR 1020080033484 A KR1020080033484 A KR 1020080033484A KR 20080033484 A KR20080033484 A KR 20080033484A KR 100878158 B1 KR100878158 B1 KR 100878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u
transmission
control unit
reception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기
Original Assignee
(주)고려일렉트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일렉트릭 filed Critical (주)고려일렉트릭
Priority to KR102008003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 H02P7/2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multi-position switch, e.g. drum, controlling motor circuit by means of re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2USB port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원격제어장치가 구비된 배전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원격제어장치가 구비된 배전설비에 의하면, 변전설비의 고장이나 전기차단 필요시 배전반 및 분전반의 고압이 들어오는 메인 스위치를 ON/OFF시켜야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감전을 당하거나 화재가 나는 위험을 제거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을 해소하고, 전원통제실로부터 배전반 및 분전반까지 전선을 포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기공사가 생략되어 공기가 월등하게 단축되는 것은 물론이고 인력의 사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폐수처리장과 같은 위험한 미로를 걸어다니면서 배전반 및 분전반을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안전성이 월등하게 향상되고 RF 송신기 1대로 여러 대의 RF 수신기를 작동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게 되며 중앙통제실과 같은 장소에서 컴퓨터상에서 각 배전반 및 분전반의 전기 흐름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배전설비, 배전반, 분전반, MCC반, 원격제어

Description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A switchgear with radio remote controlling device}
본 발명은 무선 원격 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감시실에서 멀리 떨어진 고압반, 저압반, MCC반을 포함하는 배전반 또는 건물의 분전반까지의 제어선의 전기공사가 필요 없게 되어 전기공사비가 절감되게 되고, 멀리 떨어진 배전반 또는 분전반까지 이동하여 전원을 동작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번거로움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폐수처리장과 같은 좁은 미로를 거쳐서 가야할 경우에는 이러한 이동의 번거로움이 없게 되므로 특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송신기 한 개로 여러 개의 수신기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RF 방식을 이용하여 배전반 및 분전반의 각 장치들을 원격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주회로용(主回路用) 배전반과 제어용(制御用) 배전반이 있다. 사업용 또는 자가용 변전소의 주배전반은 주회로용 배전반이고, 최신형 발전소 등에서 볼 수 있는 조작용(操作用) 배전반은 제어용 배전반이다. 자가용 변 전소의 배전반을 전면에서 보면, 고압 주회로의 차단기(遮斷器)를 개폐하는 조작레버, 저압 주회로의 기중개폐기(氣中開閉器) ·전압계 ·전류계 ·전력계 ·적산전력계 ·와전류계전기(渦電流繼電器) 등이 있다.
배전반의 형식에는 개방형과 폐쇄형이 있는데, 개방형은 반의 뒷면을 보면 전기배선이나 스위치의 단자 등이 노출되어 보이는 것이고, 폐쇄형은 도장(塗裝)한 철판상자 속에 모두 넣어져 있는 것인데, 외부에서 보이는 것은 최소한의 계기(計器)·조작 버튼뿐이다. 개방형의 경우는 유닛(unit)의 치수가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변전소의 규모에 따라서 유닛의 수를 정한다.
배전반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한전으로부터 들어오는 전기의 전압은 22,900V로 매우 높은 전압이 입력되고 있었다. 따라서 변전설비의 고장이나 전기차단 필요시 배전반의 22,900V가 들어오는 메인스위치를 ON/OFF시켜야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감전을 당하거나 화재가 나는 위험을 안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건물의 수 증가 및 대형화에 따라 전력설비가 늘어나고 있으며, 첨단산업화에 따른 정밀제어용 전력기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역별 및 각종 전력기기의 전력공급상태에 대한 감시 및 제어의 필요성도 부각되고 있으나, 종래의 기술
은 간선 및 분기회로의 감시 및 제어가 아닌 수ㆍ배전반의 전력을 감시 및 제어하므로 분전반 및 마그네틱 스위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단위 분전반마다 일시에 대전력(150V - 380V)이 공급되므로 배선의 소손 및 화재위험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배선공사에 따른 공사비의 막대한 지출 및 공간확보, 작업환경의 어려움과 안전 사고 발생위험 및 조작자의 수동조작으로 인한 오동작 발생, 전력의 상태 파악의 어려움으로 인해 유지, 보수가 원활하지 않으며, 특히 심야전력 사용시 사용자가 분기회로를 현장에서 차단기로 제어해야만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반에는 숙직실 혹은 당직실에서 사용자가 개별 분전반의 마그네틱 스위치를 일대일 대응방식으로 압력스위치를 사용자가 동작시킴으로써 개별제어를 하고 있으며, 심야전력 사용 시에는 분전반마다 타이머를 부착하여, 분전반 단위로 대전력(150V-380V)을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분전반은 숙직실의 조작반에서 분전반의 마그네틱 스위치까지 전력선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선 공사시 상당한 전력선을 필요로 하며, 공사에 따른 공사비 부담 및 사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대전력이 공급됨으로 인해 분전반의 마그네틱 스위치 작동시 스파크가 발생되는 등 전기 재해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다.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전력을 공급했을 때 이를 차단할 수 있는 보호회로가 없으며, 사용자로서는 전력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분기회로 및 간선의 정전 시 복구대책이 전무하며, 전문가 또한 전체의 전력 라인을 점검해야 하는 등 유지ㆍ보수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전력선을 수동으로 조작반에서 압력스위치를 조작함으로 배전상태의 파악 및 선택스위치 조작 잘못으로 인한 송전의 위험을 인식 및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배전반에서 분전반의 수 십개의 마그네틱 스위치에 대하여 동시에 송전함으로써 마그네틱 스위치에 열화 및 과부하로 인한 소손 및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내포되고, 일대일 방식에 따른 공사비의 막대한 지출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분전반은 예를 들면 10층 건물의 경우 1층에 분전반이 설치되고 1층 분전반에서 연결되게 2층 분전반이 설치되고 다시 다음 층의 분전반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1층 분전반에 문제가 생기면 건물 전체의 전력의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분전반은 배전반에서 인출된 전력선이 인입된 주개폐기로부터 주 부스바가 종설되고 그 사이 양측의 분기개폐기 사이에는 주 부스바 각각에 순차적으로 연결 접점되는 하향 절곡부를 가지는 분기 부스바가 연결 설치된 구성으로 분기개폐기를 주개폐기의 폭 이상으로 이격 분리시킨 상태에서 서로 절연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거리를 두고 부스바를 설치함으로써 통전되는 부분이 과다하게 노출되어 보수작업시 감전 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소지함과 동시에 부스바의 이격 설치로 인해 분전반의 외형크기가 크며 주개폐기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분전반의 외형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불어 보수작업시 주개폐기를 개폐시켜야만 되기 때문에 그 작업시간이 많이 들게 되는 노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압이나 저압이 흐르는 전압에서 사용되는 전력통제실, 배전반 또는 분전반 상에 RF를 이용하여 배전반 또는 분전반의 각 장치들을 원격으로 동작시켜 한전에서 들어오는 고전압 전류가 흐르는 배전반의 스위치를 원격으로 작동시키거나 분전반의 스위치를 원격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수동으로 동작시킬 때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해소할 수 있는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RF송수신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로서,
상기 RF 수신기는,
RF 수신기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1 CPU;
상기 제1 CPU와 소통하며, 제1 CPU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상기 제1 CPU와 소통하며, 상기제1 CPU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송신이나 수신으로 분류하는 송수신 제어부;
상기 송수신 제어부와 소통하며, 추출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제1 CPU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숫자를 표시하는 FND 출력부;
추출한 데이터를 온/오프로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제1 CPU에 접속되어 수동으로 온/오프를 수행했을 때 수용하는 입력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RF 송신기는,
RF 송신기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2 CPU;
상기 제2 CPU에 접속되며, 상기 제2 CPU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LCD를 구동하는 LCD 구동부;
상기 LCD 구동부에 접속되며, 상기 LCD 구동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정보를 표시하는 LCD;
상기 LCD에 접속되며, 문자, 숫자 등의 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CPU로 정보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
추출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제2 CPU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송신이나 수신으로 분류하는 송수신 제어부(72); 및
상기 제2 CPU와 소통하며, 상기 제2 CPU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배전설비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에 의하면, 변전설비의 고장이나 전기차단 필요시 배전반 및 분전반의 고압이 들어오는 메인스위치를 ON/OFF시켜야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감전을 당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을 해소하고, 전원통제실로부터 배전반 및 분전반까지 전선을 포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기공사가 생략되어 공기가 월등하게 단축되는 것은 물론이고 인력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폐수처리장과 같은 위험한 미로를 걸어다니면서 배전반 및 분전반을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안전성이 월등하게 향상되고 RF 송신기 1대로 여러 대의 RF 수신기를 작동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게 되며 사람이 상주하게 되는 중앙통제실과 같은 장소의 컴퓨터상에서 각 배전반 및 분전반의 전기흐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인력 사용이 저감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원격제어장치가 구비된 분전반의 경우에는 각 층마다 분전반을 무선으로 온/오프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발생한 층의 분전반만을 오프시키고 나머지 층은 안전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된 것이라도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전반의 전력 흐름 계통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LBS(기중 부하 개폐기(Load Break Switches);11)는 22,900V의 특고압용 스위치이며, 한전에서 배전반으로 들어오는 전기를 MOF(Metering Out Switches;12)로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MOF(12)는 계기용 변압 및 변류기로서 한국전력 계량기 검침용으로 사용하며, LBS(11)로부터 들어온 전기를 변압 및 변류하여 VCB(13)에 전달한다.
VCB(Vacuum Circuit Breakers;3)는 진공차단기로서 불꽃방지용 특고압스위치이며, 과전압, 과전류, 저전압, 접지(Ground)시 자동차단하며, MOF(2)에서 변류 및 변압된 전류를 받아서 TR1(14a), TR2(14b), TR3(14c)에 분배하고 차단한다.
TR1(14a), TR2(14b), TR3(14c)는 변압기로서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고, VCB(13)로부터 입력된 전기를 변압하여 ACB1(15a), ACB2(15b), ACB3(15c)로 전달한다.
ACB1(Air Circuit Breakers(기중 차단기);15a), ACB2(15b), ACB3(15c)는 600V 미만의 저압용 스위치이며, 과전압, 과전류, 저전압, 접지시 자동차단되고, TR1(14a), TR2(14b), TR3(14c)로부터 입력된 전기를 ATS(16)로 보내며 저전압을 자동 차단한다.
ATS(Auto Transfer Switches(자동절체개폐기);16)는 정전시 발전전원 및 배터리전원으로 절체를 수행하는 저압용 스위치이며, ACB1(15a), ACB2(15b), ACB3(15c)로부터 전송된 전기가 정전되는 비상시 위의 다른 전원으로 절체를 수행한다.
발전기(17)는 ATS(16)에 의해 자동절체가 되면 발전한다.
배전반의 LBS(1), MOF(2), VCB(3), 및 TR(14a, 14b, 14c)의 1차권선 까지는 22,900V의 전압이 흐르는 고압반으로 분류된다.
배전반의 TR(14a, 14b, 14c)의 2차권선, ACB(15a,15b,15c), ATS(16), 및 발 전기(17)는 380V이하의 전압이 흐르는 저압반으로 분류된다.
도 2는 도 1의 전력 흐름 계통을 회로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LBS(1), MOF(2), VCB(3), TR(14), ACB(15), ATS(16)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있어서, PF(Power Fuse; 4)는 과전압 과전류시 용단되어 기기를 보호하는 부품이다. PT(Potential Transformer; 5)는 고압회로의 전압을 비례해서 낮은 전압으로 변성해주는 장치이다. LA(Lighting Arrestor;6)는 회로에 이상 뇌격전류를 방지하는 장치이다. CT(Current Transformer;8)는 계기용 변류기로서, 고전압 대전류를 작은 전류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7은 보호용 계전기로서 과전류 계전기(Over Current Relay;OCR), 지락 과전류 계전기(Over current ground relay;OCGR), 저전압 계전기(Under Voltage Relay;UVR) 등이 있으며, 회로의 이상 전류, 이상전압을 감지하여 VCB(3)를 보호한다. ACB(15)로부터 분기된 MCC(Motor control Center;8)는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해 만들어진 판넬로서, 빌딩 등의 건물의 지하의 기계실이나 펌프실에 설치되는 전동기류를 한 장소에서 집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서, 내부에는 주로 배선용 차단기(Molded Cased Circuit Breaker;MCCB)와 전자 접촉기(Magnet Contactor;MC), 혹은 전자 과전류 계전기(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모터 보호 계전기(Motor Protection Relay;MPR)를 사용하여 모터를 보호한다. MCC(8)는 다수의 셀(Cell)을 포함한다. 그리고 분전반(10), 및 기타전원(11)이 분기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수신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RF 수신기(30)는 도 1의 배전반 또는 도시치 않은 분전반에 설치될 수 있다. RF 수신기(30)는 수신케이스(31) 전단의 왼쪽 일측부에는 수신안테나(32)가 있으며, 중심에는 예컨대 12선 등의 다수의 출력선(33)이 연결되며 오른편 일측부에는 전원선(34)이 구비되어 있으며, RF 송신기(후술함)로부터 전송된 RF 전파를 받아서 예들 들어, 도 1, 2의 LBS(1) 등의 장치를 동작시킨다. 출력선(33)은 RF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안테나(32)로 수신하여 이 수신기가 장착된 기기의 각부에 신호를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작동신호 송신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다. RF 송신기는 전력통제실 또는 배전반 또는 분전반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다.
RF 송신기(40)는 송신케이스(41) 전단의 왼쪽 일측부에는 송신안테나(42)가 배치되며 이 송신안테나(42)를 통해 송신신호가 송출된다. 송신기(40)의 전면 중앙부에는 다수의 송신선(44)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송신선(44)에는 각기 무접점 릴레이(45)가 각각 대응되게 접속되어 있고, 또한 각 송신선(44)의 단부에 작동 버튼(47a, 47b, 47c, 47d, 47e, 47f)이 결합되어 있다.
이하에 RF 송신기(40)의 작동신호의 송신에 대해 설명한다. 송신기(40)에서 작동버튼(B01)(47a)을 누르면, 이 버튼에 해당하는 릴레이(45a)가 턴 온되어 안테나(42)를 통해 작동신호가 전송된다. 그러면 RF 수신기(30)를 구비한 배전반에서 안테나(34)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어 대응하는 장치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과 2의 LSB(1)가 동작한다. 또한, 송신기(40)에서 작동버튼(B02)(47b)을 누르면, 이 버튼에 해당하는 릴레이(45b)가 턴 온되어 안테나(42)를 통해 신호가 전송된다. 그러면 RF 수신기(30)의 안테나(32)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어 대응하는 장치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과 2의 MOF(1)가 동작한다. 이런 식으로 작동버튼(BO3, BO4, BO5, BO6)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배전반의 각 장치가 동작하게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작동정지신호 송신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5에 있어서, 구성은 도 4의 구성과 같으며, 단지 작동정지 신호의 송신을 위한 구성 즉, 다수의 송신선(51), 릴레이(52) 및 작동정지버튼(53a, 53b, 53c, 53d, 53e, 53f)을 포함할 뿐이다. 다수의 송신선(51)에는 각기 무접점 릴레이(52a, 52b, 52c, 52d, 52e, 53f)가 각각 대응되게 접속되어 있고, 또한 각 송신선(51)의 단부에 작동정지버튼(53a, 53b, 53c, 53d, 53e, 53f)이 결합되어 있다.
이하에 RF 송신기(40)의 작동정지신호의 송신에 대해 설명한다. 송신기(40)에서 작동정지버튼(BN1)(53a)을 누르면, 이 버튼에 해당하는 릴레이(52a)가 턴 온되어 안테나(42)를 통해 작동정지신호가 전송된다. 그러면 RF 수신기(30)를 구비한 배전반에서 안테나(34)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어 대응하는 장치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과 2의 LSB(1)가 작동정지된다. 또한, 송신기(40)에서 작동정지버튼(BN2)(52b)을 누르면, 이 버튼에 해당하는 릴레이(52b)가 턴 온되어 안테나(42)를 통해 신호가 전송된다. 그러면 RF 수신기(30)의 안테나(32)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어 대응하는 장치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과 2의 MOF(1)가 작동정지된다. 이런 식으로 작동정지버튼(BN3)(53c),(BN4)(53d),(BN5)(53e),(BN6)(53f)을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배전반의 각 장치가 작동정지하게 되어 있다.
도 6a는 RF 수신기(3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제1 CPU(61)는 수신기(30)의 각 부를 제어하는 부분이고, 메모리(62)는 제1 CPU(61)와 소통하며, 제1 CPU(61)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제1 CPU(61)는 수신뿐만이 아니라 각 구성부분의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전력통제실(도시않함)도 이상을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송수신 제어부(63)는 상기 제1 CPU(61)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송신이나 수신으로 분류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1 CPU(61)와 소통한다. 통신 모듈(64)은 추출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며, 송수신 제어부(63)와 소통한다. FND 출력부(65)는 제1 CPU(61)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아라비아 숫자를 표시한다. 출력 제어부(66)는 추출한 데이터를 온/오프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입력 제어부(67)는 수동으로 온/오프를 수행했을 때 수용하는 장치로서 제1 CPU(61)에 접속되어 있다.
도 6b는 RF 송신기(4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제2 CPU(68)는 송신기(40)의 각 부를 제어하는 부분이고, LCD 구동부(69)는 상기 제2 CPU(68)에 접속되며, 상기 제2 CPU(68)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LCD(71)를 구동하고, LCD(71)는 상기 LCD 구동부(69)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제2 CPU(68)는 송신뿐만이 아니라 전력통제실에서 필요한 작동을 위하여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도 보유하고 있다. 키 입력부(70)는 문자, 숫자 등의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CPU(68)로 정보를 입력한다. 통신 모듈(75)은 추출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모듈이다. 송수신 제어부(72)는 상기 제2 CPU(68)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송신이나 수신으로 분류하는 장치이다. 메모리(73)는 상기 제2 CPU(68)와 소통하며, 상기 제2 CPU(68)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74)는 범용 직렬 버스로서 PC(76)와 연결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4, 5 및 6a 및 6b에 의거 본 발명의 무선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배전반의 기기를 작동시키는 경우를 살펴본다. 키 입력부(70)를 통해 예를 들어, 작동버튼(47a)을 누르면 릴레이(45a)를 통해 전류가 흘러서 제2 CPU(68)로 명령이 전달됨과 동시에 정보가 LCD(71)를 통해 표시되고, 이어서 송수신 제어부(72)에 명령이 전달되고, 송신 명령을 통신모듈(75)에 내리면, 안테나(42)를 통해 명령이 송신되고, 이를 수신기(30)의 안테나(32)로 수신하여 제1 CPU(61)로 명령이 전달된다. 그러면 제1 CPU(61)는 이 명령을 출력 제어부(66)로 전달하고 출력 제어부(66)는 LSB(1)를 턴 온시키는 명령을 LSB(1)로 전달하여 LSB(1)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본 발명의 무선 원격제어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원격적으로 분전반의 LSB(1)의 고압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배전반의 기기를 작동정지시키는 경우를 살펴본다. 먼저, 작동버튼(53a)을 누르면 릴레이(52a)를 통해 전류가 흘러서 제2 CPU(68)로 명령이 전달됨과 동시에 정보가 LCD(71)를 통해 표시되고, 이어서 송수신 제어부(72)에 전달되고, 송신 명령을 통신모듈(75)에 내리면, 안테나(42)를 통해 명령이 송신되고, 이를 안테나(32)로 수신하여 제1 CPU(61)로 명령이 전달된다. 그러면 제1 CPU(61)는 이 명령을 출력 제어부(66)로 전달하고 출력 제어부(66)는 LSB(1)를 턴 오프시키는 명령을 LSB(1)로 전달하여 LSB(1)를 오프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무선 원격제어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원격적으로 분전반의 LSB(1)의 고압 기기를 작동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원격수신장치의 송신기 및 수신기는 분전반 또는 배전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송신기는 전력 감시실 또는 배전반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원격제어장치가 구비된 배전설비에 의하면, 변전설비의 고장이나 전기차단 필요시 분·배전반의 고압이 들어오는 메인스위치를 ON/OFF시켜야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감전을 당하거나 화재가 나는 위험을 제거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을 해소하고, 전원통제실로부터 배전반 및 분전반까지 전선을 포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기공사가 생략되어 공기가 월등하게 단축되는 것은 물론이고 인력의 사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폐수처리장과 같은 위험한 미로를 걸어다니면서 배전반 및 분전반을 수동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안전성이 월등하게 향상되고 RF 송신기 1대로 여러 대의 RF 수신기를 작동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게 되며 중앙통제실과 같은 장소에서 컴퓨터상에서 각 배전반 및 분전반의 전기 흐름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전반의 전력 흐름의 계통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 흐름 계통을 회로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수신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작동신호 송신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작동정지신호 송신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6a는 RF 수신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b는 RF 송신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RF 수신기 40:RF 송신기
61: CPU 62: 메모리
63: 송수신 제어부 64: 통신 모듈
65: FND 출력부 66: 출력 제어부
67: 입력 제어부 68: CPU
69: LCD 구동부 70: 키 입력부
71: LCD 72: 송수신 제어부
73: 메모리 74: USB 포트
75: 통신 모듈

Claims (3)

  1. RF 송수신기를 갖는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로서,
    상기 RF 수신기(30)는,
    상기 RF 수신기(3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1 CPU(61),
    상기 제1 CPU(61)와 소통하며, 상기 제1 CPU(61)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62);
    상기 제1 CPU(61)와 소통하며, 상기 제1 CPU(61)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송신이나 수신으로 분류하는 송수신 제어부(63);
    상기 송수신 제어부(63)와 소통하며, 추출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 모듈(64);
    상기 제1 CPU(61)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숫자를 표시하는 FND 출력부(65);
    추출한 데이터를 온/오프로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66); 및
    상기 제1 CPU(61)에 접속되어 수동으로 온/오프를 수행했을 때 수용하는 입력 제어부(67); 를 포함하고;
    상기 RF 송신기(40)는,
    상기 RF 송신기(4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2 CPU(68),
    상기 제2 CPU(68)에 접속되며, 상기 제2 CPU(68)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LCD(71)를 구동하는 LCD 구동부(69);
    상기 LCD 구동부(69)에 접속되며, 상기 LCD 구동부(69)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정보를 표시하는 LCD(71);
    상기 제2 CPU(68)에 접속되며, 문자, 숫자의 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CPU(68)로 정보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70);
    송수신 제어부(72)에 접속되며 추출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 모듈(75);
    상기 제2 CPU(68)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송신이나 수신으로 분류하는 송수신 제어부(72); 및
    상기 제2 CPU(68)와 소통하며, 상기 제2 CPU(68)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7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신기(40)는 PC와 소통하는 USB 포트를 더 포함하는 배전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송신기(40)는 다수의 작동버튼 및 작동정지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버튼에 다수의 릴레이들이 직렬접속되고, 상기 작동정지버튼에 다수의 릴레이들이 직렬접속되어 있는 배전설비.
KR1020080033484A 2008-04-11 2008-04-11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 KR100878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484A KR100878158B1 (ko) 2008-04-11 2008-04-11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484A KR100878158B1 (ko) 2008-04-11 2008-04-11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158B1 true KR100878158B1 (ko) 2009-01-16

Family

ID=4048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484A KR100878158B1 (ko) 2008-04-11 2008-04-11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594A (ko)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현태 무선통신 기반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957B1 (ko) * 2006-01-27 2007-05-02 부흥시스템(주) 자동리셋장치가 구비된 배전자동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957B1 (ko) * 2006-01-27 2007-05-02 부흥시스템(주) 자동리셋장치가 구비된 배전자동화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10-071295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594A (ko)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현태 무선통신 기반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0382B2 (en) Portable transformer with safety interlock
KR100990736B1 (ko) 보호 배전반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보호 시스템
CN107148709B (zh) 直流电断路器和断连器
CN102664354A (zh) 多功能低压配电柜
KR20070058160A (ko) Plc를 이용한 전철용 직류 배전반 제어장치
KR101211834B1 (ko) 배전 시스템
KR102176617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수배전설비의 보안점검시스템
CN112599370A (zh) 轨道交通安全联锁装置
CN201994576U (zh) 一种双母线固定式金属封闭开关装置
KR100878158B1 (ko) 무선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배전설비
CN112751412B (zh) 一种通信电源系统
KR101084058B1 (ko) 차단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특고전압 수전설비
KR102215075B1 (ko) 컨테이너형 수배전반 시스템
CN209981830U (zh) 一种多回路远程控制配电箱
CN206563760U (zh) 开关试验箱连接电路
CN201289967Y (zh) 基站配电箱
KR100940230B1 (ko) 접지가 형성된 가스 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KR20080003282U (ko) 배전반 통합 감시장치
CN219554656U (zh) 一种检修电源配电优化设备
KR101008234B1 (ko) 접지가 형성된 특별고압 수변전설비
KR20150068208A (ko) 배전반용 모듈식 차단기
CN210074875U (zh) 一种变电站遥控闭锁电路
KR102244377B1 (ko)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CN214379295U (zh) 一种开关站
RU88856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ЕК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ШНЫХ И КАБЕЛЬНЫХ ЛИНИЙ ДЛЯ СИСТЕМ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35 к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