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671B1 - 자외선을 이용한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을 이용한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671B1
KR100877671B1 KR1020070088183A KR20070088183A KR100877671B1 KR 100877671 B1 KR100877671 B1 KR 100877671B1 KR 1020070088183 A KR1020070088183 A KR 1020070088183A KR 20070088183 A KR20070088183 A KR 20070088183A KR 100877671 B1 KR100877671 B1 KR 100877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oil
inclined plate
reaction tank
reac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88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5/00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 C10M175/0025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by therm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 C10N2040/22Metal working with essential removal of material, e.g. cutting, grinding or dril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절삭유를 자외선을 이용하여 재생처리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절삭 또는 연삭 가공시에 발생 되는 열을 낮추어주고, 공구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절삭유가 오염된 경우에 그러한 절삭유를 자외선을 조사하여 재생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 램프의 오염을 방지시켜 자외선이 잘 조사되도록 하고자 반응조 내부에 자외선 램프와 절삭유 사이에 경사 플레이트를 둠으로서 절삭유가 자외선 램프 표면에 흡착결합 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경사 플레이트에 위어와 펌프를 두어 절삭유가 일정 속도로 흐르게 하였으며, 조사 장치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둠으로써, 절삭유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양을 최대화하여 폐절삭유의 재생을 높임으로서, 생산원가를 낮추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자외선, 절삭유, 경사 플레이트, 반응조

Description

자외선을 이용한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A device for recycling cutting oil using ultraviolet(UV) rays}
본 발명은 폐절삭유를 자외선을 이용하여 재생처리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절삭 또는 연삭가공시에 발생되는 열을 낮추어주고, 공구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절삭유가 오염된 경우에 그러한 절삭유를 자외선을 조사하여 재생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오염된 절삭유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절삭유의 유출입 할 수 있는 반응조, 반응조 내부에서 폐절삭유가 고르게 섞이도록 하는 교반장치,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사장치를 구비하고, 반응조 내부에 경사 플레이트를 두어 폐절삭유가 조사장치로부터 잘 조사되어 폐절삭유의 재생을 좀 더 효율적으로 재생처리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유는 금속을 자르고 깎는 가공을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절삭유는 공구와 절삭날에 생기는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므로서 가공시에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공작기계의 온도변화가 감소해서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절삭유는 절삭부위에서 윤활작용을 하여, 공구의 마모를 감소시키며, 공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절삭부위의 좋은 마무리면을 얻게 하여 준다.
그러나, 폐절삭유는 절삭시 발생되는 금속가루인 절삭칩을 포함하게 되고, 절삭칩은 상기 절삭유에서 산화성 촉매 역할을 수행하여, 절삭유와 불순한 기름을 산화시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삭유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한 기름은 절삭중에 윤활성부의 입자경을 크게 하여 절삭효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오염된 절삭유에서는 악취가 발생하여 작업환경을 질을 떨어뜨리며, 현장 작업자에게 피부질환과 호흡기장애 등을 유발시키고, 절삭효율 감소시켜 금속가공시 녹이 발생하여 절삭작업의 정밀도를 떨어뜨린다.
그러므로, 절삭 작업을 계속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절삭유를 첨가해야 하므로 생산원가가 증가 되고, 폐절삭유를 버리는 경우에 폐절삭유는 수질오염을 일으키므로 하수에 방류하지 못하고 산업폐기물로 처리해야 하므로 처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절삭유를 화학처리, 냉각처리, 전기분해, 물리적 분리 처리 등을 하여 상기 처리 등을 거친 절삭유를 재사용해 왔었다.
하지만, 화학처리에 의한 방법은 절삭유 고유의 기능을 저해시키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냉각 처리 방법과 전기분해를 사용하는 방법은 설치비용이나 운영비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물리적 분리 처리방법은 미세한 입자의 경우에는 분리처리가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선출원 발명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폐절삭유가 반응조(10)의 내부에 유입구(12)에 의하여 유입되고, 이 유입된 절삭유에 자외선 램프(31)와 반사판(32)에 의하여 자외선(UV)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조사하여, 높은 살균력으로 미생물의 변패를 방지하였다. 또한, 교반장치(20)에 의하여 폐절삭유가 잘 섞이게 함으로써, 자외선이 고르게 조사되도록 하였으며, 자외선 램프(31)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팬(33)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절삭유를 재생시키는 경우에, 절삭유를 교반장치에 의해 교반시키면 절삭유가 자외선 램프의 표면에 흡착결합하여 자외선 램프가 오염되고, 그 결과로 자외선의 조사 능력이 저하되거나 무력화되므로 소정의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자외선 램프의 오염을 방지시켜 자외선이 잘 조사되도록 하고자 반응조 내부에 자외선 램프와 절삭유 사이에 경사 플레이트를 둠으로서 절삭유가 자외선 램프 표면에 흡착결합을 방지하였다.
또한, 경사 플레이트에 위어와 펌프를 두어 절삭유가 일정 속도로 흐르게 하였으며, 조사 장치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둠으로써, 절삭유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양을 최대화하여 폐절삭유의 재생을 높임으로서, 생산원가를 낮추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삭유 재생 장치는 상부에 개폐가 이루어지는 덮개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절삭유의 유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한 반응조; 상기 반응조 내부의 절삭유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장치; 상기 반응조의 덮개에 장착되어 반응조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사장치; 상기 절삭유를 상기 반응조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펌프; 및 상기 반응조의 덮개 하부에 장착되고 반응조 내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펌프에 의하여 이동된 절삭유가 일정 속도로 흘러 상기 조사장치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재생처리되도록 하는 경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펌프로부터 이동되는 절삭유가 임시로 저장되도록 하는 위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사장치는 자외선을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사장치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가 이루는 경사각도와 같은 경사각도를 갖도록 상기 조사장치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사장치는 일측이 상기 덮개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 외부로 뻗어있는 조절나사와, 상기 조절나사에 나사결합하여 조절나사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조절나사가 상기 고정부재의 회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 램프의 상부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팬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 중 상기 위어가 형성된 경사 플레이트의 반대편 측 끝단은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반응조 내부에서 교반되는 절삭유에 의해 상기 조사장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수평단면의 길이는 상기 조사장치가 배열된 부 분의 수평단면의 길이보다 짧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는 상기 위어의 반대편 측 끝단에 연결되며 "ㄱ"자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절삭유가 상기 조사장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덮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플레이트와 상기 경사 플레이트가 만나는 부분에는 긴 슬릿이 형성되어 절삭유가 반응조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는 양 끝단에 반응조와 결합하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반응조의 일측에 비스듬하게 조립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 내부의 절삭유를 휘저어 섞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는 펌프와 위어를 두어 절삭유를 일정 속도로 경사 플레이트로 이동시켜 자외선 램프에 의한 자외선을 고루 조사되게 하여 폐절삭유의 재생처리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경사 플레이트의 경사 각도와 조사장치의 경사각을 같은 각도로 하여 자외선 조사량을 극대화하여 폐절삭유가 정화되므로써 재생처리율을 높였다.
그리고, 경사 플레이트의 끝단을 길이를 늘이거나 절곡형성하여, 자외선 램프의 오염을 방지시켜 자외선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켰으며, 폐절삭유의 재생처리율을 높였다. 경사 플레이트의 끝단에 덮개 플레이트를 두어 보다 안정하게 반응조와 결합게 하였으며, 덮개 플레이트와 경사 플레이트 사이에 슬릿을 두어 슬러지나 절삭칩을 제거하여 폐절삭유의 재생처리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렇게 절삭유의 재생 처리율을 높임으로서, 폐절삭유의 재활용도를 높이고, 이로서 생산원가의 감소와 폐절삭유의 폐기처리 비용의 감소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폐절삭유로 인한 환경오염 방지의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
Figure 112007063584096-pat00001
'형의 위어를 갖는 경사 플레이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
Figure 112007063584096-pat00002
'형의 위어를 갖는 경사 플레이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조사장치의와 경사 플레이트의 형상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플레이트의 끝단이 각각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경사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플레이트에 'ㄷ'자형으로 형성된 연결부가 포함된 경사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7 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폐절삭유 재생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 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절삭유를 재생하여 처리하는 장치(100)는 반응조(110),교반장치(130), 위어(140), 조사장치(120), 펌프(150), 및 경사 플레이트(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반응조(110)
상기 반응조(110)는 상부에 개폐가 이루어지는 덮개(111)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절삭유의 유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유입구(112)와 유출구(113)를 형성한다.
상기 덮개(111)는 반응조(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덮개(111)의 하부에는 조사장치(12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덮개(111)는 공기중으로부터 먼지나 이물질이 폐절삭유에 흡착되지 않게 하고, 자외선 램프(123)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세어나가지 않게 하여 폐절삭유의 재생처리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게 한다.
상기 유입구(112)는 반응조(110)의 한쪽면의 상부에 존재하여, 폐절삭유가 들어오게 되고, 유출구(113)는 반응조(110)의 한쪽면의 하부에 존재하여 재생처리된 절삭유가 나간다.
-교반장치(130)
상기 교반장치(130)는 반응조(110)의 일면에 형성되고, 구동모터(131)와 프로펠러(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상기 구동모터(131)는 역학적 에너지를 사용하여 프로펠러(132)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반응조(110)의 폐절삭유가 고르게 섞이게 하여 재생처리가 쉽게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프로펠러(132)는 구동모터(131)에 연결되고, 반응조(110)의 일측에 비스듬하게 조립되어 반응조(110) 하부에서 침전된 입자경이 커진 폐절삭유 를 물리적으로 분해함으로서 입자경을 작게하여 폐절삭유의 재생이 쉽게 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프로펠러(132)는 반응조(110)의 폐절삭유가 고르게 섞이게 하는 것이라면 프로펠러(132)의 형상이나 그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위어(140)
상기 위어(140)는 반응조(11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 플레이트(160)와 연결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위어(140)는 '
Figure 112007063584096-pat00003
'형 또는 '
Figure 112007063584096-pat00004
'형이 바람직하지만, 폐절삭유가 일정시간 저장되고, 폐절삭유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른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위어(140)에는 펌프(150)에 의해 반응조(110)하부의 폐절삭유가 이동되어, 위어(140)의 높이만큼 임시로 저장된다. 폐절삭유가 계속 공급되어 위어(140)의 높이 이상으로 공급되면 반응조(110)의 수평면으로부터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경사 플레이트(160)를 따라 흐른다. 이러한 위어(140)는 폐절삭유가 일정속도로 흐르게 하여, 자외선 램프(123)에 의하여 조사되는 자외선으로 폐절삭유의 내부에 형성된 미생물 등을 소멸하게 하여 절삭유의 점도가 강해지는 것과 절삭유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조사장치(120)
상기 조사장치(120)는 반응조(110)의 덮개(111)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자외선 램프(123), 반사판(121), 고정부재(122), 조절부재(170), 및 덮개(111)의 상 부에 위치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123)의 과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냉각팬(1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외선 램프(123)는 반사판(121)과 결합하고, 전기에너지 공급을 위한 에너지 공급원과 결합한다. 자외선 램프(123)는 자외선을 발산하는 발광체로서, 하나 이상의 램프로 형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자외선 램프(123)는 폐절삭유의 미생물에 일정 파장 이상의 빛을 방사시켜, 미생물이 빛에 의하여 분해되어 소멸하게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반사판(121)은 자외선 램프(123)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결합으로 고정부재(122)와 결합되어 있어 반응조(110)의 하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반사판(121)은 방사하는 빛을 반사하여, 자외선의 조사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조절부재(170)는 고정부재(12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조절나사(172)와 조절너트(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절나사(172)는 상기 덮개(111)의 외부로 뻗어나가 있으며, 조절너트(173)는 조절나사(172)에 나사결합을 한다. 상기 조절부재(170)는 조절너트(173)가 조절나사(172)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 조절나사(172)는 상기 덮개(111)의 슬릿(171)의 사이로 상하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고, 슬릿(171)에 조절너트(173)의 일측이 고정되어서, 상기 조사장치(1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조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데, 조절부재(170)는 상기 조사장치(120)와 상기 경사 플레이트(160)와 이루는 경사각도와 같은 각도를 갖도록 하여 조사장치(120)와 경사 플레이트(160)의 거리를 최대한 좁힘으로써, 조사량이 최대 가 되어 폐절삭유의 재생처리를 극대화시킨다.
-경사 플레이트(160)
상기 경사 플레이트(160)는 반응조(110)의 상부의 내측에 결합하고 있는 위어(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폐절삭유는 위어(140)로 이동하고 경사 플레이트(160)를 따라 유동됨과 동시에 조사장치에 의한 자외선 조사가 일어나면서 재생 처리된다.
또한, 상기 경사 플레이트(160)는 투명하여 폐절삭유의 유동과 절삭칩과 같은 불순물이 보여 그 제거가 쉬운 투명한 재질이 바람직하지만, 폐절삭유와 상호인력이 작용하여 폐절삭유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사 플레이트(160)는 수평면으로부터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다. 만약 경사 플레이트(160)의 기울기가 급한 경우에는, 절삭유의 유속이 빨라지므로 폐절삭유의 재생처리가 잘 되지 않고, 경사 플레이트(160)의 기울기가 너무 완만한 경우에는 폐절삭유의 유속이 너무 느려져 폐절삭유의 재생처리 공정이 오래 걸리므로 폐절삭유의 재생처리가 잘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경사 플레이트(160)는 전체 공정과 절삭유의 점도 등을 고려하여 수평면과 일정 각도로 형성시킴으로서, 폐절삭유의 유속을 조절하여 자외선 램프(123)에 의하여 자외선이 조사되는 폐절삭유의 양을 조절한다.
또한, 경사 플레이트(160)는 자외선 램프(123)와 반응조(110)의 폐절삭유의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이는 교반장치(130)에 의하여 유동하는 폐절삭유가 자외선 램프(123)에 흡착결합함으로써 발생하는 자외선 램프(123)의 오염을 방지한다. 또한, 경사 플레이트(160)는 격벽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교반장치(130)에 의하여 최대로 교반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절삭유가 튀어서 자외선 램프(123)와 흡착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5(a) 내지 도(c)를 참조하면 자외선 램프(123)가 폐절삭유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 플레이트(160)의 형상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이다.
도 5(a)는 폐절삭유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 플레이트(160) 중 상기 위어(140)가 형성된 플레이트의 반대편 측 끝단을 하방으로 절곡 형성하였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므로, 절삭유가 절곡된 끝단(161)으로 흐르기 때문에 경사 플레이트(160)와 반응조(110)의 일측면 사이로 폐절삭유가 튀어서 흡착 결합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절곡 형성된 기울기는 반응조(110)의 교반장치(130)에 의하여 폐절삭유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그 기울기의 정도를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5(b)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160)의 수평단면의 길이인 l2를 자외선 램프(123)가 배열된 조사장치(123)의 수평단면의 길이인 l1보다 같거나 길게 한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만약, 상기와 다르게 l1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폐절삭유와 조사장치(120) 사이에 경사 플레이트(160)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폐절삭유가 흡착결합하여 자외선 램프(123)의 오염을 방지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자외선 램프(123)에 폐절삭유가 교반장치(130)에 의하여 조사장치(123)에 튀어서 흡착결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l2의 길이가 l1의 길이보다 짧지 않아야 한다.
또한, 도 5(c)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160) 상기 끝단을 두번 절곡하여 "ㄱ"자형 형상을 갖도록 덮개 플레이트(162)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 플레이트(162)와 상기 경사 플레이트(160)가 만나는 부분에는 긴 슬릿(163)이 형성되어 절삭유가 반응조(11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이다.
덮개 플레이트(162)는 경사 플레이트(160)에서 자외선으로 조사 처리된 절삭유가 상기 슬릿(163)으로 빠져 나갈때 튀어서 흡착결합하는 것을 방지하며 반응조(110) 일측과 결합하므로서 경사 플레이트(160)가 반응조(110)와 안정적으로 결합하게 한다.
또한, 슬릿(163)에 의하여 조사처리되어 재생된 절삭유가 빠져나가고, 슬릿의 크기보다 큰 절삭칩과 슬러지는 슬릿을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절삭칩과 슬러지를 분리 제거할 수 있다.
-연결부(141,164)
도 7은 상기 경사 플레이트(160)의 양 끝단이 반응조(110)와 결합하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된 연결부(141,164)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반응조(110)와 결합하여 경사 플레이트(160)가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폐절삭유를 재 생 처리 할 수 있는 경우라면, 'ㄷ'자형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연결부(141,164)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판스프링과 같이 반응조(110)를 눌러주면서 결합하는 것 뿐만 아니라 고리의 형상으로 되어 있어 반응조에 걸침으로써,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경사 플레이트(160)가 연결부(141,164)에 의하여 반응조(110)에 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용접에 의하여 반응조(110)에 영구적으로 결합하는 경우도 있다. 연결부(141,164)에 의하여 결합되는 경우에는 경사 플레이트(160)의 탈부착이 용이하므로, 폐절삭유의 유동으로 생기는 슬러지나 절삭칩과 같은 이물질의 제거가 쉽다. 또한, 경사 플레이트(160)가 노후화 되는 경우 새 경사 플레이트(160)로 교환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반응조(110)와 경사 플레이트(160)의 결합이 용접에 의한 것보다는 안정하지 않으므로, 미량의 페절삭유가 유실되어 자외선 조사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용접에 의하여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결합이 안정적이므로 위어(140)등에서 폐절삭유가 새는 양이 많지 않으므로, 폐절삭유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재생처리가 확실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연결부(141,164)에 의한 반응조(110)의 결합과 비교하여 경사 플레이트(160)의 탈부착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물질 제거가 어려우며 노후화 된 경사 플레이트(160)의 교환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와 다르게 반응조(110) 내부에 경사 플레이트(160)를 두어 폐절삭유를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재생처리를 극대화하였으며, 경사 플레이트(160)에 위어(140)를 두어 폐절삭유의 유속을 조절하여 재생처리되는 양을 높였다. 또한, 경사 플레이트(160)의 특징 있는 형상을 형성하여, 폐절삭유 또는 조사처리된 절삭유가 튀어서 조사장치(120)에 흡착결합하여 재생처리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조사장치(120)에 고정부재(122)와 조절부재(170)를 둠으로써, 경사 플레이트(160)와 자외선 램프(123)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폐절삭유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양을 증가시켜서 폐절삭유의 재생처리율을 증가시켰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폐절삭유의 자외선에 의한 재생 처리율을 높여 폐절삭유의 재사용을 증가시킴으로서 생산원가를 낮추고 폐절삭유를 폐기하는 경우에 지출되는 폐기물 처리비용을 절약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
Figure 112007063584096-pat00005
'형의 위어를 갖는 경사 플레이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
Figure 112007063584096-pat00006
'형의 위어를 갖는 경사 플레이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플레이트의 끝단이 각각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경사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 플레이트에 'ㄷ'자형으로 형성된 연결부가 포함된 경사 플레이트의 사시도;및
도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폐절삭유 재생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110 : 반응조
112 : 유입구 113 : 유출구
120 : 조사장치 121 : 반사판
123 : 자외선 램프 140 : 위어
150 : 펌프 160 : 경사 플레이트

Claims (11)

  1. 폐절삭유를 재생하여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개폐가 이루어지는 덮개를 형성하고, 일측에는 절삭유의 유입출이 이루어지도록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한 반응조;
    상기 반응조 내부의 절삭유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장치;
    상기 반응조의 덮개에 장착되어 반응조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사장치;
    상기 절삭유를 상기 반응조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펌프; 및
    상기 반응조의 덮개 하부에 장착되고 반응조 내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펌프에 의하여 이동된 절삭유가 일정 속도로 흘러 상기 조사장치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재생처리되도록 하는 경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펌프로부터 이동되는 절삭유가 임시로 저장되도록 하는 위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장치는 자외선을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장치는 상기 경사 플레이트가 이루는 경사각도와 같은 경사각도를 갖도록 상기 조사장치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장치는 일측이 상기 덮개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 외부로 뻗어있는 조절나사와, 상기 조절나사에 나사결합하여 조절나사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조절나사가 상기 고정부재의 회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램프의 상부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냉 각팬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플레이트 중 상기 위어가 형성된 플레이트의 반대편 측 끝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상기 반응조 내부에서 교반되는 절삭유에 의해 상기 조사장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수평단면의 길이는 상기 조사장치가 배열된 부분의 수평단면의 길이보다 짧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플레이트는 상기 위어의 반대편 측 끝단에 연결되며 "ㄱ"자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절삭유가 상기 조사장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덮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플레이트와 상기 경사 플레이트가 만나는 부분에는 긴 슬릿이 형성되어 절삭유가 반응조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플레이트는 양 끝단에 반응조와 결합하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반응조의 일측에 비스듬하게 조립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반응조 내부의 절삭유를 휘저어 섞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KR1020070088183A 2007-08-31 2007-08-31 자외선을 이용한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KR100877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183A KR100877671B1 (ko) 2007-08-31 2007-08-31 자외선을 이용한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183A KR100877671B1 (ko) 2007-08-31 2007-08-31 자외선을 이용한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671B1 true KR100877671B1 (ko) 2009-01-08

Family

ID=4048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183A KR100877671B1 (ko) 2007-08-31 2007-08-31 자외선을 이용한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4005A (zh) * 2017-05-08 2017-08-11 殷照庆 一种劣化变压器油的再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459A (ja) * 1992-07-31 1994-02-22 Akagi Kouyu Kk 工業用廃油の再生方法
KR20030081798A (ko) * 2002-04-13 2003-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외선과 분사노즐 장치를 이용한 공업유체 재생장치
KR200390915Y1 (ko) * 2005-04-26 2005-07-28 (주)로터스엔지니어링 수용성 절삭유 부폐방지 살균장치
KR200432301Y1 (ko) 2006-08-29 2006-1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을 이용한 절삭유 재생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459A (ja) * 1992-07-31 1994-02-22 Akagi Kouyu Kk 工業用廃油の再生方法
KR20030081798A (ko) * 2002-04-13 2003-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외선과 분사노즐 장치를 이용한 공업유체 재생장치
KR200390915Y1 (ko) * 2005-04-26 2005-07-28 (주)로터스엔지니어링 수용성 절삭유 부폐방지 살균장치
KR200432301Y1 (ko) 2006-08-29 2006-1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을 이용한 절삭유 재생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4005A (zh) * 2017-05-08 2017-08-11 殷照庆 一种劣化变压器油的再生方法
CN107034005B (zh) * 2017-05-08 2020-03-27 殷照庆 一种劣化变压器油的再生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023765A (ja) 空気清浄機
CN1214992C (zh) 水净化装置及其方法
KR20090102359A (ko) 공기 살균 정화기
KR200398372Y1 (ko) 부유형 수처리 장치
CN207294458U (zh) 光催化污水处理装置
KR100877671B1 (ko) 자외선을 이용한 절삭유 재생처리 장치
KR101995224B1 (ko) 고속형 드럼을 구비한 오염공기 탈취 장치
KR20030079077A (ko) 광촉매 및 자외선램프 모듈을 이용한 살균 및 정화장치
JP3858734B2 (ja) 水処理装置
CN105000622A (zh) 一种光催化反应器
KR20200103210A (ko) 공기정화장치
KR20130024642A (ko) 탈취장치
KR200419211Y1 (ko) 침전장치
JP2968086B2 (ja) 水溶性切削油の嫌臭気除去装置
JP2017079818A (ja) 液体殺菌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油分離装置
KR102467012B1 (ko) 수처리 시스템용 살균정화장치
JP2008209046A (ja) 強制排気装置
JP2005152815A (ja) 汚水処理装置
CN110156273A (zh) 资源可重复利用的石油化工用废水处理方法及其使用装置
JP3636636B2 (ja) 紫外線照射ダイオキシン類処理装置
KR20100016986A (ko) 오염기체 처리장치
JP3144302B2 (ja) 被処理流体処理装置
CN220214413U (zh) 一种润滑油加工用废气处理装置
KR20130119625A (ko) 유기성 폐기물 전처리장치 및 방법
CA28150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opaque fluids with uv-ra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