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922B1 -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922B1
KR100876922B1 KR1020070041120A KR20070041120A KR100876922B1 KR 100876922 B1 KR100876922 B1 KR 100876922B1 KR 1020070041120 A KR1020070041120 A KR 1020070041120A KR 20070041120 A KR20070041120 A KR 20070041120A KR 100876922 B1 KR100876922 B1 KR 100876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ntimicrobial
staphylococcus aureus
extract
methicil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119A (ko
Inventor
이재화
김인혜
최인순
김인관
최재석
박창수
황희주
박재일
Original Assignee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1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92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은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 대한 매우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황, MRSA, 항균 조성물

Description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EISENIA BICYCL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B. subtilis PM 125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M. luteus KCTC 1056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S. aureus KCTC 1916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CARM 3115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MRSA CCARM 3089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MRSA CCARM 3561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E.coli D 31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E.coli KCTC 1184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E. aerogenes KCTC 2190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Vibrio parahemollyticus KCTC 2471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E. tarda NUF 251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항균제 조성물은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며, 특히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매우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항생제란 통상적으로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것으로, 특히 세균에 대한 항균 작용을 하는 물질, 상세하게는 세균이 세포벽이나 단백질 등을 합성하는 시스템을 저해시킴으로써 뛰어난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 또는 이러한 물질로부터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항생제의 성분은 주로 곰팡이로부터 추출된 것이 주를 이루었으며, 오늘날 세균 감염에 의한 질병 등을 치료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항생제로는 영국인 의사 알렉산더 플레밍이 1928년에 제조한 페니실린이다. 페니실린은 인류가 세균에 본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제조한 최초의 항생제였다. 페니실린 이후에 개발된 대표적인 항생제로는 페니실린 보다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인정되는 메티실린(methicillin)이 있다. 메티실린은 페니실린의 화학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메티실린은 베타-락탐계 항생제(beta-lactam class of antibiotics)로 분류되며, 상기 베타-락탐계 항생제는 페니실린-결합 단백질(penicillin-binding proteins, PBPs)와 결합을 형성한 후 이 단백질의 활성을 제거함으로써 약효를 발휘하는 것이다.
항생제내성세균이란 특정 항생제에 내성을 보여 약효가 듣지 않는 세균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한 페니실린의 약효가 전혀 듣지 않는 페니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 이에 해당된다. 이 외에도, 1961년 최초로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그 후로 전세계적으로 주요 병원내 감염균이 되고 있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이 있다. 상기, MRSA는 페니실린이나 메티실린의 항생제에도 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독특한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MRSA는 주로 건강한 사람에게는 감염이 되지 아니 하고 주로, 면역력이 약한 환자나 수술을 마친 환자에게 감염이 되나, 감염이 되는 경우에는 패혈증이나 폐렴을 일으켜 사망케 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최근에는 건강한 사람들도 MRSA에 감염되는 일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 의학계나 공중보건학계는 MRSA와 같이 여러 항생제에도 약효가 듣지 않는 병원균(다약제 내성 병원균)에 의한 감염의 증대를 크게 우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84년에 알래스카 토착민에서의 황색포도상구균의 확산과 2000년 8월 그 주민들에게서 피부감염증이 확산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는 MRSA가 종래에 알려진 것처럼 병원에서 환자로부터 감염되는 것만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의 공공생활을 통해서도 감염될수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2년 동안 경남지역의 어린이 40여명이 MRSA에 감염된 것으로 보고 되었으며, 감염증상인 포도상구균 열상 피부증후군을 치료받은 어린이들을 서울대 진단검사의학과에서 재검사한 결과 MRSA 감염으로 최종 확인되었으며, 감염 어린이들이 병원에 입원하거나 항생제를 복용한 적이 없었던 것으로 드러나, 그 지역사회의 주변환경으로부터 MRSA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청과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서울대병원 등 전국 10개 대학병원에 대한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 결과 전년보다 항생제 내성률이 10%나 높아졌다고 발표하였으며, 혈액에서 검출된 황색포도상구균 중, MRSA의 비율이 2004년도 61.2%에 비해 10% 높게 나온 71.6%인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한편, 최근 식품 가공 찌꺼기를 포함한 음식물쓰레기의 해양 투기량이 증가하면서 비브리오균에 의한 질병의 감염이 문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 속에 포함된 세균과 바이러스 등의 병원성 미생물은 바다로 흘러들어 가는 동안 희석되거나 사멸되고, 이후 바다에서 다시 희석되어 크게 문제가 되지 아니하였다. 특히, 해수의 경우 짧은 시간 안에 모든 병원균이 소멸되는 것은 아니지만 높은 염분 때문에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들이 생존하거나 번식하는데는 부적합하여 어류 또는 해산물을 매개로 한 감염이 크게 문제되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최근 음식물쓰레기의 해양 투기량이 증가하면서 그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국내의 음식물쓰레기의 해양 투기량은 88년에 552t에 불과하던 것이 95년에는 4,170t에 이를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이와 함께 분뇨에 섞인 다량의 병원성 미생물이 바다에 유입됨에 따라,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어류의 콜레라, 티푸스, 이질, 간염, 보툴리누스중독증 등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특히, 생활하수 속에 있는 병원성 미생물은 물고기의 내장이나 물고기 또는 갑각류의 표피와 아가미, 갑각류의 소화관, 퇴적물 등에서 몇 일에서 몇 달까지도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또한, 상기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감염은 생활하수가 유입된 부근이나 해양투기가 이루어지는 곳에서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이 조류에 의해 먼 거리까지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염물질에 의한 병원성 미생균은 오염물질이 이동하는 동안 생존할 수 있어, 매우 넓은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의 해양 투기 등에 의해 해양 생태계에 유입된 병원성미생물이 어류 등의 해양 생태계에 질병을 유발하는 과정은 병원성 미생물이 동물의 표면 혹 은 체내에서 성장하여 병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조성하거나 미생물이 동물의 외부에서 성장하여 병을 유발할 수 있는 독성물질을 생산하거나 혹은 서식지를 변화시킴으로써 동물이 건강한 상태로 더 이상 생존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미생물 군집내의 집단간 불균형 상태가 조성되면 자주 발생하는데 환경오염의 결과로 미생물 군집조성에 변화가 생겨 병원성 미생물이 대량으로 증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어류, 어패류 등의 해양 생물, 특히 양식의 대상이 되는 어류 또는 어패류에 대한 감염의 증가로 인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비소화성 다당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열량소로서의 큰 각광을 받지 못하여 관심을 받지 못하던 해조류가 최근 육상식물에 비해 다량의 비타민 및 미네랄, 특히 마그네슘, 칼슘, 요오드, 철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천연 해산물 특히, 해조류가 천연 생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독특한 구조적인 특성으로 생리활성이 강한 물질로 알려지고 있는 해조류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어, 해조류를 이용한 여러 약품 또는 항생제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며, 특히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강한 항균활성을 갖는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대황(Eisenia bicyclis)은 갈조류에 속하는 해양식물로서, 다시다목 미역과의 바닷말에 속하는 해조류이고, 통상적으로 길이는 서식처의 수심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큰 것은 1 내지 1.5m 이상이고, 4년까지 사는 다년생으로 유체는 주로 봄에 나타나고, 일반적으로 일본과 우리나라 특히, 을릉도에 분포하고 조간대 하부 암반지역에 주로 서식한다. 주로 식용으로 이용되고, 알긴산, 요오드 및 칼륨의 농도가 높아 알긴산의 제조에 이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추출용매는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극성용매와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와 같은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메탄 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메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은 통상의 해조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또는 열 추출법 등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 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획용매는 에틸 에테르일 수 있다. 상기 분획시 용매는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추출물 제조온도는 4℃ 내지 12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대황 추출물은 대황의 염분 및 불순물을 제거한 후, 건조하여 건조시료를 제조하고, 상기 건조시료에 메탄올을 첨가하여 조추출액을 얻으며, 상기 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황의 염분 및 불순물의 제거는 유수를 이용하여 씻어내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시료는 상기 염분 및 불순물을 제거한 대황을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득한 대황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황 추출물은 수득된 추출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대황 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 조성물이란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의미인 항생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고, 항균제, 살균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제균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그람 양성균 및 그람 음성균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대황 추출물을 0.001 중량%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항균 조성물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병원성 미생물, 구체적으로는 그람 양성균 또는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일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대장균(E.coli), 클레브시엘라균(Klebsiella. sp), 바실러스균(Bacillus. sp), 마이크로커커스균(Micrococcus. sp), 스테필로코코스균(Staphylococcus. sp), 엔테로박터균(Enterobacter. sp), 비브리오균(Vibrio. sp) 또는 에드워드지엘라균(Edwardsiella. sp)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E.coli), 폐렴간균 (Klebsiella. pnermoniae, K. pnermoniae),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 subtilis), 마이크로커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euteus, M. luteus), 스테필로코코스 오레어스(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엔테로박터 아이로게네스(Enterobacter aerogenes, E. aerogenes),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emolyticus, V. parahemolyticus) 또는 에드워드지엘라 타르다(Edwardsiella tarda, E. tarda)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또는 폐렴간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이다.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란 그람 양성구균에 속하는 병원성 세균으로, 이중 페니실린계 항생제인 메티실린(methicillin),β 옥사실린(oxacillin) 또는 나프실린(nafcillin)에 내성을 보이는 내성을 보이는 균을 의미한다.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cephalosporins) 및 이미페넘(imipenem)을 포함한 대부분의 베타-락탐계 항생제(β-lactam class of antibiotics)에 내성이 있으며,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퀴놀론 항생제 등 대부분의 항생제에도 내성이 있는 경우가 흔하다.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농양이나 창상감염 등의 피부 감염 뿐 만 아니라 폐렴, 패혈증 등의 중증 감염의 원인 균으로 보고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반코마이신(vancomycin)이나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과 같은 극히 제한된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는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에 의해 폐렴, 폐화농증, 농흉 등의 호흡기감염증, 패혈증, 균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장관감염증, 난치성 욕창 또는 창상감염 등이 발병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인체의 어느 부위에서도 정착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접촉전파(contact transmission)에 의한 감염 뿐만 아니라, 공기전파(airborne transmission)에 의한 감염도 가능하며, 특히 피부의 방어기전이 손상된 수술환자나 화상 환자에게 잘 정착하여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킬 수 있고, 병원에서 오랜 시간을 근무하는 의료인의 경우, 비강내 정착율이 높아 공기전파에 의한 감염도 가능한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상기 대장균이란 사람이나 동물의 장 속에 사는 세균으로 특히, 대장에 많이 존재하여 대장균이라 부르며, 장 이외의 부위에서는 질병을 유발하는, 구체적으로는 방광염, 신우염, 복막염 또는 패혈증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이며, 전염성 설사를 일으키는 대장균의 경우 병원성 대장균이라고 한다.
상기 폐렴간균은 폐렴의 원인이 되는 병원균으로 그람 음성의 짧은 간균을 말한다.
상기 장염비브리오균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으로 6월 내지 10월에 연안과 염하구의 해수, 퇴적토, 무척추 생물 등에서 주로 발견되며, 주로 꼬막, 바지락, 물미역, 피조개, 새우, 낙지, 물치 또는 망둥이 등을 감염시킨다. 상기한 어패류 등에 부착된 장염비브리오균은 냉장고, 도마, 행중, 칼등의 조리기구 및 조리자의 손을 통하여 다른 식품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사람이 오염된 이들 식품을 섭취하는 식중독 등이 발병될 수 있다.
상기 에드워드지엘라균은 장내세균과의 세균인 그람 음성균으로 주로 어류에서 소화관의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균이며, 특히 에드워드지엘라 타르다균은 에드와드 병의 원인균이다. 상기 에드와드 병은 고수온기에 2년어 이상의 대형어류에 발생하며, 외관증상으로는 두부의 궤양, 복부의 팽만 또는 발적, 안구의 백탁 또는 돌출 등이 있고, 내부증상으로는 복수가 차있거나 생식소 특히 난소의 발적과 경화가 특징 등이 있으며, 이병에 의한 누적 폐사율은 20 내지 30% 에 달한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되어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어류 또는 어패류 등의 해양 생물에 적용되어 어류 또는 어패류 등의 폐사율을 낮추고 생산성을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인간 등의 해양 생물을 섭취하는 타 동물의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며, 소화나 배성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극피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성게류 또는 해삼류와 같은 극피동물, 절지동물에 속하는 게, 새우, 대하 등의 갑각류, 두족류, 복족류 또는 이매패류 등의 연체동물, 참돔, 도미, 대구, 가 자미, 넙치 등의 어류, 꿩 또는 닭 등의 가금류를 포함하는 조류 또는 인간, 돼지, 소 염소 등의 포유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대황 추출물 외에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질은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예로 벌꿀, 덱스트린, 수크로오스, 팔라티노스, 포도당, 과당, 물엿, 당알콜(sugar alcohol),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백질은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예로, 카제인(casein), 유청 단백질(whey protein) 등의 우유 유래 단백질, 대두 단백질, 이들 단백질의 트립신, 펩신 등의 동물 유래 효소 및 뉴트라아제(neutrase), 알칼라아제(alkil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질은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예로, 제1가 포화지방산, 다가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해바라기유, 채종유(rapeseed oil), 올리브유, 홍화유(safflower oil), 옥수수유, 대두유, 팜유(palm oil), 야자유 등의 각종 식물 유래 유지, 중쇄 지방산(middle-chain fatty acid), EPA, DHA, 대두유래 인지질, 우유 유래 인지질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타민류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상기 미네랄류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예로, 인산칼륨, 탄산칼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유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판토텐산칼슘, 카제인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제1철, 탄산수소나트륨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 은 아니다.
상기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조성물의 항균성이 유지되는 한 상기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함량은 항균성이 유지되는 한 제한되지 아니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대비 0.1 중량%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균 활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목적 및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병원성 미생물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동물 사료용 조성물, 동물 사료용 첨가물, 식품, 식품 첨가제, 음료, 화장료 조성물, 화장품 첨가물 또는 세정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은 황색포도상구균의 감염에 의해 발병할 수 있는 각종 감염성 질병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폐렴, 폐화농증, 농흉 등의 호흡기감염증, 패혈증, 균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장염, 장관감염증, 난치성 욕창 또는 창상감염 등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폐렴, 패혈증, 균혈증, 감염성 심내막염, 및 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대황 추출물 이외에 제형 및 사용방법에 따라 약리학적으로 사용가 능한 담체나 부형제를 부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 단독으로 또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의 치료제로서의 효능 증진을 위해 다른 약학적 활성성분과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이 경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내 대황 추출물의 함량은 0.001 중량% 내지 99 중량%일 수 있다. 조성물 내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적인 효능을 위해선 다량의 투여가 필요할 수 있으며, 99 중량% 초과하는 경우 사용량에 비해 효능이 일정할 수 있어 비경제적일 수 있다. 또한,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대황 추출물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하기 기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침제(INFUSIONS), 정제(TABLETS), 주사제(INJECTIONS), 캅셀제(CAPSULES) 및 환제(PILLS) 등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용해제, 감미제, 착색제, 삼투압 조절제, 산화방지제 등의 부형제는 제형에 따라 통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제화하는 경우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희석제 또는 부형제로는 물,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락토스,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리퀴드 파라틴 및 생리식염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형에 따라 경구투여의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고, 비경구투여의 경우,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제는 일예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 일 수 있으며, 상기 좌제는 일예로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또는 글리세로제라틴 등일 수 있다.
또한, 추가로 본원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생리식염수 또는 유기용매와 같이 약제로 허용된 여러 담체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과 같은 항산화제(antioxidants), 킬레이팅 물질(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stabilizers)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대상은 극피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극피동물, 절지동물, 연체동물 및 어류를 포함하는 해양생물 및 상기 해양생물을 섭취할 수 있는 포유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양생물은 성게류 또는 해삼류와 같은 극피동물, 절지동물에 속하는 게, 새우, 대하 등의 갑각류, 두족류, 복족류 또는 이매패류 등의 연체동물, 참돔, 도미, 대구, 가자미, 넙치 등의 어류를 포함하는 양식 가능한 어패류일 수 있고 상기 포유류는 인간을 포함한 상기 양식 가능한 어패류를 섭취할 수 있는 돼지, 소, 염소 등의 사육이 가능한 가축과 꿩, 닭 등의 가금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 또는 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1일 유효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10mg/kg 내지 5000mg/kg이며 바람직하게는 100mg/kg 내지 3000mg/kg이고, 하루 1 내지 수회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루 1 내지 3회 투여될 수 있다.
투여량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동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에 가감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 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투여횟수는 원하는 범위 내에서 하루에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 기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그대로 경구투여하는 것 이외에, 임의의 음식물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우수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효과에 의한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천연 해조류인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므로 장기간 복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며, 소화나 배성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극피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성게류 또는 해삼류와 같은 극피동물, 게, 새우, 대하 등의 갑각류를 포함하는 절지동물, 두족류, 복족류 또는 이매패류 등의 연체동물, 참돔, 도미, 대구, 가자미, 넙치 등의 어류, 꿩 또는 닭 등의 가금류를 포함하는 조류 또는 돼지, 소, 염소 등의 포유류일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상기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곡물, 식물성 단백질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당분 또는 유제품을 추 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은 구체적으로는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일 수 있고, 상기 식물성 단백질 사료는 구체적으로는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동물성 단백질 사료는 구체적으로는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일 수 있고, 상기 당분 또는 유제품은 구체적으로는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일 수 있다.
상기 동물 사료용 조성물은 추가로 영양 보충제, 소화 및 흡수 향상제, 성창 촉진제 또는 질병 예방제와 같은 성분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 사료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항균 조성물은 사료의 사용목적 및 사용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최종 생산된 사료 1kg을 기준으로 상기 항균 조성물이 0.1g 내지 100g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용 조성물은 성분들의 분쇄정도에 따라 경점성의 조립 또는 과립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메시(mesh)로 공급되거나 추가 가공 및 포장을 위해 원하는 분리된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저장을 위해 펠렛화, 팽창화 또는 압출 공정을 거칠 수 있으며, 저장의 용이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과잉의 물을 건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정제를 제공한다. 상기 세정제는 바람직하게는 의류용 세제, 식기 세척제, 식품 세정제, 가전제품 세척제일 수 있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방용품 또는 식품세척 등을 포함하는 각종 생활용품의 세척이나 항균성 부여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된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정제 등 다른 유효성분이나 색소,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분말화, 과립화, 정제화 또는 액상화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제품화를 위하여 포장을 위해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 중 항균 조성물의 사용량은 사용목적과 적용형태, 적용부위, 적용대상물품 등에 따라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항균 조성물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그 제품의 특성상 적용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라면 다양한 양으로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대황 추출물의 제조
대한민국 부산 청사포 해역에서 채취한 대황을 유수에서 7회 채로 씻어 내어 상기 대황의 엽상체에 부착된 부착생물, 겉에 묻은 불순물 및 염분을 제거한 후, 15℃에서 20시간 건조를 수행하여 상기 세척한 대황을 완전히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시킨 대황을 분쇄하여 건조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 시료 100g에 100% 메탄올 500ml를 가해 1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에, 감압증발기를 사용하여 감압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시킨 메탄올 조추출액을 0.22μm 필터를 이용하여 제균 처리를 한 후, -20℃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추출물 1000μg을 0.01% 초산이 들어 있는 증류수 1ml에 녹여 대황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제조한 대황 추출물 시료는 사용시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항균 활성의 측정
2-1. 대상 균주와 배양배지 및 시료
항균력 측정에 사용된 균주는 각각 해당 기탁기관으로부터 분양받은 공시된 균주이다. 구체적으로는 항균활성을 측정한 균주의 기탁번호는 아래와 같다.
그람 양성균으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기탁번호는 PM 125이고, 마이크로커커스 루테우스의 기탁번호는 KCTC 1056이며, 스테필로코코스 오레어스의 기탁번호는 KCTC 1916이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기탁번호는 CCARM 3089, CCARM 3115 및 CCARM 3561이다. 그람 음성균으로는 대장균의 기탁번호는 D 31과 KCTC 1184이고, 엔테로박터 아이로게네스의 기탁번호는 KCTC 2190이며, 녹농균의 기탁번호는 KCTC 2004이고, 폐렴간균의 기탁번호는 KCTC 2208이며,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의 기탁번호는 KCTC 1925이고, 장염비브리오균의 기탁번호는 KCTC 2471이며, 에드워드지엘라 타르다균의 기탁번호는 NUF 251이다.
기탁번호가 KCTC로 시작되는 균주는 한국유전자은행(대전, 대한민국)에서 구 입하였으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은 한국 항생제내성균주은행(서울,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균주의 초기배양에서 사용된 배지인 TSB(Tryptic soy broth) 배지, 방사활성법(Radial diffusion assay method)에 사용된 배지인 MHB(Muller-Hinton broth) 배지 및 LB(Luria-Bertani broth)배지는 모두 Merk 사(Germany)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시 대조군으로 사용된 Melittin, EEO agar 및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sulfate)은 Sigma 사(St. Louis,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상기 배지에서 배양 중, 호염성 세균인 장염비브리오균(KCTC 2471)와 에드워드지엘라 타르다균(NUF 251)은 1% NaCl을 포함하는 상기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2-2. 방사활성법에 의한 항균활성 측정
상기 항균활성의 측정은 방사활성법(radial diffusion assa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Edward, T et al., N-thiolated β-lactams; novel antibacterial agents fo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ioorg. Med. Chem. Lett. 12: 2229-22(2002)). 상기 방사활성법을 이용한 항균활성의 측정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 대상균주 각각을 TSB 배지를 이용하여 37℃에서 mid-logarithmic phase까지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후, 1.0M 인산 완충 용액(1.0M phosphate buffere solution, pH 6.7)으로 3번 세정하고 희석하였다. 상기 세균 희석액은 570nm(OD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균 수가 0.1 즉, 세포수가 5 x 107CFU/ml이 되도록 농도를 조정하였다.
상기 농도를 조정한 세균 희석액 1ml를 LB 배지 100ml와 혼합하여 플레이트에 부어 굳혔다. 상기 LB 배지의 조성은 전체 액체배지 100ml 기준으로 20.7ml의 5 x LB broth, 20.7ml의 1.0M PBS(pH 6.7), 58.6ml의 증류수, 0.5g의 NaCl 및 1.57g의 low EEO agar를 혼합하고 오토클레이브(AutoClave)를 이용하여 무균상태를 만들었으며, 세균 희석액과의 혼합은 상기 LB 배지를 50℃까지 식힌 후에, 상기 세균 희석액과 혼합하는 방법으로 수행한 후에, 무균 배양접시(sterile Petri-dishe)에 혼합액을 부어 굳혔다.
상기 무균 배양접시에 부은 혼합액을 18℃에서 밤샘기간(overnight) 동안 배양하여 상기 균주가 배지에서 배양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상기 각각의 균주가 배양된 것이 확인된 배지에 2 내지 3mm 정도의 웰(well)을 만들었다. 상기 웰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추출물을 0.1% 초산 용액에 녹인 시료를 주입한 후,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저해환(clear zone or inhibition zone)의 크기로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료의 농도는 1000μg/ml의 농도로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농도의 시료를 2개의 웰에 주입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추출물을 0.1% 초산 용액에 녹인 시료와 동량의 초산용액을 주입하였다.
각각의 균주에 대하여 대황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내었고, 상기 실험은 모두 2번씩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의 평균값을 표 1에 기재하였다. 도 좌측에 위치한 2개의 저해환은 상기 대황 메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지 아니한 대조군의 저해환이고, 도 우측에 위취한 2개의 저해환은 상기 대황 메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저해환이다.
[표 1]
Figure 112007031875274-pat00001
상기 도 4 내지 6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대황 추출물은 MRSA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황 추출물은 항균활성을 나타낸 균주 중에서 MRSA CCARM 3115 및 MRSA CCARM 3089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RSA CCARM 3561의 경우에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도 1 내지 3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대황 추출물은 MRSA 외의 다른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도 대부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마이크로커커스 루테우스 및 스테필로코코스 오레어스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도 7 내지 12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대황 추출물은 그람 음성균에 대해서도 대부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장균 및 폐렴간균에 대해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엔테로박터 아이로게네스, 장염비브리오균 및 에드워드지엘라 타르다균에 대해서다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2-3.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의 측정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liquid growth inhibitor를 이용하여 MRSA균에 대하여 측정하였다(Lehre, R. I., et al, Ultrasensitive assays for endogenous antimicrobial polypeptides. J. Immunol. Methods. 137: 167-173(1991).).
상세하게는, 상기 최소억제농도의 측정은 상기의 대상균주 각각에 대하여 상 기 실시예 2-2와 같은 방법으로 세포수가 5 x 107CFU/ml이 되도록 농도를 조정한 세균 희석액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다만 최소억제농도 측정을 위한 균주는 실시예 2-2와 달리 뮬러-힌톤 배지(Muller-Hinton broth, MHB)를 사용하였다. 상기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세균 희석액을 100μl씩 96 웰 플레이트(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원발명의 대황 메탄올 추출물을 희석하여 여러 농도로 조절한 다음 각각 11μl을 가하였다. 상기 세균 희석액에 본원발명의 분획물을 첨가한 후, 37℃에서 20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혼탁이 발생하지 않는 시료농도로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Figure 112007031875274-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대황 메탄올 추출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결과, MRSA CCARM 3089 균주의 경우 최소억제농도가 50μg/ml로 확인되어, 대황 메탄올 추출물은 MRSA CCARM 3089 균주에 대해서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MRSA CCARM 3115 균주 및 MRSA CCARM 3561 균주의 경우에도 최소억제농도가 100μ g/ml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대황 추출물은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에 대해 매우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실험결과에 의할 경우, 본원발명의 대황 추출물은 세균 특히, 항생제 내성이 있는 세균 구체적으로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대체 항생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클레브시엘라균, 바실러스균, 마이크로커커스균, 스테필로로코코스균, 엔테로박터균, 비브리오균 또는 에드워드지엘라균에 대해 항균활성 특히,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조류로부터 추출한 것이므로 부작용의 염려가 없어 천연항균제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치료제로서 매우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대장균 및 폐렴간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있어 양식어류를 위협하는 세균에 의한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사료용 조성물로 이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5)

  1. 대황(Eisenia bicycl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대장균(E.coli), 클레브시엘라균(Klebsiella. sp), 바실러스균(Bacillus. sp), 마이크로커커스균(Micrococcus. sp),스테필로코코스균(Staphylococcus. sp), 엔테로박터균(Enterobacter. sp), 비브리오균(Vibrio. sp) 및 에드워드지엘라균(Edwardsiella. s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제조된 것인 항균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E. coli) 및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
  5. 제 1 항, 제 2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70041120A 2007-04-27 2007-04-27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0876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120A KR100876922B1 (ko) 2007-04-27 2007-04-27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120A KR100876922B1 (ko) 2007-04-27 2007-04-27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119A KR20080096119A (ko) 2008-10-30
KR100876922B1 true KR100876922B1 (ko) 2009-01-09

Family

ID=4015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120A KR100876922B1 (ko) 2007-04-27 2007-04-27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294A (ko) 2014-06-10 2015-12-1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삼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수산학회지 35(2), 191-5 (2002)*
한국식품과학회지 38(6), 793-8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5(1), 78-86 (200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294A (ko) 2014-06-10 2015-12-1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삼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119A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llès Intestinal alkaline phosphatas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fish: biology, ontogeny, and environmental and nutritional modulation
KR101536901B1 (ko)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및 파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JP2009203160A (ja) 抗ウィルス及び抗菌剤
KR101428157B1 (ko) 동애등에 유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00001122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0852744B1 (ko) 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06501B1 (ko) 대황 유래 플로로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성 조성물
KR20200003993A (ko) 쪽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91549B1 (ko) 얌빈 지하부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세균성 조성물
KR101120161B1 (ko) 키토산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60007877A (ko) 평위산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KR101467698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86166B1 (ko) 람부탄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602552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02245B1 (ko) 갯지렁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의 용도
KR100876922B1 (ko)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2010077056A (ja) 感染症予防剤
KR100557869B1 (ko) 사료 첨가제
KR20200058353A (ko) 왕귀뚜라미 추출물의 헥센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72181B1 (ko) 말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34868B1 (ko) 흰점박이꽃무지 코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428964B1 (ko) 동애등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761061B1 (ko) 키토산­페룰산 염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키토산­페룰산 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성 조성물
KR20210067378A (ko) 동애등에 유래 기능성 단백질 물질의 추출 방법
KR102232671B1 (ko) 소성이온화 칼슘 분말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