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51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511B1
KR100876511B1 KR1020027012538A KR20027012538A KR100876511B1 KR 100876511 B1 KR100876511 B1 KR 100876511B1 KR 1020027012538 A KR1020027012538 A KR 1020027012538A KR 20027012538 A KR20027012538 A KR 20027012538A KR 100876511 B1 KR100876511 B1 KR 100876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x
cover
pressure
conductive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0220A (ko
Inventor
아바디아로저
마스리에라세르쥐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filed Critical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Publication of KR2002009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4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rectification
    • H02K11/049Rectifiers associated with stationary parts, e.g. stator cores
    • H02K11/05Rectifiers associated with casings, enclosures or bra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1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slip-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제 1 도전 요소를 포함하는 제 1 소조립체(15)와, 적어도 2개의 제 2 도전 요소를 포함하는 제 2 소조립체(16) 사이에 전기 접속을 형성하는 커넥터로서, 압력 영역과 반동 영역 사이에는 조립 수단(60)이 작용하여 그 사이에 제 1 및 제 2 베어링 표면을 클램핑하고, 제 1 소조립체(15)는 제 1 도전 요소의 위치설정과 유연한 장착을 위한 하우징(18)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압력 영역을 지지하며, 제 1 베어링 표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오리피스(71)를 압력 영역에 대향하여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MULTICONTACT ELECTRICAL CONNECTOR AN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BEARING SAME}
본 발명은 다수의 접점을 갖는 전기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를 지지하는 회전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2개의 소조립체간의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소조립체와 각각 연관된 2개의 커넥터를 서로 연결시키는 전기 케이블을 구비하는 접속 장치에 속한다. 그러한 커넥터는 프랑스 특허 제 FR-A-2 754 650 호에 개시되어 있다.
전기 모터 또는 발전기와 같은 특정 장치, 예를 들어 교류발전기 또는 교류발전기/스타터는 전자장치 박스로 불리는 박스내에 장착되는 제어 시스템 등의 제 2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 장치중 하나의 각 위상(phase)은 다른 장치의 대응 위상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결은 두 장치의 대응 위상간에 직접 접촉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각각 하나의 위상을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몇 개의 전기 와이어를 포함한 케이블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각 와이어의 단부와 장치의 대응 위상 사이에 전기 접속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해결책은, 와이어의 일 단부를 대응하는 도전성 영역과 접촉하도록 배치하며, 너트 및 볼트 고정에 의해 그들을 접촉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결책은 몇 가지 단점을 갖는다.
한편, 전기 접속부가 형성되는 만큼 고정부를 형성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형성될 접속부의 수에 의해 부재의 수 및 끼워맞춤 회수가 증가하여 실질적인 비용의 증가를 수반한다. 게다가, 접점은 장치의 도전성 영역과 케이블의 도전성 영역 사이의 단순한 압력에 의해 형성되며, 그리하여 접점은 전기 접점의 부식 및 열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외부 조건과, 진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프랑스 특허 제 FR-A-2 754 650 호(미국 특허 제 US-A-5,924,897 호)에 의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96/12609 호는 단일 고정점에서 2개의 전기 장치들 사이에 다수의 전기 접점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접속부를 제안한다. 이 전기 접속부는 또한 만족할만한 기밀성을 확보하여 전기 접점의 부식을 방지한다.
전기 접속 요소는 수형 및 암형의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각각은 하나의 전기 위상에 각기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도전 요소를 구비한다. 이들 두 2개의 부분은 수형 부분을 암형 부분에 클램핑하는 것이 가능한 너트 및 볼트 고정 장치와 같은 단일 수단에 의해 접촉이 이루어진다.
프랑스 특허 제 FR-A-2 799 053 호에 의한, 2001년 3월 30일자(본원의 우선일 이후)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00/1073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전 요소 사이의 양호한 접촉과 압력의 양호한 분포를 확보하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만족스럽기는 하지만, 제 1 소조립체 뿐만 아니라, 안내되고 병진 운동 가능한 스터드(stud) 형상의 제 1 도전 요소 내에 추가적인 탄성 변형 가능한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신뢰성을 높이고, 또한 커넥터의 제 1 소조립체를 간략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편에 제 1 베어링 표면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제 1 도전 요소를 포함하는 제 1 소조립체와, 다른 한편에 제 2 베어링 표면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제 2 도전 요소를 포함하는 제 2 소조립체 사이에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는 커넥터로서, 제 1 베어링 표면은 그들의 면중 하나를 거쳐 제 2 베어링 표면과 전기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그들의 다른 면을 거쳐 제 1 소조립체에 속하는 압력 영역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제 2 베어링 표면의 다른 면은 제 2 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제 2 소조립체가 구비하는 지지부에 속하는 반동 영역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압력 영역과 반동 영역 사이에는 조립 수단이 작용하여 그 사이에 제 1 및 제 2 베어링 표면을 클램핑하여 상기 베어링 표면상에 접촉 압력을 가하는,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소조립체는 제 1 도전 요소의 위치설정과 원활한 장착을 위한 케이싱을 구비하고, 케이싱은 한편으로는 상기 압력 영역을 지지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제 1 베어링 표면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압력 영역에 대향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방 베어링을 구비하는 회전 전기 기기는 커넥터의 제 2 소조립체가 후방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특히 제 1 도전 요소의 가요성 끼워맞춤에 의해,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도전 요소 사이의 신뢰성 있는 접촉을 이루고, 부재의 수를 줄이며, 케이싱을 단순화함으로써, 제 1 소조립체의 추가적인 탄성 변형 수단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평탄도에 있어서의 결점은 적어도 큰 기준에서 극복될 수 있어서, 대응하는 도전 요소 사이의 접촉 면적이 크고, 커넥터의 과열의 위험이 감소된다.
케이블과 제 1 도전 요소 사이의 연결은 단순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싱은 한편으로는 제 1 요소의 위치설정을 위한 박스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압력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커버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박스는 제 1 베어링 표면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압력 영역에 대향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영역은 제 1 베어링 표면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오리피스를 갖춘 케이싱상에 고정된다.
압력 영역은 예를 들어, 클리핑, 접합, 초음파 용접, 미러 용접,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케이싱상에 기밀하게 부착된다. 케이싱은 위치설정된 제 1 도전 요소상에 오버몰딩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제 1 베어링 표면은 편향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케이싱의 오리피스의 영역내에서 보이도록 개방된다.
제 1 도전 요소는 조립 축에 수직으로 연장하며,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금속 스트립, 특히 탭의 형태로서 그 해결책이 단순하고 경제적이며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전기 케이블로의 접속을 위한 말단부를 그 후방에 형성하는 형태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 1 및 제 2 도전 요소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고강도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압력의 양호한 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넓은 접촉 면적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제 1 도전 요소를 분리 및 절연시키기 위해 박스 및 압력 커버는 분할된다.
박스는 제 1 도전 요소를 위한, 돌출부 등의 위치설정 수단을 구비한다.
이 박스는 유리하게는 커버보다 견고하지 않으며 그보다 경제적인 재료로 제조되며, 압력 커버에 의해 폐쇄되기 전에, 이들 제 1 도전 요소를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로서 작용한다.
박스는 그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고, 이는 커버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제 1 도전 요소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제 1 도전 요소의 굽힘(bending)이 제어된다.
유리하게는, 부피를 줄이기 위해, 제 1 소조립체의 회전 저지 수단이 제 1 및 제 2 접촉 표면을 원주방향으로 분리하는 공간에 설치된다. 이들 수단은 반동 영역으로부터 융기한 분리 칸막이를 구비한다. 이들 칸막이는 따라서 반동 영역의 강화와 제 1 베어링 표면의 전기 절연의 이중 기능을 갖는다.
도 1은 교류발전기/스타터를 구성하는 다상의 역전 가능한 회전 전기 기기의 후방 베어링상에 장착된 본 발명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커넥터가 구비하는 조립 수단을 도시하는 도 1의 2-2 선을 따라 취해진 부분 단면도,
도 3은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 2 소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커넥터가 구비하는 제 1 소조립체에 속하는 압력 커버의 사시도,
도 5는 커넥터의 제 1 소조립체가 구비하는 위치설정 박스의 사시도,
도 6은 회전 전기 기기의 후방 베어링상에 장착된 커넥터를 그것의 압력 커버를 제외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압력 커버의 리브를 나타내기 위해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며, 이에 대한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이 참조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부에서 하부로의 배향이 이용될 것이며, 이는 도 1 및 도 2를 따른 좌측에서 우측으로, 정상에서 바닥부로의 배향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전기 케이블(120, 121, 122)에 연결된 상측의 제 1 소조립체(15)와, 회전 전기 기기의 전기자, 예컨대 자동차의 교류발전기의 스테이터에 연결된 하측의 제 2 소조립체(16)로 구성되며, 회전 전기 기기로는 변형예에 있어서 자동차를 시동하기 위해 전기 모터 모드에서 역회전 가능하게 작동할 수 있다. 그러한 교류 발전기는 교류발전기/스타터로 불린다.
본원에서, 커넥터는 프랑스 특허 제 FR-A-2 806 223 호에 의해 2000년 3월 10일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00 0313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교류발전기/스타터의 후방 베어링(170)상에 장착된다. 보다 상세한 사항은 상기 특허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 후방 베어링(170)은 브러시 홀더(171)를 고정 지지하며, 브러시 홀더(171)의 브러시는 본원에서는 설명되지 않으며, 이들 브러시는 로터를 지지하는 샤프트와 일체적인 컬렉터 링(collector ring)과 전기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다상의 경우에 회전 전기 기기의 유도자를 구성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컬렉터 링이 보통 룬델 클로 타입(Lundell claw type)의 로터에 의해 지지되는 여자 코일의 단부에 연결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로터는 PCT/FR02/0003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돌출 극 로터(salient-pole rotor)이다.
로터의 샤프트의 후방 단부는 후방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며, 후방 베어링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중앙에 볼 베어링을 갖는다.
로터는 후방 베어링(170)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전기자를 구성하는 기계의 스테이터에 의해 둘러싸인다. 공지된 방법에 있어서, 스테이터는 기계가 구비하는 위상에 속하는 도전성 권선을 끼워맞춤하기 위한 노치를 갖는 금속 플레이트의 패킷 형태의 본체를 구비한다. 권선은 와이어를 갖거나 또는 변형예에 있어서 2001년 4월 5일자로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제 FR 01 0477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바아를 갖는 유형의 것이다. 위상 출력부는 크림핑(crimping)에 의해, 변형예에서는 용접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 2 소조립체(16)가 구비하는 제 2 도전 요소(30, 31, 32)의 단부중 하나에 각각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요소(30, 31, 32)가 제공되며, 전기 기기는 3상 타입의 것이다.
상술한 요소(30 내지 32)의 단부는 프랑스 특허 제 FR-A-2 754 65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피복되지 않은 크림핑 러그로 구성된다.
이들 도전 요소(30, 31, 32)는 기계의 후방 베어링(170)상에 스크류(172)에 의해 고정된 지지부를 형성하는 전기 절연 부재(17)에 내장된, 본원에서는 금속으로 제조된, 도전성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스크류(172)는 그 헤드가 지지부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으며, 컬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각각 통과하여, 후방 베어링(170)의 나사부내로 고정된다.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컬럼은 지지부(17)를 갖는 단일 부재이며, 그것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그리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도전 요소(30, 31, 32)는, 그 타단부에서, 덮여 있지 않으며 본원에서는 직접적으로, 변형예에서는 중간층을 거쳐 간접적으로 지지부(17)에 속하는 반동 영역(53, 54, 55)과 각각 접촉하는 제 2 베어링 표면(33, 34, 35)을 갖는다. 이들 베어링 표면(33 내지 35)은 환형 영역의 형태이며, 도전 요소(30 내지 32)가 제 2 베어링 표면(33 내지 35)의 영역내에 융기된 영역을 갖도록 브러시 홀더(171)를 지지하는 지지부(17)의 돌출부(50)의 상측 표면상에 장착된다.
지지부(17)는 성형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브러시 홀더(171)는 지지부(17)와 일체로 성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후방 베어링과, 전자장치 박스내에 장착된 기계의 전기자의 위상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 사이에 작동하는 연결 장치에 속한다.
이 접속 장치는 이 전자 박스에 장착된 다른 커넥터를 포함하며, 전기 케이블(121, 122, 123)은 2개의 커넥터를 서로 연결시킨다.
각각의 케이블은 전기 절연 외장체가 각각 구비된 도전성 와이어로 구성되며, 전기 절연 외장체는 필요한 경우 전기 케이블의 전자기 스크린을 위해 존재하는 금속 편조를 갖는 공통의 외장체로 둘러싸여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베어링 표면(23, 24, 25)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제 1 도전 요소(20, 21, 22)를 포함하는 제 1 소조립체(15)와, 제 2 베어링 표면(33, 34, 35)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제 2 도전 요소(30, 31, 32)를 포함하는 제 2 소조립체(16) 사이에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는 커넥터로서, 제 1 베어링 표면(23, 24, 25)은 그들의 면중 하나를 거쳐 제 2 베어링 표면(33, 34, 35)과 전기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그들의 다른 면을 거쳐 제 1 소조립체(15)에 속하는 압력 영역(43, 44, 45)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제 2 베어링 표면(33, 34, 35)의 다른 면은 제 2 요소(30, 31, 32)를 고정하기 위해 제 2 소조립체(16)가 구비하는 지지부(17)에 속하는 반동 영역(53, 54, 55)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압력 영역(43, 44, 45)과 반동 영역(53, 54, 55) 사이에 조립 수단(60)이 작용하여 그 사이에 제 1 및 제 2 베어링 표면(23, 24, 25; 33, 34, 35)을 클램핑하고, 상기 베어링 표면상에 접촉 압력을 가하는,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소조립체(15)는 제 1 도전 요소(20, 21, 22)의 위치설정과 유연한 장착을 위한 케이싱(18)을 구비하고, 케이싱(18)은 한편으로는 상기 압력 영역(43, 44, 45)을 지지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제 1 베어링 표면(23, 24, 25)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오리피스(71)를 압력 영역(43, 44, 45)에 대향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 있어서, 케이싱(18)은 한편에서는 제 1 도전 요소(20, 21, 22)의 위치설정을 위한 박스(70)에 의해, 다른 한편에서는 압력 영역(43, 44, 45)을 포함하는 압력 커버(8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이 박스(70)는, 압력 영역(43, 44, 45)에 대향하여, 제 1 베어링 표면(23, 24, 25)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오리피스(71)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 1 도전 요소는, 그들의 자유 단부에서, 가요성이며, 그에 따라 굽힘 가능한 베어링 표면을 갖는다.
도전 요소의 개수는 응용예에 따라 좌우된다. 2개 또는 4개, 또는 심지어 6개의 도전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3개의 제 1 및 제 2 도전 요소가 제공되며, 이들은 도전 요소를 위한 우수한 접촉 표면과, 우수한 압력 분배, 및 높은 전류 강도의 통과 사이에 양호한 절충을 형성한다.
압력 영역 및 반동 영역은 본원에서 하기 3개의 슬롯(46 내지 48)과 3개의 절연 칸막이(56 내지 58)에 의해 각각 3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커버(80), 박스(70) 및 지지부(17)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소망의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성형 가능하고, 본원에서는 플라스틱인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
유리하게는, 이들 부재(70, 80)를 보강하기 위해 리브(79, 89)가 제공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이들 플라스틱은 섬유로 보강된다.
압력 영역(43, 44, 45)은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를 정확하게 굽히기 위해 내크리프성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
커버(80)는 내크리프성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
반동 영역(53, 54, 55)은 클램핑력을 성공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내크리프성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
반동 영역(53, 54, 55) 및 커버(80)는 도전 요소간의 정확한 클램핑을 위해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반동 영역의 재료는 지지부(17)의 나머지의 재료보다 큰 내크리프성을 가져, 제 2 소조립체(16)가 경제적이며, 지지부의 나머지의 재료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제 2 도전 요소(30 내지 32) 둘레의 지지부(17)의 정확한 오버몰딩을 허용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지지부(17)는 단일 재료로 제조되며, 반동 영역의 영역이 보강 삽입된다.
박스(70)는 본원에서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이는 커버(80)의 재료보다 내크리프성이 약하며, 따라서 경제적이다.
반동 영역(53, 54, 55)은 본원에서 박스(70)의 오리피스(71)내로의 관통에 적합하여, 어떠한 클램핑력도 받지 않는 상기 돌출부(50)로 구성된다. 돌출부(50)는 조립 수단(60)이 통과하는 중심 구멍(159)을 갖는다.
반동 영역은, 도 2의 조립체 축(A-A)대해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본원에서는 원주방향으로 제 2 베어링 표면(33, 34, 35)을 서로 분리하는 절연 칸막이(56, 57, 58)를 갖는다.
절연 칸막이는 반동 영역(53, 54, 55)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반동 영역이 축방향으로 갖는 중앙 링(159)까지 연장한다.
링(59)의 중앙 구멍은 돌출부의 중앙 구멍(159)까지 연장한다.
중앙 링(59) 및 돌출부(50)는 따라서 조립 수단(60)에 의해 중앙을 횡단하기에 적합하다.
반동 영역(53, 54, 55)은 따라서 내부가 중공형으로, 즉 조립 수단이 중심을 통과한다.
반동 영역(53, 54, 55)을 지지하는 돌출부(50)의 외주부는 본원에서는 원형 구멍 형상인 오리피스(71)내로 끼워맞춤 간극을 갖고 관통하는 형상이다.
압력 영역(43, 44, 45)은 커버(80)로부터 융기하여 오리피스(71)를 향하는 축방향 돌출부로 구성된다.
압력 영역(43, 44, 45)은 반경방향 배향의 슬롯(46, 47, 48)에 의해 환형 섹터(43, 44, 45)로 분리된다.
슬롯(46, 47, 48)의 폭은 반동 영역의 절연을 위해 칸막이(56, 57, 58)의 두께에 맞추어져, 칸막이가 슬롯(46, 47, 48)내로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소조립체에 대한 제 1 소조립체(15)의 각도 위치는 단순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형성된다. 칸막이와 슬롯의 위치가 비대칭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표시 장치가 용이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반동 영역은 수형이며 그것의 칸막이를 거쳐 암형의 압력 영역의 슬롯내로 관통한다.
섹터(43, 44, 45)는 반동 영역(53, 54, 55)의 중앙 링(59)이 관통하도록 중앙이 오목하다.
압력 영역(43, 44, 45)은 구멍(159) 및 반동 영역(53, 54, 55)의 중앙 링(59)의 구멍과 정렬되도록 되어 있으며 조립 수단(60)이 관통하는 구멍(49)을 중앙에 갖는다.
압력 영역(43, 44, 45)의 외주부는 튜브 형상이다.
여기에서, 커버(80)와 박스(70)의 전방부는 도 4 및 도 5에 보다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둥근 형상을 갖는다. 압력 영역 및 오리피스(71)는 각각 이 전방부에 속한다.
커버(80)와 박스(70)는 중공 형상이며, 전방이 전체적으로 보트와 같은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전기 도선 내의 전류의 통과는 주울 효과(Joule effect)에 의해 도전성 재료의 가열을 야기하는데, 이러한 가열은 도전성 재료의 저항과 전류 세기의 제곱을 곱한 값에 비례한다. 따라서,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의 단면은 이들 요소(20 내지 22)의 온도가 커넥터에 화재를 일으킬 위험이 있는 온도에 도달하는 최소 단면보다 클 필요가 있다. 이는 제 2 도전 요소에도 마찬가지이다.
각각의 제 1 도전 요소는 하측의 제 2 소조립체(16)의 하나의 전기 위상을 해당 전기 케이블(120 내지 122)의 전기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그것의 후방부에 있어서, 압력 커버(80)는 전기 케이블(120 내지 122)을 고정하는 수단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커버(80)의 자유 후방 단부는 케이블을 유지하는 부분(86)을 가지며, 이들은 각각 대체로 반원형 형상이다. 유지부(86)의 내경은 해당 전기 케이블(120 내지 122)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돌출부(참조 부호로 표시되지 않음)는 각 유지부(86)의 내측 표면상에 배치된다. 돌출부는 3개의 평행 열로 배치되며, 해당 전기 케이블이 그것의 관련 유지부(86)내의 적소에 끼워질 때, 전기 케이블이 커버(80)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박스(70)는, 후방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커버(80)의 유지부(86)에 면하는 상보적인 유지부(76)를 형성하여 케이블(120 내지 122)용의 원형 통로를 형성한다.
상측의 제 1 소조립체(15)의 장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첫째로, 전기 케이블(120 내지 122)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정 길이에 걸쳐 전기 와이어가 자유롭도록 외장체의 자유 단부가 제거된다. 각각의 전기 와이어의 자유 길이부는 박스(70)내로의 후속하는 끼워맞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정된다. 케이블의 벗겨진 단부는 제 1 도전 요소로의 말단부(123 내지 125)에 의해 고정된다. 말단부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 1 도전 요소에 속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전 요소에 끼워맞춤된 케이블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도전 요소(20 내지 22)를 위한 위치설정 수단(78)과 분리 칸막이(77)가 구비된 박스(70)내에 장착된다.
마지막으로, 도전 요소(20 내지 22)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88)이 구비된 커버(80)의 사용에 의해 하기의 방법으로 박스가 폐쇄되어, 취급이 용이하고, 운송 가능하며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제 1 소조립체(15)가 얻어진다.
유리하게는, 열 수축성 외장체가 상측의 제 1 소조립체(15)의 유지부(86, 76)내 뿐만 아니라, 제 1 소조립체(15)를 제외한 전기 케이블(120 내지 122)의 주위에도 배치된다. 가열후에, 열 수축성 외장체는 전기 케이블과 제 1 소조립체(15) 사이의 기밀성을 확보한다.
상측의 제 1 소조립체(15)와 커플링되는 하측의 제 2 소조립체(16)는 상술한 방법으로 회전 기기상에 고정된다.
전기 절연 지지부(17)는, 본원에서는 회전 기기의 회전 축에 대해 반경방향 배향인, 도 2의 조립축(A-A) 주위에서 그것의 돌출부(50) 영역내에 배치된다.
3개의 제 2 도전성 접점 요소(30 내지 32)는 지지부(17)의 성형 절연 재료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들은 노출된 활성 상측 수형 접촉 표면, 즉 지지부와 동일 평면상에 있는 그것의 제 2 베어링 표면(33 내지 35)을 각각 갖는다. 본원에서 활성 표면은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의 접촉 베어링 표면(23 내지 25)의 대응부이다.
도면에서, 조립 수단(60)은 제 2 소조립체(16)와 일체인 단일 스크류(63)와, 와셔(65)를 거쳐 커버(80)의 상측면상에 지지되는 너트(54)를 구비한다. 이 면은 커버(80)가 갖는 바닥부(72)에 속한다. 스크류(63)는 압력 영역의 구멍(49)과 반동 영역의 중앙 링(59)을 축방향으로 통과한다. 스크류(63)의 축대칭 축은 조립 축(A-A)을 구성한다.
스크류(63)의 헤드(61)는 본원에서는 간접적으로, 변형예에서는 직접 지지부(17)와 일체가 된다.
따라서, 제 1 소조립체(15)의 케이싱(18)을 스크류(63)에 나사 고정하여, 스크류(63)의 나사형 자유 단부상에 너트(64)를 이용한 고정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탄성 함몰에 의한 클립 고정 등의 다른 조립 수단이 조립 스크류(63)를 대체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조립 수단은 스크류(63)를 대체하는 리벳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커넥터는 해체될 수 없다. 너트와 볼트를 이용한 해결책이 바람직한데, 이는 보다 양호한 클램핑 제어를 갖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제 1 도전 요소의 가요성 장착때문에 진동에 민감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 기기의 위상의 커플링이 별모양 모드나 삼각형 모드에 상관없이 커넥터는 동일하며, 이는 박스(70)와 커버(80)의 생산을 위한 몰드의 표준화를 가능하게 한다.
커넥터의 기하학적 컴팩트성은, 교류발전기 또는 교류발전기/스타터의 케이스 내에서, 회전 기기의 스테이터에 속하는 전기자의 위상 출력부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케이싱(18)과 지지부(17) 사이에는 단일 조립 수단(60)이 존재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서는 도전성인 이 조립 수단은 오리피스(71)와 압력 영역(43 내지 45)과 협력하여 압력의 균일한 분배를 허용한다.
유리하게는, 스크류(63)는 그 하부 헤드(61)의 영역에 널(knurl)(62)이 형성되어, 스크류가 그 널에 의해 돌출부(50)에 둘러싸인 삽입부내로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다. 이 삽입부는 지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조립 수단은 지지부(17)와 일체이다.
변형예에 있어서, 삽입부는 통상적으로 알루미늄계인 베어링(170)과 일체로 성형된 기둥형(columnar) 보스(173)에 의해 대체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유 단부에서 돌출부(50)의 하면에 대한 가이드의 기능을 한다.
스크류(63)의 하부 헤드(61)는 컬럼(173)이 베어링(170)으로부터 시작되는 영역에 형성된 카운터싱크(174)로 인해 형성된 숄더(175)를 가압한다. 스크류(63)는 그 본체가 컬럼(173), 반동 영역, 압력 영역, 및 그로워 와셔(grower washer) 또는 접시형 와셔 등의 지지 와셔(65)를 통과한다. 와셔(65)는 압력 영역에 대향하는 커버의 상면에 접촉한다.
조립 너트(64)는 지지 와셔와 접촉하도록 스크류의 자유 단부상에서 끼워져, 이 지지 와셔를 가압하여 커버(80)의 상면과 접촉시킨다. 물론, 스크류(63)는 그것을 컬럼에 고정하기 위해 헤드(61)의 부근에 널(knurl)(62)을 가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럼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숄더(175) 부근에 국부적인 직경 감소부를 갖는다. 따라서 스크류(63)가 고정 유지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너트는 커버의 상면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스크류 헤드는 너트에 끼워지도록 지지부(17)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그러한 구조는 반대가 되는데, 스크류(63)는 그 헤드(61)를 거쳐 커버(80)의 상면상에서 커버(80) 및 베어링과 일체이며, 그것의 널(62)에 의해 구멍(49)내로 압력 끼워맞춤된다. 이 경우 너트는 하측에서부터 끼워지며, 와셔(65)를 거쳐 숄더(175)를 가압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도전성 조립 수단(60)은 커버(80)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하는 헤드 또는 너트 등의 숄더 형성부와, 압력 영역 및 반동 영역, 따라서 제 1 도전 요소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본체를 구비한다. 이들 조립 수단(60)의 축방향 대칭축은 도 2의 조립 축(A-A)을 구성한다.
도면에서, 케이싱(18)의 중공형 박스(70) 및 커버(80)는 도 2의 조립 축(A-A)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들은 각각 바닥부(82, 72)에 수직인 외연 림(83, 7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바닥부(82, 72)를 갖는다.
박스(70)의 림(73)의 상면은 커버(80)의 림(83)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되어있으며, 이들 2개의 부재가 조립된 후, 케이싱(18)이 기밀성을 갖게 된다. 필요하다면, 기밀성을 개선하기 위해 림(73, 83)중 하나상에 개스킷이 접합될 수 있다.
커버(80)는 클립에 의해 박스(70)에 조립되며, 해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80)는 그것의 림(83)을 따라 돌출부(84)를 가지는 한편, 박스(70)는 그것의 림(73)을 따라 돌출부(84)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상보형 돌출부(74)를 갖는다. 돌출부(74, 84)는 본원에서는 각 그룹당 6개이다. 그들의 분포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박스(70)의 림(73)으로부터 융기한 돌출부(74)는 림(73)보다 높은 "U"자형 러그이며, 이는 커버(80)의 관련된 견고한 돌출부(84)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의 경계를 정하기 위한 것이다. 돌출부(84)는 "U"자형 러그(74)의 바닥부와 협동하고 커버(80)를 박스(70)와 조립하는 동안 그들은 이격시키도록 되어 있는 경사 평면을 각각 갖는다. 다음으로 러그(74)는 "U"자형 러그(74)의 바닥부가 교차하자마자 폐쇄한다. 물론, 이러한 구조는 반대가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러그는 림(83)으로부터 융기하고, 견고한 돌출부는 림(73)으로부터 융기한다. 중공형 러그(74)는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클립에 의해 돌출부(84)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커버(80)와 박스(70)의 조립은 림(73, 83)의 영역내에서 작용하는 스크류 또는 볼트의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변형예에 있어서, 커버(80)와 박스(70)의 조립은 림(73, 83)의 영역에 예를 들어 리벳 또는 접합, 또는 레이저 타입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 등의 용접을 이용하여 해체되지 않도록 수행된다.
박스의 바닥부(72)의 상면은 2개의 분리 칸막이(77)를 가지며, 2개의 분리 칸막이(87)를 갖는 커버(80)의 바닥부(82)의 하면에도 적합하다.
칸막이(77, 87)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본원에서는 원형이며 큰 사이즈인 오리피스(71)의 경계를 정하는 원형 섹터 형상의 전방부를 각각 갖는다. 칸막이(77, 87)의 후방부는 각각 칸막이(77)의 경우 러그(74)의 연장부에서, 칸막이(87)의 경우 견고한 돌출부(84)의 연장부에서, 박스(70)와 커버(80)의 림(73, 83)의 후방부에 각각 접속된다.
칸막이(77, 87)의 후방부는 전방부, 및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보다 폭이 크다.
칸막이(77, 87)의 중간부는 전방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그것으로부터 연장하는 후방부와 마찬가지로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칸막이(77)의 전방부는 제 1 베어링 표면(23 내지 25)을 분리하고, 서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 베어링 표면은 도 6에 보다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서는 환형 섹터의 형상이다. 이 섹터는 반동 영역의 칸막이가 통과하도록 슬롯에 의해 분리된다.
칸막이(77, 87)는 대응 형상을 갖는다. 압력 영역(43 내지 45)과 한편으로는 칸막이(87)의 전방부, 다른 한편으로는 림(83)의 전방부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림(73)의 전방부는 오리피스 또는 구멍(71)의 경계를 정한다.
유지부(76, 86)는 림(73, 83)의 후방부상에 작용한다.
림(73, 83)은 둥근 전방부에 접속하기 위한 2개의 종방향 부분에 수직한 후방부를 가지며, 상기 림은 폭중 하나가 전방부를 구성하는 둥근 부분으로 대체될 수도 있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는 박스(70) 및 커버(80)와 동일하다. 케이블(120 내지 122)을 유지하기 위한 부분(76, 86)은 상기 케이블을 위한 턱을 구성하며, 림(73, 83)의 후방부상에 작용한다.
칸막이(77, 87) 및 종방향 부분은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부(76, 86)의 경계를 정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73, 83) 및 칸막이(77, 87)는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의 전기 절연 장착을 위한 3개의 하우징의 경계를 정하며, 환형 섹터 형상의 전방부는 본원에서는 원형 구멍의 형상인 오리피스(71)내로 연장하는 3개의 제 1 베어링 표면(23 내지 25)을 규정한다. 베어링 표면(23 내지 25)은 도전 요소(20 내지 22)의 자유 단부를 구성한다.
각각의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의 후방부는 측방향 에지를 가지며, 2개의 에지를 접어내린 후, 각각의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의 후방부는 케이블(120 내지 122)의 전기 와이어의 벗겨진 단부를 클램핑 및 고정하는 말단부(123 내지 125)를 구성하여, 전기 접촉을 제공한다.
이는 말단부(123 내지 125)를 정확하게 고정하기 위해 칸막이(77)의 후방부가 보다 넓기 때문이다.
물론, 케이블(120 내지 122)의 전기 와이어의 수는 응용예에 따라 좌우된다.
말단부(123 내지 125)는 각각 전기 케이블로의 끼워맞춤을 위한 말단부이다.
제 1 베어링 표면(23 내지 25)을 구성하는 환형 섹터는 본원에서는 동일한 크기이며, 박스(70) 및 커버(80)가 손상되거나 화재가 발생할 위험 없이 높은 전류 강도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여, 3개의 도전 요소(20 내지 22)를 갖는 구성이 유리한데, 이는 동일한 부피에 대해 예를 들어 4개의 도전 요소를 갖는 구성보다 큰 전류가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커넥터가 조립 수단(60)에 의해 고정된후 2개 또는 4개의 도전 요소를 갖는 구성보다 양호하게 균형을 이룬 압력을 확보하기 때문이다.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는 도전성 금속판을 절단하여 얻은 편평한 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이들 스트립은 가요성 텅의 형태이다.
각각의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는 그것의 전방부와 말단부 형태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갖는다. 중간부는 박스(70)의 바닥부(72)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중간부는 박스(70)의 바닥부(72)와 일체로 성형된 재료(78)의 피프(pip)가 관통하는 구멍(참조 부호로 표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3개의 피프(78)는, 케이블의 하우징당 1개의 피프의 비율로, 3개의 도전 요소(20 내지 22)를 통과하도록, 본원에서는 오자이브(ogive) 형상인, 관통-형상 선단부를 갖는 핀의 형태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70)가 커버(80)에 의해 폐쇄되기 전에,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의 위치설정을 위한 수단을 구성하여, 박스(70)는 그것의 분리 칸막이(77)와 그것의 림(73)과 함께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박스를 구성한다.
커버(80)는 그것의 바닥부(82)의 하면으로부터 성형에 의해 융기된 3개의 돌출 소켓(88)을 갖는다. 소켓(88)은 각각이 피프(78)용 리셉터클로 기능하도록 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5)상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피프(78)는 여기에서 바닥부(82)에 의해 폐쇄된 소켓(88)내로 간극을 갖고 관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각의 제 1 베어링 표면(23 내지 25)은 비임과 같이 굴곡될 수 있는데, 이는 그것이 오리피스(71)내로 관통할 수 있고, 각각의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의 중간부가 박스(70)의 바닥부(72)와,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를 위한 일종의 상승 저지 수단을 구성하는 소켓(88) 사이에 샌드위치되기 때문이다.
물론, 커버(80)의 상승 저지 수단(88) 및 박스(70)의 위치설정 수단(78)은 또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는, 그것의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내에, 박스(70)로부터 융기한 돌출부가 관통하는 노치를 측방향에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설정 수단은 2개의 측방향 돌출부로 구성되는 한편, 상승 저지 수단은 커버(80)로부터 융기한 견고한 돌출부로 구성되며, 박스(70)의 측방향 돌출부 사이로 연장한다. 양쪽의 경우에 있어서, 상승 저지 수단은 커버(80)로부터 융기한 단부 중단부로 구성된다. 커버는 성형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박스와 커버의 모든 형상은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얻어진다.
후방을 향해 감소하는 높이를 갖는 강화 리브(79, 89)를 각각 갖는 바닥부(72, 82)의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기 위해서 이것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리브(79, 89)중 적어도 일부는 조립 축(A-A)을 따라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스커트(91, 101)에 연결된다. 이들 스커트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커버(80)의 상측 스커트(101)는 본원에서는 너트(64)와 그것의 와셔(65)인 조립 수단의 단부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의 경계를 정한다. 이 공동은 외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으며, 조립 수단(60)의 스크류(63)에 의해 상술한 방법으로 횡단되도록 되어 있는 구멍을 갖춘 바닥부를 갖는다. 공동의 바닥부는 바닥부(82)에 속하며, 따라서 커버(80)의 상면에 속한다.
박스의 스커트(91)는 본원에서는 원형인 오리피스(71)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따라서 스커트(91)는 오리피스(71)를 내부 축방향 하방으로 연장시킨다.
이 스커트(91)는 반동 영역(53 내지 55)을 위한 리셉터클의 역할을 하며, 따라서 그것의 상면 영역내의 베어링 표면(33 내지 35)을 지지하는 중공형 돌출부(50)를 위한 리셉터클의 역할을 한다.
돌출부(50)의 외연 스커트의 외경은, 끼워맞춤 간극을 포함하여, 스커트(91)의 내경과 동일하여, 기밀한 장착이 이루어진다.
제 1 소조립체는 두께가 얇으며, 제어 시스템이 이 위치에 끼워맞춤되지 않은 경우 회전 전기 기기의 후부에 용이하게 수납된다.
제 1 소조립체(15)는 이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반경방향 공간을 점유한다.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의 단순성은 저비용 및 말단부(123 내지 125)에 의한 케이블과의 전기 연결의 신뢰성의 관점에서 중요성이 인정될 것이다.
후방을 제외한 제 1 도전 요소의 편평한 형상은 이들 도전 요소를 전방에서 굴곡시키기 위해 스트립 형상으로 하여, 그들이 제 2 베어링 표면과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커버(80)는 2개의 재료일 수 있으며, 금속재의 상부에 오버몰딩되는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된 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박스는 2개의 재료일 수 있으며, 금속재 하부에 오버몰딩되는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되는 상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 스커트(101)를 갖건 갖지 않건 간에 압력 영역은 예를 들어 오버몰딩, 접합, 클립핑(클릭킹), 또는 예를 들어 초음파 또는 레이저 타입의 용접에 의해, 모든 경우에 압력 영역을 지지하는 커버의 나머지 부분상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박스 및 커버는 경제성의 이유로 섬유에 의해 보강되지 않으며, 변형예에서는 보강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에 있어서, 스커트(91)와 오리피스(71)를 갖는 케이싱(18)은 제 1 도전 요소상에 오버몰딩함으로써 제조되며, 그것의 제 1 베어링 표면은 오리피스(71)의 영역내에서 볼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압력 영역은 상술한 방법(오버몰딩, 클립핑, 접합, 용접 등)으로 케이싱상에 부착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케이싱은 압력 영역을 지지한다.
물론, 커버는 내크리프성 압력 영역을 구비하며, 크리프에 보다 약한 재료로 제조되고 섬유에 의해 보강된 나머지 부분을 갖는다. 변형예에 있어서, 이 압력 영역은 그 단부에 하나 이상의 층, 보다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어 매우 단단한 피막이 구비된다. 본원에서 압력 영역은 오리피스(7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그리하여 베어링 표면(23 내지 25)이 오리피스(71)내로 관통할 수 있다. 본원에서 그것의 외경은 돌출부(50)의 외경과 동일하며, 변형예에 있어서 그것은 둘출부의 외경보다 작다.
칸막이(77, 87)의 중간부는 그 후방부가 말단부(123 내지 125)를 유지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물론, 바닥부(72, 82)에 모두 수직인 피프(78)와 소켓(88)의 칸막이(77, 87)의 높이는, 림(73, 83)이 서로 접촉할 수 있는 높이이다.
스커트(91)는 돌출부(50)를 가이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리하여 반동 영역을 가이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조립시에, 조립 수단(60)의 사용에 의해 베어링 표면(23 내지 25)은 압력 영역에 의해 (따라서 그것을 구성하는 커버의 돌출부에 의해) 가압되고 굴곡되어 원통형 스커트(91)에 의해 연장되는 오리피스(71)내에 결합된다.
조립후에, 베어링 표면(23 내지 25)은 응력을 받으며, 제 2 베어링 표면(33 내지 35)의 형상과 들어맞는다. 이는 평면도와 제조 공차에 있어서의 결점을 극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베어링 표면(23 내지 25)의 굴곡 운동이 2개의 소조립체(15, 16)의 조립동안 발생한다. 박스(70)는 조립 수단에 의해 발생된 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변형예에 있어서, 압력 영역 및 반동 영역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일 수 있으며, 그리하여 오리피스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오리피스, 압력 영역 및 반동 영역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을 고려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압력 영역 및 반동 영역(및 그에 따른 돌출부)은 오리피스(71)보다 작거나 또는 그와 동일한 크기와 단면을 갖는다.
지지부(17)를 갖는 제 2 소조립체(16)는 프랑스 특허 제 FR-A-2 806 224 호에 개시된 타입의 교류발전기/스타터에 장착되기에 적합하다. 보다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지지부가 후방 베어링상에 장착되는 제 2 조립체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정과 함께 후방 베어링상에 고정을 위한 직사각형 구멍을 갖는 러그를 갖는 센서 홀더를 도시하는 본원의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 이 후방 베어링은 로터와 후방 베어링 사이에 박힌 목표 홀더와 일체인 자기 목표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다.
이 후방 베어링은, 예를 들어 스크류 또는 지지봉을 사용함으로써 전방 베어링과 일체가 되며, 풀리가 고정된 로터의 샤프트의 전방 단부의 중심을 볼 베어링으로 지지해서,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구동 샤프트에 적어도 하나의 벨트를 포함한 전달 장치에 의해 연결된다.
베어링은 냉각 공기의 순환을 위해 구멍이 뚫려 있으며, 냉각 공기는 로터의 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 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다. 베어링은 중공 형상을 가지며, 볼 베어링에 의해 로터를 지지하는 샤프트의 중심을 지지하며, 그 외주부에서 스테이터의 본체를 지지한다.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한 이들 베어링 은 접지를 제공하며, 자동차의 고정부상에 고정 및 조정을 위한 러그를 갖는다. 변형예에 있어서, 교류발전기/스타터는 수냉되며, 그리하여 베어링은 보통 자동차의 엔진으로부터의 냉각수인 냉각액의 순환을 위한 챔버가 구비된다.
이 때 제 2 소조립체는 브러시 홀더를 또한 지지하는 지지부와 일체가 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기계와, 제어 및 조작 유닛이 또한 구비된 제어 및 모니터링 모듈을 구비한 전자장치 박스 사이의 접속을 위한 장치에 속한다.
이 때 기계는 전환이 가능하며, 차량의 스타터를 위한 전기-모터 모드와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과 차량의 전력 소모 유닛에의 전기 공급을 위한 교류발전기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상술한 문헌들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42V의 전압에서 작동하는 회전 전기 기기에 적합하다.

Claims (18)

  1. 제 1 베어링 표면(23, 24, 25)을 각각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제 1 도전 요소(20, 21, 22)를 포함하는 제 1 소조립체(15)와, 제 2 베어링 표면(33, 34, 35)을 각각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제 2 도전 요소(30, 31, 32)를 포함하는 제 2 소조립체(16) 사이에 전기 접속을 형성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베어링 표면(23, 24, 25)은 그들의 면중 하나를 거쳐 상기 제 2 베어링 표면(33, 34, 35)과 전기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그들의 다른 면을 거쳐 상기 제 1 소조립체(15)에 속하는 압력 영역(43, 44, 45)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 2 베어링 표면(33, 34, 35)의 다른 면은 상기 제 2 요소(30, 31, 32)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소조립체(16)가 구비하는 지지부(17)에 속하는 반동 영역(53, 54, 55)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영역(43, 44, 45)과 상기 반동 영역(53, 54, 55) 사이에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 표면(23, 24, 25; 33, 34, 35)을 클램핑하고 상기 베어링 표면상에 접촉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압력 영역(43, 44, 45)과 상기 반동 영역(53, 54, 55) 사이에 조립 수단(60)이 작용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조립체(15)는 상기 제 1 도전 요소(20, 21, 22)의 위치설정과 유연한 장착을 위한 케이싱(18)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18)은 한편으로는 상기 압력 영역(43, 44, 45)을 지지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 1 베어링 표면(23, 24, 25)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오리피스(71)를 상기 압력 영역(43, 44, 45)에 대향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8)은 한편으로는 상기 제 1 도전 요소(20, 21, 22)의 위치설정을 위한 박스(70)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압력 영역(43, 44, 45)을 지지하는 압력 커버(8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상기 박스(70)는 상기 제 1 베어링 표면(23, 24, 25)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오리피스(71)를 상기 압력 영역(43, 44, 45)에 대향하여 구비하며, 고정 수단(74, 84)은 상기 박스(70)와 상기 커버(80) 사이에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0), 상기 박스(70) 및 상기 지지부(17)는 성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며, 전기 절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70)는 상기 커버(80)의 재료보다 내크리프성(creep-resistant)이 약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영역(43, 44, 35) 및 상기 반동 영역(53, 54, 55)은 전기 절연성이며 내크리프성인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동 영역(53, 54, 55)은 단면이 상기 케이싱(18)의 상기 오리피스(71)의 단면보다 작거나 동일한 크기인 돌출부(50)로 구성되며, 상기 압력 영역(43, 44, 45)은 상기 케이싱(18)으로부터 융기하여 상기 오리피스(71)를 향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동 영역은 상기 제 2 베어링 표면(33, 34, 35)을 서로 분리하기 위한 절연 칸막이(56, 57, 58)를 돌출부에 갖는 한편, 상기 압력 영역(43, 44, 45)은 반경방향 배향의 슬롯(46, 47, 48)에 의해 섹터(43, 44, 45)로 분리되며, 상기 슬롯(46, 47, 48)의 폭은 상기 절연 칸막이(56, 57, 58)의 두께에 맞추어져 절연 칸막이(56, 57, 58)가 상기 슬롯(46, 47, 48)내로 관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동 영역(53, 54, 55)의 외주부는 원통형이며, 상기 케이싱(18)이 갖는 원통형 스커트(91)내로 관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커트(91)는 원형 형상의 상기 오리피스(71)를 내부로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수단(60)은 상기 케이싱(18)에 지지되는 숄더형 부분(61, 64)과, 상기 압력 영역(43 내지 45)과 상기 반동 영역(53 내지 55) 및 상기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70)는 상기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를 위한 위치설정 수단(78)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80)는 상기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8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70)는, 위치설정 수단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피프(pip)(78)가 구비된 바닥부(72)를 가지며, 각각의 피프는 제 1 도전 요소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제 1 도전 요소의 구멍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피프(78)에 의해 각각 관통되는 돌출 소켓(88)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는 바닥부(8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는 조립 축을 구성하는 조립 수단의 축선에 수직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1 도전 요소는 전방에 제 1 베어링 표면(23 내지 25)을, 후방에 전기 케이블(120 내지 122)로의 조립을 위한 말단부(123 내지 125)를 각각 갖는 금속 스트립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3개의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 및 3개의 제 2 도전 요소(23 내지 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70)는 상기 제 1 도전 요소(20 내지 22)를 위한 분리 칸막이(7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0) 및 상기 박스(70)는 중공 형상을 갖고, 바닥부(72, 82)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는 이 바닥부에 수직인 외연 림(peripheral rim)(73, 8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커버(80) 및 박스(70)의 림중 하나로부터 융기하고, 클립핑(clipping)에 의해 상기 박스(70) 및 상기 커버(80)의 다른 림으로부터 융기한 돌출부(84)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중공형 돌출 러그(7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림(73, 83)은 전방에서 원형 구멍 형상인 상기 박스(70)의 상기 오리피스(71)의 근방에 둥근 형상을 가지며, 후방에서 상보적으로 전기 케이블(120 내지 122)을 위한 유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0) 및 상기 박스(70)는 강화 리브(stiffening rib)(89, 79)와, 상기 조립 수단(60)의 단부 및 상기 반동 영역(53 내지 55)의 단부 중 하나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환형 스커트(101, 91)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삭제
KR1020027012538A 2001-01-24 2002-01-16 커넥터 KR100876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00931 2001-01-24
FR0100931A FR2819943B1 (fr) 2001-01-24 2001-01-24 Connecteur electrique a contacts multiples
PCT/FR2002/000158 WO2002060038A1 (fr) 2001-01-24 2002-01-16 Connecteur electrique a contacts multiples et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portant un tel connec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220A KR20020090220A (ko) 2002-11-30
KR100876511B1 true KR100876511B1 (ko) 2008-12-31

Family

ID=885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538A KR100876511B1 (ko) 2001-01-24 2002-01-16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92278B2 (ko)
EP (1) EP1269604B1 (ko)
JP (1) JP4041401B2 (ko)
KR (1) KR100876511B1 (ko)
FR (1) FR2819943B1 (ko)
MX (1) MXPA02009397A (ko)
WO (1) WO20020600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1154A1 (de) * 2002-03-14 2003-09-25 Bosch Gmbh Robert Anschlußvorrichtung zur Kontaktierung von elektrischen Maschinen, elektrische Maschine mit Anschlußvorrichtung sowie Starter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mit einer eine Anschlußvorrichtung aufweisenden elektrischen Maschine
FR2849548B1 (fr) * 2002-10-25 2007-09-28 Valeo Equip Electr Moteur Capot de protection destine a etre monte sur le palier arriere d'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alternateur et alterno-demarreur comportant un tel capot
US20040171288A1 (en) * 2003-02-28 2004-09-0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Apparatus, articles of manufacture and method for a wire dress cover assembly
FR2865981B1 (fr) * 2004-02-06 2006-04-21 Valeo Systemes Dessuyage Moto-reducteur notamment pour mecanisme d'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FR2883665B1 (fr) * 2005-03-25 2007-06-15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positif d'alimentation electr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86505B1 (fr) 2005-05-31 2007-07-06 Valeo Equip Electr Moteur Assemblage de composants electroniques po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FR2886482B1 (fr) 2005-05-31 2011-03-25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sipateur pour composants electroniques d'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FR2886477B1 (fr) * 2005-05-31 2007-07-06 Valeo Equip Electr Moteur Piece d'interconnexion de signal po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FR2886476B1 (fr) 2005-05-31 2007-07-06 Valeo Equip Electr Moteur Piece d'interconnexion de puissance po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FR2886506B1 (fr) 2005-05-31 2011-02-25 Valeo Equip Electr Moteur Module electronique po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JP4404920B2 (ja) * 2007-08-10 2010-0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構造およびコネクタ接続方法ならびに車両
JP5468938B2 (ja) * 2010-03-03 2014-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コネクタの電線保護構造
FR2977384B1 (fr) * 2011-06-28 2013-08-02 App Mat Elect Const Connecteur pour relier l'un a l'autre deux cables electriques
WO2014179317A1 (en) 2013-04-29 2014-11-06 Smiths Medical Asd, Inc. Rotatable electrical connectors
US9225220B2 (en) * 2013-07-02 2015-12-2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Integrated gas turbine engine accessories
JP7164568B2 (ja) * 2020-07-28 2022-11-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3945661A1 (en) * 2020-07-30 2022-02-02 Valeo Siemens eAutomotive Germany GmbH Electric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8755A (en) 1979-10-06 1981-05-21 Bosch Gmbh Robert Brush holder for electric machine
US5924897A (en) 1996-10-16 1999-07-20 Valeo Equipment Electriques Moteur Device for mechanically assembl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ogether two subassemblies of an alternator,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982A (en) * 1887-03-22 Coupling for electric conductors
ES8205086A2 (es) * 1979-10-06 1982-05-16 Bosch Gmbh Robert Perfeccionamientos en reguladores de tension para generado- res
US5145417A (en) * 1990-04-02 1992-09-08 Emerson Electric Co. Terminal block assembly for hermetic terminal structure
IT223164Z2 (it) * 1991-03-26 1995-06-13 Fiat Auto Spa Dispositivo per facilitare e proteggere il collegamento fra cavi con- duttori e relativi terminali di connessione di apparecchiature elettriche, particolarmente dell'elettromagnete di un motore di avviamento per autoveicoli.
US5199898A (en) * 1991-09-23 1993-04-06 Tecumseh Products Company External terminal shield
US5439759A (en) * 1994-11-04 1995-08-08 Yazaki Corporation Cover for battery cable terminal
EP0813268A1 (en) * 1996-06-10 1997-12-17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Interlocking terminal conn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8755A (en) 1979-10-06 1981-05-21 Bosch Gmbh Robert Brush holder for electric machine
US5924897A (en) 1996-10-16 1999-07-20 Valeo Equipment Electriques Moteur Device for mechanically assembl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ogether two subassemblies of an alternator,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220A (ko) 2002-11-30
FR2819943A1 (fr) 2002-07-26
FR2819943B1 (fr) 2003-02-28
JP4041401B2 (ja) 2008-01-30
MXPA02009397A (es) 2003-02-12
US20030109149A1 (en) 2003-06-12
WO2002060038A1 (fr) 2002-08-01
EP1269604B1 (fr) 2011-11-16
JP2004517460A (ja) 2004-06-10
US6692278B2 (en) 2004-02-17
EP1269604A1 (fr) 200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511B1 (ko) 커넥터
EP0649213B1 (en) Electric rotating machine
EP0142237B1 (en) Components for electric motors
US8450891B2 (en) Device for rectifying current of electric rotary machine and rotary electric machine including such device
KR100893657B1 (ko) 회전 전기 기계
US6091172A (en) Coil connecting structure in outer rotor-type multi-pole generator
CN102549891B (zh) 用于旋转电机的整流装置,特别是用于机动车辆的交流发电机,以及包括这种装置的旋转电机
JP4180385B2 (ja) 回転電気機器
RU2390084C2 (ru) Концевой диск статора коллекторного двигателя и коллекторный двигатель с таким диском
KR20110033120A (ko) 브러쉬 홀더 및, 브러쉬 홀더를 적용한 자동차용 시동기의 제조
US8362664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4619124B2 (ja) 回転電気機器の後部ベアリングプレートに取り付けられるようになっている保護カバープレート、およびかかるカバープレートを含むオルタネータ、ならびにオルタネータ兼スタータ
CN102549888B (zh) 具有保护盖的多相旋转电机,特别是机动车辆交流发动机
US20220393544A1 (en) Electric work machine
EP0244134B1 (en) Cooling in electric motors
US4468580A (en) AC Generator directly coupled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580187B2 (en) Rectifier assembly for an air-cooled generator
US6906437B2 (en) Current rectifier assembly for rotating electrical machines, in particular motor vehicle alternators
JP2623438B2 (ja) コイル線材とリード線の接続構造
KR20180042686A (ko)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7816835B2 (en) Tandem AC generator for vehicle and method of producing brush assembly thereof
US10862364B2 (en) Connection plate for an electric machine
KR200382537Y1 (ko) 보빈어셈블리및이것을이용한전자석클러치
JP2692125B2 (ja) 回転電機のブラシホルダ組付け構造
CN117882274A (zh) 机动车的电气式的风扇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