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637B1 -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637B1
KR100875637B1 KR1020070116403A KR20070116403A KR100875637B1 KR 100875637 B1 KR100875637 B1 KR 100875637B1 KR 1020070116403 A KR1020070116403 A KR 1020070116403A KR 20070116403 A KR20070116403 A KR 20070116403A KR 100875637 B1 KR100875637 B1 KR 100875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push button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호
조용범
Original Assignee
모바일 어플라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바일 어플라이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바일 어플라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88Apparatus made of several modules independent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기기(10)의 후면을 접속·지지가능한 외면프레임(110)과, 다른 부속부재의 삽입설치가 가능한 설치공간부(120)를 가지는 본체부(100); 상기 기기(10)의 저면을 받쳐 지지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기받침부(200);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함께 상기 기기(10)를 상하방으로 가압접속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기기(10)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젖힘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누름버튼부(300); 상기 본체부의 설치공간부(120)상에 설치되며, 일측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원주형상으로 상기 누름버튼부(300)에 결합되고, 말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탄성지지부(400); 및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말단부가 일부 수용되거나 끼워진 상태로 가압접속될 수 있는 다수의 오목형 받침면(510)과, 상기 오목형 받침면(510) 사이에 상대적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턱(520)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의 설치공간부(120)상에 설치되는 요철받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사용자가 기기의 탈착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탈착조정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디자인 외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부 구성요소의 변경을 통하여 적용가능한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차량 거치대 크래들 스프링 요철

Description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Support equipment for car that is easy to separate and attach equipment}
본 발명은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PDA·각종 모니터·GPS 등을 차량 내부에 탑재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기기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PMP, GPS 등은 차량 내외부에서 광범위하게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는 차량 내외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기기를 수시로 거치대에 탈착하게 되는데, 탈착을 하는 과정에서 기기를 떨어뜨리거나 흠집을 내거나, 자칫 무리하게 가압하여 거치대와의 접속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거치대는 크게 상측이나 측면측에서 단말기를 끼우는 방식과, 전면에서 탈착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기기를 끼우는 방식은 탈부착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여 거치대의 위치 선정에도 제한이 따르고 고가의 기기에 흠집을 내기 쉽다는 단점이 있으며, 탈착하는 방식은 탈착시 양 손을 다 사용해야 하며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LOCK 장치가 약간의 무리한 가압력에 의해서도 파손되 기 쉽고, 탈착시 단말기를 떨어뜨리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다.
기기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수의 거치대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거치대 중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659389호의 다용도 거치대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흡착판을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시키는 부착수단(10), 홀더프레임을 상하로 승강작동시키는 높낮이조절수단(20), 아암이 체결구를 중심으로 상하로 승강작동하는 상하각도조절수단(30), 조인트프레임이 좌우로 방향전환 작동을 수행하는 좌우방향전환수단(40), 조인트플레이트(51)와 홀더마운트(54)가 회전작동하는 회전수단(5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상기 종래기술은 돌기(62)의 돌출 및 삽입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스톱퍼를 누름작동시킴으로써 기기의 부착견고성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기기의 장착이 이루어지는 홀더마운트(54)상에 고리(54a)를 구비하여 기기를 걸어 부착시키는 기본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보지 못하는 위치에서 기기의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부착시킬시 기기가 완전히 거치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 외에 조임볼트를 이용하여 기기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가 있으나, 조임볼트의 사용이 가능한 별도의 조임판을 추가로 구비하여야 하며, 조임볼트를 구비함에 따라 깔끔한 미관을 형성하는 디자인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기기의 탈착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탈착조정시킬 수 있으며, 디자인 외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부 구성요소의 변경을 통하여 적용가능한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기기(10)의 후면을 접속·지지가능한 외면프레임(110)과, 다른 부속부재의 삽입설치가 가능한 설치공간부(120)를 가지는 본체부(100); 상기 기기(10)의 저면을 받쳐 지지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기받침부(200);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함께 상기 기기(10)를 상하방으로 가압접속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기기(10)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젖힘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누름버튼부(300); 상기 본체부의 설치공간부(120)상에 설치되며, 일측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원주형상으로 상기 누름버튼부(300)에 결합되고, 말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탄성지지부(400); 및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말단부가 일부 수용되거나 끼워진 상태로 가압접속될 수 있는 다수의 오목형 받침면(510)과, 상기 오목형 받침면(510) 사이에 상대적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턱(520)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의 설치공간부(120)상에 설치되는 요철받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 치대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누름버튼부(300)에는, 상기 기기(10)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부상에, 중앙부가 오목한 표면형상을 가지는 접속돌기(2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부(300)는, 상기 기기(10)에 가압접속되도록 상기 기기(10)의 직상방에 설치되는 기기가압구(310); 누르거나 들어올리는 동작 또는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기기가압구(310)를 쉽게 젖힘이동시키도록 상기 기기가압구(310)에 결합되는 이동보조구(320); 상기 기기가압구(310)와 이동보조구(320) 사이에서 상기 본체부(100)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구(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부(300)는, 상기 기기가압구(310)와 이동보조구(320)가 일정한 상대각도를 이루며 상측으로 꺾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400)는, 내부가 비고 일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연장몸체(410); 상기 연장몸체(410)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탄성스프링(420); 및 상기 연장몸체(410)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탄성스프링(42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연장몸체(410) 내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접속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말단부는, 상기 요철받침부(500)와의 접속부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받침부의 오목형 받침면(510)과 걸림턱(520)은, W형상의 연 속된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기기의 양단부에 각각 가압접속되는 누름버튼부와 기기받침부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기기를 착탈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전환가능하여, 사용자가 기기와 누름버튼부 및 기기받침부와의 접속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탈착조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름버튼부를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누름버튼부로부터 손가락을 이탈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누름버튼부와 기기받침부간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조정시킬 수 있으며, 누름버튼부를 조작하는 않는 다른 손으로는 기기를 잡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단말기를 떨어뜨리지 않고 안정되게 사용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 내부에 탄성지지부와 요철받침부를 소형사이즈로 삽입설치가능하여, 본체부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현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디자인에 그대로 적용함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외부구조물 없이 디자인 외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적용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체부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며, 도 4는 본체부와 요철받침부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고, 도 5는 누름버튼부와 기기가압구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며, 도 6은 기기를 착탈시키기 위해 누름버튼부를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는, 크게 본체부(100), 기기받침부(200), 누름버튼부(300), 탄성지지부(400), 요철받침부(5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0), 기기받침부(200), 누름버튼부(300)는 기기(10)의 후면, 저면, 상면에 각각 접속가능한 접속면을 제공하고, 상기 누름버튼부(300)는 상기 탄성지지부(400)에 의해 상기 요철받침부(500)로부터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젖힘작동에 의해 상기 기기받침부(200)와의 이격거리가 조정되는 작동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체부(100)는 기기(10)의 후면을 접속·지지가능한 접속면을 제공하며,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함께 본 발명의 외관디자인을 주요하게 형성하게 되는 외면프레임(110)과, 상기 누름버튼부(300)의 일부, 탄성지지부(400), 요철받침부(500)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삽입설치가능한 설치공간부(120)를 제공한다.
상기 기기받침부(200)는 상기 기기(10)의 저면을 받쳐 지지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본 발명에서 상기 기기받침부(200)가 하부에 결합된다고 기재하고 있는 것은 상기 기기(10)를 기준으로 상기 누름버튼부(300)와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가 이루어짐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기재한 것이지,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누름버튼부(300)가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상부에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누름버튼부(300)는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함께 상기 기기(10)를 상하 방으로 가압접속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기기가압구(310), 이동보조구(320), 힌지결합구(330)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기(10)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기기가압구(310)가 상기 이동보조구(320)의 가압상태에 따라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젖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결합구(330)가 상기 본체부(100)상에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기기가압구(310)는 상기 기기(10)의 상단에 직접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부분으로, 상기 기기(10)에 가압접속되도록 상기 기기(10)의 직상방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보조구(320)는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들어올리는 동작 또는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기기가압구(310)를 쉽게 젖힘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기기가압구(310)로부터 연장되는 형상으로 상기 기기가압구(310)에 결합된다.
상기 힌지결합구(330)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보조구(320)에 가압력을 가하여 위치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기기가압구(310)를 상기 기기받침부(200)와의 이격거리가 조정되게 연동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기기가압구(310)와 이동보조구(320) 사이에서 상기 본체부(100)에 힌지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기기가압구(310)와 이동보조구(320)는 상기 기기(10)의 상측과 상기 기기(10)의 후방측에서 일체로 연결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사용자가 상기 기기(10)(및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전방위치에서 상기 기기(10)의 상측으로 손을 뻗은 상태로 하향가압을 가하거나 들어올리는 가압력을 가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이동보조구(320)가 상기 기기가압구(310)와 일정한 상대각도를 이루며 상측으로 꺾인 형상을 가진다.
상기 누름버튼부(300)를 상기 본체부(100)에 힌지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의 설치공간부(120)를 상기 본체부의 외부프레임(110)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힌지결합구(330)를 상기 설치공간부(120)상에 도입시켜 힌지결합하며, 상기 힌지결합구(330)가 상기 외부프레임(110)을 내외측으로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틈새를 가릴 수 있는 형상과 면적을 가지도록 상기 기기가압구(310)와 이동보조구(320)를 형성하여, 깔끔한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100)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누름버튼부(300)는 상기 기기(10)에 직접 가압접속된 상태로 상기 기기(10)를 정위치 고정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기기(10)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부상에, 중앙부가 오목한 표면형상을 가지는 접속돌기(250)를 형성하면, 상대적으로 돌출형성되는 상기 접속돌기(250)의 돌출부가 보다 명확하게 상기 기기(10)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될 뿐 아니라, 상기 기기(10)의 오목한 부분 외측으로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경사면 또는 걸림턱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탄성지지부(40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누름버튼부(300)와 요철받침부(500)(이하 설명)에 각각 접속된 상태로 상기 누름버튼부(3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구성요소로, 일측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원주형상으로 상기 누름버튼부(300)에 결합되는 연장몸체(410)와, 상기 연장몸체(410)의 말단부에서 탄성스프링(4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접속부재(430)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의 설치공간부(120)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몸체(410)는 내부가 비고 일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스프링(420)은 상기 연장몸체(4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신축방향을 가지도록 상기 연장몸체(410) 내부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접속부재(430)는 상기 연장몸체(410)에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스프링(420)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연장몸체(410)의 길이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연장몸체(410) 내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유동된다.
상기 요철받침부(500)는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말단부를 정위치에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는 다수의 안착지점을 제공하는 오목형 받침면(510)과,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말단부가 미끄럼이동에 의해 다수의 오목형 받침면(510)간을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걸림턱(520)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의 설치공간부(120)상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오목형 받침면(510)은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말단부가 일부 수용되거나 끼워진 상태로 가압접속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으로 다수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턱(520)은 상기 오목형 받침면(5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오목형 받침면(510)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요철받침부(500)는, 상기 누름버튼부의 기기가압구(310)와 이동보조구(320)가 상기 힌지결합구(33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기기(10)를 가압시킬 수 있는 지점(또는 각도), 상기 기기(10)를 이탈시킬 수 있는 지점에서 각각 안정되게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오목형 받침면(510)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형 받침면(510) 사이에는 상기 걸림턱(520)이 곡면을 이루며 연속형성되어, 전체적으로 W형상의 접속면을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요철받침부(500)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오목형 받침면(510)과 걸림턱(520)이 제공하는 연속된 접속면에 가압접속된 상태로 미끄럼이동에 의해 위치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말단부는, 상기 요철받침부(500)와의 접속부를 반구형상으로 형성시켜 상기 요철받침부(500)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원활하게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기(10)를 양손을 이용하여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누름버튼부(300)사이에 무리하게 끼우거나 빼어낼 필요없이, 상기 누름버튼부(300)를 조작하는 않는 손으로 상기 기기(10)를 잡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부(300)를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부(300)로부터 손가락을 이탈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누름버튼부(300)간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조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기(10)의 양단부에 각각 가압접속되는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누름버튼부(300)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기기(10)를 착탈조정시킬 수 있는 작동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누름버튼부(300)를 상기 기기(10)에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면 사용자가 상기 기기(10)와 기기받침부(200) 및 누름버튼부(300)간의 접속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탈착조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400)와 요철받침부(500)를 얇고 컴팩트한 사이즈를 가지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삽입설치가능할 정도로 소형사이즈로 제작가능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디자인에 그대로 적용함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외부구조물 없이 디자인 외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누름버튼부(300), 탄성지지부(400), 요철받침부(5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다용도 거치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본체부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4 - 본체부와 요철받침부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5 - 누름버튼부와 기기가압구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6 - 기기를 착탈시키기 위해 누름버튼부를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 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기기 110 : 외면프레임
120 : 설치공간부 100 : 본체부
200 : 기기받침부 250 : 접속돌기
300 : 누름버튼부 310 : 기기가압구
320 : 이동보조구 330 : 힌지결합구
400 : 탄성지지부 410 : 연장몸체
420 : 탄성스프링 430 : 접속부재
500 : 요철받침부 510 : 오목형 받침면
520 : 걸림턱

Claims (7)

  1. 기기(10)의 후면을 접속·지지가능한 외면프레임(110)과, 다른 부속부재의 삽입설치가 가능한 설치공간부(120)를 가지는 본체부(100);
    상기 기기(10)의 저면을 받쳐 지지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기받침부(200);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함께 상기 기기(10)를 상하방으로 가압접속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기기(10)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젖힘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누름버튼부(300);
    상기 본체부의 설치공간부(120)상에 설치되며, 일측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원주형상으로 상기 누름버튼부(300)에 결합되고, 말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탄성지지부(400); 및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말단부가 일부 수용되거나 끼워진 상태로 가압접속될 수 있는 다수의 오목형 받침면(510)과, 상기 오목형 받침면(510) 사이에 상대적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턱(520)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의 설치공간부(120)상에 설치되는 요철받침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받침부(200)와 누름버튼부(300)에는,
    상기 기기(10)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부상에, 중앙부가 오목한 표면형상을 가지는 접속돌기(25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부(300)는,
    상기 기기(10)에 가압접속되도록 상기 기기(10)의 직상방에 설치되는 기기가압구(310);
    누르거나 들어올리는 동작 또는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기기가압구(310)를 쉽게 젖힘이동시키도록 상기 기기가압구(310)에 결합되는 이동보조구(320); 및
    상기 기기가압구(310)와 이동보조구(320) 사이에서 상기 본체부(100)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구(3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부(300)는,
    상기 기기가압구(310)와 이동보조구(320)가 일정한 상대각도를 이루며 상측으로 꺾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400)는,
    내부가 비고 일단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연장몸체(410);
    상기 연장몸체(410)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탄성스프링(420); 및
    상기 연장몸체(410)에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탄성스프링(42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연장몸체(410) 내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접속부재(43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400)의 말단부는,
    상기 요철받침부(500)와의 접속부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받침부의 오목형 받침면(510)과 걸림턱(520)은,
    W형상의 연속된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KR1020070116403A 2007-11-15 2007-11-15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KR100875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403A KR100875637B1 (ko) 2007-11-15 2007-11-15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403A KR100875637B1 (ko) 2007-11-15 2007-11-15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637B1 true KR100875637B1 (ko) 2008-12-26

Family

ID=4037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403A KR100875637B1 (ko) 2007-11-15 2007-11-15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6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839B1 (ko) 2010-08-31 2012-11-07 재영웰릭스 주식회사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장치
KR20190029070A (ko) * 2017-09-11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거치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432333호 Y1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439553호 Y1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439553호Y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839B1 (ko) 2010-08-31 2012-11-07 재영웰릭스 주식회사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장치
KR20190029070A (ko) * 2017-09-11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거치 장치
KR102060154B1 (ko) * 2017-09-11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공기정화기의 거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22451A1 (en) Curtain Rod Assembly
RU2749341C2 (ru) Подставка мобиль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295482B1 (ko) 휴대기기 거치기구
US7441739B2 (en) Supporting device for supporting an article thereon
US7815155B2 (en) Suction device and supporting device having the same
US7658354B2 (en) Suction device and supporting device having the same
CN103637739B (zh) 快速松开的马桶座圈附接系统和方法
US20060237494A1 (en) Detachable belt clip interface mechanism for phone holsters and wireless phone holster assembly
US20230047301A1 (en) Wheelchair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90000017A1 (en) Hinge for toilet seat
CA2561288A1 (en) Releasable toilet seat assembly
KR20150134589A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0875637B1 (ko) 기기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거치대
WO2007111516A1 (en) Modular electronic device mounting system
KR20080106838A (ko) 탈착가능한 가압레버를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KR101847406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JP3828086B2 (ja) 車載画像表示装置用の取付け具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JP2006209043A (ja) 薄型テレビ装置
KR200432333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US6739474B1 (en) Garbage can for use in an automobile
KR100522957B1 (ko) Lcd 모니터의 스탠드 장치
CN220344006U (zh) 一种折叠椅
JP2006056514A (ja) 車載画像表示装置用の取付け具
CN213840337U (zh) 一种多功能折叠式支架及拍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