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453B1 -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453B1
KR100875453B1 KR1020070084611A KR20070084611A KR100875453B1 KR 100875453 B1 KR100875453 B1 KR 100875453B1 KR 1020070084611 A KR1020070084611 A KR 1020070084611A KR 20070084611 A KR20070084611 A KR 20070084611A KR 100875453 B1 KR100875453 B1 KR 10087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skylight
opening
fixe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정
Original Assignee
서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은정 filed Critical 서은정
Priority to KR102007008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용 천창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천창개폐부, 구동부 및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천창개폐부는 온실 내부의 고온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온실의 상측에 형성된 환기구를 개폐하도록 상하로 이송되는 천창, 이 천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봉 및 이들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 한 쌍의 지지봉이 상하이송되도록 상기 온실 상측에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관 및 이들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천창개폐부의 지지프레임이 상하로 이송되도록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온실 내부의 고온 공기를 빠른 속도로 배기시킬 수 있고, 열섬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온실 실내의 온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우천 시에도 환기구를 개방할 수 있다.
온실, 열섬현상, 천창개폐

Description

온실용 천창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skylight for greenhouse}
본 발명은 온실용 천창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실 내부의 고온 공기를 빠른 속도로 배기시킬 수 있고, 열섬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천 시 환기구를 개방하더라도 빗물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는 온실용 천창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사육이나 식물재배를 하기 위한 온실은 환기창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기창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자연대류를 이용한 환기로 온실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비닐온실의 개폐방식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연질 필름인 비닐(1)을 피복재로 사용하는 비닐온실은 감속모터(미도시)에 의해 저속회전되는 파이프 축(2)에 비닐(1)을 감아서 개폐하는 권취식 환기방식을 사용한다.
즉, 도 1의 (a)와 같이 천창이 폐쇄된 상태에서 온실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 여 가축사육이나 식물재배에 요구되는 적정온도보다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도 1의 (b)와 같이 파이프 축(2)에 비닐(1)을 권취하여 천창(3)을 개방시킴으로써 자연대류를 통해 온실 내부의 온도가 낮아져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축(2)에 비닐(1)을 감아서 개폐하는 권취식 환기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의 공기(A) 중 일부(A1)는 개방된 천창(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만, 나머지 일부(A2)는 천창(3)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온실 실내의 상부공간에 남게 되는 열섬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온실 내부의 온도는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없게 되며, 특히, 여름철과 같은 고온기의 경우에 가축사육이나 식물재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천창(3)이 개방된 상태에서 비가 내리면 온실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빗물로 인한 가축 또는 식물의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파이프 축(2)에 비닐(1)을 감아서 개폐하는 방식으로 장기간 사용하면, 파이프 축(2)이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편심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파이프 축(2)에 감기는 비닐(1)에 먼지나 이물질 등의 영향으로 편심량이 더 커져서 작동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온실 실내의 열섬현상을 방지하고, 우천 시에도 개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작동성이 양호한 온실용 천창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실 상측의 환기구를 개폐하도록 상하이송되는 천창과, 상기 환기구를 관통하여 상기 천창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하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천창개폐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하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천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지지봉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지지봉이 상하이송되도록 상기 온실 상측에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관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창이 상기 환기구를 폐쇄 시 상기 연결봉과 상기 연결관이 서로 당접하여 상기 천창의 하방이송이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봉과 교차되어 고정된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과 평행하도록 상기 고정봉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과, 일단이 상기 고정봉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봉에 권취가능하게 연결된 제1케이블과, 일 단이 상기 천창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봉에 권취가능하게 연결된 제2케이블 및 상기 회전봉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케이블이 상기 회전봉에 권취 시 상기 제2케이블은 상기 회전봉으로부터 권출되고, 상기 제1케이블이 상기 회전봉으로부터 권출 시 상기 제2케이블은 상기 회전봉에 권취된다.
한편, 상기 온실의 외측면으로 저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천창에 설치되는 분사파이프와, 상기 분사파이프의 일단부에 연결된 저온수 저장탱크 및 상기 저온수 저장탱크의 저온수를 상기 분사파이프에 고압으로 공급하는 워터펌프를 포함하는 온실냉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온수는 유색이고, 상기 온실냉각부는 상기 온실의 외측면으로 분사된 저온수를 상기 저온수 저장탱크로 복귀시키기 위한 회수관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온실 내부의 소정위치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온도값과 기설정된 기준온도값의 차이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천창을 상하이동시키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온실 내부의 고온 공기를 빠른 속도로 배기시킬 수 있고, 열섬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온실 실내의 온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다수의 천창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고, 구동축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개폐동작이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천 시 온실 상측의 환기구를 개방하더라도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우천 시의 과습이나 실내공기의 혼탁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고가의 기계식 환기시설에 비해 설치비가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작동성이 양호하다.
본 실시예의 온실용 천창개폐장치는 크게 천창개폐부(100), 구동부(200), 제어부(300) 및 온실냉각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천창개폐부(100)는 온실 상측의 환기구(10)를 개폐하도록 상하이동되는 천창(110)과, 환기구(10)를 관통하여 천창(110)에 고정된 지지프레임(120) 및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천창(110)이 상방으로 이동시 환기구(10)가 개방되어 환기가 가능하고, 천창(110)이 하방으로 이동시 환기구(10)가 폐쇄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 및 온실 내부 공기의 유출이 차단된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천창개폐부(100)의 지지프레임(120)을 상하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천창(110)이 상하이동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부(200)를 제어하며, 상기 온실냉각부(400)는 온실의 외측면으로 저온수를 분사하여 온실 내부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먼저, 천창개폐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천창개폐부(100)는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온실 상측에 형성된 환기구(10)를 개폐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하이동되는 천창(110), 환기구(10)를 관통하여 천창(110)에 고정된 지지프레임(120), 이 지지프레임(12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천창(1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환기구(10)의 상부에 위치되고, 환기구(10)의 형성방향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환기구(10)의 넓이보다 넓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천창(110)이 환기구(10)를 개방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비가 오는 경우에, 빗물이 환기구(10)를 통해 온실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천창(110)의 상면을 따라 흐른 후 온실 상부의 외측 양면을 따라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천창(110)은 다수의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위치된 한 쌍의 수평봉(112)과, 이 한 쌍의 수평봉(112) 사이마다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열고정된 다수의 가로봉(114)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수평봉(112)의 사이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중앙봉(116)이 배열되어 상기 다수의 가로봉(114)과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천창(1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설계변경하여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술한 천창(110)의 하면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창(110)을 이루는 가로봉(114)으로부터 하 방으로 연장되어 온실 상측의 환기구(10)를 관통하는 한 쌍의 지지봉(122)과, 이 한 쌍의 지지봉(12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124)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20)은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U"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은 상술한 한 쌍의 지지봉(122)의 상하이동이 안내되도록 각 지지봉(12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한 쌍의 가이드관(132)과, 이 한 쌍의 가이드관(13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관(134)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관(132)과 연결관(134)은 단면이 "ㄷ"자인 각관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120)의 지지봉(122)이 각관으로 이루어진 가이드관(132)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봉(122)이 가이드관(132)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게 됨에 따라서 지지봉(122)의 상단에 형성된 천창(110)도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천창(110)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환기구(10)가 개방되고, 천창(11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환기구(10)게 폐쇄된다.
이때, 천창(110) 및 지지봉(122)은 지지봉(12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124)과 가이드관(13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관(134)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정도, 즉, 하방 이동스트로크가 제한되는데, 상세하게, 천창(110)이 환기구(10)를 폐쇄 시 연결봉(124)의 하면이 연결관(134)의 상면에 당접하여 이동이 제한되어 천창(110) 및 지지봉(122)의 하방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처럼, 천창(110)이 환기구(10)를 폐쇄 시 천창(110) 및 지지봉(122)의 하방이동이 제한되는 구성에 따르면, 천창(110) 및 지지봉(122)이 갑자기 하방으로 이동 시 천창(110)과 맞닿는 온실 상측의 비닐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천창(110)이 환기구(10)를 폐쇄하는 동안 천창(110)의 무게로 인한 비닐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천창(110)과, 지지프레임(120) 및 가이드프레임(130)을 구성된 천창개폐부(100)에 의해서 온실의 상측에 형성된 환기구(10)를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우천 시에도 환기구(10)를 개방할 수 있으며, 천창(110)과 맞닿는 온실 상측의 비닐을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부(200)는 가이드프레임(130)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상하이동되는 지지프레임(120)을 상하로 구동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0)의 연결봉(124)과 교차되어 고정된 고정봉(210)과, 이 고정봉(210)과 평행하도록 상기 고정봉(2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된 회전봉(220)과, 일단이 고정봉(210)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봉(220)에 권취가능하게 연결된 제1케이블(230)과, 일단이 천창(110)의 일부분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봉(220)에 권취가능하게 연결된 제2케이블(240) 및 회전봉(220)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2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케이블(230)이 회전봉(220)에 권취 시에는 제2케이블(240)이 회전봉(220)으로부터 권출되고, 제1케이블(230)이 회전봉(220)으로부터 권출 시에는 제2케이블(240)이 회전봉(220)에 권취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봉(2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온실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위치된 다수의 지지프레임(120)의 연결봉(124)과 각각 교차되어 고정된다.
상기 회전봉(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210)과 평행하도록 고정봉(2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온실을 구성하는 온실프레임 상에서 베어링 등의 회전수단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다. 회전봉(220)의 일단부는 회전봉(220)을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50)의 구동축과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부에 대해서, 회전봉(2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제1케이블(230)이 회전봉(220)에 권취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모터(250)가 회전봉(2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케이블(230)이 회전봉(220)에 권취되어 지지프레임(120)의 연결봉(124)과 교차고정된 고정봉(210)은 상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고정봉(210)이 상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다수의 연결봉(124)이 상방으로 동시에 이동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지지봉(122)이 가이드관(132)상에서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방으로 이동된 지지봉(122)에 의해 천창(110)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환기구가 개방된다.
이때, 제2케이블(240)은 회전봉(220)으로부터 권출되어 천창(110)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회전구동되는 회전봉(220)은 제1케이블(230)과 제2케이블(24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봉(210), 회전봉(220), 제1케이블(230), 제2케이블(240) 및 구동모터(250)로 구성된 구동부(200)에 의해서 천창개폐부(100)의 천창(11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며, 이에 따라 천창(110)이 상방으로 이동 시 환기구(10)가 개방되고, 천창(110)이 하방으로 이동 시 환기구(10)가 개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300)는 천창(110)을 상하이동시키는 구동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구동부(200)의 구동모터(25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온실 내부의 소정위치에는 온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되며, 제어부(300)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온도값과 사용자가 미리 입력시킨 기준온도값의 차이에 따라서 구동모터(250)의 회전 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미리 입력시킨 기준온도값이 25℃이고,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온도값이 30℃이면, 기준온도값보다 감지온도값이 높으므로 온실 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구동모터(250)를 회전시켜 천창(110)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환기구를 개방시키며, 이때, 기준온도값보다 감지온도값의 차이에 따라 천창(110)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한다.
즉, 감지온도값이 기준온도값보다 높은 정도가 일정치를 초과하면 천창(110) 의 상방 이동 정도를 크게 하여 실내의 온도가 빠른 시간 내에 낮아지도록 하고, 감지온도값이 기준온도값보다 높은 정도가 일정치 이하이면 천창(110)의 상방 이동 정도를 작게 하여 실내의 온도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감지온도값이 기준온도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온실 실내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제어부(300)가 구동모터(250)를 회전시켜 천창(11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환기구(10)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온도센서를 통한 구동모터(250)의 제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따라 구동모터(250)를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에 의해서 온실 내부의 온도가 적절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구동부(2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유사 시에는 수동으로 구동모터(250)를 제어하여 환기구(1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온실냉각부(4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온실냉각부(400)는 온실 내부의 온도가 적정온도보다 과도하게 높을 시 저온수를 온실의 외측면에 분사하여 온실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의 외측면으로 저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수단(412)이 구비되어 천창(110)에 설치되는 분사파이프와, 분사파이프의 일단부에 연결된 저온수 저장탱크(420)와, 저온수 저장탱크(420)의 저온수를 상기 분사파이프에 고압으로 공급하는 워터펌프(430) 및 온실의 외측면으로 분사된 저온수를 저온수 저장탱크(420)로 복귀시키기 위한 회수관로(4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분사파이프는 천창(110)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대체하여 적용가능하고, 본 실시예는 천창(110)을 구성하는 수평봉(112)을 분사파이프로 대체하여 적용한 경우이며, 이하에서는, 수평봉(112)을 분사파이프로 대체한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분사파이프는 천창(110)을 구성하는 프레임으로 대체하지 않고 별도의 구성으로 결합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분사파이프(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봉에 해당, 이하, '수평봉'으로 통칭함)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저온수가 흐를 수 있으며, 이 수평봉(112)에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봉(112)의 내부로 흐르는 저온수를 분사하기 위해 분사방향이 온실의 외측면을 향하는 다수의 분사수단(412)이 구비된다.
한편, 수평봉(112)의 일단부는 저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저온수 저장탱크(420)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폐쇄되도록 형성되며, 저온수 저장탱크(420)에 저장된 저온수는 워터펌프(430)에 의해 수평봉(112)의 유로에 고압으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봉(112)의 유로로 공급된 고압의 저온수는 분사수단(412)을 통해 온실의 외측면으로 분사되며, 온실의 외측면의 분사된 저온수는 온실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온수는 유색, 특히 검은색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저온수가 온실의 외측면에 분사되면 차광효과가 발생되어 온실 내부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온실의 외측면으로 분사된 저온수는 온실의 외측면을 따라 흘러서 온실의 양 측 하단에 구비된 회수관로(440)로 모이게 되고, 회수관로(440)에 모여진 저온수는 저온수 저장탱크(420)로 복귀되어 다시 온실의 외측면으로 분사되기 위해 수평봉(112)으로 공급된다. 이때, 복귀된 저온수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봉(112), 저온수 저장탱크(420), 워터펌프(430) 및 회수관로(440)로 구성된 온실냉각부(400)에 의해서 온실 내부의 온도가 적정온도보다 과도하게 높을 시 온실 내부의 온도를 적정온도가 되도록 낮출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온실용 천창개폐장치는 연질 필름인 비닐(1)을 피복재로 사용하는 비닐온실뿐만 아니라 유지재질로 이루어진 유리온실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비닐온실의 개폐방식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2는 종래 비닐온실의 개폐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천창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천창개폐장치의 천창개폐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천창개폐장치의 천창개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천창개폐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용 천창개폐장치의 개략적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환기구 100:천창개폐부
110:천창 120:지지프레임
122:지지봉 124:연결봉
130:가이드프레임 132:가이드관
134:연결관 200:구동부
210:고정봉 220:회전봉
230:제1케이블 240:제2케이블
250:구동모터 300:제어부
310:온도센서 400:온실냉각부
410:분사파이프 412:분사수단
420:저온수 저장탱크 430:워터펌프
440:회수관로

Claims (8)

  1. 온실 상측의 환기구를 개폐하도록 상하이송되는 천창과, 상기 환기구를 관통하여 상기 천창에 고정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하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천창개폐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상하이송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천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지지봉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지지봉이 상하이송되도록 상기 온실 상측에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관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창이 상기 환기구를 폐쇄 시 상기 연결봉과 상기 연결관이 서로 당접하여 상기 천창의 하방이송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봉과 교차되어 고정된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과 평행하도록 상기 고정봉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된 회전봉과, 일단이 상기 고정봉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봉에 권취가능하게 연결된 제1케이블과, 일단이 상기 천창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봉에 권취가능하게 연결된 제2케이블 및 상기 회전봉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이 상기 회전봉에 권취 시 상기 제2케이블은 상기 회전봉으로부터 권출되고, 상기 제1케이블이 상기 회전봉으로부터 권출 시 상기 제2케이블은 상기 회전봉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의 외측면으로 저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천창에 설치되는 분사파이프와, 상기 분사파이프의 일단부에 연결된 저온수 저장탱크 및 상기 저온수 저장탱크의 저온수를 상기 분사파이프에 고압으로 공급하는 워터펌프를 포함하는 온실냉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수는 유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냉각부는 상기 온실의 외측면으로 분사된 저온수를 상기 저온수 저장탱크로 복귀시키기 위한 회수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 내부의 소정위치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감지온도값과 기설정된 기준온도값의 차이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천창을 상하이송시키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KR1020070084611A 2007-08-22 2007-08-22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KR10087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611A KR100875453B1 (ko) 2007-08-22 2007-08-22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611A KR100875453B1 (ko) 2007-08-22 2007-08-22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453B1 true KR100875453B1 (ko) 2008-12-22

Family

ID=4037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611A KR100875453B1 (ko) 2007-08-22 2007-08-22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45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561B1 (ko) 2011-04-08 2011-08-03 주식회사 홀인원 지붕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온실 구조물
CN104472251A (zh) * 2014-10-25 2015-04-01 慈溪市梦园果蔬专业合作社 大棚内自动迎光种植架
CN110169285A (zh) * 2019-06-17 2019-08-27 义乌纹挺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庭院的草坪自动管理系统
KR102068926B1 (ko) * 2019-04-01 2020-01-21 정지혁 비닐하우스 환기 장치
KR20200017846A (ko) 2018-08-09 2020-02-19 홍정 온실용 천창 개폐장치
KR20200067353A (ko) * 2018-12-04 2020-06-12 장석근 비닐하우스용 장치판
KR20200086516A (ko) 2019-01-09 2020-07-17 홍정 비닐하우스용 천창 개폐장치
KR20200133474A (ko) 2019-05-20 2020-11-30 홍정 협소한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온실용 천창 개폐장치
KR20230150469A (ko) 2022-04-22 2023-10-31 이재권 온실 천창 개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1645U (ja) 1983-12-30 1985-07-29 有限会社 協栄製作所 温室の天窓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1645U (ja) 1983-12-30 1985-07-29 有限会社 協栄製作所 温室の天窓開閉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8162A2 (ko) * 2011-04-08 2012-10-11 주식회사 홀인원 지붕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온실 구조물
WO2012138162A3 (ko) * 2011-04-08 2013-03-07 주식회사 홀인원 지붕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온실 구조물
KR101053561B1 (ko) 2011-04-08 2011-08-03 주식회사 홀인원 지붕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온실 구조물
CN104472251A (zh) * 2014-10-25 2015-04-01 慈溪市梦园果蔬专业合作社 大棚内自动迎光种植架
CN104472251B (zh) * 2014-10-25 2017-12-19 宁波冠泰电子有限公司 大棚内自动迎光种植架
KR20200017846A (ko) 2018-08-09 2020-02-19 홍정 온실용 천창 개폐장치
KR20200067353A (ko) * 2018-12-04 2020-06-12 장석근 비닐하우스용 장치판
KR102152926B1 (ko) * 2018-12-04 2020-09-07 장석근 비닐하우스용 장치판
KR20200086516A (ko) 2019-01-09 2020-07-17 홍정 비닐하우스용 천창 개폐장치
KR102068926B1 (ko) * 2019-04-01 2020-01-21 정지혁 비닐하우스 환기 장치
KR20200133474A (ko) 2019-05-20 2020-11-30 홍정 협소한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온실용 천창 개폐장치
CN110169285A (zh) * 2019-06-17 2019-08-27 义乌纹挺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庭院的草坪自动管理系统
KR20230150469A (ko) 2022-04-22 2023-10-31 이재권 온실 천창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453B1 (ko) 온실용 천창개폐장치
US8375634B2 (en) Modular shutter system for poultry house ventilation and insulation
CN211982924U (zh) 一种新型连栋温室内棚卷膜机构
KR101586399B1 (ko)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
CN106386278A (zh) 一种温室智能无级通风控温系统
KR20190094838A (ko) 루버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183527B1 (ko) 비닐하우스용 환기 장치
KR20110125508A (ko) 비닐하우스 환기장치 및 그 작동제어방법
KR20090092175A (ko) 비닐하우스용 환기 장치
CN111705979B (zh) 一种幕墙安装系统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CN206481770U (zh) 一种新型湿帘
KR101149464B1 (ko) 비닐 하우스의 이중 필름 피복장치
KR101230010B1 (ko) 비닐하우스의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환기시스템
KR101519378B1 (ko) 온실용 지붕환기구조물
KR102262846B1 (ko) 유리온실용 측창개폐장치
KR102296899B1 (ko) 에너지 절감 온실
US11230877B2 (en) Double-pane window insulating system
CN112097541A (zh) 空冷器管束防冻装置
CN209556731U (zh) 一种市政建筑的装饰窗
CN207583261U (zh) 中空玻璃内百叶窗及其温控装置
KR101425169B1 (ko) 시설재배하우스의 환기장치
CN108086560B (zh) 一种可调启闭式通风气楼
CN112314266A (zh) 配备多段通风结构的塑料大棚
CN213932105U (zh) 空冷器管束防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