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945B1 -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945B1
KR100874945B1 KR1020070091348A KR20070091348A KR100874945B1 KR 100874945 B1 KR100874945 B1 KR 100874945B1 KR 1020070091348 A KR1020070091348 A KR 1020070091348A KR 20070091348 A KR20070091348 A KR 20070091348A KR 100874945 B1 KR100874945 B1 KR 10087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insulating mortar
lightweigh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구재
Original Assignee
임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구재 filed Critical 임구재
Priority to KR102007009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8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6Inhibiting the setting, e.g. mortars of the deferred action type containing water in breakable containers ; Inhibiting the action of active ingredients
    • C04B40/0608Dry ready-made mixtures, e.g. mortars at which only water or a water solution has to be added before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6Inhibiting the setting, e.g. mortars of the deferred action type containing water in breakable containers ; Inhibiting the action of active ingredients
    • C04B40/0641Mechanical separation of ingredients, e.g. accelerator in breakable microcapsules
    • C04B40/065Two or more component mort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3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heat transfer properties such as thermal insulation values, e.g. R-valu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세라믹 135 내지 300 중량부,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 및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을 포함하고,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이 4.1 : 1 내지 5.1 : 1 중량비를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은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세라믹 135 내지 300 중량부,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 및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씰리게이트계의 규산염 2.5 내지 3.5 중량부, 유연성 아크릴 모노머 2.5 내지 3.5 중량부, 천연 라텍스 2.5 내지 3.5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을 포함하고,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이 3.9 : 1 내지 4.9 : 1 중량비를 이루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Mortar having light weight and heat insulator, method for construc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의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을 개선하여 경량성과 단열성 및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의 단열(기포) 모르타르는 시멘트와 모래의 성분이 대부분 함유되어 있으면서 화학처리에 의한 기포층을 갖는 것으로써, 고중량이면서 접착력이 떨어지고 균열이 발생하며 단열성 및 방음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멘트는 압축강도가 높지만 고중량을 갖으므로 취급이 불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멘트는 독성이 있어 인체에 해로웠으며 겉표면이 매우 까칠하여 사람들이 부주의한 실수를 저지를 경우에 다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경량화되면서 단열성과 방음성 및 압축강도가 높고, 인체에 유익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환경 오염의 원인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개선된 건축자재의 단열 모르타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세라믹 135 내지 300 중량부,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 및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을 포함하고,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이 4.1 : 1 내지 5.1 : 1 중량비를 이룬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세라믹 135 내지 300 중량부,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 및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씰리게이트계의 규산염 2.5 내지 3.5 중량부, 유연성 아크릴 모노머 2.5 내지 3.5 중량부, 천연 라텍스 2.5 내지 3.5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을 포함하고,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이 3.9 : 1 내지 4.9 : 1 중량비를 이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 고, 세라믹 135 내지 300 중량부,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이 4.1 : 1 내지 5.1 : 1 중량비를 이루는 혼합 조성물을 만들고, 혼합 조성물을 3 내지 5분 동안 적정 질기로 교반시키는 교반단계와 교반단계에 의해 교반된 혼합 조성물을 성형 프레임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20 내지 24시간 동안 양생시키고 자연 건조시키는 양생/건조단계 및 성형 프레임을 탈거시키는 탈거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세라믹 135 내지 300 중량부,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씰리게이트계의 규산염 2.5 내지 3.5 중량부, 유연성 아크릴 모노머 2.5 내지 3.5 중량부, 천연 라텍스 2.5 내지 3.5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이 3.9 : 1 내지 4.9 : 1 중량비를 이루는 혼합 조성물을 만들고, 혼합 조성물을 3 내지 5분 동안 적정 질기로 교반시키는 교반단계와 교반단계에 의해 교반된 혼합 조성물을 성형 프레임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20 내지 24시간 동안 양생시키고 자연 건조시키는 양생/건조단계 및 성형 프레임을 탈거시키는 탈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압출 발포스티로폼이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분쇄되어 가공되고 시멘트와 서로 혼합되므로, 경량성 및 단열성을 높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씰리게이트계의 규산염, 유연성 아크릴 모노머 또는 천연 라텍스가 포함되어 서로 혼합되므로, 응집력을 높히고 깨어짐을 방지하며 조기에 양생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셋째, 경량성을 유지하므로, 성형 후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넷째, 황토성분을 구비하므로, 인체에 유익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다섯째, 폐기된 압출 발포스티로폼을 이용하므로, 재활용할 수가 있어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환경 오염의 원인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여섯째, 폐기된 압출 발포스티로폼이 모래를 대체할 수가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경량성을 유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일곱째, 시멘트와 가공된 압출 발포스티로폼의 입자간의 혼합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가 있고,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는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세라믹 135 내지 300 중량부,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이 구성되고,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로 구성된다.
이때,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이 4.1 : 1 내지 5.1 : 1 중량비를 이룬다.
압출 발포스티로폼은 사용 후에 폐기된 것을 1~2 mm의 크기로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된다. 이러한, 압출 발포스티로폼은 여러 종류의 단열재들 중에서 저렴하고 가벼운 장점이 있다.
또한, 압출 발포스티로폼은 내수성, 단열성, 방음성, 완충성등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단열재뿐만 아니라 각종 운송용 포장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시멘트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의 재료가 서로 응집되도록 사용되고, 세라믹은 고온에 구워진 폐기된 자기류를 분쇄(200메쉬 이하)하여 가공된다.
이러한, 세라믹은 수분흡수가 적어 혼합 조성물의 경화 조성물이 조기에 증발 건조되도록 충진재의 기능을 한다.
황토는 점토광물로써 주성분인 산화규소(sio2)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산소친화력이 높아 습도조절능력이 탁월하며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항균성 및 유해물질의 흡착력이 우수하다.
제올라이트는 흡착, 촉매, 이온효과 작용이 뛰어나다. 이러한, 제올라이트는 각종 금속이온을 흡착하여 냄새를 제거하므로, 신선한 공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압출 발포스티로폼이 30 중량부 이상이고 시멘트가 135 중량부 이상이면 경량성과 압축강도를 높힐 수 있고, 압출 발포스티로폼이 60 중량부 이하이고 시멘트가 600 중량부 이하이면 단열성을 높힐 수가 있다.
이때, 세라믹이 135 중량부 이상이면 경화 조성물이 조기에 건조되고 압출 발포스티로폼과 시멘트간의 결합을 충진시킬 수 있고, 세라믹이 300 중량부 이하이면 압출 발포스티로폼과 시멘트간의 결합을 더욱 충진시킬 수 있어 압축강도를 더욱 높힐 수 있다.
또한, 황토가 400 중량부 이상이면 소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황토가 500 중량부 이하이면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항균성이 좋아지며 유해물질을 흡착하게 된다.
또한, 제올라이트가 400 중량부 이상이면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된 각종 금속이온을 흡착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제올라이트가 500 중량부 이하이면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된 각종 금속이온을 더욱 흡착하여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이 4.1 : 1 내지 5.1 : 1 중 량비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적당한 질기를 얻을 수가 없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물을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을 교반기에 투입한다.
이때,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이 4.1 : 1 내지 5.1 : 1 중량비를 이루도록 혼합 조성물을 만들고, 혼합 조성물을 3 내지 5분 동안 적정 질기로 교반시킨다.
이 후, 교반단계에 의해 교반된 혼합 조성물을 성형 프레임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20 내지 24시간 동안 양생시키고 자연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성형 프레임을 탈거시키는 탈거단계를 수행하면 건축 내외장재가 제작된다.
이때, 건축 내외장재는 블록, 패널을 제조하는 성형재 또는 바닥재일 수도 있으며, 특히 패널은 주로 아파트나 건물 베란다, 창고등의 내외벽을 단열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 벽체가 완성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마감재를 선택하여 마감하거나 마감재의 사용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블록 벽체에 방수층을 형성하여 수분을 차단시켜 더욱 경량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는 액상으로 건축물 의 지붕 또는 바닥면에 모르타르 이송장치나 흙손등을 이용하여 직접 바름으로써, 미장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압출 발포스티로폼이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분쇄되어 가공되고 시멘트와 서로 혼합되므로, 경량성과 압축강도 및 단열성을 높힐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경량성을 유지하므로, 성형 후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황토성분을 구비하므로, 인체에 유익한 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폐기된 압출 발포스티로폼을 이용하므로, 재활용할 수가 있어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환경 오염의 원인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폐기된 압출 발포스티로폼이 모래를 대체할 수가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경량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시멘트 및 가공된 압출 발포스티로폼의 입자와 치밀하게 혼합되므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는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세라믹 135 내지 300 중량부,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이 구성된다.
또한,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씰리게이트계의 규산염 2.5 내지 3.5 중량부, 유연성 아크릴 모노머 2.5 내지 3.5 중량부, 천연 라텍스 2.5 내지 3.5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로 구성된다.
이때,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은 3.9 : 1 내지 4.9 : 1 중량비를 이룬다.
압출 발포스티로폼은 사용 후에 폐기된 것을 1~2 mm의 크기로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된다. 이러한, 압출 발포스티로폼은 여러 종류의 단열재들 중에서 저렴하고 가벼운 장점이 있다.
또한, 압출 발포스티로폼은 내수성, 단열성, 방음성, 완충성등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단열재뿐만 아니라 각종 운송용 포장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시멘트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의 재료가 서로 응집되도록 사용되고, 세라믹은 고온에 구워진 폐기된 자기류를 분쇄(200메쉬 이하)하여 가공된다.
이러한, 세라믹은 수분흡수가 적어 혼합 조성물의 경화 조성물이 조기에 증발 건조되도록 충진재의 기능을 한다.
황토는 점토광물로써 주성분인 산화규소(sio2)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산소친화력이 높아 습도조절능력이 탁월하며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항균성 및 유해물질의 흡착력이 우수하다.
제올라이트는 흡착, 촉매, 이온효과 작용이 뛰어나다. 이러한, 제올라이트는 각종 금속이온을 흡착하여 냄새를 제거하므로, 신선한 공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압출 발포스티로폼이 30 중량부 이상이고 시멘트가 135 중량부 이상이면 경량성과 압축강도를 높힐 수 있고, 압출 발포스티로폼이 60 중량부 이하이고 시멘트가 600 중량부 이하이면 단열성을 높힐 수가 있다.
이때, 세라믹이 135 중량부 이상이면 경화 조성물이 조기에 건조되고 압출 발포스티로폼과 시멘트간의 결합을 충진시킬 수 있고, 세라믹이 300 중량부 이하이면 압출 발포스티로폼과 시멘트간의 결합을 더욱 충진시킬 수 있어 압축강도를 더욱 높힐 수 있다.
또한, 황토가 400 중량부 이상이면 소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황토가 40 중량부 이하이면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항균성이 좋아지며 유해물질을 흡착하게 된다.
또한, 제올라이트가 400 중량부 이상이면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된 각종 금속이온을 흡착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제올라이트가 500 중량부 이하이면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된 각종 금속이온을 더욱 흡착하여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게 된다.
유연성 아크릴 모노머 또는 천연 라텍스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의 표면이 균 열되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된다.
여기서, 물이 270 중량부 이상이고 씰리게이트계의 규산염이 2.5 중량부 이상이면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의 재료가 서로 응집되고, 물이 390 중량부 이하이고 씰리게이트계의 규산염이 3.5 중량부 이하이면 깨어짐을 방지하며 조기에 양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연성 아크릴 모노머 또는 천연 라텍스가 2.5 중량부 이상이면 경량 단열 모르타르의 표면이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유연성 아크릴 모노머 또는 천연 라텍스가 3.5 중량부 이하이면 경량 단열 모르타르의 표면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이 3.9 : 1 내지 4.9 : 1 중량비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적당한 질기를 얻을 수가 없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쇄하여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세라믹 135 내지 300 중량부,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을 교반기에 투입한다.
또한,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씰리게이트계의 규산염 2.5 내지 3.5 중량부, 유연성 아크릴 모노머 2.5 내지 3.5 중량부, 천연 라텍스 2.5 내지 3.5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을 교반기에 투입한다.
이때,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경화 조성물이 3.9 : 1 내지 4.9 : 1 중량비를 이루도록 혼합 조성물을 만들고, 혼합 조성물을 3 내지 5분 동안 적정 질기로 교반시킨다.
이 후, 교반단계에 의해 교반된 혼합 조성물을 성형 프레임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20 내지 24시간 동안 양생시키고 자연 건조시킨다.
마지막으로, 성형 프레임을 탈거시키는 탈거단계를 수행하면 건축 내외장재가 제작된다.
이때, 건축 내외장재는 블록, 패널을 제조하는 성형재 또는 바닥재일 수도 있으며, 특히 패널은 주로 아파트나 건물 베란다, 창고등의 내외벽을 단열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 벽체가 완성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마감재를 선택하여 마감하거나 마감재의 사용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블록 벽체에 방수층을 형성하여 수분을 차단시켜 더욱 경량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는 액상으로 건축물의 지붕 또는 바닥면에 모르타르 이송장치나 흙손등을 이용하여 직접 바름으로써, 미장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압출 발포스티로폼이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분쇄되어 가공되고 시멘트와 서로 혼합되므로, 경량성 및 단열성을 높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씰리게이트계의 규산염, 유연성 아크릴 모노머 또는 천연 라텍스가 포함되어 서로 혼합되므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보다 응집력을 높히고 깨어짐을 방지하며 조기에 양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경량성을 유지하므로, 성형 후 취급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황토성분을 구비하므로, 인체에 유익한 환경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폐기된 압출 발포스티로폼을 이용하므로, 재활용할 수가 있어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환경 오염의 원인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폐기된 압출 발포스티로폼이 모래를 대체할 수가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경량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시멘트 및 가공된 압출 발포스티로폼의 입자와 치밀하게 혼합되므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층간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고,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 및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상기 경화 조성물이 4.1 : 1 내지 5.1 : 1 중량비를 이루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2.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고,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 및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씰리게이트계의 규산염 2.5 내지 3.5 중량부, 유연성 아크릴 모노머 2.5 내지 3.5 중량부, 천연 라텍스 2.5 내지 3.5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상기 경화 조성물이 3.9 : 1 내지 4.9 : 1 중량비를 이루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3.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고,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상기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상기 경화 조성물이 4.1 : 1 내지 5.1 : 1 중량비를 이루는 혼합 조성물을 만들고, 상기 혼합 조성물을 3 내지 5분 동안 적정 질기로 교반시키는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단계에 의해 교반된 상기 혼합 조성물을 성형 프레임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20 내지 24시간 동안 양생시키고 자연 건조시키는 양생/건조단계; 및
    상기 성형 프레임을 탈거시키는 탈거단계를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를 이용한 시공방법.
  4. 분쇄하여 불규칙하게 모래알 형태로 가공한 압출 발포스티로폼 30 내지 60 중량부와 시멘트 135 내지 600 중량부를 포함하고, 황토 400 내지 500 중량부, 제올라이트 400 내지 500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물 270 내지 3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씰리게이트계의 규산염 2.5 내지 3.5 중량부, 유연성 아크릴 모노머 2.5 내지 3.5 중량부, 천연 라텍스 2.5 내지 3.5 중량부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 조성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상기 경량 단열 모르타르 조성물과 상기 경화 조성물이 3.9 : 1 내지 4.9 : 1 중량비를 이루는 혼합 조성물을 만들고, 상기 혼합 조성물을 3 내지 5분 동안 적정 질기로 교반시키는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단계에 의해 교반된 상기 혼합 조성물을 성형 프레임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20 내지 24시간 동안 양생시키고 자연 건조시키는 양생/건조단계; 및
    상기 성형 프레임을 탈거시키는 탈거단계를 포함하는 경량 단열 모르타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070091348A 2007-09-10 2007-09-10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74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48A KR100874945B1 (ko) 2007-09-10 2007-09-10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48A KR100874945B1 (ko) 2007-09-10 2007-09-10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945B1 true KR100874945B1 (ko) 2008-12-19

Family

ID=4037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348A KR100874945B1 (ko) 2007-09-10 2007-09-10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9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465A (ko) 2002-01-17 2003-07-28 서종열 폐스치로폴,폐경질우레탄폼 등을 이용한 단열재 제조 및그 재생장치
KR20050017341A (ko) * 2003-08-13 2005-02-22 박재선 건축 내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465A (ko) 2002-01-17 2003-07-28 서종열 폐스치로폴,폐경질우레탄폼 등을 이용한 단열재 제조 및그 재생장치
KR20050017341A (ko) * 2003-08-13 2005-02-22 박재선 건축 내외장재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3083522T3 (en) Thermal insulation Plaster
KR101912328B1 (ko) 비산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레미콘 조성물
KR101515185B1 (ko) 충격흡수성과, 내열성 및 미끄럼방지 기능이 우수한 탄성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60658B1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KR100991434B1 (ko) 경량 단열 방수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74945B1 (ko)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10012022A (ko) 황토 함유 건축 내장재
KR100547953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0133B1 (ko) 황토 숯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224531B1 (ko) 벽돌층 및 펠렛층으로 이루어진 온돌바닥층을 갖는 온돌바닥 시공구조
KR101395608B1 (ko) 플라이애쉬 층을 포함하는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798096B1 (ko) 건축자재용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90141A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저감용 수성 도막식 적층형 바닥재
KR100799243B1 (ko) 다공성 흡차음재를 이용한 건축물 층간바닥구조체의제조방법 및 다공성 흡차음재를 이용한 건축물측벽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0799244B1 (ko) 다공성 흡차음재를 이용한 건축물 층간바닥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다공성 흡차음재를 이용한 건축물 측벽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64207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토양 조성물
KR102227053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및 벽체 마감용 친환경 기능성 도료 조성물
KR101126189B1 (ko) 경량 단열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90484B1 (ko) 방수성 접착식 판넬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착식 판넬 시공방법
KR100547951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3163B1 (ko) 네프라이트를 포함하는 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KR20070024773A (ko) 황토골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79503B1 (ko) 친환경 방수기능을 겸비한 외부 단열벽 마감재
KR100749916B1 (ko) 새집증후군을 예방하는 친환경 기능성 몰탈의 제조방법
ES2315189B1 (es) Composicion cementosa de materiales aislantes de diferentes cl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