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840B1 - 수납 케이스 - Google Patents

수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840B1
KR100874840B1 KR1020070090396A KR20070090396A KR100874840B1 KR 100874840 B1 KR100874840 B1 KR 100874840B1 KR 1020070090396 A KR1020070090396 A KR 1020070090396A KR 20070090396 A KR20070090396 A KR 20070090396A KR 100874840 B1 KR100874840 B1 KR 100874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ain body
locking protrusion
storage cas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9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68Means for reclosing the cover after its first opening
    • B65D77/2072Mechanical means
    • B65D77/2076Mechanical means provided by the cover itself
    • B65D77/208Mechanical means provided by the cover itself the cover having a cap-like or plug-lik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25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1Details of packaging elements for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2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완충재를 장착하여 화장품을 담는 용기를 보호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적용된 캡과, 본체의 내부 및 캡의 내부에 구비된 완충재를 제공하고, 완충재에 의해 본체의 내부에 중공형 공간이 형성되며, 유리를 포함하는 용기가 중공형 공간에 수납된다.
용기, 수납, 화장품, 완충재

Description

수납 케이스{KEEPING CASE}
본 발명은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완충재를 장착하여 화장품을 담는 저장 대상물을 보호하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사용 수명의 연장을 위해 냉장고에 보관이 가능하다. 이러한 화장품의 보관은 화장품 등의 단품을 개별적으로 냉장고의 내부에 보관한다.
그러나, 화장품을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시에 충격에 의해 화장품 용기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화장품을 담는 용기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수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을 담는 용기를 완충재가 충진된 수납 케이스에 보관하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용기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화장품을 저장하는 용기를 완충재가 장착된 수납 케이스에 보관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용기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의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는, 본체와, 본체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적용된 캡과, 본체의 내부 및 캡의 내부에 구비된 완충재를 포함하고,완충재에 의해 본체의 내부에 중공형 공간이 형성되며, 유리를 포함하는 용기가 중공형 공간에 수납되도록 적용된다.
완충재는,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 완충재와, 캡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2 완충재를 포함하고, 제1 완충재의 상면과 제2 완충재의 저면이 접한다.
제2 완충재의 두께는 제1 완충재의 두께 이상이다.
제2 완충재에는 인입홈이 형성되어 용기가 인입홈에 삽입되도록 적용된다.
완충재는 다공성 소재이다.
캡은, 일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캡부 및 캡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개구부를 둘러싸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걸림돌기는 개구부의 개구면 방향을 따라 돌출한다.
본체 및 캡은 금속 소재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는, 본체와, 본체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적용되며 일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캡부 및 캡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개구부를 둘러싸며 개구부의 개구면 방향을 따라 돌출한 걸림돌기를 포함한 캡과, 본체의 내부 및 캡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리를 포함하는 용기가 수납되도록 중공형 공간을 형성하는 완충재를 포함하며, 걸림돌기는, 캡의 외측으로 돌출한 제1 걸림돌기부와, 제1 걸림돌기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 제2 걸림돌기부를 포함한다.
제1 걸림돌기부 또는 제2 걸림돌기부는 그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 걸림돌기부는 제2 걸림돌기부 보다 더 돌출한다.
본체는, 캡의 내벽에 접하여 결합되는 제1 본체부와, 제1 본체부와 연결된 안착홈부와, 안착홈부와 연결되어 용기를 수납하도록 적용된 제2 본체부를 포함한다.
제2 본체부의 두께는 제1 본체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비된다.
안착홈부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걸림돌기가 안착홈부에 안착되도록 적용된다.
안착홈부는, 제1본체부의 표면으로부터 본체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안착부를 포함하고, 제2 걸림돌기부가 안착부에 고정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100)는, 본체(10)와, 본체(10)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적용된 캡(20)과, 본체(10)의 내부 및 캡(20)의 내부에 구비된 완충재(3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내부에 장착 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은 개구되어 캡(2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본체(10)의 내부에는 화장품의 보관을 위한 용기(12)가 내재된다. 본체(10)는 용기(12)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의 외면을 갖음도 가능하다. 본체(10)의 재질은 용기(12)의 보호를 위해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화장품을 담는 용기(12)가 유리를 포함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의 재질을 금속재질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용기(12)의 안정적인 보호가 가능하다. 캡(20)은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캡(20)은 본체(10)의 상측에 압입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캡(20)이 본체(10)에 장착되면, 본체(10)와 캡(20)의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와 캡(20)에 의한 장착공간에는 완충재(30)가 장착된다. 상기 캡(20)의 재질은 용기(12)의 보호를 위해 전술한 본체(10)의 재질과 동일한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캡(20)은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캡부(23) 및 캡부(23)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1)를 구비한다. 걸림돌기(21)는 캡(20)의 개구면 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이러한 걸림돌기(21)는 캡(20)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캡(20)의 개방시에 손가락에 걸림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캡(20)의 개폐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림돌기(21)에 걸림에 따라 용이한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이 걸림돌기(21)는 캡(20)의 외형에 대응하여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걸림돌기(21)는 환형에 한정되지 않고, 캡(20)의 외형이 다각형일 경우 모서리를 갖도록 돌출 형성됨도 가능하다.
완충재(30)는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 완충재(31)와, 캡(20)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2 완충재(33)를 구비한다. 이러한 완충재(30)의 장착에 의하여 용기(12)의 장착을 위한 중공형 공간이 형성되어, 용기(12)가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용기(12)는 유리를 포함한 재질로 구비가능하여, 완충재(30)의 완충 작용으로 안전하게 수납된다. 본체(10)에 캡(20)의 장착시에, 제1 완충재(31)의 상면과 제2 완충재(33)의 저면은 서로간에 접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용기(12)는 캡(20)의 장착시에 완충재(30)에 의해 더욱 밀봉되어 용기(12)의 보호가 이루어진다. 캡(20)의 내부에 장착된 제2 완충재(33)의 두께는 제1 완충재(31)의 두께 보다 크게 장착된다. 이는 제2 완충재(33)를 이용하여 용기(12)의 상부의 전반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제2 완충재(33)의 중앙 부분에는 용기(12)의 돌출된 상측이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35)이 형성된다. 이러한 완충재(30)는 원활한 완충 작용을 위해 공기층이 형성된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화장품을 담 는 용기(12)를 보관시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도 용기(12)의 안정적인 보관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의 일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본체와 캡의 미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부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200)는, 본체(110)와, 본체(110)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적용된 캡(120)과, 본체(110)의 내부 및 캡(120)의 내부에 구비된 완충재(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캡(120)의 내벽에 접하여 결합되는 제1 본체부(111)와, 제1 본체부(111)와 연결된 안착홈부(113)와, 안착홈부(113)에 연결되어 용기(12)를 수납하는 제2 본체부(115)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 본체부(111)의 두께는 제2 본체부(115)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는 제1 본체부(111)에 캡(120)의 결합시에, 캡(120)의 외면이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안착홈부(113)는 제1 본체부(111)와 제2 본체부(115)의 연결 부분에 형성되어, 캡(120)의 걸림돌기(121)가 안착된다. 안착홈부(113)는 본체(110)의 내부 방향으로 인입 형성되어, 걸림돌기(121)의 용이한 안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착홈부(113)는 걸림돌기(121)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짐이 가능하다. 걸림돌기(121)는 캡(120)의 장착 상태에서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됨에 따라, 사용자가 캡(120)의 용이한 탈착이 가능하게 한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걸림돌 기(121)를 파지 가하여 캡(120)의 용이한 탈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110)와 캡(120)의 결합 상태에서 내부에는 완충재(30)가 장착되어, 저장하고자 하는 용기(12)를 보호한다.
걸림돌기(121)는 캡(120)의 외측으로 돌출한 제1 걸림돌기부(123)와, 제1 걸림돌기부(123)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걸림돌기부(125)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걸림돌기부(123)의 돌출된 크기는 제2 걸림돌기부(125) 보다 크게 돌출된다. 이는 제1 걸림돌기부(121)의 돌출된 구성을 통해 사용자 파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캡(12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걸림돌기부(125)의 돌출됨은 캡(120)이 본체(110)에 장착시 원활한 장착을 위함이다. 즉, 걸림돌기(121)가 안착홈부(113)에 안착시에 제2 걸림돌기부(125)가 안착홈부(113)에 걸림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안착홈부(113)는 본체(1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안착부(115)가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돌기(121)의 안착시에 제2 걸림돌기부(125)가 안착부(115)에 형입됨을 통해 걸림돌기(121)의 걸림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캡(120)의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 케이스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본체와 캡의 미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2...용기
20...캡 21...걸림돌기
30...완충재 31...제1 완충
33...제2 완충재

Claims (19)

  1. 본체;
    상기 본체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적용된 캡; 및
    상기 본체의 내부 및 상기 캡의 내부에 구비된 완충재;
    를 포함하여,
    상기 완충재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중공형 공간이 형성되며 유리를 포함하는 용기가 중공형 공간에 수납되도록 적용되며,
    상기 캡은,
    일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캡부 및 상기 캡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개구부의 개구면 방향을 따라 돌출한 수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 완충재; 및
    상기 캡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2 완충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재의 상면과 상기 제2 완충재의 저면이 접하는 수납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재의 두께는 상기 제1 완충재의 두께 이상인 수납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재에는 인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도록 적용된 수납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다공성 소재인 수납 케이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캡은 금속 소재로 제조된 수납 케이스.
  8. 본체;
    상기 본체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적용되며, 일측에 개구부를 가지는 캡부 및 상기 캡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며 상기 개구부의 개구면 방향을 따라 돌출한 걸림돌기를 포함한 캡; 및
    상기 본체의 내부 및 상기 캡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리를 포함하는 용기가 수납되도록 중공형 공간을 형성하는 완충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캡의 외측으로 돌출한 제1 걸림돌기부와, 상기 제1 걸림돌기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 제2 걸림돌기부를 포함하는 수납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돌기부 또는 상기 제2 걸림돌기부는 그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수납 케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돌기부는 상기 제2 걸림돌기부 보다 더 돌출한 수납 케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캡의 내벽에 접하여 결합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와 연결된 안착홈부; 및
    상기 안착홈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를 수납하도록 적용된 제2 본체부;를 포함하는 수납 케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의 두께는 상기 제1 본체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수납 케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부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도록 적용된 수납 케이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부는,
    상기 제1본체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돌기부가 상기 안착부에 고정 결합되는 수납 케이스.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 완충재; 및
    상기 캡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2 완충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재의 상면과 상기 제2 완충재의 저면이 접하는 수납 케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재의 두께는 상기 제1 완충재의 두께 이상인 수납 케이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재에는 인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도록 적용된 수납 케이스.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다공성 소재인 수납 케이스.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캡은 금속 소재로 제조된 수납 케이스.
KR1020070090396A 2007-09-06 2007-09-06 수납 케이스 KR100874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396A KR100874840B1 (ko) 2007-09-06 2007-09-06 수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396A KR100874840B1 (ko) 2007-09-06 2007-09-06 수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840B1 true KR100874840B1 (ko) 2008-12-18

Family

ID=4037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396A KR100874840B1 (ko) 2007-09-06 2007-09-06 수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84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606074A (en) Stopper of vessel
US11969069B2 (en) Shock absorbing cosmetic compact
KR200464321Y1 (ko) 캡 일체형 용기
KR100874840B1 (ko) 수납 케이스
KR200449170Y1 (ko) 일회용 화장품용기 보관함
JP5164114B2 (ja) 錠剤容器
KR101812287B1 (ko) 밀폐용기
JP5074979B2 (ja) 混合容器
KR101953986B1 (ko) 와인병 보호 커버
JP4596419B2 (ja) 封緘式キャップ
JP5826651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101718243B1 (ko) 스푼을 갖는 화장품용기
WO2018025635A1 (ja) カバー付容器
JP7321640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2006341905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KR20200080881A (ko) 코받침 일체형 엠보싱 안경 케이스
CN216270807U (zh) 棉签盒
JP6570342B2 (ja) 球状物用容器
JPH0570409U (ja) コンパクト容器
JP2007175340A (ja) コンパクト容器およびそれに用いる中皿保護容器
JP4666442B2 (ja) 衝撃吸収容器
KR200270679Y1 (ko) 밀폐용기
JP2009051515A (ja) 耐衝撃性容器
KR200222279Y1 (ko) 피복 아아크 용접봉 수납용기
KR200271894Y1 (ko) 화장품 포장용 상자의 완충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