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361B1 -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361B1
KR100874361B1 KR1020080016063A KR20080016063A KR100874361B1 KR 100874361 B1 KR100874361 B1 KR 100874361B1 KR 1020080016063 A KR1020080016063 A KR 1020080016063A KR 20080016063 A KR20080016063 A KR 20080016063A KR 100874361 B1 KR100874361 B1 KR 100874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source providing
computer
service serv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철
이춘희
이승수
최동국
Original Assignee
(주)유앤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앤비테크 filed Critical (주)유앤비테크
Priority to KR1020080016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2Grid compu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서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작업 모드를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선택한 경우,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의료 정보와, 개인 멀티미디어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를 분산저장되게 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분산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여 암호화한 후, 분할된 파일을 여러 개의 복사본으로 생성하고, 상기 복사본의 인덱스 정보를 저장한 후, 복수개의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들의 저장 공간에 상기 복사본들을 분산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자원컴퓨터가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컴퓨터들 중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제 2 컴퓨터에 저장된 분산저장된 파일을 수신하여 하나의 파일로 암호를 해제하고, 병합하여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헬스 케어, 계산 그리드 모드, 데이터 그리드 모드, 유휴 자원

Description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Grid based health care portal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service offering thereof}
본 발명은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 기반의 분산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의료 정보를 제공하고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은 급격한 고령화 및 생활양식 변화로 지속적 관리를 요하는 성인병 등의 만성 질환 등이 급증하고 있고, 국민의 의료비 부담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체계적인 건강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세계적으로 의료시장의 전면 개방을 앞두고 있으며, 의료계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고객 서비스 개선이 필수적 과제로 인식되어 있다. 국내외 의료 환경은 디지털화라는 급물살을 타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평생전자건강(EHR; Electronic Health Record)의 구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국가적 차원의 평생전자건강 프로그램은 2010년까지 완성으로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방대한 자료와 시스템 통합 그리고 개인 정보 유출 등의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에 봉착하여 실제로 활용되는 시기는 가늠하기 어렵다.
상기의 국가 차원의 전자건강 프로그램이 도입된다 하여도, 개인이 진료받은 CT 사진이나, 초음파 자료 등을 입력하는 경우, 방대한 자료를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베이스 공간이 요구된다. 또한 방대한 자료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공간이 제공된다 하여도, 저장된 자료를 이용하여 병원이나 의료기관에서 통계치나 자료 검색을 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의 컴퓨터 연산 처리 기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개인에 맞추어진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개인이 자신의 건강기록 정보가 필요한 경우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방대한 양의 의료 자료를 저장하고, 원하는 자료 수집과 분석을 위한 처리 능력을 개인 컴퓨터 장치의 유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증설과, 컴퓨터 처리능력의 증가 없이 의료정보를 제공하고 수집할 수 있는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에서 제공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한 후, 작업 수행 요청에 따라 유휴 상태의 컴퓨터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계산 그리드 모드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자원제공 컴퓨터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제공 컴퓨터와;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의 유휴 처리능력을 이용하여 컴퓨터 처리 작업을 분산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계산 그리드 모드와, 입력되는 의료정보를 분할 및 암호화하여,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에 분산저장하고,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의료정보의 분산 저장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동작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진료 기록을 등록하여 공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의료정보의 분석 또는 통계 작업을 요청하여 그 결과를 제공받는 병원 컴퓨터;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개인 정보를 등록하고, 진료기록을 저장하여 의료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의료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병원 컴퓨터 또는 상기 개인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진료 기록 또는 개인 정보를 일정 크기의 파일로 분할하여 각각의 파일을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파일들 각각에 대해 일정 개수의 복사본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복사본을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에 분산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복사본의 인덱스 정보를 저장관리하며, 상기 검색 요청에 따라 필요한 파일을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에서 수신할 때 동일한 복사본을 저장하고 있는 다수의 자원 제공 컴퓨터들 중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어느 하나로부터 분할 파일을 수신하여 통합한 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서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 하는 단계; 작업 모드를 계산 그리드 모드로 선택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 작업 수행 요청을 하고, 상기 작업 수행을 위한 데이터 또는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 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요청 작업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모드를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선택한 경우,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의료 정보와, 개인 멀티미디어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를 분산저장되게 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분산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여 암호화한 후, 분할된 파일을 여러 개의 복사본으로 생성하고, 상기 복사본의 인덱스 정보를 저장한 후, 복수개의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들의 저장 공간에 상기 복사본들을 분산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가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들 중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제 2 자원제공 컴퓨터에 저장된 분산저장된 파일을 수신하여 하나의 파일로 암호를 해제하고, 병합하여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의 작업 수행 요청에 따라, 상기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작업 정보와,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유휴 상태의 제 2 자원제공 컴퓨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작업을 분할하여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로부터 작업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들은 종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의 상기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들의 동작은, 현재 자신의 자원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할당받은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 모드를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선택한 경우,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의료 정보와, 개인 멀티미디어 정보를 업로드 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정보 또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로부터 공유된 의료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그리드 모드에서의 서비스 서버의 동작은,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데이터들을 암호화한 후, 복사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사본의 인덱스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들의 저장 공간에 상기 복사본들을 분산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그리드 모드에서의 서비스 서버의 동작은,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로부터 정보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인덱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인덱스 정보에 따라 정보 파일이 분할 저장된 상기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를 확인하고, 그 정보를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 2 자원제공 컴퓨터 정보에 따라 분할된 파일들을 상기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분할 파일의 암호를 해제하고, 분할 파일을 병합하여 원래의 파일로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가 상기 여러 개의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들 중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를 확인하여 분산 파일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복사본을 저장하고 있는 다른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개개인의 컴퓨터 자원을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하여 이용하고, 개인 본인의 의료기록을 필요한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료와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장소에서도 빠르게 간단하게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개인이 진료를 받은 CT 사진이나, 의료정보, 초음파사진 등을 업로드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병원에서 필요한 임상결과에 대한 방대한 통계치와 자료 습득이 용이하게 한다. 이는 자원제공 컴퓨터를 이용한 분산 처리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보관과 고성능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게 한다.
개인 사용자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의 진료 기록과, 병력을 기록 보관하고, 이러한 정보를 병원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나은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케어 포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시스템은 인터넷망을 통해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서버(100)와,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필요한 작업을 요청하거나, 작업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제공하고 작업 결과를 제공받거나, 유휴 자원을 제공하고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원 제공컴퓨터(200)들이 연결된다.
이때 서비스 서버(100)는 기본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질의를 처리하거나, 자원제공 컴퓨터(200) 또는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신청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에 가입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작업 요청을 받을 수 있는데, 클라이언트는 자원제공 컴퓨터(200)를 통해서 작업을 요청하거나, 또는 서비스 서버(100)의 관리자를 통해서 작업 요청을 하여 그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접속하는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사용자가 선택하는 두 가지 모드로 각각 동작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서비스 서버(100)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계산 그리드 모드와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계산 그리드 모드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작업을 자원제공 컴퓨 터(200) 처리기능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동작 모드이고, 데이터 그리드 모드는 자원제공 컴퓨터(20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분할 및 암호화하여 자원제공 컴퓨터(200)로 분산 저장하거나, 파일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동작 모드이다.
상기 계산 그리드 모드와 데이터 그리드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100)와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기능 블록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1c는 도 1a의 서버와 자원제공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와, 자원관리 서버(121)와, 대용량 응용파일 서버(122)와, 파일 서버(131)와, 웹 서버(132)와, 질의처리 서버(141)와, 자원관리 스케줄링 서버(142) 및 인증 서버(1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데이터 그리드 모드에서는 데이터베이스(110)와 자원관리 서버(121)와, 파일 서버(131)와, 질의처리 서버(141) 및 인증 서버(150)가 동작한다. 그리고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는 데이터베이스(110)와 대용량 응용파일 서버(122)와, 웹 서버(132)와 자원관리 스케줄링 서버(142), 및 인증 서버(150)가 동작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와 인증 서버(150)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나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각각의 모드마다 따로 구성한 후, 상호 간에 데이터 공유를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자원제공 컴퓨터(200)는 인증 모듈(210)과, 검색 모듈(221)과, 응용수행 모듈(222)과, 파일관리 모듈(231)과 자원모니터링 모듈(232) 및 P2P(Point to Point) 모듈(240)을 포함한다.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200)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일 때는 인증 모듈(210)과, 검색 모듈(221)과, 파일관리 모듈(231)이 동작하고,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는 인증 모듈(210)과 응용수행 모듈(222)과, 자원모니터링 모듈(232) 및 P2P 모듈(240)이 동작한다.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200)에서 인증 모듈(210)은 데이터 그리드 모드나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각각의 모드마다 따로 구성한 후, 상호 간에 데이터 공유를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 서버(100)와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각각의 기능 블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서비스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10)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나,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 모두 동작하며 자원을 제공하는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정보와 가입자 정보, 그리고 작업 정보 등을 저장한다.
자원관리 서버(121)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에서 자원제공 컴퓨터(200)에 저장된 분산데이터를 관리하고, 각각의 자원제공 컴퓨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자원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대용량 응용 파일 서버(122)는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 작업 데이터들을 관리하고, 작업 결과 데이터를 저장 관리한다. 이때의 작업 데이터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제공을 위해 자원제공 컴퓨터(200)들을 이용해서 수행되는 작업 결과를 말한다.
파일 서버(131)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에서 자원제공 컴퓨터(200)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파일의 분배, 배치와 상태 정보 등을 관리하고, 웹 서버(132)는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 회원가입과 헬스 케어 서비스의 정보 및 자원제공 컴퓨터(200)에서 수행된 작업 결과들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며, 또한 작업 및 자원의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
질의 처리 서버(141)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에서 자원제공 컴퓨터(200)가 요청하는 데이터 검색을 하는 경우, 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색하여 제공하고, 자원관리 스케줄링 서버(142)는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 자원제공 컴퓨터(200)에게 작업을 분배하고, 자원제공 컴퓨터(200)들의 상태와 작업 상태를 감시한다.
인증 서버(150)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나,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 모두 동작하며, 자원제공 컴퓨터(200)들이 시스템에 등록할 때 인증서를 발급하고 조회하며, 작업 데이터, 작업 결과 및 메시지의 올바름을 검증한다.
상기와 같은 서비스 서버(100)와 연결하여 포털 케어 서비스를 이용하고, 컴퓨터 자원의 일부를 제공하는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인증 모듈(210)은 계산 그리드 모드나 데이터 그리드 모드에서 모두 동작하며, 헬스 케어 포털에 인증서를 관리하고 서비스 서버(100)의 인증 서버(150)와 접속하여 동작을 위한 로그인, 인증을 수행한다.
검색 모듈(221)은 데이터 그리드 모드에서 자료의 검색을 위해 요구되는 질의를 질의처리 서버(141)로 입력하고, 응용수행 모듈(222)은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할당받은 응용작업의 수행 및 결과와 관련된 파일들을 관 리한다.
또한, 자원모니터링 모듈(232)은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시스템 성능 상태 및 작업수행의 진행을 감시하고, 파일관리 모듈(231)은 데이터 그리드 모드에서 파일 서버(131)로부터 분배되는 파일을 저장하고, 상태정보 등을 관리한다.
그리고 각각의 자원제공 컴퓨터(200)들은 P2P 모듈(240)을 기반으로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 파일,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며,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검색과 작업 상태의 광고가 가능하다.
상기의 서비스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사용자가 웹 서버(132)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자 등록을 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의 등록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100)의 웹 서버(132)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신청을 한다(S201). 이때 회원가입을 위하여 만들어진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고 자원제공 컴퓨터(200)는 웹 서버(132)가 제공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한다(S203).
상기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직접 실행을 하지 않더라도, 자원제공 컴퓨터(200)에 상주하여 유휴 자원을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실행된 상태에서,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사용자는 계정 화면에서 메뉴관리를 하거나(S205), 항목별로 데이터를 입력한다(S207).
상기와 같이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에 가입한 이후에,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사용자가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접속 및 동작 모드 선택 방법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100)의 웹 서버(132)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인터넷망을 통해서 접속하고, 가입 정보에 따른 로그인을 한다(S310).
이때의 로그인 동작은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인증 모듈(210)과 인증 서버(150)간에 수행되고, 인증 서버(150)는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인증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이 완료되면, 웹페이지에는 인증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한다. 이때 동작 모드 선택 화면은 웹페이지의 일부에 메뉴 형식으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인증과 동시에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선택문을 웹페이지에 띄우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계산 그리드 모드와 데이터 그리드 모드 중에서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S320 내지 S340). 이때 선택 모드에는 계산 그리 드 모드 또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작업요청이나 파일 제공 등으로 각각의 동작 모드를 대표할 수 있는 작업 모드를 나타내거나, 각각의 모드에서 수행할 수 있는 세분화된 작업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작 모드를 선택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각각의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기능블록이 활성화되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3b는 도 3a의 계산 그리드 모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로써 원하는 작업을 요청하고(S331),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서버(100)의 대용량 응용파일 서버(122)에 업로드한다(S332).
상기 업로드된 작업은 자원관리 스케줄링 서버(142)가 유휴 상태인 자원제공 컴퓨터(200)에 작업을 할당하고,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처리 능력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S333), 그 결과를 작업을 요청했던 자원제공 컴퓨터(200) 쪽에서 수신한다(S334).
한편, 자원 스케줄링 서버(142)는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온라인 상태와 시간, 네트워크 상태 등을 체크하여 리스트를 작성하고, 작업 요청이 수신되면 작성된 리스트를 이용해서 작업을 자원제공 컴퓨터(200)로 할당한다.
상기 작업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는 자원제공 컴퓨터(200)를 통해서 작업 요청을 할 수 있으나, 대부분은 서버(100)의 관리자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작업 요청을 한다.
또한, 계산 그리드 모드의 동작은 전문직의 클라이언트들에 의해 주로 사용 되며, 자원제공 컴퓨터(200)를 통해서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에 가입하는 사용자의 경우 데이터 그리드 모드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에서 특히 계산 그리드 모드로 동작할 때, 서버(100)가 작업을 분배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c는 도 3b의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흐름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자원제공 컴퓨터(200)는 계산 그리드 모드의 유휴 자원제공을 위해서 회원가입을 하고(S351), 프로그램 에이전트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S352, S353).
자원제공 컴퓨터(200)에 실행된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해당 자원제공 컴퓨터(200)가 유휴 상태인 동안에 서버로 작업을 할당해줄 것을 요청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로그인 과정에 인터넷망을 통해서 인증 서버(150)로 인증서를 요청한다(S354). 이에 인증 서버(150)는 해당 인증서를 발급한다(S354). 또한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에이전트프로그램이 서버에 접속되면서 자원제공컴퓨터(200)의 시스템 정보 및 해당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고유한 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게 한다(S355).
이후에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현재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상태가 유휴 상태이므로, 필요한 작업이 있다면 할당해 줄 것을 요청하는 작업 요청 신호를 자원관리 스케줄링 서버(142)로 보낸다(S356). 자원관리 스케줄링 서버(142)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으로부터 요청된 작업의 요청에 따라서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들을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색한다(S357).
상기 작업정보는 도 3b와 같이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된 작업이다.
그리고 자원관리 스케줄링 서버(142)는 검색 작업 종류 중에서, 해당 자원제공 컴퓨터(200)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의 종류를 판단하고, 해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대용량 응용 파일 서버(122)로 지시한다(S358).
대용량 응용 파일 서버(122)는 상기 자원관리 스케줄링 서버(142)의 작업 지시에 따른 작업 데이터를 에이전트 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S359).
에이전트 프로그램은 전송받은 작업 데이터를 이용해서 작업을 수행하여(S360 내지 S362), 그 결과를 자원 관리 스케줄링 서버(142)로 제출한다(S363). 이때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작업 데이터는 선처리 과정으로 데이터의 변조여부를 확인하고, 작업수행을 통해 얻은 결과는 후처리 과정으로 작업결과의 검증 및 압축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자원관리 스케줄링 서버(142)로 제출된 작업 결과에 대해서 자원관리 스케줄링 서버(142)는 인증 서버(150)와 인증 절차를 거친 후(S364), 데이터베이스(110)와 대용량 응용 관리 서버(122)에 결과가 저장되게 한다(S365, S366).
상기 저장된 결과는 클라이언트(200)가 상기 인증 서버(150)를 통해 로그인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한 작업을 위해서, 서비스 서버(100)는 등록된 자원제공 컴퓨터(200)들의 온라인 상태의 시간, 네트워크 상태 등을 수시로 체크하고, 자원제공 컴퓨터(200)들이 할당된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사용할 수 있는 자원들의 선별 작업을 한다. 그리고 선별된 자원의 종류에 따라 서, 자원제공 컴퓨터(200)로부터 작업 요청이 있는 경우 적합한 작업을 할당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100)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저장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데, 작업에 필요한 데이터나 파일 등의 크기가 큰 경우, 이를 압축하고 암호화한 후, 인덱스 정보를 반영하여 자원제공 컴퓨터(200)들에 분산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그리드 모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3d는 도 3a의 데이터 그리드 모드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때, 도 3d는 파일이나 데이터 입력 동작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의료정보 검색이나 파일 다운로드 요청의 경우만을 도시하였다.
도 3d를 참조하면, 데이터 그리드 모드를 선택한 사용자는 원하는 의료정보의 검색이나, 파일을 요청한다(S341). 상기 의료정보 검색을 위해서는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을 요청할 수 있고, 파일 요청은 사용자가 개인 계정에 등록했던 파일 또는 다른 사용자가 등록하여 공유한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의료정보나 데이터 파일 등은 파일 서버(131)에 의해서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저장 공간에 분산되어 저장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파일을 업로드 하면 파일 서버(131)가 분할 및 암호화하여 자원제공 컴퓨터(200)에 분산 저장하고, 분산 저장된 각각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20Mbyte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업로드한 경우, 파일 서버(131)는 파일을 압축한 후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고 암호화 한다. 그리고 각각의 분할된 데이터 조각의 복사본을 만들고, 인덱스 정보를 생성한다. 복사된 데이터 조각들을 하나 이상의 자원제공 컴퓨터(200)에 저장하고, 인덱스 및 저장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200)에는 동일한 데이터 조각이 복사되어 저장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자원제공 컴퓨터(200)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지 못할 때는 동일한 데이터가 저장된 다른 자원제공 컴퓨터(200)로부터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된 파일 정보나, 의료 정보는 상기 단계 S342의 검색 동작에 의해서 검색되고, 이때 검색되는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분할 정보이다.
그리고 검색 결과에 따라서 검색정보를 제공하거나(S343, S345), 재검색을 수행한다(S344).
상기 도 3b 내지 3d와 같이 제공되는 계산 그리드 모드와 데이터 그리드 모드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의 개인 계정을 이용한 산모 및 신생아 데이터 관리를 하는 실시 예를 다음에 나타내었다.
도 4a 및 도 4b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의 산모 및 신생아 정보 관리 화면을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개인의 계정 서비스는 개인 블로그 서비스와 유사한 웹페이지 형태를 서비스할 수 있다.
즉, 도 4a와 같이 웹페이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항목은 일반 개인 정보와, 외래진료, 입원/수술 정보, 건강 검진정보와 산모관리, 신생아 관리의 정보 입 력 항목이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항목을 추가하고 정보 관리를 할 수 있는 관리 항목이 주어진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신생아 기록 항목에서 신생아의 사진과 출생일을 등록하고, 진료정보나, 투약정보와 검사정보, 면역 정보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필요한 항목 관리를 선택하고, 기본 항목 이외의 항목을 개설할 수 있으며, 항목 개설 후에는 개인정보와 의료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산모관리 정보에는 개인 기본 정보와, 임신이나 출산력 정보, 질병 정보와 출산시의 증상이나 수유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현재 임신 중인 경우는 출산 예정일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본 정보를 입력한 이후에, 자원관리 컴퓨터(200)를 통해서 산모는 새로운 의료기록이 발생하면 서비스 서버(100)의 웹 서버(132)가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의료기록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진료기록을 업데이트 하기 위하여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데이터 그리드 모드를 선택한 후, 진료기록을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신생아 정보의 경우에는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 등을 업로드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인의 정보와 사진, 동영상 파일 등이 업로드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면, 가입자가 늘어날수록 많은 저장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자원제공 컴퓨터(200)의 저장 매체 자원을 이용하게 되므로 서버의 용량 증설이 없이도 무한한 가입자의 정보 저장과 관리,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200)를 통해서 회원 가입한 산모가 진료를 받고 있는 산부인과 병원이 상기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의 회원사로서 등록하고 클라이언트로서 필요한 작업을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로 등록된 산부인과 병원의 진료 기록 중에서 자원제공 컴퓨터(200)를 통해서 요청하는 사용자의 진료 기록을 사용자가 받아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진료 기록을 공유한 산부인과 병원과, 그 산부인과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산모가 동시에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에 가입한 상태라면, 새로운 진료 기록을 산모가 일일이 등록하지 않고도 병원 진료에서 입력되는 정보가 자동적으로 개인 페이지에 입력되어 업데이트 되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서버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서버와 자원제공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의 등록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접속 및 동작 모드 선택 방법이다.
도 3b는 도 3a의 계산 그리드 모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흐름도이다.
도 3d는 도 3a의 데이터 그리드 모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의 산모 및 신생아 정보 관리 화면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간단한 설명*
110 : 데이터베이스 121 : 자원관리 서버
122 : 대용량 응용파일 서버 131 : 파일 서버
132 : 웹 서버 141 : 질의처리 서버
142 : 자원관리 스케줄링 서버 150 : 인증 서버
210 : 인증 모듈 221 : 검색 모듈
222 : 응용수행 모듈 231 : 파일관리 모듈
232 : 자원모니터링 모듈 240 : P2P 모듈
100 : 서비스 서버 200 : 자원제공 컴퓨터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버에서 제공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한 후, 작업 수행 요청에 따라 유휴 상태의 컴퓨터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계산 그리드 모드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자원제공 컴퓨터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제공 컴퓨터와;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의 유휴 처리능력을 이용하여 컴퓨터 처리 작업을 분산 처리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계산 그리드 모드와, 입력되는 의료정보를 분할 및 암호화하여,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에 분산저장하고,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의료정보의 분산 저장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동작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여 진료 기록을 등록하여 공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의료정보의 분석 또는 통계 작업을 요청하여 그 결과를 제공받는 병원 컴퓨터;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개인 정보를 등록하고, 진료기록을 저장하여 의료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의료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병원 컴퓨터 또는 상기 개인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진료 기록 또는 개인 정보를 일정 크기의 파일로 분할하여 각각의 파일을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파일들 각각에 대해 일정 개수의 복사본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복사본을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에 분산 저장하고, 상기 생성된 복사본의 인덱스 정보를 저장관리하며,
    상기 검색 요청에 따라 필요한 파일을 상기 자원제공 컴퓨터에서 수신할 때 동일한 복사본을 저장하고 있는 다수의 자원 제공 컴퓨터들 중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어느 하나로부터 분할 파일을 수신하여 통합한 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시스템.
  17.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서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로그인 하는 단계;
    작업 모드를 계산 그리드 모드로 선택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 작업 수행 요청을 하고, 상기 작업 수행을 위한 데이터 또는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 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요청 작업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모드를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선택한 경우,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의료 정보와, 개인 멀티미디어 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를 분산저장되게 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분산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여 암호화한 후, 분할된 파일을 여러 개의 복사본으로 생성하고, 상기 복사본의 인덱스 정보를 저장한 후, 복수개의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들의 저장 공간에 상기 복사본들을 분산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가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들 중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제 2 자원제공 컴퓨터에 저장된 분산저장된 파일을 수신하여 하나의 파일로 암호를 해제하고, 병합하여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의 작업 수행 요청에 따라,
    상기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작업 수행을 위한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유휴 상태의 제 2 자원제공 컴퓨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작업을 분할하여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로부터 작업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들은 종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그리드 모드에서의 상기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들의 동작은,
    현재 자신의 자원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할당받은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모드를 데이터 그리드 모드로 선택한 경우,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의료 정보와, 개인 멀티미디어 정보를 업로드 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정보 또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로부터 공유된 의료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
  21. 삭제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그리드 모드에서의 서비스 서버의 동작은,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로부터 정보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인덱스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 인덱스 정보에 따라 정보 파일이 분할 저장된 상기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자원제공 컴퓨터에 저장된 정보 파일을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 2 자원제공 컴퓨터 정보에 따라 분할된 파일들을 상기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분할 파일의 암호를 해제하고, 분할 파일을 병합하여 원래의 파일로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원제공 컴퓨터가 상기 여러 개의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들 중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를 확인하여 분산 파일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복사본을 저장하고 있는 다른 제 2 자원제공 컴퓨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80016063A 2008-02-22 2008-02-22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 방법 KR100874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063A KR100874361B1 (ko) 2008-02-22 2008-02-22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063A KR100874361B1 (ko) 2008-02-22 2008-02-22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361B1 true KR100874361B1 (ko) 2008-12-16

Family

ID=4037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063A KR100874361B1 (ko) 2008-02-22 2008-02-22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3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890B1 (ko) * 2009-09-07 2011-12-08 (주)유앤비테크 분산 서버 기반의 그리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1144208B1 (ko) 2010-06-28 2012-05-10 (주)유앤비테크 분산 서버 기반의 그리드 시스템 환경에서 전원관리 기능을 포함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890B1 (ko) * 2009-09-07 2011-12-08 (주)유앤비테크 분산 서버 기반의 그리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1144208B1 (ko) 2010-06-28 2012-05-10 (주)유앤비테크 분산 서버 기반의 그리드 시스템 환경에서 전원관리 기능을 포함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ng et al. A medical image archive solution in the cloud
Yang et al. Implementation of a medical image file accessing system in co-allocation data grids
US20070067252A1 (en) Archiving and data integration system
TW201205320A (en) Optimizing data cache when applying user-based security
JP625257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アクセス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Pasha et al. An android-based mobile medical image viewer and collaborative annotation: development issues and challenges
US11968669B2 (en) Scheduling database system
Li et al. Web-based bioinformatics workflows for end-to-end RNA-seq data computation and analysis in agricultural animal species
Payne et al. TRIAD: the translational research informatics and data management grid
KR100874361B1 (ko) 그리드 기반의 헬스 케어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제공 방법
Amendolia et al. Grid databases for shared image analysis in the mammogrid project
JP2019079271A (ja) 医療情報管理サーバ、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管理方法
Jeong et al. The development of a medical image information system environment using data synchronization based on cloud computing
Koulouzis et al. Distributed data management service for vph applications
Gurcan et al. GridIMAGE: a novel use of grid computing to support interactive human and computer-assisted detection decision support
Jung et al. A web-based multidisciplinary team meeting visualisation system
JP2006260074A (ja) Cadデータ管理装置
Preve Ubiquitous healthcare computing with sensor grid enhancement with data management system (SEGEDMA)
JP6782219B2 (ja) データ活用支援装置、データ活用支援システム、及びデータ活用支援方法
JP7068839B2 (ja) 医療画像及びデータのマルチロケーションエクスチェンジ
Yılmaz et al. A novel approach to optimize workflow in grid-based teleradiology applications
Pierson et al. Metadata for efficient, secure and extensible access to data in a medical grid
McClatchey et al. The MammoGrid project grids architecture
Luo et al. A grid-based model for integration of distributed medical databases
Yang et al. MIFAS: medical image file accessing system in co-allocation data gr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