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846B1 -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 Google Patents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846B1
KR100873846B1 KR1020080064013A KR20080064013A KR100873846B1 KR 100873846 B1 KR100873846 B1 KR 100873846B1 KR 1020080064013 A KR1020080064013 A KR 1020080064013A KR 20080064013 A KR20080064013 A KR 20080064013A KR 100873846 B1 KR100873846 B1 KR 100873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eating groove
frame
back muscl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섭
전상윤
Original Assignee
(주)화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테크 filed Critical (주)화인테크
Priority to KR102008006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Abstract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는, 상호 이격 배치되며 철근망의 선조립 작업 중에 직립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강관; 및 한 쌍의 강관에 결합되어 철근을 지지하며 철근망의 강성을 보강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근망을 간편하게 선조립할 수 있으며, 완성된 철근망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철근, 선조립, 연결체, 철근망, 피복두께

Description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Connector for pre-fabricating the reinforced bar}
본 발명은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망을 간편하게 선조립할 수 있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기둥(column)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축방향 압축을 통해 하부로 전달하는 수직 구조 요소를 의미하며, 보(beam)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휨(굽힘)으로 지탱하는 수평 구조 요소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에 있어서 기둥은, 상부의 슬라브 또는 보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받아 하부의 기초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보는 중력에 따른 수직 하중을 받아 기둥을 거쳐 하부의 기초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완성된 전체 구조물의 안전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기둥 및 보는 설치되어야 할 위치에 철근을 수작업으로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켜 완성되는데, 이 경우 배근작업을 인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으며, 층고가 높은 건축물의 경우 별도의 가설작업대를 설치한 뒤 작업자가 작업대 위에 올라서서 장시간 까다로운 배근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시공현장에서 철근을 결합하여 철근망을 선조립하며, 완성된 철근망을 기둥 또는 보가 설치될 자리로 운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철근망 선조립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철근망 선조립 공법은, 모듈화된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시공현장에서 주먹구구식으로 철근을 결합하는 방법을 따를 뿐이므로, 철근의 배근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철근의 피복 두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종래의 철근망 선조립 공법에 의하여 완성된 기둥은, 모듈화된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를 이용하지 않음에 따라 크래인으로 인양하여 직립시켰을 때 자립도가 약한 문제점이 존재하는바, 철근망이 쓰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별도의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철근망의 직립을 유지시켜야 하므로, 추가작업으로 인한 공기의 지연과 비용상승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철근망 선조립 공법은 모듈화된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를 이용하지 않음에 따라 숙련공에 의하지 않을 경우 철근망의 제작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완성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담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망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완성된 철근망의 강성을 증대시켜 골조화할 수 있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며 철근망의 선조립 작업 중에 직립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강관; 및 상기 한 쌍의 강관에 결합되어 철근을 지지하며 상기 철근망의 강성을 보강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강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는 철근이 안착되는 강관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철근이 안착되는 프레임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의 외곽 영역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관은 중공형 강관이며, 상기 중공형 강관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강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강관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관은 'ㄷ'자형 단면을 갖는 강관이며, 상기 강관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강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강관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관에는, 상기 강관 안착홈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강관 안착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핀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핀홀에는, 상기 강관 안착홈에 안착된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강관 안착홈은, 상기 강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부안착홈 및 상기 강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핀홀은, 상기 상부안착홈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부핀홀 및 상기 하부안착홈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하부핀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홀은 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핀은 사각 형상의 테이퍼 핀이되, 상기 고정핀의 일단부에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안착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4개의 프레임 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을 갖는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각각, 상기 강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배근부; 상기 강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배근부; 상기 제1 배근부 및 상기 제2 배근부의 좌측단부를 연결하는 제3 배근부; 및 상기 제1 배근부 및 상기 제2 배근부의 우측단부를 연결하는 제4 배근부이며, 상기 프레임 안착홈은 각각, 상기 제1 배근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안착홈; 상기 제2 배근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 프레임안착홈; 상기 제3 배근부의 좌측단부에 형성되는 제3 프레임안착홈; 및 상기 제4 배근부의 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제4 프레임안착홈일 수 있다.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각각, 상기 강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배근부; 상기 강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배근부; 상기 제1 배근부 및 상기 제2 배근부의 좌측단부를 연결하는 제3 배근부; 및 상기 제1 배근부 및 상기 제2 배근부의 우측단부를 연결하는 제4 배근부이며, 상기 프레임 안착홈은 각각, 상기 제1 배근부의 상단부 및 상기 제1 배근부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프레임안착홈; 상기 제2 배근부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배근부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 프레임안착홈; 상기 제3 배근부의 좌측단부 및 상기 제3 배근부의 우측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3 프레임안착홈; 및 상기 제4 배근부의 좌측단부 및 상기 제4 배근부의 우측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4 프레임안착홈일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안착홈 및 상기 제4 프레임안착홈은 각각, 일측부가 개구되며 하측으로 기울어진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관 및 프레임으로 구성된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를 제공함으로써, 철근망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완성된 철근망의 강성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철근망의 골조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도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철근망의 선조립이란 바닥콘크리트의 상측에 각각의 철근을 결합시켜 철근콘크리트 기둥 또는 보를 구성하는 철근망을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기둥 또는 보를 구성하는 철근망의 제작을 완료하고 기둥 또는 보의 설치위치로 철근망을 이동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킨다는 의미이며, 이하에서는 기둥 또는 보를 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를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에 사용되는 제1 강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에 사용되는 고정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에 사용되는 다른 고정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100)는 한 쌍의 강관(제1 강관(110),제2 강관(120))과, 한 쌍의 강관(110,120)에 결합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프레임(130)과, 강관(110,120)에 안착된 철근을 고정하는 고정핀(140, 도 3, 도 4 및 도 6 참조)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강관(110,120)은 철근망의 선조립 작업 중에 직립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부재로, 본 실시예의 경우 중공 형상의 사각형 강관(110,120)이 사용되지만, 원형 강관(미도시) 또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ㄷ'자형 단면을 갖는 강관(미도시)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강관(110,120)은 중공 형상을 지님으로써 추후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강관(110,120) 내측으로 흘러들 수 있도록 한다. 강관(110,120) 내측으로 흘러든 콘크리트는 기둥 또는 보의 양생과정에 따라 강관(110,120)과 일체로 경화되며, 이는 'ㄷ'자형 단면을 갖는 강관(형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강관(110,120)의 양단부에는 각각 강관 안착홈(110a,110c,120a,120c)이 형성되며, 제1 강관(1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강관 안착홈을 제1 상부안착홈(110a)으로, 제1 강관(1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강관 안착홈을 제1 하부안착홈(110c)으로, 제2 강관(1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강관 안착홈을 제2 상부안착홈(120a)으로, 제2 강관(1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강관 안착홈을 제2 하부안착홈(120c)으로 구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강관(110)은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상부안착홈(110a)과,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 하부안착홈(110c)과, 제1 상부안착홈(110a)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상부핀홀(110e)과, 제1 하부안착홈(110c)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하부핀홀(110f)과, 제1 강관(1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충진홀(110g)을 포함한다.
제1 상부안착홈(110a)은 철근망을 구성하는 철근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제1 강관(110)의 상단부로부터 함몰되어 'U'자형 단면을 갖는다.
도 2을 참조하면, 제1 상부안착홈(110a)은 제1 강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진 테이퍼면(110b)을 포함하며, 제1 강관(110)의 상단부와 테이퍼면(110b)을 연결하는 부분은 라운드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철근 안착의 편의를 도모한다. 즉, 제1 상부안착홈(110a)에 철근을 안착하는 경우, 철근은 제1 상부안착홈(110a)의 내측에 형성된 라운드 처리부분을 따라 구른 후, 테이퍼면(110b)에 의하여 제1 상부안착홈(110a)의 하단부까지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며 이동하게 되므로 안착의 편의가 도모된다. 다만, 테이퍼면(110b) 및 라운드 처리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강관(1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제1 하부안착홈(110c)은 은 철근망을 구성하는 철근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제1 강관(110)의 하단부로부터 함몰되어 'U'자형 단면을 갖는다. 기타, 테이퍼면(110d) 및 라운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제1 상부안착홈(110a)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하부안착홈(110c)은 제1 상부안착홈(110a)과 대칭적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상부안착홈(110a) 및 제1 하부안착홈(110c)은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으며, 이는 기둥 또는 보의 건축시 요구되는 구조 물의 안전강도에 따라 결정될 문제이다. 즉,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100)를 사용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하는 경우, 사전에 구조물의 안전적 지지를 위한 부담하중 등이 먼저 결정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제1 상부안착홈(110a) 또는 제1 하부안착홈(110c)은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상부핀홀(110e)은 제1 상부안착홈(110a)에 인접하여 제1 상부안착홈(110a)의 형성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강관(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1 상부핀홀(110e)은 고정핀(140)의 삽입통로가 되는 부분으로, 제1 상부안착홈(110a)에 안착된 철근은 추후 고정핀(140)의 삽입에 따라 제1 강관(110)에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제1 상부핀홀(110e)의 일측부는 고정핀(140)의 크기보다 크도록 하며, 타측부는 고정핀(140)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고정핀(140)의 삽입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상부핀홀(110e)의 형상은 사용되는 고정핀(14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고정핀(140)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하부핀홀(110f)은 제1 하부안착홈(110c)에 인접하여 제1 하부안착홈(110c)의 형성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강관(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1 상부핀홀(110e)과 마찬가지로, 제1 하부핀홀(110f)은 고정핀(140)의 삽입통로가 되며, 제1 하부안착홈(110c)에 안착된 철근은 추후 고정핀(140)의 삽입에 따라 제1 강관(110)에 견고히 고정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충진홀(110g)은 제1 강관(110)을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추후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제1 강관(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성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전체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부분이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강관(110)을 'ㄷ'자형 단면을 갖는 강관(미도시)으로 사용하는 경우 제1 충진홀(110g)은 필요에 따라 포함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강관(120)은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 상부안착홈(120a)과,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 하부안착홈(120c)과, 제2 상부안착홈(120a)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2 상부핀홀(120e)과, 제2 하부안착홈(120c)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2 하부핀홀(120f)과, 제2 강관(120)을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제2 충진홀(120g)을 포함한다.
제2 강관(120), 제2 상부안착홈(120a), 제2 하부안착홈(120c), 제2 상부핀홀(120e), 제2 하부핀홀(120f) 및 제2 충진홀(120g)에 관한 사항은 각각 제1 강관(110), 제1 상부안착홈(110a), 제1 하부안착홈(110c), 제1 상부핀홀(110e), 제1 하부핀홀(110f) 및 제1 충진홀(110g)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강관(110) 및 제2 강관(120)은 상호 대칭적으로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완성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100)를 사용하여 철근망을 조립하는 경우, 철근망 조립의 편의가 도모될 뿐만 아니라, 한 쌍의 강관(110,120)과 프레임(130)에 의하여 완성된 철근망은 골조화됨으로써 강성이 증대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140)은 반원 형상을 가지며, 헤 드부(141), 몸체부(142) 및 안착턱(143)을 포함한다.
헤드부(141)는 고정핀(140)의 삽입시 망치 등의 타격도구가 타격할 수 있는 부분으로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몸체부(142)는 제1 상부안착홈(110a)에 안착된 철근과 직접 밀착하여 철근을 견고히 고정하는 부분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4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진행시 소정의 테이퍼가 형성되는 테이퍼부(142a)가 마련된다. 고정핀(140)의 삽입 진행에 따라 테이퍼부(142a)는, 제1 상부안착홈(110a)에 안착된 철근을 강제적으로 제1 상부안착홈(110a)의 하측으로 밀며, 이에 따라 고정핀(140)의 삽입이 완료된 경우 철근은 제1 상부안착홈(110a)의 하측에 완전히 밀착된다.
안착턱(143)은 몸체부(142)의 일단부에 몸체부(142)의 단면 직경이 감소하여 마련되며, 고정핀(140)의 삽입과정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추가된다. 즉, 제1 상부핀홀(110e)의 일측부에 고정핀(140)을 삽입하는 경우, 안착턱(143)은 제1 상부핀홀(110e)의 타측부에 걸쳐지며, 이후 망치를 사용하여 헤드부(141)를 타격하게 되므로 고정핀(140)이 제1 상부핀홀(110e)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고정핀(140)의 사용시, 제1 상부핀홀(110e)은 고정핀(140)의 형상에 대응하여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앞서 살핀 바와 같이 고정핀(140)의 삽입이 개시되는 제1 상부핀홀(110e)의 일측부는 고정핀(140)의 크기보다 크도록 하며, 타측부는 고정핀(140)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삽입의 편의를 도모한다.
제1 하부핀홀(110f), 제2 상부핀홀(120e) 및 제2 하부핀홀(120f)의 형상에 관한 사항이나 이에 삽입되는 고정핀(140)에 관한 사항은 각각 제1 상부핀홀(110e)의 형상 및 이에 삽입되는 고정핀(14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핀(150)은 사각 형상을 가지며, 헤드부(151), 몸체부(152) 및 안착턱(153)을 포함한다.
헤드부(151), 몸체부(152) 및 안착턱(153)에 관한 사항은 도 3에 도시된 고정핀(140)의 헤드부(141), 몸체부(142) 및 안착턱(143)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 경우 제1 상부핀홀(110e)의 형상은 고정핀(15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형상을 가져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고정핀(150)의 사용시, 고정핀(150)의 하측부와 제1 상부안착홈(110a)에 안착된 철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철근을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130)은 한 쌍의 강관(110,120)과 함께 완성된 철근망의 지지역할을 담당하는 부재로, 총 4개의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강관(110,1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배근부(131)와, 강관(110,1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배근부(132)와, 제1 배근부(131) 및 제2 배근부(132)의 좌측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3 배근부(133)와, 제1 배근부(131) 및 제2 배근부(132)의 우측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4 배근부(134)를 포함한다.
이처럼 프레임(130)은 제1 배근부(131), 제2 배근부(132), 제3 배근부(133) 및 제4 배근부(134)를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는 바, 사각형상으로 마련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프레임(130)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130)은 외곽 영역을 따라 복수 개의 프레임 안착홈(131a,132a,133a,134a)이 형성되며, 제1 배근부(131)에 형성된 프레임 안착홈을 제1 프레임안착홈(131a)으로, 제2 배근부(132)에 형성된 프레임 안착홈을 제2 프레임안착홈(132a)으로, 제3 배근부(133)에 형성된 프레임 안착홈을 제3 프레임안착홈(133a)으로, 제4 배근부(134)에 형성된 프레임 안착홈을 제4 프레임안착홈(134a)으로 구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배근부(131)는 강관(110,120)의 상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며, 제1 배근부(131)의 상단부에는 제1 프레임안착홈(131a)이 형성된다. 제1 프레임안착홈(131a)은 철근망을 구성하는 철근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조립하고자하는 철근망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1 배근부(131)의 상단으로부터 함몰되어 복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배근부(131)의 양단은 제3 배근부(133) 및 제4 배근부(134)로부터 각각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제1 배근부(131) 양단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안착홈(131a)의 형성위치가 제3 배근부(133)의 제3 프레임안착홈(133a) 및 제4 배근부(134)의 제4 프레임안착홈(134a)의 형성위치와 각각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철근망의 완성시 각 단에 마련된 철근의 무게중심이 상호 일치하도록 한다. 또한, 제1 프레임안착홈(131a)은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배근부(131)의 하단부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미도시), 이 경우 별도의 체결부재(굵은 철사 등, 미도시)에 의하여 안착된 철근을 결속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배근부(132)는 강관(110,120)의 하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며, 제2 배근부(132)의 하단부에는 제2 프레임안착홈(132a)이 형성된다. 제2 프레임안착홈(132a)은 철근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기타 자세한 사항은 전술한 제1 프레임안착홈(131a)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제2 프레임안착홈(132a)을 제2 배근부(132)의 하단부로부터 함몰 형성시키는 경우, 프레임(130)은 상하 대칭적 형상을 지니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2 프레임안착홈(132a)은 제2 배근부(132)의 상단부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도 1을 참조하면, 제3 배근부(133)는 제1 배근부(131) 및 제2 배근부(132)의 좌측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며, 제3 배근부(133)의 좌측단부에는 제3 프레임안착홈(133a)이 형성된다. 제3 프레임안착홈(133a)은 철근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개구되고 하측으로 기울어진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삽입되는 철근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마련된다. 따라서, 철근은 제3 프레임안착홈(133a)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착 후 이탈이 방지되며, 제3 프레임안착홈(133a) 내부에서 일정부분 움직임이 허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4 배근부(134)는 제1 배근부(131) 및 제2 배근부(132)의 우측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되며, 제4 배근부(134)의 우측단부에는 제4 프레임안착홈(134a)이 형성된다. 제4 프레임안착홈(134a)에 관한 사항은 제3 프레임안착홈(133a)에 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3 프레임안착홈(133a)은 제3 배근부(133)의 우측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미도시), 제4 프레임안착홈(134a)은 제4 배근부(134)의 좌측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제1 프레임안착홈(131a), 제2 프레임안착홈(132a), 제3 프레임안착홈(133a) 및 제4 프레임안착홈(134a)의 형성위치는 변경 가능한 사항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프레임 안착홈(131a,132a,133a,134a)의 형성위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강관 안착홈(110a,110c,120a,120c) 및 프레임 안착홈(131a,132a,133a,134a)은 각각 안착되는 철근의 안착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100)를 사용하여 완성된 철근망은 배근 간격이 균일해지며 철근 피복두께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고품질의 철근망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이하에서는 전술한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100)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100)를 이용하여 철근망을 선조립하는 방법을 상술한다.
도 5는 철근망의 선조립시 추가될 수 있는 보조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및 보조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를 사용하여 완성된 철근망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완성된 철근망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40)는 한 쌍의 보조강관(제1 보조강관(41),제2 보조강관(42))과, 보조강관(41,4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아(43)를 포함한다. 보조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40)는 완성된 철근망의 구조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추가적으로 마련되는 부재로서, 제1 보조강관(41) 및 제2 보조강관(42)에 관한 사항은 각각 제1 강관(110) 및 제2 강관(12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 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바아(43)는 한 쌍의 보조강관(41,42)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부재로, 일단부가 제1 보조강관(41)의 일측면에 용접(W) 고정되며, 타단부가 제2 보조강관(42)의 일측면에 용접(W) 고정된다. 복수 개의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100)에 의하여 복수 개의 철근이 자리를 잡은 후에는, 복수 개의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100)의 사이사이에 보조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40)를 삽입하고 철근과 결합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철근망의 구조력이 강화하도록 한다. 보조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40)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100)에 비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가능하며, 조립하고자 하는 철근망의 전체 길이에 따라 생략도 가능하다.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100)를 이용하여 철근망을 완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철근 조립용 거치대(50)는 철근망의 제작에 사용되는 철근을 미리 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재로,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받침대(51)와, 한 쌍의 받침대(51)를 상호 연결하는 철근지지대(52)와, 철근지지대(52)의 움직임을 막도록 철근지지대(52)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고정블록(53)을 포함한다.
철근망을 조립하기 위하여 먼저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받침대(51)를 배치하며, 철근지지대(52)를 사용하여 한 쌍의 받침대(51) 상호 간을 연결한다. 철근지지대(52)의 하측에는 제1 하부안착홈(110c), 제2 하부안착홈(120c), 제2 프레임안착홈(132a), 제3 프레임안착홈(133a) 및 제4 프레임안착홈(134a)에 안착될 개수 만큼의 철근이 미리 배치되어 있도록 준비하며, 철근지지대(52)의 상측 면에는 제1 상부안착홈(110a), 제2 상부안착홈(120a) 및 제1 프레임안착홈(131a)에 안착될 철근의 개수 만큼의 철근이 배치되도록 준비한다.
다음으로, 철근지지대(52)의 상측면에 배치된 철근 중 두 개를 들어 각각 제1 상부안착홈(110a) 및 제2 상부안착홈(120a)에 안착시키고, 고정핀(140)을 삽입하여 이를 고정한다. 이 경우,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10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철근에 매달리게 되며,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40)도 동일한 과정을 통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철근에 매달리게 된다. 다만, 보조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40)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철근지지대(52)의 상측면에 배치된 나머지 철근들을 제1 프레임안착홈(131a)에 각각 안착시키며, 체결부재(굵은 철사 등, 미도시)를 사용하여 이를 결속한다.
다음으로, 철근지지대(52)의 하측에 마련된 철근 중 두 개를 들어 제1 하부안착홈(110c) 및 제2 하부안착홈(120c)에 각각 안착시키며, 고정핀(140)을 삽입하여 이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철근지지대(52)의 하측에 마련된 나머지 철근들 중 일부를 제2 프레임안착홈(132a)에 각각 안착시키며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이를 결속하고, 최종적으로 남은 철근들을 각각 제3 프레임안착홈(133a) 및 제4 프레임안착홈(134a)에 안착시킨다. 제3 프레임안착홈(133a) 및 제4 프레임안착홈(134a)에 안착된 철근들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결속시키지 않으며, 추후 보강철근(20)이 배근된 이후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완성된 철근망은 철근망의 둘레를 따라 보강철근(20)이 추가적으로 배근되는데, 보강철근(20)은 완성된 철근망의 조립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부재로 후프근(21) 및 타이근(22)을 포함한다.
도면상 나타내기 어려운 면이 있으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후프근(21)은 가조립 철근망의 둘레를 따라 '
Figure 112008047902712-pat00001
'자형으로 결합되는 철근을 의미하며, 타이근(22)은 가조립 철근망 둘레의 일부분에 '
Figure 112008047902712-pat00002
'자형으로 결합되는 철근을 의미한다.
'
Figure 112008047902712-pat00003
'자형으로 제작된 후프근(21)은 가조립 철근망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프레임안착홈(133a) 및 제4 프레임안착홈(134a)은 타원형상으로 안착되는 철근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바, 제3 프레임안착홈(133a) 및 제4 프레임안착홈(134a)에 안착된 철근은 일정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철근이 고정된 경우라면,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100)에 안착된 각각의 철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
Figure 112008047902712-pat00004
'자형의 후프근(21)을 해체하고 이를 다시 감는 과정을 밟아야 한다. 이와 달리, 제3 프레임안착홈(133a) 및 제4 프레임안착홈(134a)에 안착된 철근은 일정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프근(21)의 배근 편의를 도모한다.
타이근(22)은 축방향 철근의 좌굴방지를 위하여 축방향 철근을 횡방향으로 결속하는 철근을 말하며, 제1 상부안착홈(110a), 제1 하부안착홈(110c), 제2 상부안착홈(120a) 및 제2 하부안착홈(120c)에 안착된 철근을 제외한 대향된 위치의 나머지 철근을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배근된다. 즉, 제1 프레임안착홈(131a)과 제2 프레임안착홈(132a)에 각각 삽입된 철근은 철근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타 이근(22)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고, 제3 프레임안착홈(133a)과 제4 프레임안착홈(134a)에 각각 삽입된 철근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타이근(22)에 의해 결합된다.
후프근(21) 및 타이근(22)까지 배근한 후에는 제3 프레임안착홈(133a) 및 제4 프레임안착홈(134a)에 안착된 철근을 정위치에 위치시키고 체결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결속함으로써 전체 철근망을 완성한다.
이처럼 완성된 철근망은 철근망이 설치되야 할 위치, 즉 기둥 또는 보의 설치위치로 이동된 후 바닥콘크리트에 결합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기둥 또는 보를 건축하게 된다.
다만, 현장여건에 따라 철근의 배근 순서는 전술한 바와 달리 얼마든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200)는 한 쌍의 강관(제1 강관(210),제2 강관(220))과, 한 쌍의 강관(210,220)에 결합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프레임(230)과, 고정핀(140, 도 6 참조)을 포함한다.
제1 강관(210), 제2 강관(220) 및 고정핀(140)에 관한 사항은 각각 전술한 실시예의 제1 강관(110), 제2 강관(120) 및 고정핀(14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230)은 한 쌍의 강관(210,220)과 함께 완성된 철근망의 지지역할을 담당하는 부재로, 강관(210,2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배근부(231)와, 강관(210,2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배근부(232)와, 제1 배근부(231) 및 제2 배 근부(232)의 좌측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3 배근부(233)와, 제1 배근부(231) 및 제2 배근부(232)의 우측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4 배근부(234)를 포함한다.
이처럼 프레임(230)은 총 4개의 프레임 부재를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는 바, 사각형상으로 마련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프레임(230)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230)은 외곽 영역을 따라 복수 개의 프레임 안착홈(231a,232a,233a,234a)이 형성되며, 제1 배근부(231)에 형성된 프레임 안착홈을 제1 프레임안착홈(231a)으로, 제2 배근부(232)에 형성된 프레임 안착홈을 제2 프레임안착홈(232a)으로, 제3 배근부(233)에 형성된 프레임 안착홈을 제3 프레임안착홈(233a)으로, 제4 배근부(234)에 형성된 프레임 안착홈을 제4 프레임안착홈(234a)으로 구분한다.
제1 프레임안착홈(231a)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제1 배근부(13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각각 함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철근은 제1 배근부(131)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 모두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200)는 보다 많은 철근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결국 완성된 철근망의 구조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230)의 경우, 제2 프레임안착홈(232a)은 제2 배근부(232)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각각 함몰 형성되며, 제3 프레임안착홈(233a)은 제3 배근부(233)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에서 각각 함몰 형성되고, 제4 프레임안착홈(234a)은 제4 배근부(234)의 우측단부 및 좌측단부에서 각각 함몰 형성되므 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보다 많은 철근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완성된 철근망의 구조력이 강화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안착홈(231a), 제2 프레임안착홈(232a), 제3 프레임안착홈(233a) 및 제4 프레임안착홈(234a)에 관한 기타 사항은 각각 전술한 실시예의 제1 프레임안착홈(131a), 제2 프레임안착홈(132a), 제3 프레임안착홈(133a) 및 제4 프레임안착홈(134a)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에 사용되는 제1 강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에 사용되는 고정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에 사용되는 다른 고정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철근망의 선조립시 추가될 수 있는 보조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및 보조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를 사용하여 완성된 철근망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완성된 철근망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110 : 제1 강관
110a : 제1 상부안착홈 110b, 110d : 테이퍼면
110c : 제1 하부안착홈 110e : 제1 상부핀홀
110f : 제1 하부핀홀 110g : 제1 충진홀
120 : 제2 강관 120a : 제2 상부안착홈
120b, 120d : 테이퍼면 120c : 제2 하부안착홈
120e : 제2 상부핀홀 120f : 제2 하부핀홀
120g : 제2 충진홀 130 : 프레임
131 : 제1 배근부 131a : 제1 프레임안착홈
132 : 제2 배근부 132a : 제2 프레임안착홈
133 : 제3 배근부 133a : 제3 프레임안착홈
134 : 제4 배근부 134a : 제4 프레임안착홈
140 : 고정핀 141 : 헤드부
142 : 몸체부 142a : 테이퍼부
143 : 안착턱 10 : 철근
20 : 보강철근 21 : 후프근
22 : 타이근 40 : 보조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41 : 제1 보조강관 41a : 제1 보조강관 상부안착홈
41b : 제1 보조강관 하부안착홈 41c : 제1 보조강관 상부핀홀
41d : 제1 보조강관 하부핀홀 41e : 제1 보조강관 충진홀
42 : 제2 보조강관 42a : 제2 보조강관 상부안착홈
42b : 제2 보조강관 하부안착홈 42c : 제2 보조강관 상부핀홀
42d : 제2 보조강관 하부핀홀 42e : 제2 보조강관 충진홀
43 : 연결바아 50 : 철근 조립용 거치대
51 : 받침대 52 : 철근지지대
53 : 고정블록

Claims (11)

  1. 상호 이격 배치되며 철근망의 선조립 작업 중에 직립되어 철근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강관; 및
    상기 한 쌍의 강관에 결합되어 철근을 지지하며 상기 철근망의 강성을 보강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강관에는 상기 강관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 철근이 안착되는 강관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의 외곽 영역을 따라 철근이 안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안착홈이 형성되되,
    상기 강관은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강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강관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홀이 형성되는 중공형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은 'ㄷ'자형 단면을 갖는 강관이며,
    상기 강관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강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강관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진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에는,
    상기 강관 안착홈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강관 안착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핀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핀홀에는,
    상기 강관 안착홈에 안착된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 안착홈은,
    상기 강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부안착홈 및 상기 강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핀홀은,
    상기 상부안착홈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부핀홀 및 상기 하부안착홈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하부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은 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핀은 사각 형상의 테이퍼 핀이되,
    상기 고정핀의 일단부에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안착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4개의 프레임 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사각 형상을 갖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각각,
    상기 강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배근부;
    상기 강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배근부;
    상기 제1 배근부 및 상기 제2 배근부의 좌측단부를 연결하는 제3 배근부; 및
    상기 제1 배근부 및 상기 제2 배근부의 우측단부를 연결하는 제4 배근부이며,
    상기 프레임 안착홈은 각각,
    상기 제1 배근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프레임안착홈;
    상기 제2 배근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 프레임안착홈;
    상기 제3 배근부의 좌측단부에 형성되는 제3 프레임안착홈; 및
    상기 제4 배근부의 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제4 프레임안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프레임 부재는 각각,
    상기 강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 배근부;
    상기 강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배근부;
    상기 제1 배근부 및 상기 제2 배근부의 좌측단부를 연결하는 제3 배근부; 및
    상기 제1 배근부 및 상기 제2 배근부의 우측단부를 연결하는 제4 배근부이며,
    상기 프레임 안착홈은 각각,
    상기 제1 배근부의 상단부 및 상기 제1 배근부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프레임안착홈;
    상기 제2 배근부의 상단부 및 상기 제2 배근부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 프레임안착홈;
    상기 제3 배근부의 좌측단부 및 상기 제3 배근부의 우측단부에 각각 형성되 는 제3 프레임안착홈; 및
    상기 제4 배근부의 좌측단부 및 상기 제4 배근부의 우측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4 프레임안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안착홈 및 상기 제4 프레임안착홈은 각각,
    일측부가 개구되며 하측으로 기울어진 타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KR1020080064013A 2008-07-02 2008-07-02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KR100873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013A KR100873846B1 (ko) 2008-07-02 2008-07-02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013A KR100873846B1 (ko) 2008-07-02 2008-07-02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846B1 true KR100873846B1 (ko) 2008-12-15

Family

ID=4037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013A KR100873846B1 (ko) 2008-07-02 2008-07-02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8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898B1 (ko) * 2012-01-31 2013-12-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선 조립된 철근다발을 가지는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WO2017219064A1 (en) * 2016-06-23 2017-12-28 Hickory Design Pty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torey buildings
CN111335547A (zh) * 2020-03-31 2020-06-26 陈庆发 一种装配式钢筋骨架快速成型搭接结构
DE102022114668A1 (de) 2022-06-10 2023-12-21 Echterhoff Expressbrücken GmbH Bewehrungsvorrichtu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898B1 (ko) * 2012-01-31 2013-12-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선 조립된 철근다발을 가지는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WO2017219064A1 (en) * 2016-06-23 2017-12-28 Hickory Design Pty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torey buildings
US11802403B2 (en) 2016-06-23 2023-10-31 Hickory Design Pty Ltd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floor in a multistorey building
US11814835B2 (en) 2016-06-23 2023-11-14 Hickory Design Pty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torey buildings
CN111335547A (zh) * 2020-03-31 2020-06-26 陈庆发 一种装配式钢筋骨架快速成型搭接结构
DE102022114668A1 (de) 2022-06-10 2023-12-21 Echterhoff Expressbrücken GmbH Bewehrungs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974B1 (ko) 철근콘크리트 기둥용 철근망의 선조립 방법
KR101086222B1 (ko) 세트화된 배근구조를 갖는 건축 구조물용 피씨 슬래브
CN105256891A (zh) 高强底筋预制混凝土框架结构
KR100873846B1 (ko)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CN212801213U (zh) 一种预埋剪力槽的预制装配式桥梁防撞护栏
CN107090909B (zh) 一种混凝土框架梁柱节点钢管束加强套管及其装配方法
CN210067219U (zh) 一种装配式房屋建筑用预制钢筋砼结构梁
JP4971201B2 (ja) コンクリート造梁の配筋施工方法
JPH05311747A (ja) 柱・梁構造
CN111764509B (zh) 用于预制梁柱的钢筋混凝土带钢管芯连接节点和连接方法
CN216109355U (zh) 一种适用于卡槽式预制梁的预制混凝土柱
CN210597881U (zh) 免支模带装饰框架柱及框架柱梁体系
CN101736858B (zh) 一种二次后浇圈梁的制作方法
CN109356285B (zh) 一种装配式预制柱构件、装配式组合预制柱及其装配方法
CN209179177U (zh) 一种装配式预制柱构件、装配式组合预制柱
KR20090100747A (ko)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선조립 구조물
JP697890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部材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CN205917876U (zh) 一种建筑用联结件和钢管梁
CN213296786U (zh) 墙帽组件及剪力墙
KR100619233B1 (ko) 포스트-텐션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그리고 이를이용하여 시공된 건축물 및 시공방법
CN116497980B (zh) 一种边缘构件、预制拉片式连接件抗震叠合墙及施工方法
KR100979891B1 (ko) 철근 선조립용 연결체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선조립 구조물
CN111519796B (zh) 墙帽组件、剪力墙及其构筑方法
CN219909361U (zh) 一种拉片式连接件及抗震叠合墙
CN217175272U (zh) 装配式混凝土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