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528B1 -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 Google Patents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528B1
KR100873528B1 KR1020070032488A KR20070032488A KR100873528B1 KR 100873528 B1 KR100873528 B1 KR 100873528B1 KR 1020070032488 A KR1020070032488 A KR 1020070032488A KR 20070032488 A KR20070032488 A KR 20070032488A KR 100873528 B1 KR100873528 B1 KR 100873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foot
coupled
korean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9829A (ko
Inventor
강응열
Original Assignee
강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응열 filed Critical 강응열
Priority to KR102007003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528B1/ko
Publication of KR2008008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8Chin-rests, hand-rests, shoulder rests or guards being removable from, or integral with the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22Material for manufactur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Treatm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악 현악기용 안족을 제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하며 안족을 고정하는 클램핑부,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하며 클램핑부의 양측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위치하고, 클램핑부에 놓인 안족을 절삭하는 절삭부를 포함하며, 특히 절삭부를 좌우 대칭인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작업으로 제작했던 것을 제작장치를 제공하여 인건비를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규격화된 동일품질의 안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생산량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국악 현악기, 현악기, 가야금, 거문고, 아쟁, 안족, 기러기발

Description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An equipment for making a bridge of Korean classical string instrument}
도 1a 내지 도 1d는 각 단계별 안족의 상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에 사용하는 안족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의 전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의 클램핑부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의 절삭부의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의 절삭부의 배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의 커팅부의 분해사시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절삭할 안족 11 : 우측발
12 : 좌측발 13 : 중앙축
14 : 밑면 15 : 중앙축 측면
16 : 홈 17 : 양발 상면
50 : 베이스부 100 : 클램핑부
101 : 받침판 102 : 체결공
111 : 바이스 112 : 돌출부
113 : 안착홈 115 : 조절판
116 : 조절용 나사 117 : 고정판
150 : 액츄에이터 151 : 구동축
200 : 절삭부 210 : 제 1 안내봉
220 : 제 2 안내봉 230 : 가이드
250 : 커팅부 251 : 모터
252 : 구동축 257 : 수직핸들
260 : 절삭날 290 : 액츄에이터
300 : 절삭부 500 : 안족
본 발명은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악기 몸체의 상부와 맞닿는 양발, 양발 사이에 위치하며 현을 지지하는 현지지대로 구성된 안족의 양발 상면과 현지지대의 측면을 곡면으로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악기의 종류는 관악기, 타악기, 현악기 등이 있고, 이 중 현악기는 울림통과 현으로 구성되어 현을 뜯거나 튕기는 등의 방법으로 소리를 낼 수 있는 악기이다. 이들 현악기 중 거문고, 가야금, 아쟁 등은 울림통 위에 안족(일명:기러기발)을 얹어서 현을 지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족은 현악기의 몸체 상부면과 맞닿도록 형성된 ∧형상의 바닥면을 가진 양발과 양발의 중앙에 위치하여 현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원통형인 현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족은 그 형태가 곡면이 많아 종래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깎아서 제작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작업을 통한 작업은 다수의 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경제적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작업을 통해서는 일반 가야금의 현이 12줄, 거문고 6줄, 아쟁 7줄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현을 받쳐주는 안족은 모두 세트단위로 구성되어 일정한 규격 또는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좋은 현악기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적 기술에만 의존해야하는 수작업을 통해서는 안족이 동일하거나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작업을 통해서는 제작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량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족을 제작함에 있어서 수작업을 줄일 수 있는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를 제공함 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인건비 절감을 통한 생산비용 절감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규격화된 동일품질의 안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제작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량을 증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하며, 안족을 고정하는 클램핑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하며, 상기 클램핑부의 양측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위치하고, 상기 클램핑부에 놓인 안족을 절삭하는 절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삭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결합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 양측에 결합하는 한 쌍의 안내봉, 상기 안내봉의 상향에 위치하여 상기 안내봉에 의해 안내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를 상기 안내봉을 따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함으로써 안족을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팅부는, 일 측에 위치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동하며 상기 안내봉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하부에 결합하여 안족을 절삭하는 커팅부재, 커팅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커팅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직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안족을 다양하게 절삭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팅부재는 안족의 양발 상면과 상기 안족의 현지지대의 측면을 곡면으로 절삭할 수 있도록, 상기 안족의 양발 상면과 상기 안족의 현지지대의 측면에 대응하는 절삭날이 형성되는 것이 안족의 양발 상면과 안족의 현지지대의 측면을 곡면으로 쉽게 절삭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삭부의 받침판은 상기 클램핑부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안족의 현지지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삭부는 상기 클램핑부의 좌우대칭인 한 쌍으로 설치됨으로써, 하나만 설치하여 안족을 이동시키거나 절삭부를 이동시켜 절삭하는 것보다 용이한 작업을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안족을 눕혀서 고정할 수 있도록 바이스와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스는 상기 안족의 바닥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전후로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절삭시 절삭운동에 의한 진동으로부터 완전 고정할 수 있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전후로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절삭되는 안족의 양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의 실시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순서에 따른 각 단계별 안족의 형상을 정면도와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족은 도 1(a)→도 1(b)→도 1(c)→도 1(d)의 순서대로 차례로 절삭가공하여 완성품에 이르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는 도 1(b)단계의 안족을 도 1(c)단계의 안족으로 절삭하는 제작장치이다.
도 2는 절삭 전의 기제공되는 안족과 절삭 후의 안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제공되는 절삭할 안족(10)은 좌우 양측의 한 쌍의 다리(11)(12)와 양다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축(13)으로 구성되며, 양다리는 ∧형 곡면을 가진 바닥면을 형성하고, 정면과 배면은 중앙으로 홈(14)(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삭 후의 안족(20)은 중앙축(21)이 절삭되어 측곡면부(22)가 형성되고, 양다리(23)(25)의 상부가 절삭되어 상부곡면부(24)(26)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는 중앙축(21)의 측곡면부(22)와 양다리(23)(25)의 상부곡면부(24)(26)를 형성하는 절삭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는 베이스부(10), 베이스부(10)의 상면에 결합하며, 안족을 고정하는 클램핑부(100), 베이스부(10)의 상면에 결합하며, 클램핑부(100)의 양측에 5°~ 15°의 각도로 기울어져 위치하는 절삭부(200)(300)로 구성된다.
도 4는 클램핑부(100)에 대해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100)는 다수의 체결공(102)을 형성하고, 이 체결공(102)을 통해 소정 의 체결나사로 베이스부(50)의 상면에 고정되는 받침판(101)과 받침판(101)의 상면에 결합되며 절삭할 안족을 놓을 수 있는 안착부(110)와 놓인 안족을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으로 전후이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안착부(110)는 절삭할 안족을 놓을 수 있는 바이스(111)와 바이스(111)의 하부로 결합하며, 바이스(111)를 전후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1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바이스(111)는 절삭할 안족의 밑면과 대응하는 곡면을 가진 돌출부(112)가 형성되어 안족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절삭할 안족의 중앙축 측면에 형성된 홈과 대응할 수 있도록 안착홈(113)을 더 설치하여 절삭할 안족이 보다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고 절삭시 기계 진동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절판(115)은 소정의 조절용 나사(116) 등을 이용하여 전후로 조절이 가능하여 절삭할 안족의 양발의 밑면부터 양발의 상면까지의 절삭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양측의 한 쌍의 고정판(117)은 받침판(101)의 상면에 결합되어 조절판(115)의 전후 이동시 한 쌍의 고정판(117)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조절판(115)과 고정판(117)의 맞닿는 양 측면을 일정한 각도로 형성하여 절삭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 상부에 결합된 바이스(11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착부(110)와 대응하여 바이스(110)에 놓인 안족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액츄에이터(150)가 있다. 이는 전기적 신호 등으로 구동될 수 있고, 구동축(151)이 전후로 이동하여 바이스(111)에 놓인 절삭할 안족의 중앙축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절삭할 안족을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구동축(151)은 안족의 중앙축 상면과 맞닿는 밀착면(152)에 돌기를 하나 또는 다수 개를 형성하여 안족을 보다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절삭부에 대해 설명한다. 절삭부는 상술했던 클램핑부(100)의 양측으로 좌우 대칭인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하나만 구성되는 것보다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좌우대칭 형태인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설명에서는 좌우대칭인 관계로 우측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절삭부에 대해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부(200)는 베이스부(50)의 상면에 결합하는 받침판(201), 받침판(201)의 상부 양측으로 결합하는 한 쌍의 제 1, 제 2 안내봉(210)(220), 제 1 안내봉(210)의 상향에 위치하여 제 1 안내봉(210)에 의해 안내되는 커팅부(250), 전기적 신호 등에 의해 커팅부(250)를 제 1 안내봉(210)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29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받침판(201)은 클램핑부(100)와 일정한 각도(θ)로 기울어져 베이스부(5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 각도(θ)의 범위는 5°~ 15°로써, 이를 조절하면 절삭할 안족의 중앙축의 절삭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조절을 위해 상기 받침판(201)의 일 측에 장공(202)을 형성하여 쉽게 각도 조절이 가능토록 할 수 있으며, 비단 장공(202)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50)에 소정의 스토퍼 등을 구비하여 각 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제 1, 제 2 안내봉(210)(220)은 받침판(201)의 상부 양측에 결합된 두 쌍의 안내봉 고정부재(211)에 결합하고, 제 1 안내봉(210)과 결합하는 한 쌍의 가이드(230)는 제 1 안내봉(210)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이 한 쌍의 가이드(231)는 액츄에이터(290)와 연결되는 연결판(231)과 결합하며, 이 연결판(231)은 고정판(232)과 수직으로 결합하고, 이 고정판(232)이 상부의 커팅부(250)에 결합하여 커팅부(250)가 제 1 안내봉(210)을 따라 연동하며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절삭부의 배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 등에 의해 액츄에이터(290)는 제 2 안내봉(22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290)와 연결판(231)이 결합하고, 이 연결판(231)이 고정판(241)과 수직으로 결합하고, 이 고정판(241)이 커팅부(250)와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커팅부(250)가 액츄에이터(290)와 연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팅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커팅부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부(250)는 좌측에 구동부인 모터(251)가 위치하고, 우측에는 모터(251)와 연동하는 구동축(252)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연동을 하기 위해 모터(251)의 상단과 구동축의 상단에 각각 풀리(253)(254)를 설치하고 각 풀리(253)(254)를 벨트(255)로 연결하여 연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252)의 하부로 절삭날(260)이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모터(251)의 회전력이 절삭날(260)과 연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터(251)와 구동축(252)의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56)와 연결판(231)은 상부커버(259)에 결합된 수직핸들(257)과 대응하는 부분에 수직핸들(257)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258)(259)이 형성되어 수직핸들(257)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커팅부(250)가 상하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조절을 해야하는 이유는 상술한 클램핑부(100)의 양측으로 절삭부(200)(300)를 설치하므로 안족의 양측 절삭하는 부분을 동일한 높이로 조절해야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제공되는 안족을 바닥에 수평으로 눕혔을 때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는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커팅부(250)의 높이 또한 대응될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해 수직핸들로 상하조절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술한 설명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능과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는 클램핑부(100)에 놓인 안족(500)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족을 바이스(111)위에 올려놓고 구동축(151)을 안족(500)의 중앙축의 상면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시켜 절삭할 안족(500)을 완전히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51)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는 구동축(252)과 절삭날(260)이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액츄에이터(290)는 "B"방향으로 제 2 안내봉(220)을 따라서 이동하면 이와 연동하는 커팅부(250)는 제 1 안내봉(210)을 따라서 "B"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커팅부(250)가 이동하여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할 안족(500)의 양발 상면과 중앙축의 측면을 절삭한 후, 도 8d에서 와 같이 "C"방향으 로 액츄에이터(290)가 이동하고 커팅부(250)도 연동하여 "C"방향으로 이동한 후 안족(500)의 좌측 절삭을 완료한다. "D"는 절삭날(260)에 의해 절삭된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절삭시 절삭날(260)과 안족(50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날(260)의 안족(500)을 절삭하는 날 부분은 ( 형으로 형성되어 안족(500)의 측곡면부(22)를 ( 형으로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대칭되는 반대편도 ) 형으로 형성되어 공정이 완료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에 따르면, 수작업으로 제작했던 것을 제작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인건비를 줄여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규격화된 동일품질의 안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생산 량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국악 현악기용 안족을 제작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하며, 안족을 고정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하며, 상기 클램핑부의 양측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위치하고, 상기 클램핑부에 놓인 안족을 절삭하는 절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결합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 양측에 결합하는 한 쌍의 안내봉, 상기 안내봉의 상향에 위치하여 상기 안내봉에 의해 안내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를 상기 안내봉을 따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일 측에 위치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동하며 상기 안내봉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하부에 결합하여 안족을 절삭하는 커팅부재, 커팅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커팅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직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재는 안족의 양발 상면과 상기 안족의 현지지대의 측면을 곡면으로 절삭할 수 있도록, 상기 안족의 양발 상면과 상기 안족의 현지지대의 측면에 대응하는 절삭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은 안족의 중앙축의 측곡면부와 양 다리의 상부곡면부와 대응되는 곡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의 받침판은 상기 클램핑부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는 상기 클램핑부의 좌우대칭인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8. 삭제
KR1020070032488A 2007-04-02 2007-04-02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KR100873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488A KR100873528B1 (ko) 2007-04-02 2007-04-02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488A KR100873528B1 (ko) 2007-04-02 2007-04-02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829A KR20080089829A (ko) 2008-10-08
KR100873528B1 true KR100873528B1 (ko) 2008-12-11

Family

ID=4015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488A KR100873528B1 (ko) 2007-04-02 2007-04-02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5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1113A (ja) * 1997-04-18 1998-11-04 Masanobu Naba 曲面切削装置及び曲面の切削方法
KR100350626B1 (ko) * 1999-11-09 2002-08-30 전영진 패널의 중앙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단장치
KR20040004235A (ko) * 2003-11-28 2004-01-13 이재화 음향확대 및 울림방지 구조를 갖는 거문고
KR20050055799A (ko) * 2003-12-09 2005-06-14 이장호 제기 외관 가공장치
KR100627132B1 (ko) * 2004-04-07 2006-09-25 강석찬 목조 건축물 조립 원목의 홈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1113A (ja) * 1997-04-18 1998-11-04 Masanobu Naba 曲面切削装置及び曲面の切削方法
KR100350626B1 (ko) * 1999-11-09 2002-08-30 전영진 패널의 중앙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단장치
KR20040004235A (ko) * 2003-11-28 2004-01-13 이재화 음향확대 및 울림방지 구조를 갖는 거문고
KR20050055799A (ko) * 2003-12-09 2005-06-14 이장호 제기 외관 가공장치
KR100627132B1 (ko) * 2004-04-07 2006-09-25 강석찬 목조 건축물 조립 원목의 홈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829A (ko)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3440A3 (en) Key structure and keyboard apparatus
DE112014003711T5 (de) Einstellbares Cajón-Instrument
US20100024623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neck angle of guitar
US5892169A (en) Music drum mute device
KR100873528B1 (ko)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CN1934617A (zh) 用于弦乐器的支撑元件
US2136627A (en) Tremulant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580480A (en) Acoustic guitar
US8105250B2 (en) Vibration-exercising machine
Bilhuber et al. The influence of the soundboard on piano tone quality
KR100873529B1 (ko) 국악 현악기용 안족 제작장치
KR20150099923A (ko) 교구용 가야금
US20030226439A1 (en) Piano muter
FI111570B (fi) Sähkökitara tai -basso
KR101407803B1 (ko) 건반간격 조절 가능한 건반악기의 건반프레임
CN105788569B (zh) 一种大提琴
DE202009008865U1 (de) Trommelbausatz
GB1591785A (en) String instrument bridge construction
KR20120022417A (ko) 기타의 넥크 가공장치
CN105869610B (zh) 一种大提琴
CN216014791U (zh) 一种新型琴码组
CN206148117U (zh) 一种试音琴绷装置
CN105957501B (zh) 一种板胡及其制作方法
CN212303030U (zh) 一种古筝制作试音器
CN203910246U (zh) 大音域马头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