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032B1 -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 - Google Patents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032B1
KR100873032B1 KR1020070038825A KR20070038825A KR100873032B1 KR 100873032 B1 KR100873032 B1 KR 100873032B1 KR 1020070038825 A KR1020070038825 A KR 1020070038825A KR 20070038825 A KR20070038825 A KR 20070038825A KR 100873032 B1 KR100873032 B1 KR 100873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low temperature
sputter gun
metal doping
dop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4409A (ko
Inventor
허윤성
황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에스
Priority to KR1020070038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03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01L21/2822Making the insulator with substrate doping, e.g. N, Ge, C implantation, before formation of the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01L21/28229Making the insulator by deposition of a layer, e.g. metal, metal compound or poysilicon, followed by transformation thereof into an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Abstract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며 기판이 안착되는 대향 전극판과, 상기 대향 전극판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기판 위를 이송하면서 금속촉매 물질의 도핑을 수행하는 넌 마그네트론 형태의 스퍼터 건과, 상기 대향 전극판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퍼터 건을 선형이동 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부와, 그리고 상기 스퍼터 건의 일측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밀도가 높은 전기장의 형성을 유도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핑, 마그네트, 선형, 전극, 플라즈마, 돌출, 전기장

Description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CATALYSTIC METAL DOPING DEVICE FOR 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G SILICON}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 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3 은 도1 에 도시된 스퍼터 건의 구조 및 대향 전극판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4 는 도3 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5 는 도1 에 도시된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에 구비된 음극판 인접의 플라즈마 밀도 그래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 은 도6 에 도시된 스퍼터 건의 구조 및 대향 전극판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8 은 도7 에 도시된 스퍼터 건의 접지쉴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챔버(Chamber) 3: 히터
5: 대향 전극판 7: 선형 구동부
9: 스퍼터 건(Sputter Gun) 10: 수단
55: 돌출부
본 발명은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퍼터 건의 타켓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국부적으로 밀도가 높은 전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취약한 외부조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유지시킬 수 있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 숫자, 도형, 화상 등을 표시하는 기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분야는 반도체, 메모리에 이어 첨단 과학 발전의 산물이며, 음극선관, 엘씨디 등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기존의 음극선관(Cathode-ray tube;CRT)은 기기가 가지는 특수성으로 인해 공간성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으며, 이를 대체하려는 노력은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어왔다.
이들 방식 중 최근 들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는 분야가 OLED 방식이다. OLED는 박막의 자체 발광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디스플레이 방식에 비해 응답속도가10-6초 영역으로 매우 빠를 뿐만 아니라 가볍고, 두께가 얇으며, 시야각이 넓고, 사용전력이 작으며, 두루마리형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OLED 방식 중 능동형(active matrix;AM) OLED는 TFT LCD와 마찬가지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를 기본으로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위해 비정질 실리콘에 비해 전자 이동속도가 빠른 결정립 실리콘 공정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판 모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투명 재료로는 일반 유리(glass) 종류와 석영(quartz)이 있으며, 사업성을 위해서는 석영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유리 재질이 더 많이 선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립으로 상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700℃ 이상의 열에너지가 필요한데, 석영 대신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리 기판의 융점이 약 640℃로 실리콘의 상변화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열에너지만을 사용하여 유리 기판 위에 증착된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유리 기판을 이용할 때에는 유리 기판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실리콘 결정립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러한 공정을 통칭하여 저온 폴리 실리콘(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결정화 공정이라 부른다.
이러한 LTPS 결정화 공정 기술은 일반적으로 레이저를 이용하는 레이저 어닐링(ELA: Excimer Laser Annealing) 방식과, 레이저를 이용하지 않는 넌 레이저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넌 레이저 방식으로는 대표적으로 촉매 역할을 하는 금속 물질을 비정질 실리콘 박막 위에 단위 면적당 1013개 이하로 도핑(doping)시킨 후, 유리 기판의 융점 이하에서 열처리하여 결정화하는 금속 유도 결정화(MIC: 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상기 금속 유도 결정화 기술은 도핑을 목적으로 매우 적은 양의 금속 원자들을 기판위에 안착시켜야 하므로 스퍼터링 공정에 비하여 최적화 되지 않은 공정을 적용하여야 한다.
즉, 낮은 전압을 인가하거나, 낮은 공정 압력을 유지하거나, 타켓과 기판의 사이를 멀리 위치시키거나, 스퍼터 건을 주사방식으로 선형이동시키는 등의 방식을 적용하여야 한다.
동시에, 이러한 저온 폴리 결정화 기술은 금속원자의 도핑량이 극미량일 뿐만 아니라, 도핑량에 따라 결정립의 크기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으로 도핑공정이 매우 안정적인 조건하에서 진행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핑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적화되지 않은 조건하에서 도핑공정이 진행되므로 외부의 조건들이 가변되는 경우, 이러한 조건들에 의하여 도핑공정이 쉽게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퍼터 건의 타켓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국부적으로 밀도가 높은 전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취약한 공정조건에서도 외부의 조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유지시킬 수 있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며 기판이 안착되는 대향 전극판; 상기 대향 전극판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기판 위를 이송하면서 금속촉매 물질의 도핑을 수행하는 넌 마그네트론 형태의 스퍼터 건; 상기 대향 전극판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퍼터 건을 선형이동 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부; 그리고 상기 스퍼터 건의 일측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밀도가 높은 전기장의 형성을 유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 는 도1 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는 챔버(Chamber;1)와, 상기 챔버(1)의 내부에 구비되며 기판이 안착 되는 대향 전극판(5)과, 상기 대향 전극판(5)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기판 위를 이송하면서 금속촉매 물질의 도핑을 수행하는 넌 마그네트론 형태의 스퍼터 건(Sputter Gun;9)과, 상기 대향 전극판(5)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퍼터 건(9)을 선형이동 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부(7)와, 그리고 상기 스퍼터 건(9)의 일측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밀도가 높은 전기장의 형성을 유도하는 수단(1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1)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챔버(1)는 그 내부가 진공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르곤 가스 등이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향 전극판(5)의 하부에는 히터(3)가 구비되며, 상기 히터(3)는 그 위에 기판(G)이 올려질 수 있다. 상기 히터(3)는 도핑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기판(G)이 고르게 350 ℃ 정도까지 가열될 수 있도록 온도 제어 장치(도시생략)와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대향 전극판(5)은 상기 스퍼터 건(9)이 선형으로 이동됨에 따라 스퍼터 건(9)에 제공되는 전극 플레이트(T)와의 간격 변화로 달라질 수 있는 전기장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히터(3)의 면과 등전위를 이루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 구동부(7)는 스퍼터 건(9)을 챔버(1) 내에서 선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원이 되는 모터(M)와, 상기 모터(M)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21)과, 상기 구동축(21)에 의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풀리(23,25), 상기 구 동풀리(23,25)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종동풀리(27, 29),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23, 25)와 상기 종동풀리(27, 29)의 사이에 배치되는 벨트(31, 33)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선형 구동부(7)는 상기 모터(M)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축(21)이 회전하고, 구동축(21)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풀리(23,25) 및 종동풀리(27,29)가 회전함으로써 벨트(31,33)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벨트(31,33)에 연결된 상기 스터퍼 건(9)이 전후진함으로써 주사방식의 도핑작업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퍼터 건(9)은, 도1, 도3, 그리고 도4 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선형 구동부(7)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41)와, 한 쌍의 지지대(41)의 사이에 구비되는 전극(51)과, 상기 대향 전극판(5)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극 플레이트(T;일명, 타켓)와, 상기 전극(51)을 밀폐시키는 차폐부재(57)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스퍼터 건에 있어서, 상기 스퍼터 건(9)은 대향 전극판(5)에 대하여 일정거리(d)가 떨어져 배치되며,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극(51)은 바람직하게는 음극의 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원인가시 상기 대향 전극판(5)은 양극의 극성을 띠며, 전극(51)은 음극의 극성을 띠므로 전기장(E)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전극(51)의 내부에는 열을 식히기 위한 냉각수 통로(51a)가 마련된다. 상기 냉각수 통로(51a)는 전극(5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별도 의 냉각수 공급/순환장치(도시생략)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냉각수 통로(51a)는 냉각수가 흐르면서 전극 플레이트(T)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전극 플레이트(T)의 표면 특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극 플레이트(T)는 전극(51)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대향 전극판(5)과 서로 대응된다. 이때, 상기 전극 플레이트(T)는 바람직하게는 니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극 플레이트(T)와 대향 전극판(5)의 사이 공간에는 균일한 밀도를 갖는 전기장(E)이 형성된다.
그리고 차폐부재(57)는 상기 스퍼터 건(9)의 전극 플레이트(T)가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차폐부재(57)는 2mm의 다크 스페이스(dark space) 즉, 플라즈마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띄워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부재(57)는 히터(3), 대향 전극판(5)과 함께 등전위를 이루고 있어, 전극 플레이트(T)와 기판(G) 사이에 전기장(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퍼터 건(9)은 전극(51)에 영구 자석을 배치하지 않음으로서 자기장에 의한 플라즈마 밀도 강화를 크게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1) 내의 이송형 스퍼터 건(9)에 영구자석을 삽입하지 않음으로써 자기장으로 인한 플라즈마 밀도의 상승을 억제해 주고 균일하게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한 촉매 금속의 도핑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플레이트(T)의 일측에는 상기 수단(10)이 구비됨으로써 전기장의 밀도를 국부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수단(10)은 전극 플레이트(T)의 표면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5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55)는 원뿔형상 혹은 다면체 형상을 갖는다. 즉, 돌출부(55)는 단면이 원형 혹은 삼각, 사각, 오각등의 다각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55)는 상기 전극 플레이트(T)의 표면에 일정 높이(h)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간격(l)씩 떨어져 배치되며, 일정 폭(x)을 갖는다.
이때, 상기 돌출부(55)의 간격(l)과 돌출부(55)의 폭(x)은 서로 일정한 연관관계를 갖는다. 즉, 상기 돌출부(55)의 폭(x)이 돌출부(55)의 간격(l)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돌출부(55)가 구비된 전극 플레이트(T)와 대향 전극판(5)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극 플레이트(T)와 대향 전극판(5)의 사이에 전기장(E)이 형성되고, 돌출부(55)의 주위에는 국부적으로 밀도가 높은 전기장(E)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돌출부(55)의 주위에 밀도가 높은 전기장(E)이 형성되는 경우, 외부의 영향을 크게 받지않고 전기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전기장의 밀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10)으로서 돌출부(55)를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 플레이트상에 형성되는 관통홀도 가능하다. 즉, 전극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홀을 형성하는 경우, 이 홀의 가장자리에도 전기장의 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55)의 주위에 밀도가 높은 전기장(E)이 형성되는 것은 도5 에 도시된 그래프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위차(Vp)는 전극 플레이트(T;도3)와 대향 전극판(5;도3)의 사이에 균일하게 형성되나, 돌출부(55;도3) 방향으로 갈수록 전위차(Vp)에 의한 기울기가 급격하게 형성된다.
이는 전극 플레이트(T)측의 전기장(E)의 세기가 더 세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형성되는 플라즈마도 외부의 영향에 덜 민감하다.
그리고, 이러한 전위차(Vp)의 세기는 돌출부(55)의 높이(h)와 간격(l), 그리고 폭(x)에 의하여 변동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6 내지 도8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며, 스퍼터 건(60)에 구비되는 차폐부재(62)의 전면에 접지쉴드(64)를 구비하는 차이점이 있다.
즉, 전극(65)의 일측에 전극 플레이트(T)가 구비되고, 이 전극 플레이트(T)의 외부면에는 전기장의 밀도를 높이는 수단(63), 즉 다수개의 돌출부(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65)의 외부 중 전면을 제외한 부분은 차폐부재(62)가 밀폐하며, 전면은 접지쉴드(64)가 배치된다.
이 접지쉴드(64)에는 다수개의 개방홀(66)이 형성되며, 이 개방홀(66)을 통하여 돌출부(63)의 외부면이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쉴드(64)는 바람직하게는 양극으로 대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접지쉴드(64)와 대향 전극판(5)의 사이에 전기장(E) 이 형성되면 이 개방홀(66)을 통하여 노출된 돌출부(63)의 주위에 밀도가 높은 전기장(E)이 형성된다. 즉, 국부적으로 밀도가 높은 전기장(E)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지쉴드(64)상에 형성된 개방홀(66)은 서로 엇갈리도록, 바람직하게는 3중 이상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이 차폐부재(62)에 접지쉴드(64)를 구비함으로써 국부적으로 밀도가 높은 전기장(E)을 형성하여 외부의 조건에 덜 민감한 안정적인 전기장(E)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에 의하여 도핑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챔버(1)의 내부에 10-2 ~ 10-3 Torr 영역의 이온화 가스, 바람직하게는 아르곤 가스를 채운다. 그리고, 대향전극판(5) 및 전극(51)에 전압을 인가하면 대향 전극판(5)과 전극 플레이트(T)의 사이 공간에 전기장(E)이 형성됨으로써 플라즈마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스퍼터 건(9)에 마그네트를 장착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이로 인해 자기장이 없이 단지 전기장(E)에 의해 플라즈마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선형 구동부(7)의 작동에 의하여 스퍼터 건(9)을 이동시킴으로써 도핑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즉, 선형 구동부(7)의 모터(M)가 구동함으로써 한 쌍의 구동풀리(23,25)와 종동풀리(27, 29)가 회전하고, 벨트(31,33)가 이동함으로써 스터퍼 건(9)을 대향 전극판(5)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퍼터 건(9)이 이동함에 따라 전극 플레이트(T)와 대향 전극판(5)의 사이 공간에서는 전기장(E)이 형성되고, 넌 마그네트론 방식이므로 균일하고 매우 낮은 밀도의 플라즈마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극 플레이트(T)에 구비된 돌출부(55)에는 국부적으로 밀도가 높은 전기장(E)을 형성하게 된다. 즉, 전기장(E)은 전극 플레이트(T)와 대향 전극판(5)의 사이에 균일하게 형성되나, 돌출부(55)로 갈수록 전기장(E)의 세기가 더 세어진다.
따라서, 스퍼터 건(9)에 의하여 진행되는 도핑작업은 국부적으로 밀도가 높게 형성되는 전기장(E)내에서 진행되므로 외부 조건에 영향을 받지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는 스퍼터 건의 타켓면에 국부적으로 밀도가 높은 전기장을 형성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취약한 외부조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플라즈마를 발생 시키고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며 기판이 안착되는 대향 전극판;
    상기 대향 전극판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기판 위를 이송하면서 금속촉매 물질의 도핑을 수행하는 넌 마그네트론 형태의 스퍼터 건;
    상기 대향 전극판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퍼터 건을 선형이동 시키기 위한 선형 구동부; 그리고
    상기 스퍼터 건의 일측에 형성되어 국부적으로 밀도가 높은 전기장의 형성을 유도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퍼터 건은 상기 선형 구동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지지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전극, 상기 전극에 결합되며 상기 대향 전극판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극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의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종동풀리와,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퍼터 건을 이동시키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전극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뿔형상이거나,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전극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돌출부의 폭이 돌출부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터 건은 상기 전극 플레이트를 차폐하는 접지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쉴드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개방홀을 통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쉴드는 양극으로 대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장치.
KR1020070038825A 2007-04-20 2007-04-20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 KR10087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825A KR100873032B1 (ko) 2007-04-20 2007-04-20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825A KR100873032B1 (ko) 2007-04-20 2007-04-20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409A KR20080094409A (ko) 2008-10-23
KR100873032B1 true KR100873032B1 (ko) 2008-12-09

Family

ID=4015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825A KR100873032B1 (ko) 2007-04-20 2007-04-20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490B1 (ko) * 2013-07-26 2015-04-13 주식회사 테스 박막증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362A (ko) * 2001-03-06 2002-09-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스퍼터링 장치
KR20060010959A (ko) *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에이브이엠에스 실리콘 저온 결정화를 위한 금속촉매 도핑장치 및 도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362A (ko) * 2001-03-06 2002-09-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스퍼터링 장치
KR20060010959A (ko) * 2004-07-29 2006-02-03 주식회사 에이브이엠에스 실리콘 저온 결정화를 위한 금속촉매 도핑장치 및 도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409A (ko)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344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emitting device
US8486195B2 (en) Atom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atomic layer using the same
JP2001345177A (ja) 薄膜形成装置およびその薄膜形成方法、及び自発光装置
KR100873032B1 (ko)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
KR101084495B1 (ko) 에너지빔 조사를 이용한 실리콘 박막 제조방법
JP2004311702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および薄膜トランジスタ
KR20140099340A (ko) 스퍼터링 장치 및 산화물 반도체 물질의 스퍼터링 방법
KR100701449B1 (ko) 실리콘 저온 결정화를 위한 금속촉매 도핑장치 및 이를이용한 도핑 방법
US20070249147A1 (en) Process and system for laser annealing and laser-annealed semiconductor film
KR101430660B1 (ko) 스퍼터 장치
KR100636343B1 (ko)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용 촉매 금속 도핑 장치
WO2007035050A1 (en) Sputtering deposition device
KR101335639B1 (ko) 레이저 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결정화 방법
CN100476048C (zh) 用于多晶硅低温结晶化的金属催化剂掺杂装置及通过该装置进行掺杂的方法
JP4546405B2 (ja) シリコン低温結晶化のための金属触媒ドーピング装置を利用したドーピング方法
KR101391939B1 (ko) 플라즈마 이온 주입에 의한 비결정질 반도체 박막을 결정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35117A (ko) 결정화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2177209B1 (ko) 스퍼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형성 방법
KR102081597B1 (ko) 스퍼터링 장치 및 산화물 반도체 물질의 스퍼터링 방법
KR20070066650A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와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632284B1 (ko) 자기력 이송장치를 구비한 금속 도핑용 스퍼터링 장치 및그 제어 방법
KR100968874B1 (ko) 금속촉매도핑장비 및 도핑방법과 이를 이용한평판표시장치제조방법
KR100844564B1 (ko) 저온 폴리 실리콘 결정화를 위한 금속촉매 도핑 방법
KR20110039920A (ko) 스퍼터링 장치
KR101323204B1 (ko) 넌-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