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481B1 - 개선된 보습 및 항균 작용의 윤활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보습 및 항균 작용의 윤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481B1
KR100872481B1 KR1020070073350A KR20070073350A KR100872481B1 KR 100872481 B1 KR100872481 B1 KR 100872481B1 KR 1020070073350 A KR1020070073350 A KR 1020070073350A KR 20070073350 A KR20070073350 A KR 20070073350A KR 100872481 B1 KR100872481 B1 KR 100872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composition
extract
composition
lubricating
f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모
박원용
황종만
Original Assignee
정영모
박원용
황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모, 박원용, 황종만 filed Critical 정영모
Priority to KR102007007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61K36/12Filicopsida or Pteridopsi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3Thymelaeaceae (Mezereum family), e.g. leatherwood or false ohel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사리 추출물, 피뿌리풀 추출물, 참마, 알로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윤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은 겔 타입 또는 오일 타입으로 제공되며, 겔 타입의 윤활 조성물은 고사리 추출물, 피뿌리풀 추출물, 참마, 알로에, 방부제, 습윤제, 겔화제 및 물의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오일 타입의 윤활 조성물은 고사리 추출물, 피뿌리풀 추출물, 참마, 알로에, 방부제, 습윤제, 올리브유, 유화제 및 물의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겔 타입 또는 오일 타입의 윤활 조성물은, 여성의 질 점막이나 남성의 요도 점막에 대한 자극으로부터 자유로우므로 계속적, 반복적 사용에도부작용이 전혀 없고, 기존의 윤활 조성물에 비해 현저히 개선된 보습 및 윤활 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뛰어난 항균 효과를 나타내므로 감염의 위험을 예방하고 위생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윤활 조성물, 고사리, 피뿌리풀, 참마, 알로에, 올리브유

Description

개선된 보습 및 항균 작용의 윤활 조성물 {A lubricating composition with improved moisturizing property and anti-bacterial property}
본 발명은 겔 타입 또는 오일 타입의 윤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뛰어난 보습 작용 및 항균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성생활시 질 점막을 보호하고 각종 세균으로부터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겔 타입 또는 오일 타입의 윤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윤활 조성물은 겔 타입 또는 오일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윤활 조성물은 정상적인 성관계시 남성의 발기부전증 또는 여성의 질건조증 등으로 인해 삽입이 어려울 경우 이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기존의 윤활 조성물은 보습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여 음경에 바른 후 약 10분 정도밖에 윤활 및 보습 작용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성생활 시 여성의 질에 상처를 입히고 발암 및 각종 성병 전염의 위험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성관계시의 장애를 해결할 수 있는 윤활 조성물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예를 들어, 각종 감염 및 에이즈 예방을 위해 윤활유 및 살정제를 포함하는 윤활 조성물에 관한 기술인 특허출원 제1994-0702712호, 여성 성기 능 장애를 개선시키기 위해 프로스타글란딘, 중합체 증점제 등을 포함하는 국소 적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인 특허 제0660239호, 성교시 감염 예방을 위해 콜산염과 디메틸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국부 적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인 등록특허 제0143231호, 콜로이드 실버를 포함하는 윤활 조성물에 관한 기술인 특허출원 제2005-63697호, 고분자수용액을 포함하는 윤활 조성물에 관한 기술인 특허출원 제2005-70960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감염 예방을 위해 화학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화학물질에 민감한 여성의 질 점막이나 남성의 요도 점막을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하므로 계속적인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고, 또한 보습 및 윤활 작용이 충분하지 못하여 관계 부위에 상처를 유발하고 성감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계속적인 사용에도 점막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뛰어난 항균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보습 작용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윤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하였으며, 그 결과 천연 식물 중의 성분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도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관계시 계속적인 사용에도 점막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뛰어난 항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보습 및 윤활 작용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윤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사리 추출물, 피뿌리풀 추출물, 참마, 알로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윤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사리 추출물, 피뿌리풀 추출물, 참마, 알로에, 방부제, 습윤제, 겔화제 및 물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겔 타입의 윤활 조성물, 또는 고사리 추출물, 피뿌리풀 추출물, 참마, 알로에, 방부제, 습윤제, 올리브유, 유화제 및 물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오일 타입의 윤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겔 타입 또는 오일 타입의 윤활 조성물은, 여성의 질 점막이나 남성의 요도 점막에 대한 자극으로부터 자유로우므로 계속적, 반복적 사용에도부작용이 전혀 없고, 기존의 윤활 조성물에 비해 현저히 개선된 보습 및 윤활 효과를 나타내므로 성관계시 상처를 유발하거나 성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없고, 또한 뛰어난 항균 효과를 나타내므로 감염의 위험을 예방하고 위생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은 고사리 추출물, 피뿌리풀 추출물, 참마, 알로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윤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은 겔 타입 또는 오일 타입으로 제공되며, 겔 타입의 윤활 조성물은 고사리 추출물, 피뿌리풀 추출물, 참마, 알로에, 방부제, 습윤제, 겔화제 및 물의 조성으로 이루어지고, 오일 타입의 윤활 조성물은 고사리 추출물, 피뿌리풀 추출물, 참마, 알로에, 방부제, 습윤제, 올리브유, 유화제 및 물의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양태로서, 겔 타입의 윤활 조성물은 고사리 추출물 20~40%(중량%, 이하 동일), 피뿌리풀 추출물 0.01~1.0%, 참마 0.1~1.5%, 알로에 5~20%, 방부제 0.1~0.5%, 습윤제 3~10%, 겔화제 0.5~2.0% 및 잔량의 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양태로서, 오일 타입의 윤활 조성물은 고사리 추출물 20~40%, 피뿌리풀 추출물 0.01~1.0%, 참마 0.1~1.5%, 알로에 5~20%, 방부제 0.1~0.5%, 습윤제 3~10%, 올리브유 10~20%, 유화제 0.1~1.0% 및 잔량의 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사리 추출물은 고사리의 어린 잎과 뿌리줄기를 이용한 추출물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사리(학명: Pteridium aquilinum)는 고사리과의 다년생 양치류로서 우리나라 전국 각지와 일본 오키나와, 중국 사할린, 시베리아, 유럽, 남·북 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천연 식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사리를 추출 용매에 넣고 50∼120 ℃의 온도, 바람 직하게는 70∼100 ℃의 온도에서 3∼8시간 동안 1∼3회 추출함으로써 고사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추출에 앞서, 고사리를 고온에서 20분 이상 끊여 독성을 제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의 형태로 한 다음 추출함으로써 추출이 단시간 동안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분쇄된 고사리는 추출 용매에 넣고 50∼120 ℃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70∼100 ℃의 온도에서 3∼8시간 동안 1∼3회 추출하며,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고사리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산이나 약염기, 에탄올, 증류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고사리 추출물은 윤활 조성물 중에 20~40%의 양으로 함유된다.
상기 피뿌리풀 추출물은 피뿌리풀의 뿌리를 이용한 추출물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피뿌리풀(학명: Stellera chamaejasme)은 팥꽃나무과의 다년생풀로서 우리나라 전국 각지와 중국, 만주, 몽고, 시베리아에 분포하는 천연 식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뿌리풀을 추출 용매에 넣고 50∼120 ℃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70∼100 ℃의 온도에서 3∼8시간 동안 1∼3회 추출함으로써 피뿌리풀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추출에 앞서, 피뿌리풀을 고온에서 40분 이상 끊여 독성을 제거하며,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의 형태로 한 다음 추출함으로써 추출이 단시간 동안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분쇄된 피뿌리풀은 추출 용매에 넣고 50∼120 ℃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70∼100 ℃의 온도에서 3∼8시간 동안 1∼3회 추출하며,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한 후 건조하여 피뿌리풀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산이나 약염기, 에탄올, 증류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 추 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피뿌리풀 추출물은 윤활 조성물 중에 0.01~1.0%의 양으로 함유된다.
상기 참마(학명: Dioscrea japonica Thunb)는 당마라고도 하며, 백합목 마과의 다년생식물로서 우리나라와 일본에 분포하는 천연 식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참마는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의 형태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참마는 윤활 조성물 중에 0.1~1.5%의 양으로 함유된다.
상기 알로에(Aloe vera)는 백합목 백합과의 다년생식물로서 북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미국 등에 분포하는 천연 식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로에는 그 잎을 잘라서 얻어지는 액즙의 행태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알로에는 윤활 조성물 중에 5~20%의 양으로 함유된다.
상기 올리브유(Olive oil)는 올리브나무(감람나무)의 열매에 함유된 기름으로서 압착법, 추출법 등으로 채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올리브유는 오일 타입의 윤활 조성물 중에 10~20%의 양으로 함유된다.
상기 방부제, 습윤제, 겔화제 및 유화제는 국소 적용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부제로는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등을 열거할 수 있고, 습윤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등을 열거할 수 있고, 겔화제로는 천연에서 유래된 크산탄 고무 또는 덱스트란, 식물에서 유래된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녹말 또는 덱스트린, 합성에서 유래된 카르보머, 아크릴아미드, 폴리글리콜, 폴리올과 지방산의 에스테르 등을 열거할 수 있고, 유화제로는 span60, span80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 중에 상기 방부제는 0.1~0.5%, 습윤제는 3~10%의 양으로 함유되고, 겔 타입의 윤활 조성물 중에 겔화제는 0.5~2.0%의 양으로 함유되고, 오일 타입의 윤활 조성물 중에 유화제는 0.1~1.0%의 양으로 함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 중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 첨가제가 함유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겔 타입의 윤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유효성분인 고사리 추출물, 피뿌리풀 추출물, 참마 및 알로에를 수성 매질인 물에 용해시키거나 또는 분산시키고, 그 결과로 생기는 용액 또는 분산액을 방부제 및 습윤제와 혼합한 다음, 얻어진 혼합물에 겔화제를 첨가하면서 휘저어주면 겔 타입의 조성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타입의 윤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유효성분인 고사리 추출물, 피뿌리풀 추출물, 참마 및 알로에를 올리브유에 용해시키거나 또는 분산시키고, 그 결과로 생기는 용액 또는 분산액을 방부제, 습윤제 및 유화제와 혼합한 다음, 얻어진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면서 서서히 휘저어주면 오일 타입의 조성물이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예시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겔 타입 윤활 조성물 A의 제조
증류수 1.0 kg에 고사리 추출물 0.64 kg, 피뿌리풀 추출물 0.014 kg, 참마 0.02 kg, 및 알로에 0.2 kg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여 각 성분을 충분히 용해시킨 다음, 메틸 파라벤 0.006 kg 및 프로필렌 글리콜 0.1 kg 을 첨가하고 더욱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02 kg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고 서서히 교반하여 겔 타입의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겔 타입의 조성물 A를 유리용기에 담고 밀봉하였다.
실시예 2 : 겔 타입 윤활 조성물 B의 제조
증류수 4.7 kg에 고사리 추출물 3.0 kg, 피뿌리풀 추출물 0.05 kg, 참마 0.15 kg, 및 알로에 1.5 kg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여 각 성분을 충분히 용해시킨 다음, 메틸 파라벤 0.02 kg 및 프로필렌 글리콜 0.5 kg 을 첨가하고 더욱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08 kg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고 서서히 교반하여 겔 타입의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겔 타입의 조성물 B를 유리용기에 담고 밀봉하였다.
실시예 3 : 오일 타입 윤활 조성물 C의 제조
올리브유 0.2 kg에 고사리 추출물 0.25 kg, 피뿌리풀 추출물 0.005 kg, 참마 0.004 kg, 및 알로에 0.17 kg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충분히 교반한 다음, 메틸 파라벤 0.001 kg, 프로필렌 글리콜 0.065 kg 및 유화제로서 span80(sorbitan monooleate) 0.005 kg을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증류수 0.3 kg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오일 타입의 조성물 C를 유리용기에 담고 밀봉하였다.
실시예 4 : 오일 타입 윤활 조성물 D의 제조
올리브유 1.5 kg에 고사리 추출물 3.5 kg, 피뿌리풀 추출물 0.04 kg, 참마 0.1 kg, 및 알로에 1.5 kg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충분히 교반한 다음, 메틸 파라벤 0.02 kg, 프로필렌 글리콜 0.3 kg 및 유화제로서 span80(sorbitan monooleate) 0.04 kg을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증류수 3.3 kg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오일 타입의 조성물 D를 유리용기에 담고 밀봉하였다.
실험예 1 : 보습 효과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시판중인 윤활젤 제품 3.0 g,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윤활 조성물 A~D를 각각 3.0 g 씩 거름종이를 이용하여 취한 다음, 실온에서 30분, 1시간, 3시간 동안 방치하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각의 샘플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하기 표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윤활 조성물이 기존의 윤활 조성물에 비해 뛰어난 보습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성물 A 조성물 B 조성물 C 조성물 D 대조군
30분 2.98 g 2.98 g 2.99 g 2.99 g 2.93 g
1시간 2.95 g 2.96 g 2.96 g 2.97 g 2.89 g
3시간 2.87 g 2.85 g 2.89 g 2.86 g 2.72 g
실험예 2 : 항균 효과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성물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윤활 조성물의 질 내 미생물의 생장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병원균으로서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에스케리치아 콜리(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를 LB 배지위에 각각 200㎕씩 도말하고 5분 동안 건조시켰다. LB 배지의 조성은 박토-효모 추출물(Bacto-yeast extract) 10 g/ℓ, 박토-트립톤(Bacto-tryptone) 5g/ℓ, NaCl 5g/ℓ, 한천(Agar) 15g/ℓ이며 pH 7.0인 것을 사용하였다. LB 배지에 병원균을 도말 건조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윤활 조성물 A~D를 각각 200㎕의 양으로 각각의 배지에 도말하고 5분 동안 건조시켰다. 건조된 LB 배지 플레이트를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이때, 50% 에탄올(EtOH) 200㎕를 처리한 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배양 배지에서 콜로니를 계수하여 병원균 생장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윤활 조성물을 사용한 배지에서 콜로니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윤활 조성물은 뛰어난 질내 미생물 감염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Claims (3)

  1. 고사리 추출물 20~40%, 피뿌리풀 추출물 0.01~1.0%, 참마 0.1~1.5%, 알로에 5~20%, 방부제 0.1~0.5%, 습윤제 3~10%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겔화제 0.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겔 타입의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올리브유 10~20% 및 유화제 0.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일 타입의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 조성물.
KR1020070073350A 2007-07-23 2007-07-23 개선된 보습 및 항균 작용의 윤활 조성물 KR100872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350A KR100872481B1 (ko) 2007-07-23 2007-07-23 개선된 보습 및 항균 작용의 윤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350A KR100872481B1 (ko) 2007-07-23 2007-07-23 개선된 보습 및 항균 작용의 윤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481B1 true KR100872481B1 (ko) 2008-12-05

Family

ID=40372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350A KR100872481B1 (ko) 2007-07-23 2007-07-23 개선된 보습 및 항균 작용의 윤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4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518A3 (ko) * 2015-04-13 2016-12-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US11541096B2 (en) 2015-04-13 2023-01-0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wound treatment containing extract of Stellera chamaejasme or fraction thereof and method for treating wound of subjec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5076A2 (en) 1997-06-04 1998-12-10 Jedco Products, Llc Preparation for topical application to the male sexual organ
KR20060043290A (ko) * 2004-02-28 2006-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크럽 화장료
WO2007029340A1 (ja) 2005-09-06 2007-03-15 Yagi, Akira 性行為における潤滑性を有する潤滑剤としてのアロエパウダーの利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5076A2 (en) 1997-06-04 1998-12-10 Jedco Products, Llc Preparation for topical application to the male sexual organ
KR20060043290A (ko) * 2004-02-28 2006-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크럽 화장료
WO2007029340A1 (ja) 2005-09-06 2007-03-15 Yagi, Akira 性行為における潤滑性を有する潤滑剤としてのアロエパウダーの利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518A3 (ko) * 2015-04-13 2016-12-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US11541096B2 (en) 2015-04-13 2023-01-0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wound treatment containing extract of Stellera chamaejasme or fraction thereof and method for treating wound of subj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idoo et al. Screening of Chromolaeana odorata (L.) King and Robinson for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properties
US10321689B2 (en) Antimicrobial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101471818B1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US7879372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ear inflammation caused by dry ear
Phumat et al. Effects of Piper betle fractionated extracts on inhibition of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intermedius
KR101458887B1 (ko)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7281249A (zh) 一种金银花抗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37167B1 (ko) 섬기린초 추출물과 식품첨가물을 포함하는 항균 원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48808B1 (ko) 천연 항균제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0872481B1 (ko) 개선된 보습 및 항균 작용의 윤활 조성물
KR102296688B1 (ko) 천연물 유래의 질 건강 유지용 조성물
KR100682979B1 (ko) 항균 감염증 및 항염증 작용에 대한 예방 치료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무좀치료제
CN107496792B (zh) 一种消炎抗菌治疗灰指甲的凝胶剂及其制备方法
CN114146030A (zh) 一种止痒舒缓沐浴露及其制备方法
CN108451799A (zh) 一种洗手液及其制备方法
KR101495055B1 (ko) 부용 및 뚝갈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기능강화 또는 피부자극완화용 조성물
KR20230008368A (ko) 긴병꽃풀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KR950008762B1 (ko) 여드름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화장료용 조성물
CN108635283B (zh) 抑菌组合物、抑菌牙膏及其制备方法
KR10184197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KR100589667B1 (ko)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Dhalani et al. A pharmacological review: Leptadenia reticulata (Wight & Arn.); Jivanti: The real life giving plant
Jaina et al. Formu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 herbal cream with wound healing activity
KR20190134110A (ko) 고련피, 작약 및 초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6024A (ko) 사우로푸스 스파투리포리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