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430B1 - 사용권리 이동을 위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권리 이동을 위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430B1
KR100872430B1 KR1020060025471A KR20060025471A KR100872430B1 KR 100872430 B1 KR100872430 B1 KR 100872430B1 KR 1020060025471 A KR1020060025471 A KR 1020060025471A KR 20060025471 A KR20060025471 A KR 20060025471A KR 100872430 B1 KR100872430 B1 KR 100872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ermission
content
issu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150A (ko
Inventor
이승제
김태현
추연성
케이 키란 쿠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5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430B1/ko
Priority to PCT/KR2007/001315 priority patent/WO2007108619A1/en
Priority to CN2007800092656A priority patent/CN101405719B/zh
Publication of KR20070095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hich telescoping action effected by a lever

Abstract

본 발명은 제1디바이스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 키를 미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하나의 제2디바이스에서 다른 제2디바이스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이동시키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시스템의 사용권리 이동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디바이스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디바이스들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1디바이스에서 제2디바이스로 또는 제2디바이스들간에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 키를 이동시키는 DRM 시스템의 사용권리 이동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디바이스는 사용권리 발급자이고, 제2디바이스는 이동 단말 또는 이동 단말의 클라이언트를 나타낸다.
사용권리 이동, 디지털 콘텐츠, DRM, 암호화 키 이동

Description

사용권리 이동을 위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시스템 및 그 방법{DIGITAL RIGHTS MANAGEMENT(DRM)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RIGHTS OBJECT}
도 1은 일반적인 DRM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RM시스템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이동시키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RM시스템에서 디지털 콘텐츠 사용권리의 이동을 위한 갱신 및 인증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장치에서 콘텐츠 사용권리의 이동의 제1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장치에서 콘텐츠 사용권리의 이동의 제2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용권리 발급자 20 : 콘텐츠 발급자
30,40 : 이동 단말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 DR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권리 이동이 가능한 DRM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리(Rights Object : RO)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로서, 콘텐츠의 불법복제 방지 및 콘텐츠 사용권리의 획득, 콘텐츠의 생성 및 유통, 그리고 사용과정에 대한 일련의 보호 및 관리 체계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DRM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M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전송한 콘텐트를 사용자에게 부여된 사용권리만큼만 사용하도록 통제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제공자는 콘텐츠 발급자(Content Issuer : CI) 및/또는 사용권리 발급자 (Rights Issuer : RI)에 해당하는 개체(Entity)이다.
상기 콘텐츠 발급자(CI)는 접근 권한을 갖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보호할 수 있도록, 특정 암호화 키를 사용해 보호된 콘텐츠(이하, DRM 콘텐츠라 칭함)를 발급하고,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RI)는 DRM 콘텐츠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사용권리를 발급한다.
DRM에이전트는 단말에 탑재되어, 콘텐츠 발급자와 사용권리 발급자로부터 각각 콘텐츠와 사용권리를 수신하여, 그 사용권리에 포함된 허가권 (Permission) 및/또는 제약(Constraint)을 해석하여 단말에서의 콘텐츠 사용을 통제한다.
상기 콘텐츠 및/또는 이에 대한 사용권리는 단말의 DRM에이전트 또는 물리적 매체(e.g.,멀티미디어카드)의 DRM에이전트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을 통하여 콘텐츠를 이용하거나, 단말에서 물리적 매체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콘텐츠 및/또는 이에 대한 사용권리를 이전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는 DRM시스템에서 도메인 멤버(Domain member)를 구성하는 복수의 DRM 에이전트사이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인증절차와 권리이동 절차가 제대로 정의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DRM시스템에서 DRM에이전트간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의 사용권리 이동 방법은, 디바이스 A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 키를 미리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사용권리의 이동이 요청되면, 상기 디바이스 B가 상기 사용자가 이동허가를 가지고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이동허가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디바이스 A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권리의 이동허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이동허가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상기 디바이스 A로부터 이동허가를 획득하면, 상기 디바이스 B가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디바이스 C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의 도메인 키 이동 방법은, 도메인 키로 암호화된 도메인 사용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제1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간에 도메인 키를 이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디바이스(디바이스 A)가 상기 제2디바이스(디바이스 B)에게 상기 도메인 키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디바이스(디바이스 B)가 상기 도메인 키를 이용하여 자신이 보유한 도메인 사용권리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1디바이스(디바이스 A)는 상기 제2디바이스(디바이스 B)로 전송한 상기 도메인 키를 비활성화 또는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메인 키는 유무선 또는 물리적인 저장매체를 통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리적인 매체는 멀티미디어 카드로서, 스마트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또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Secure MMC 카드 및 각종 메모리 카드를 포함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제2디바이스가 상기 도메인 키로 복호화한 도메인 사용권리를 이용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콘텐츠의 사용 권리를 발급하는 사용권리 발급자와;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로부터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로간에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 또는 해당 사용권리를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 키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권리 또는 암호화 키는 유무선 또는 물리적인 저장매체를 통해 이동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리적인 저장매체는 멀티미디어 카드로서, UIM(User Identity Module) 또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및 secure MMC 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이동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사용권리의 이동이 요청되었을 때 해당 사용자가 이동허가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로부터 사용권리의 이동허가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이동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이동허가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사용권리 발급자로부터 이동허가를 획득한 경우에만 상기 사용권리 또는 암호화 키를 다른 이동 단말로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허가는 각 이동단말이 사용권리 발급자의 포탈에서 부가적인 허가권을 선택하여 사용권리를 갱신하여 획득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용자 도메인으로 형성된 그룹내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콘텐츠의 사용권리(Rights Object) 또는 도메인 키를 물리적인 저장 매체 또는 유무선을 통해 이동시키는 절차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 (e.g.,단말)간에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 또는 도메인 키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속한 인증 (instant Authorization)방법도 함께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DRM시스템은 DRM 콘텐츠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사용 권리를 발급하는 사용권리 발급자(RI)(10)와, 실제 사용되는 DRM 콘텐츠를 발급하는 콘텐츠 발급자(CI)(20)와,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100)와 콘텐츠 발급자(20)로부터 각각 사용권리와 콘텐츠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단 말(30),(40)들을 포함한다.
상기 각 이동 단말(30),(40)들은 내부적으로 통신모듈, Web/WAP브라우저, DRM 에이전트, 미디어 재생기 & 라이브러리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30),(40)에 내장된 DRM에이전트는 사용권리 발급자(10)와 콘텐츠 발급자(20) 로부터 각각 사용권리와 DRM 콘텐츠를 수신하여, 사용권리에 포함된 허가권(Permission) 및/또는 제약(Constraint)을 해석하여 DRM 콘텐츠의 사용, 사용권리의 갱신 또는 이동을 통제한다.
상기 DRM 콘텐츠 및/또는 이에 대한 사용권리는 이동 단말(30)내의 DRM에이전트 또는 물리적 매체(50)의 DRM에이전트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 (300)의 사용자는 물리적 매체(50)를 통하여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 또는 상기 사용권리를 복호화할 수 있는 키를 이동 단말(40)에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DRM콘텐츠의 사용권리가 모두 이동 가능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30)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40)의 사용자에게 사용권리를 이동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10) 또는 콘텐츠 발급자 (20)로부터 "이동허가"와 같은 부가적인 허가권(Permission)를 얻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30)의 사용자는 상기 DRM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허가권을 모두 소진한 경우 사용권리 발급자(10) 또는 콘텐츠 발급자(20)로부터 새로운 사용권리를 구입할 수 있으며, 또한 새로운 허가권을 갖기 위해 사용권리 발급자(10)에게 오래된 사용권리에 대한 갱신을 요청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사용권리의 갱신 및 구입을 통해 DRM콘텐츠의 이동허가 를 얻게 되면, 이동 단말(30)의 사용자는 비로소 이동 단말(40)의 사용자에게 자신의 사용권리를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RM시스템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이동시키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A는 사용권리 발급자(RI)로부터 특정 DRM 콘텐츠를 위한 사용권리(Rights Objects)를 구입하여 사용한다.
이후 사용자 A가 사용자 B로 상기 DRM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A는 단말에게 사용권리의 이동을 요청한다(S10). 사용권리의 이동을 요청받은 단말은 현재 상기 사용자 A가 사용권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이동할 수 있는 허가권 (permission)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S11).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 A가 허가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 단말은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콘텐츠 제공자를 경유하여 사용자 B로 이동시키거나(점선으로 표시) 또는 상기 콘텐츠 사용자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사용자 B로 이동시킨다(S1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RM시스템에서 디지털 콘텐츠 사용권리의 이동을 위한 갱신 및 인증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 A가 사용자 B로 DRM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A는 이동 단말, 즉 이동단말의 DRM 에이전트에게 사용권리의 이동을 요청한다(S20). 상기 이동 단말은 현재 사용자 A가 사용권리를 이동할 수 있는 허가권 (permission)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S21).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 A가 허가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은 사용자 A에게 허가권 획득을 원하는지 질의한다(미도시). 만약 사용자 A가 허가권 획득을 요청하면, 이동 단말은 허가권을 얻기 위해 사용권리 발급자(RI)의 포탈에 접속한다(S22). ) 상기 포탈에 접속하는 동작은 DRM에이전트의 요청에 따라 Web/WAP 브라우저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이동 단말은 특정 사용권리에 대한 RI 콘텍스트 (Context)에 저장된 DCF RL URL 또는 RL URL을 사용하여 사용권리 발급자(RI)의 포탈(portal)에 접속한다. 이때, 사용권리 발급자(RI)는 사용권리를 갱신하기 위한 트리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를 포탈상에 제공한다(S23).
따라서, 이동 단말이 갱신 RO 요청 메시지를 사용권리 발급자(RI)를 전송하면(S24), 사용권리 발급자(RI)는 사용자 A의 이동허가를 인정(grant)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로 RO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S25), 이동허가를 인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동 단말에게 적절한 에러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RI)가 사용자 A의 이동허가를 인정한다면 사용자 A는 기 사용권리 발급자(RI)의 포탈(portal)에서 사용자 A는 자신이 원하는(비용을 지불하고) 부가적인 허가권을 선택하여 사용권리를 갱신한다(S26).
따라서, 갱신된 사용권리에 의해 사용자 A는 사용권리의 이동 허가권을 갖게 되기 때문에, 이동 단말은 사용자 A의 사용권리를 콘텐츠 제공자를 경유하여 사용자 B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콘텐츠 사용자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사용자 B로 이동시킨다(S28).
한편, 도 2내지 도 4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이동시킨다는 개념은 단순히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 자체의 이동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측 장치가 도메인(Domain)을 생성한 후 디지털 콘텐츠를 이동시켜 사용할 때, 도메인 구성원(Domain Member)간에 사용권리 이동은 사용권리 자체의 이동과 그 사용권리를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의 이동까지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장치에서 콘텐츠 사용권리의 이동의 제1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암호화 키를 먼저 전달하여 공유시킨 후 나중에 사용권리를 유무선 또는 물리적 매체는 통해 전송하는 방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측 디바이스 A는 도메인 관리자(Domain Authority)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자측의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를 도메인 구성원으로 관리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 A는 도 2에 도시된 사용권리 발급자(RI)일 수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는 각각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도메인 관리자인 디바이스 A는 미리 디바이스 B와 디바이스 C에게 미리 도메인 키를 전달하여 공유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메인 키는 도메인 사용권리를 복호화 하는데 사용된다.
이후, 디바이스 A가 도메인 사용권리를 유무선 또는 물리적인 저장 매체를 통하여 디바이스 B 또는 디바이스 C(또는 B를 통하여)로 전송하면, 각 디바이스는 가지고 있던 도메인 키를 이용하여 해당 도메인 사용권리를 읽음으로써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디바이스는 전달받은 도메인 사용권리를 저장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리적 저장매체는 멀티미디어 카드로서, 스마트 카드, UIM (User Identity Module) (GSM의 경우는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 드, Secure MMC카드 및 각종 메모리 카드등을 포함한다. 상기 물리적 저장 매체는 보통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소자를 구비하고 있어, 명령을 처리하고 일정 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 관리장치에서 콘텐츠 사용권리의 이동의 제2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방법은 사용권리를 먼저 전달하여 공유시킨 후 나중에 암호화 키를 유무선 또는 물리적 저장 매체는 통해 전송하는 방법이다.
즉, 먼저 도메인 관리자인 디바이스 A는 미리 디바이스 B와 디바이스 C에게 미리 도메인 사용권리를 전달하여 공유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메인 사용권리는 도메인 키로 암호화되어 있다.
이후 상기 디바이스 A가 유무선 또는 물리적 저장 매체를 통하여 도메인 키를 디바이스 B 또는 C(또는 B를 통하여)에게 전달하면, 각 디바이스는 전달받은 도메인 키를 이용하여 도메인 사용권리를 읽음으로써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디바이스는 전달받은 도메인 키를 저장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도메인 키를 디바이스 사이에서 전송할 때, 다른 디바이스로 도메인 키를 이동시킨 디바이스는 해당 도메인 키를 비활성화 시키거나 삭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콘텐츠의 사용권리(Rights Object) 또는 도메인 키를 물리적 저장 매체 또는 유무선을 통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6)

  1. 디바이스 A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 키를 미리 디바이스 B 및 디바이스 C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사용권리의 이동이 요청되면, 상기 디바이스 B가 상기 사용자가 이동허가를 가지고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이동허가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상기 디바이스 A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권리의 이동허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이동허가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상기 디바이스 A로부터 이동허가를 획득하면, 상기 디바이스 B가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디바이스 C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의 사용권리 이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권리는
    유무선 또는 물리적인 저장매체를 통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의 사용권리 이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인 저장매체는
    멀티미디어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의 사용권리 이동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카드는
    UIM(User Identity Module) 또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secure MMC 카드 및 각종 메모리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의 사용권리 이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A는
    사용권리 발급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의 사용권리 이동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B 및 상기 디바이스 C는
    이동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의 사용권리 이동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허가는
    상기 디바이스 B가 상기 디바이스 A의 포탈에서 부가적인 허가권을 선택하여 사용권리를 갱신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의 사용권리 이동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 권리를 발급하는 사용권리 발급자와;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로부터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권리 또는 해당 사용권리를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화 키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사용권리의 이동이 요청되었을 때 해당 사용자가 이동허가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권리 발급자로부터 사용권리의 이동허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권리 또는 암호화 키는
    유무선 또는 물리적인 저장매체를 통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인 저장매체는
    멀티미디어 카드로서, UIM(User Identity Module) 또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및 secure MMC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18. 삭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이동허가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사용권리 발급자로부터 이동허가를 획득한 경우에만 상기 사용권리 또는 암호화 키를 다른 이동 단말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허가는
    각 이동단말이 사용권리 발급자의 포탈에서 부가적인 허가권을 선택하여 사용권리를 갱신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60025471A 2006-03-17 2006-03-20 사용권리 이동을 위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872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471A KR100872430B1 (ko) 2006-03-20 2006-03-20 사용권리 이동을 위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시스템및 그 방법
PCT/KR2007/001315 WO2007108619A1 (en) 2006-03-17 2007-03-16 Method for moving and sharing digital contents and rights object and device thereof
CN2007800092656A CN101405719B (zh) 2006-03-17 2007-03-16 移动和共享数字内容与版权对象的方法及其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471A KR100872430B1 (ko) 2006-03-20 2006-03-20 사용권리 이동을 위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150A KR20070095150A (ko) 2007-09-28
KR100872430B1 true KR100872430B1 (ko) 2008-12-08

Family

ID=3868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471A KR100872430B1 (ko) 2006-03-17 2006-03-20 사용권리 이동을 위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4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283A (ja) 1996-09-20 1998-06-02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可換記憶媒体、ライセンス発行システム、およびライセンス発行/移動方法
JPH11328033A (ja) * 1998-05-20 1999-11-30 Fujitsu Ltd ライセンス委譲装置
JP2003248738A (ja) 2002-02-22 2003-09-05 Ntt Comware Corp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の利用権譲渡方法、並びにその利用権譲渡管理装置、利用権譲渡施行装置、及びその利用権譲渡管理プログラム、利用権譲渡施行プログラム
KR20040040546A (ko) * 2002-11-07 2004-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게임에 있어서 디지털권리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50039522A (ko) * 2003-10-22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디지털 저작권을 관리하는방법 및 장치
KR20060117769A (ko) * 2005-05-13 2006-11-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Drm 기반의 사용 권한 양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283A (ja) 1996-09-20 1998-06-02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可換記憶媒体、ライセンス発行システム、およびライセンス発行/移動方法
JPH11328033A (ja) * 1998-05-20 1999-11-30 Fujitsu Ltd ライセンス委譲装置
JP2003248738A (ja) 2002-02-22 2003-09-05 Ntt Comware Corp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の利用権譲渡方法、並びにその利用権譲渡管理装置、利用権譲渡施行装置、及びその利用権譲渡管理プログラム、利用権譲渡施行プログラム
KR20040040546A (ko) * 2002-11-07 2004-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게임에 있어서 디지털권리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50039522A (ko) * 2003-10-22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디지털 저작권을 관리하는방법 및 장치
KR20060117769A (ko) * 2005-05-13 2006-11-1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Drm 기반의 사용 권한 양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150A (ko) 200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424B1 (ko) Drm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기반 콘텐트 키 암호화
CN100426719C (zh) 用户端设备与本地客户端应用服务器或远程网络服务器间鉴权的方法
KR100567827B1 (ko) 휴대용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디지털 저작권을 관리하는방법 및 장치
US7302571B2 (en) Method and system to maintain portable computer data secure and authentication token for use therein
KR101135145B1 (ko) 보안용 멀티미디어 카드, 디지털 컨텐츠 사용을 위한 권리객체 발급 방법 및 장치
KR100597412B1 (ko) 디지털 권리객체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48790B1 (ko) 다수의 소비자 시스템들 중 하나에 암호화된 콘텐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암호화된 콘텐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보안 콘텐트 패키지를 발생시키는 방법
CN100421102C (zh) 便携式存储装置和使用该便携式存储装置的内容管理方法
US76171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of electronic content
KR101366277B1 (ko) 도메인에서 ro 이동을 위한 멤버쉽 확인 방법 및 장치
US20070124583A1 (en) Method for storing and transfer of rights objects between devices and device exploiting the method
KR101354759B1 (ko)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CN101014944A (zh) 数字版权管理的方法和设备
US200601556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KR20030007055A (ko) 컨텐츠 데이터를 용이하게 재취득할 수 있는 데이터 단말장치, 그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WO2007108619A1 (en) Method for moving and sharing digital contents and rights object and device thereof
KR100872430B1 (ko) 사용권리 이동을 위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585840B1 (ko) Drm 컨텐츠 서비스 사용자 인증 방법
KR100467571B1 (ko)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보안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
KR100642126B1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과 이에적용되는 모바일 및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보호 방법
KR100819495B1 (ko) Drm 콘텐츠의 사용권리 이동을 위한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14534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권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2186367A1 (ja)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70095784A (ko) 장치간 drm 콘텐츠 전달 방법 및 전달을 위한 장치
KR100864949B1 (ko) 한 단말에서 다른 단말로의 디지털 콘텐츠 권리 관리사용자 데이터 전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