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179B1 - 족답식 승용물 - Google Patents

족답식 승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179B1
KR100872179B1 KR1020070048333A KR20070048333A KR100872179B1 KR 100872179 B1 KR100872179 B1 KR 100872179B1 KR 1020070048333 A KR1020070048333 A KR 1020070048333A KR 20070048333 A KR20070048333 A KR 20070048333A KR 100872179 B1 KR100872179 B1 KR 100872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procket
pin
frame
movable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411A (ko
Inventor
이왕희
Original Assignee
이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왕희 filed Critical 이왕희
Priority to KR1020070048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17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2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rotary cranks combined with reciprocatin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족답식 승용물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 발판을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구동하여 놀이 및 운동용 혹은 근거리 이동수단으로도 사용 가능한 족답(足踏)식 승용물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후측에 바퀴(102)(103)가 결합된 프레임(101)과, 전측 바퀴(102)가 결합되는 측으로 세워지며 상단에 손잡이(104)가 형성된 지주(105)와, 후측 바퀴축(106)에 결합된 스프로킷(107)과 체인(108)으로 연결된 스프로킷(109)이 결합되며 프레임(101)에 베어링 지지되게 설치한 구동축(110)과, 구동축(110)에 결합되는 암(111) 및 스프로킷(109)과 암(111)에 편심되도록 외향 돌출되게 결합된 핀(112)과, 핀(112)에 결합되어 스프로킷(109)을 구동하도록 프레임(101)에 설치된 한 쌍의 보조가동대(120) 및 발판(131)이 구비된 가동대(130)로 구성한 족답식 승용물(100)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109)과 암(111)에 결합된 핀(112)에는 스프로킷(109)의 전방에 핀(121)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보조가동대(120)에 형성된 결합장공(122)과, 스프로킷(109)의 후방에 중간부분이 핀(132)으로 결합되며 후방에 발판(131)이 설치된 가동대(130)의 전방에 형성된 결합장공(133)을 함께 끼우고 스냅링(140)으로 고정하되, 상기 보조가동대(120)가 결합되는 핀(121)의 중심은 측면에서 볼 때 구동축(110)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되게 하며, 상기 가동대(130)에는 가동대(130)의 상/하사점 위치에서 핀(134)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발판(131)을 수평상태로 지지하도록 발판(131)의 전후 하측으로 2개의 받침핀(135)을 결합한 것으로서, 프레임(101)의 전방으로 발을 올려둘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므로 일반적인 승용물(퀵보드)과 같이 사용이 가능하고, 발판(131)을 가동대(130)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된 작동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놀이와 함께 양쪽 다리를 교대로 움직이므로 충분한 운동효과를 득할 수 있는 것이며, 자전거와 같이 근거리 이동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족답식 승용물, 프레임, 발판, 스프로킷, 가동대, 안장

Description

족답식 승용물{Vehicle with foot push open }
도 1은 종래 족답식 승용물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안장을 적용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7a, 7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족답식 승용물 101:프레임
102,103:바퀴 109:스프로킷
110:구동축 111:암
112,121,132,134:핀 120:보조가동대
122:결합장공 130:가동대
131:발판 133:결합장공
135:받침핀 140:스냅링
본 발명은 족답식 승용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측 발판을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구동하여 놀이 및 운동용 혹은 근거리 이동수단으로도 사용 가능한 족답(足踏)식 승용물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승용물로는 프레임의 전후측에 바퀴가 결합되고 전측 바퀴가 결합되는 측으로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지주를 세운 승용물(일명 퀵보드)과, 페달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전거 등이 있다.
전자의 경우 한쪽 발을 프레임에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이동하다가 일정 속도가 나면 양쪽 발을 프레임에 동시에 올려서 이동하는 기구로서 놀이 및 운동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승용물의 경우 이동시 한쪽 발을 프레임에 올려둔 상태이므로 양쪽 다리를 동시에 운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프레임에 두발을 올려놓을 경우 운동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그리고 후자인 자전거의 경우 근거리 이동용 등으로 매우 선호되고 있으나, 부피로 인해 보관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발판을 교대로 가압함에 따라 승용물에 동력이 제공되게 함으로 해서 놀이 및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족답식 승용물을 특허 출원하여 등록(10-0715835)한 바 있다.
이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의 전후측에 바퀴(3)가 결합되고 전측 바퀴(3)가 결합되는 측으로 상단에 손잡이(4)가 형성된 지주(5)를 절첩 가능하게 세운 승용물(1)에 있어서, 프레임(2)의 전방에 베어링 지지되게 설치되며 후측 바퀴축(7)과 체인(8)으로 연결된 스프로킷(9)이 결합된 구동축(10)과, 구동축(10)에 결합되는 암(11) 및 스프로킷(9)과 암(11)에 외향 돌출되게 결합된 핀(12)과, 스프로킷(9)과 암(11)에 결합된 핀(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링크(13)와, 후측 바퀴(3)측에 핀(14)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중상단이 링크(13)와 핀(16)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보조가동대(15)와, 지주(5)측에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볼트/너트(18)로 결합되고 후측 바퀴(3) 측으로 발판(6)이 마련되며 보조가동대(15) 상단에 결합된 가압핀(17)이 내입되는 장공(20)이 형성된 한 쌍의 가동대(19)로 구성이므로 양쪽 다리를 교대로 움직이므로 충분한 운동효과를 득할 수 있는 것이며, 자전거와 같이 근거리 이동이 용이하며, 절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보관이 용이한 등 기대 이상의 효과를 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 등록 발명의 경우 발판이 결합되어 있는 가동대의 단부가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발판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승용물과 같이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며, 가동대에 결합되어 있는 발판이 자유회전 되는 구 성으로 조립되어 있으므로 발판을 가압할 때 발이 수평상태가 되지 않고 기울어지므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발판에서 발이 미끄러져 상해를 입을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선 등록된 족답식 승용물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발명을 적극적으로 개량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조가동대와 가동대의 조립구성을 간단히 하면서도 프레임 전방에 발을 올려둘 수 있는 넓은 공간이 마련되게 하였으며, 가동대에 결합되어 있는 발판이 가동대의 상/하사점 위치에서도 항상 지면과 수평상태를 제공하게 구성하여 안정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7a, 7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이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후측에 바퀴(102)(103)가 결합된 프레임(101)과, 전측 바퀴(102)가 결합되는 측으로 상단에 손잡이(104)가 형성되며 절첩 가능하게 세워진 지주(105)와, 프레임(101)의 전방에 베어링 지지되게 설치되며 후측 바퀴축(106)에 결합된 스프로킷(107)과 체인(108)으로 연결된 스프로킷(109)이 결합된 구동축(110)과, 구동축(110)에 결합되는 암(111) 및 스프로킷(109)과 암(111)에 편심되도록 외향 돌출되게 결합된 핀(112)과, 스프로킷(109)과 암(111)에 결합된 핀(112)에 결합되어 스프로킷(109)을 구동하도록 프레임(101)에 설치된 한 쌍의 보조가동대(120) 및 발판(131)이 구비된 가동대(130)로 구성한 족답식 승용물(100)에 있어서,
보조가동대(120)와 가동대(130)의 조립구성을 간단히 하면서도 프레임(101) 전방에 발을 올려둘 수 있는 넓은 공간이 마련하고, 가동대(130)에 결합되어 있는 발판(131)이 가동대(130)의 상/하사점 위치에서도 항상 지면과 수평상태를 제공하게 구성하여 안정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함에 발명의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프레임(101)의 중 후방에 후측 바퀴축(106)에 결합된 스프로킷(107)과 체인(108)으로 연결된 스프로킷(109)에 결합된 구동축(110)을 베어링 지지되게 설치하고, 구동축(110)에는 암(111)을 결합하며, 스프로킷(109)과 암(111)의 단부에는 편심된 위치에 외향 돌출된 핀(112)을 대칭되게 결합한다.
상기 스프로킷(109)과 암(111)에 결합되어 있는 핀(112)에는 스프로킷(109)의 전방에 핀(121)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보조가동대(120)에 형성된 결합장공(122)과, 스프로킷(109)의 후방에 중간부분이 핀(132)으로 결합되며 후방에 발판(131)이 설치된 가동대(130)의 전방에 형성된 결합장공(133)을 함께 끼우고 스냅링(140)으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보조가동대(120)의 전방에 결합되는 핀(121)의 중심은 측면에서 볼 때 구동축(110)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발판(131)의 결합 구성은 가동대(130)에 핀(134)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131)의 전후 하측으로 2개의 받침핀(135)을 결합하여 가동대(130)의 상하사점 위치에서 발판(131)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지지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족답식 승용물(100)은 놀이 및 운동용 혹은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동에 따른 작용 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이용코자 할 시에는 먼저 지주(105) 상단에 마련된 손잡이(104)를 잡고 양측 발판(131)에 발을 올린 상태에서 양측 발판(131)을 교대로 가압하면 구동력이 발생하여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양측 발판(131)에 발을 올린 상태에서 교대로 가압하게 되면 스프로킷(109)의 후방에 중간부분이 핀(132)으로 결합되어 있는 가동대(130)가 핀(132)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가동대(130)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장공(133)과, 스프로킷(109)의 전방에 핀(121)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보조가동대(120)의 결합장공(122)이 스프로킷(109)과 암(111)에 결합되어 있는 핀(112)에 함께 결합된 상태이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가동대(130)는 지렛대와 같이 작동하게 되는데, 상사점에 위치하는 일측 가동대(130)가 스프로킷(109)과 암(111)에 결합되어 있는 핀(112)을 하향 이동시키면서 스프로킷(109)을 반 회전시킬 때 타측 가동대(130)는 상사점으로 이동하므로, 양측 가동대(130)의 호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스프로킷(109)을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가동대(120)의 전방에 결합되는 핀(121)의 중심이 구동축(110)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동대(130)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 핀(112)의 위치가 수평방향 보다 조금 더 아래로 돌아가도록 안내하므로 가동대(130)의 작동이 자연스럽게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동대(130)에 핀(134)으로 결합되어 있는 발판(131)의 경우 가동대(130)에 결합되어 있는 2개의 받침핀(135)에 의해 지지되게 구성되므로 가동대(130)가 상/하사점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발판(131)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발판(131)의 안정성 있는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동대(130)에 구비된 발판(131)을 교대로 가압하여 승용물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한 족답식 승용물(100)을 개량 발명한 것으로서,
프레임(101)의 전방으로 발을 올려둘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므로 일반적인 승용물(퀵보드)과 같이 사용이 가능하고, 발판(131)을 가동대(130)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된 작동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놀이와 함께 양쪽 다리를 교대로 움직이므로 충분한 운동효과를 득할 수 있는 것이 며, 자전거와 같이 근거리 이동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전후측에 바퀴(102)(103)가 결합된 프레임(101)과, 전측 바퀴(102)가 결합되는 측으로 세워지며 상단에 손잡이(104)가 형성된 지주(105)와, 후측 바퀴축(106)에 결합된 스프로킷(107)과 체인(108)으로 연결된 스프로킷(109)이 결합되며 프레임(101)에 베어링 지지되게 설치한 구동축(110)과, 구동축(110)에 결합되는 암(111) 및 스프로킷(109)과 암(111)에 편심되도록 외향 돌출되게 결합된 핀(112)과, 핀(112)에 결합되어 스프로킷(109)을 구동하도록 프레임(101)에 설치된 한 쌍의 보조가동대(120) 및 발판(131)이 구비된 가동대(130)로 구성한 족답식 승용물(100)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109)과 암(111)에 결합된 핀(112)에는 스프로킷(109)의 전방에 핀(121)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보조가동대(120)에 형성된 결합장공(122)과, 스프로킷(109)의 후방에 중간부분이 핀(132)으로 결합되며 후방에 발판(131)이 설치된 가동대(130)의 전방에 형성된 결합장공(133)을 함께 끼우고 스냅링(140)으로 고정하되,
    상기 보조가동대(120)가 결합되는 핀(121)의 중심은 측면에서 볼 때 구동축(110)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되게 하며,
    상기 가동대(130)에는 가동대(130)의 상/하사점 위치에서 핀(134)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발판(131)을 수평상태로 지지하도록 발판(131)의 전후 하측으로 2개의 받침핀(135)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답식 승용물.
KR1020070048333A 2007-05-17 2007-05-17 족답식 승용물 KR100872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33A KR100872179B1 (ko) 2007-05-17 2007-05-17 족답식 승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33A KR100872179B1 (ko) 2007-05-17 2007-05-17 족답식 승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411A KR20080101411A (ko) 2008-11-21
KR100872179B1 true KR100872179B1 (ko) 2008-12-09

Family

ID=4028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333A KR100872179B1 (ko) 2007-05-17 2007-05-17 족답식 승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1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411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646B2 (en) Movable table stand
US6719665B1 (en) Step simulator having pace adjustment device
KR20150076190A (ko) 자전거
US9708029B2 (en) Stepper exercise scooter
KR100872179B1 (ko) 족답식 승용물
US3362723A (en) Propelled scooter
US20090011393A1 (en) Balance training device
KR20080097306A (ko) 족답식 승용물
KR100715835B1 (ko) 족답식 승용물
TW200936450A (en) A push and pull vehicle by stand-and-sit action
KR101950802B1 (ko)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 탑승기구
KR200416197Y1 (ko) 추진장치가 장착된 근거리 이동장치
KR200413865Y1 (ko) 점핑스틱보드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100110414A (ko) 시소 방식의 킥보드
JP2012006539A (ja) 双輪装置
KR100942442B1 (ko) 시소 구동식 킥보드
KR20100039069A (ko) 자전거
CN214971706U (zh) 一种单摇杆驱动机构
KR101123472B1 (ko) 수동식 스쿠터 안전발판장치
KR200397801Y1 (ko) 놀이용 자전거
CN214317548U (zh) 一种可行走的凳子
KR20110063092A (ko) 스탭식 킥보드
JP2003010256A (ja) 上下動するサドルを装着した開脚三輪歩行車。
KR200371873Y1 (ko) 이동형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