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885B1 - 역지밸브의 개폐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역지밸브의 개폐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885B1
KR100871885B1 KR1020070125255A KR20070125255A KR100871885B1 KR 100871885 B1 KR100871885 B1 KR 100871885B1 KR 1020070125255 A KR1020070125255 A KR 1020070125255A KR 20070125255 A KR20070125255 A KR 20070125255A KR 100871885 B1 KR100871885 B1 KR 100871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magnetic field
magnetic
valv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장범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앤디
Priority to KR1020070125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PCT/KR2008/007136 priority patent/WO2009072804A2/en
Publication of KR100871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는 시트몸체부(3)의 일측 외주면의 제1지점(P1)에서 시작하여 밸브디스크(20)를 경유하여 제1지점(P1)과 반대되는 위상을 갖는 시트몸체부(3)의 타측 외주면의 제2지점(P2)으로 폐루프를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부(100)와, 밸브디스크(20)의 이동위치에 따라 자기장발생부(100)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자속변화가 발생되고, 자속변화를 검출하여 역지밸브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는 개폐검출부(200)로 구성된다.
Figure R1020070125255
역지밸브, 밸브디스크, 자기포화

Description

역지밸브의 개폐 감지장치{opening and closing sensor of check valve}
본 발명은 역지밸브의 개폐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지밸브가 여닫힐 때 밸브가 열리는 시점과 밸브가 닫히는 시점을 정확히 판단하고, 역지밸브의 밸브디스크가 밸브시트에 정확히 안착되어 밸브가 완전히 닫혀있는지의 유무를 판단하여 밸브 내의 유체 누설 여부 및 역지밸브의 성능저하를 정확히 검출하여 역지밸브의 정확한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역지밸브의 개폐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역지밸브는 유체가 이송되는 배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일방으로 흘려주고,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역지밸브의 종단면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지밸브는 일측에 유입관(40)이 결합되며 내부에 밸브시트(1)가 형성된 시트몸체부(3)와 타측에 유출관(50)이 결합되는 밸브몸체부(5)로 구성되어 상기 유입관(4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유출관(50)으로 유도하는 유로가 형성된 원통형 본체(10)와, 원동형 본체(10) 내부에 상기 밸브시트(1)와 기밀접촉되는 밸브디스크(20)와, 상기 원통형 본체(10)에 형성되어 상기 밸브디스크(20)를 회동시켜 상기 밸브디스크(20) 를 열림위치와 닫힘위치로 회동이동시키는 회동핀으로 이루어진 이동부(30)로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역지밸브의 밸브디스크(20)가 열림위치에 있는지 또는 닫힘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종래의 초음파를 이용한 역지밸브의 개폐 감지장치의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는 본체(10)의 하단부 외주면에 초음파 탐촉자(60)를 장착한 후 초음파 탐촉자(60)에서 초음파신호를 본체(10) 내부로 발생시켜 주고, 발생된 초음파신호는 역지밸브 내의 유체를 매질로 하여 밸브디스크(20)에 도달하고, 밸브디스크(20)에 도달된 초음파신호는 반사되어 초음파 탐촉자(60)에 되돌아오고, 초음파 탐촉자(60)는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킨 후 반사된 초음파신호가 되돌아온 시간을 측정하여 밸브디스크(20)가 열림위치에 있는지 또는 닫힘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러나, 종래의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는 역지밸브가 열리는 순간과 닫히는 순간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으며, 밸브디스크가 밸브시트에 정확히 안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몸체부 외주면에 장착된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이 시트몸체부의 외주면 일측을 통해 밸브디스크 및 시트몸체부의 외주면 타측을 통해 폐루프가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밸브가 열릴 때, 또는 밸브가 닫힐 때의 폐루프가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속변화에 따른 유기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유기전압의 변화에 따라 밸브가 닫히는 순간 또는 밸브가 열리는 순간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유기전압의 변화를 검출하여 밸브디스크가 밸브시트에 정확히 안착되었는지를 검출하여 밸브의 누수발생여부나 밸브의 성능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는 일측에 유입관이 결합되며 내부에 밸브시트가 형성된 시트몸체부와 타측에 유출관이 결합되는 밸브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유출관으로 유도하는 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밸브시트와 기밀접촉되는 밸브디스크와, 상기 밸브디스크를 이동시켜 상기 밸브디스크를 열림위치와 닫힘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한 역지밸브에 있어서, 상기 시트몸체부의 일측 외주면의 제1지점에서 시작하여 상기 밸브디스크를 경유하여 상기 제1지점과 반대되는 위상을 갖는 상기 시트몸체부의 타측 외주면의 제2지점으로 폐루프를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수단; 및 상기 밸브디스크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자속변화가 발생되고, 상기 자속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역지밸브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는 개폐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1지점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주자기장 발생수단과 상기 주자기장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자속이 상기 시트몸체부의 외주면으로는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자기장의 자속을 차단시키는 자기장 차단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는 시트몸체부 외주면에 장착된 자기장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이 시트몸체부의 외주면 일측을 통해 밸브디스크 및 시트몸체부의 외주면 타측을 통해 폐루프가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밸브가 열릴 때, 또는 밸브가 닫힐 때의 폐루프가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속변화에 따른 유기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유기전압의 변화에 따라 밸브가 닫히는 순간 또는 밸브가 열리는 순간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유기전압의 변화를 검출하여 밸브디스크가 밸브시트에 정확히 안착되었는지를 검출하여 밸브의 누수발생여부나 밸브의 성능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가 장착된 역지밸브의 종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가 장착된 역지밸브의 시트몸체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개폐검출부에서 밸브디스크가 열릴 때와 닫힐 때의 유기전압의 파형도이고, 도 5는 제1자속차단부 또는 제2자속차단부에 의한 제3지점과 제4지점의 시트몸체부 내벽에서의 자기포화 특성을 나타낸 파형도이고, 도 6은 역지밸브의 본체와 제2코아와 제3코아의 자기포화특성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는 시트몸체부(3)의 일측 외주면의 제1지점(P1)에서 시작하여 밸브디스크(20)를 경유하여 제1지점(P1)과 반대되는 위상을 갖는 시트몸체부(3)의 타측 외주면의 제2지점(P2)으로 폐루프를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부(100)와, 밸브디스크(20)의 이동위치에 따라 자기장발생부(100)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자속변화가 발생되고, 자속변화를 검출하여 역지밸브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는 개폐검출부(200)로 구성된다.
자기장 발생부(100)는 일단이 제1지점(P1)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지점(P2)에 연결되어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주자기장 발생부(110)와, 주자기장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자속이 시트몸체부(3)의 외주면으로는 발생되지 않도록 자기장의 자속을 차단시키는 자기장 차단부(120)로 구성된다.
주자기장 발생부(110)는 제1전압(V1)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111)와, 일 단이 제1지점(P1)에 접촉되고, 타단이 제2지점(P2)에 접촉된 제1코아(113)와, 제1코아(113) 외주면에 권선되어 제1전압(V1)에 의해 제1코아(113) 내부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코일(115)로 구성된다.
자기장 차단부(120)는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제외한 상기 시트몸체부(3) 내벽에 자기포화(magnetic saturation)상태를 갖는 자기포화 자기장(MS1,MS2)을 형성시킨다.
자기장 차단부(120)는 제1지점(P1)과 제2지점(P2)을 제외한 시트몸체부(3)의 외주면의 제3지점(P3) 내벽에 자기포화상태인 제1자기포화 자기장(MS1)을 발생시키는 제1자속차단부(120a)와, 제3지점(P3)과 반대되는 위상을 갖는 시트몸체부(3)의 외주면의 제4지점(P4) 내벽에 자기포화상태인 제2자기포화 자기장(MS2)을 발생시키는 제2자속차단부(120b)로 구성된다.
제1자속차단부(120a)는 제2전압(V2)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121a)와, 일단이 제3지점(P3)의 일측과 접촉되고, 타단이 제3지점(P3)의 타측과 접촉된 제2코아(123a)와, 제2코아(123a) 외주면에 권선되어 제2전압(V2)에 의해 발생된 전류에 의해 제2코아(123a) 내부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제2전압(V2)을 증가시켜 제3지점(P3)의 시트몸체부(3)의 내벽에 자기포화된 제1자기포화 자기장(MS1)을 형성시키는 제2코일(125a)로 구성된다.
또한, 제2자속차단부(120b)는 제3전압(V3)을 공급하는 제3전원공급부(121b)와, 일단이 제4지점(P4)의 일측과 접촉되고, 타단이 제4지점(P4)의 타측과 접촉된 제3코아(123b)와, 제3코아(123b) 외주면에 권선되어 제3전압(V3)에 의해 발생된 전 류에 의해 제3코아(123b) 내부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제3전압(V3)을 증가시켜 제4지점(P4)의 시트몸체부(3)의 내벽에 자기포화된 제2자기포화 자기장(MS2)을 형성시키는 제3코일(125b)로 구성된다.
제2코아(123a)는 제2전압(V2)의 증가에 의해 제3지점(P3)의 시트몸체부(3) 내벽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자기포화일 때에 자기포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2코아(123a)는 본체(10)에 비해 자기포화시 자속밀도가 크고, 제3코아(123b)는 제3전압(V3)의 증가에 의해 제4지점(P4)의 시트몸체부(3) 내벽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자기포화일 때에 자기포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3코아(123b)는 본체(10)에 비해 자기포화시 자속밀도가 큰 것을 사용한다.
제3지점(P3)의 자기포화된 제1자기포화 자기장(MS1)의 극성과 제4지점(P4)의 자기포화된 제2자기포화 자기장(MS2)의 극성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제1자속차단부(120a)와 제2자속차단부(120b)는 자기포화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개폐검출부(200)는 자기장 발생부(100)에서 발생된 자속변화에 의한 유기전압의 변화를 검출하여 밸브디스크(20)가 밸브시트(1)에 안착되어 밸브디스크(20)가 닫힐 때 또는 밸브디스크(20)가 밸브시트(1)에 이격되어 밸브디스크(20)가 열릴 때를 판단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몸체부(3)의 일측 외주면의 제1지점(P1)에 제1코아(113)의 일단을 접촉하고, 제1지점(P1)과 반대 위상을 갖는, 즉, 180도 위상을 갖는 시트몸체부(3)의 외주면의 제2지점(P2)에 제1코아(113)의 타단을 접촉시켜 제1코아(113)를 시트몸체부(3)의 외주면에 장착하고, 제1코아(113)의 외주면에는 제1코일(115)이 권선되고, 제1코일(115)에는 제1전압(V1)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111)를 연결하여, 시트몸체부(3)의 외주면에 제1전원공급부(111), 제1코아(113) 및 제1코일(115)로 구성된 주자기장 발생부(110)는 시트몸체부(3) 내벽에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차단부(120)는 제1자속차단부(120a)와 제2자속차단부(120b)로 구성되며, 제1자속차단부(120a)와 제2자속차단부(120b)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주자기장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시트몸체부(3)의 외주면의 내벽으로는 흘러가지 않도록 주자기장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차단시키는 것으로, 제1자속차단부(120a)는 제1지점(P1)에서 시계방향인 우측편의 제3지점(P3)의 시트몸체부(3)에 형성하고, 제2자속차단부(120b)는 제1지점(P1)에서 반시계방향인 좌측편의 제4지점(P4)의 시트몸체부(3)에 형성한다. 즉, 제1자속차단부(120a)와 제2자속차단부(120b)는 각각 제3지점(P3)과 제4지점(P4)의 시트몸체부(3)의 내벽에 자기포화된 제1,제2자기포화 자기장(MS1,MS2)을 발생시키고, 주자기장 발생부(11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제3지점(P3)과 제4지점(P4)의 시트몸체부(3)의 내벽에 자기포화된 제1,제2자기포화 자기장(MS1,MS2)에 의해 시트몸체부(3)의 외주면 내벽으로는 흘러가지 않고, 다른 경로인 제1지점(P1)에서 밸브 디스크(20)를 경유하여 제2지점(P2)으로 흘러간다. 예를 들어 제1지점(P1)의 자기장 극성이 N극이고, 제2지점(P2)은 S극이라 하며 주자기장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제1지점(P1), 밸브디스크(20) 및 제2지점(P2)으로의 폐루프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지점(P1)에서 밸브디스크(20)를 경유하여 제2지점(P2)으로의 폐루프를 갖는 자기장의 자속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디스크(20)가 밸브시트(1)에 안착되어 역지밸브가 닫히는 순간이나 반대로 밸브디스크가(20)가 밸브시트(1)에 이격되어 역지밸브가 열리는 순간에서 변화가 발생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감지부(200)는 이러한 자기장의 자속변화에 따라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이 변화되고, 이로 인해 제1코일(115)에 유기되는 유기전압의 변화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개폐감지부(200)는 유기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역지밸브가 닫힐 때 또는 열릴 때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 역지밸브가 열려야 하는 시간에 정확히 열리는지, 또는 닫혀야 하는 시간에 정확히 닫히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알 수 있어 역지밸브의 성능진단을 정확히 할 수 있다.
또한, 개폐감지부(200)는 상기와 같이 역지밸브의 열릴 때 또는 닫힐 때 뿐만 아니라 밸브디스크(2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주자기장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자속은 달라지므로 이와 같은 자속변화량에 따른 유기전압을 감지하여 역지밸브의 밸브디스크(20)가 어느 정도 열려져 있는지의 여부도 판단할 수 있으며, 밸브디스크(20)가 정확히 밸브시트(1)에 안착되었는지의 여부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속차단부(120a)는 제2전압(V2)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121a)와, 제3지점(P3)에 접촉된 제2코아(123a)와, 제2코아(123a) 외주면에 권선되어 제2전압(V2)에 의해 발생된 전류에 의해 제2코아(123a) 내부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제2전압(V2)을 증가시켜 제3지점(P3)의 시트몸체부(3)의 내벽에 자기포화된 제1자기포화 자기장(MS1)을 형성시키는 제2코일(125a)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자속차단부(120a)는 제2전압(V2)의 전압을 서서히 증가시켜 제2코일(125a)에 전류를 흐르게 하고, 제2코일(125a)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제2코아(123a) 내부와 제2코아(123a)가 접촉되는 제3지점의 시트몸체부(3) 내벽에는 폐루프의 자기장이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지밸브의 본체(10)가 주철로 형성될 경우 제2코아(123a)를 주철보다 자기포화시 자속밀도(T)가 큰 규소강판을 사용하여 제2전압(V2)을 계속해서 증가시키면 자기포화시 자속밀도(T)가 작은 시트몸체부(3)의 내벽은 제2코아(123a)의 내부보다도 먼저 자기포화가 발생되어 제3지점(P3)의 시트몸체부(3) 내벽에는 제1자기포화 자기장(MS1)이 형성된다.
자기포화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코일(125a)에 전류를 계속적으로 증가시키더라도 자기포화곡선상의 포화점(A)에 도달하면 자성체 내에 자속밀도(T)가 선형으로 증가하지 않고 포화되는 것을 말한다. 즉, 자계의 세기가 B인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는 제2코일(125a)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면 자속밀도(T)도 제2코일(125a)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나, 자계의 세기가 B인 지점에 도달하면 제2코일(125a)에 흐르는 전류를 계속적으로 증가시키더라도 자속밀도(T)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포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제2자속차단부(120b)는 제1자속차단부(120a)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어 제3 전압(V3)을 증가시켜 제4지점(P4)의 시트몸체부(3) 내벽에 제2자기포화 자기장(MS2)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제1, 제2자속차단부(120a,120b)에 의해 제3지점(P3)과 제4지점(P4)의 시트몸체부(3) 내벽에 발생된 제1,제2자기포화 자기장(MS1,MS2)에 의해 주자기장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시트몸체부(3) 외주면의 내벽으로는 흘러가지 못하도록 차단된다.
제3지점(P3)의 자기포화된 제1자기포화 자기장(MS1)의 극성과 제4지점(P4)의 자기포화된 제2자기포화 자기장(MS2)의 극성은 동일한 극성을 갖도록 하여 제1자기포화 자기장(MS1)가 제2자기포화 자기장(MS2) 간에는 서로 척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시트몸체부(3)의 외주면의 내벽에는 제3지점(P3)과 제4지점(P4)의 내벽을 제외하고는 자기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기포화 자기장(MS1)의 상부에는 N극을 하부에는 S극으로 형성된다면, 제2자기포화 자기장(MS2)의 상부에는 N극으로 하부에는 S극으로 형성한다.
제1, 제2자속차단부(120a,120b)는 자기포화된 자기장을 발생시키면 되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석 대신에 영구자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일반적이 역지밸브의 종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역지밸브의 밸브디스크가 열림위치에 있는지 또는 닫힘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종래의 초음파를 이용한 역지밸브의 개폐 감지장치의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가 장착된 역지밸브의 종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가 장착된 역지밸브의 시트몸체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개폐검출부에서 밸브디스크가 열릴 때와 닫힐 때의 유기전압의 파형도,
도 5는 제1자속차단부 또는 제2자속차단부에 의한 제3지점과 제4지점의 시트몸체부 내벽에서의 자기포화 특성을 나타낸 파형도,
도 6은 역지밸브의 본체와 제2코아와 제3코아의 자기포화특성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Claims (9)

  1. 삭제
  2. 일측에 유입관이 결합되며 내부에 밸브시트가 형성된 시트몸체부와 타측에 유출관이 결합되는 밸브몸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상기 유출관으로 유도하는 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밸브시트와 기밀접촉되는 밸브디스크와, 상기 밸브디스크를 이동시켜 상기 밸브디스크를 열림위치와 닫힘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한 역지밸브에 있어서,
    상기 시트몸체부의 일측 외주면의 제1지점에서 시작하여 상기 밸브디스크를 거쳐 상기 제1지점과 반대되는 위상을 갖는 상기 시트몸체부의 타측 외주면의 제2지점으로 폐루프를 갖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수단; 및
    상기 밸브디스크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자기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자속변화가 발생되고, 상기 자속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역지밸브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는 개폐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자기장 발생수단은 일단이 상기 제1지점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주자기장 발생수단과 상기 주자기장 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자속이 상기 시트몸체부의 외주면으로는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자기장의 자속을 차단시키는 자기장 차단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자기장 발생수단은
    제1전압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수단;
    일단이 상기 제1지점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제2지점에 접촉된 제1코아; 및
    상기 제1코아 외주면에 권선되어 상기 제1전압에 의해 상기 제1코아 내부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단수단은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제외한 상기 시트몸체부 내벽에 자기포화상태를 갖는 자기포화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차단수단은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을 제외한 시트몸체부의 외주면의 제3지점 내벽에 자기포화된 제1자기포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1자속차단수단; 및
    상기 제3지점과 반대되는 위상을 갖는 상기 시트몸체부의 외주면의 제4지점 내벽에 자기포화된 제2자기포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2자속차단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속차단수단은 제2전압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수단과, 일단이 상기 제3지점의 일측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제3지점의 타측과 접촉된 제2코아와, 상기 제2코아 외주면에 권선되어 상기 제2전압에 의해 발생된 전류에 의해 상기 제2코아 내부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전압을 증가시켜 상기 제3지점의 시트몸체부의 내벽에 자기포화된 제1자기포화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제2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2자속차단수단은 제3전압을 공급하는 제3전원공급수단과, 일단이 상기 제4지점의 일측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제4지점의 타측과 접촉된 제3코아와, 상기 제3코아 외주면에 권선되어 상기 제3전압에 의해 발생된 전류에 의해 상기 제3코아 내부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3전압을 증가시켜 상기 제4지점의 시트몸체부의 내벽에 자기포화된 제2자기포화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제3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아는 상기 제2전압의 증가에 의해 상기 제3지점의 시트몸체부 내벽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자기포화일 때에 자기포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2코아는 상기 본체에 비해 자기포화시 자속밀도가 크고,
    상기 제3코아는 상기 제3전압의 증가에 의해 상기 제4지점의 시트몸체부 내벽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자기포화일 때에 자기포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3코아는 상기 본체에 비해 자기포화시 자속밀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점의 자기포화된 제1자기포화 자기장의 극성과 제4지점의 자기포화된 제2자기포화 자기장의 극성은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밸브의 개폐감지장치.
  9. 삭제
KR1020070125255A 2007-12-05 2007-12-05 역지밸브의 개폐 감지장치 KR100871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255A KR100871885B1 (ko) 2007-12-05 2007-12-05 역지밸브의 개폐 감지장치
PCT/KR2008/007136 WO2009072804A2 (en) 2007-12-05 2008-12-03 Apparatus for detecting opening and closing of check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255A KR100871885B1 (ko) 2007-12-05 2007-12-05 역지밸브의 개폐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1885B1 true KR100871885B1 (ko) 2008-12-03

Family

ID=4037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255A KR100871885B1 (ko) 2007-12-05 2007-12-05 역지밸브의 개폐 감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1885B1 (ko)
WO (1) WO2009072804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0263A (en) 1990-04-20 1992-08-18 Liberty Technology Center, Inc.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of an internal, movable conductive element
US5236011A (en) * 1991-06-20 1993-08-17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Noninvasive valve monitor using constant magnetic and/or DC electromagnetic field
US5504426A (en) 1992-12-07 1996-04-02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Check valve position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8841B1 (en) * 1989-07-28 1995-09-19 Liberty Technologies Inc Non-invasive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valves
US5086273A (en) * 1990-04-20 1992-02-04 Liberty Technology Center, Inc. A.C. electromagnetic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of an encased movable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0263A (en) 1990-04-20 1992-08-18 Liberty Technology Center, Inc. System for determining position of an internal, movable conductive element
US5236011A (en) * 1991-06-20 1993-08-17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Noninvasive valve monitor using constant magnetic and/or DC electromagnetic field
US5504426A (en) 1992-12-07 1996-04-02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Check valve position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2804A2 (en) 2009-06-11
WO2009072804A3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3801C (zh) 清管器及其操作方法
TWI586985B (zh) 用於測量磁場的裝置與方法
US200401835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Line Stress Measurement by Continuous Barkhausen Method
JP2016506523A (ja) 鋼板の内部欠陥検出装置及び方法
WO2002033398A1 (fr) Capteur de fuites magnetiques d"un appareil de penetration magnetique
CN103954684A (zh) 一种利用漏磁变化率进行无损检测的方法
JPH04232458A (ja) 渦電流プローブ
US5504426A (en) Check valve position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180030537A (ko) 결함 측정 방법, 결함 측정 장치 및 검사 프로브
EP1285236B1 (en) Conduction indication in a magnetic flowmeter
CN103712637A (zh) 磁约束脉冲涡流检测方法与装置
KR100871885B1 (ko) 역지밸브의 개폐 감지장치
CN101344595A (zh) 一种屏蔽激磁定量检测探头及方法
KR101657745B1 (ko) 강판의 결함 탐상 장치 및 방법
US7365533B2 (en) Magneto-optic remote sensor for angular rotation, linear displacements, and evaluation of surface deformations
JP2617571B2 (ja) 磁気測定装置
US2853878A (en) Fluid level-measuring system
CN209961733U (zh) 一种磁声复合无损检测装置及系统
WO20050959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line stress measurement by continuous barkhausen technique
JPS63124957A (ja) 渦電流探傷方法及び渦電流探傷プロ−ブ
CN209264624U (zh) 一种用于低频电磁检测的交流饱和磁化装置
KR102265940B1 (ko) 케이블 결함 검사 장치
JPS60102585A (ja) 金属球検出装置
JP3474026B2 (ja) 磁性体検出装置
Brudar et al. Magnetic leakage fields as indicators of eddy current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