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364B1 - 성교육용 교구 - Google Patents

성교육용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364B1
KR100871364B1 KR1020070054115A KR20070054115A KR100871364B1 KR 100871364 B1 KR100871364 B1 KR 100871364B1 KR 1020070054115 A KR1020070054115 A KR 1020070054115A KR 20070054115 A KR20070054115 A KR 20070054115A KR 100871364 B1 KR100871364 B1 KR 100871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fetal
fetus
maternal
umbilical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자
Original Assignee
이영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자 filed Critical 이영자
Priority to KR102007005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1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pregnancy, birth or obstetr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08Dolls capable of simulating pregnancy or bir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원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시 아이들의 참여의욕을 돋우고 정확하고 올바른 성 지식을 아이들에게 전달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성교육 교구에 관한 것으로, 아이들이 성에 대해 편협하거나 잘못된 인식을 갖지 않도록 하고, 단순한 성 지식 전달만이 아니라 긍정적이고 자연스러운 성 가치관 및 인간의 존엄성을 심어주며 성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성교육 교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교구는 흥미를 유발하면서 올바르고 정확한 성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여성 임신부의 신체형상을 따라 얼굴부와 몸통부와 팔, 다리부를 갖는 인형몸체로 제공되고, 태아의 신체형상을 따라 얼굴부와 몸체부와 두 개의 팔, 다리부를 갖고 몸체부에는 배꼽이 형성된 구조로 태아인형이 제공되며, 상기 산모인형의 복부 내부에 천이나 줄로 연결되어 제공되는 탯줄이 인출되어 태아의 배꼽과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며, 아이들의 교육 참여의욕을 높이고 생동감을 주기 위하여 산모인형과 태아인형 이외에 보조장치로서 풍선인형이나 청진기가 선택적으로 추가 제공되는 성교육 교구에 관한 것이다.
성교육 교재, 성교육 교구, 산모인형

Description

성교육용 교구{Materials for sex education}
도 1a : 산모인형이 외부에 가운을 걸친 인형의 전면도.
도 1b : 산모인형이 가운을 걸치지 않은 상태의 인형 전면도.
도 2a : 태아인형이 외부에 저고리를 걸친 인형의 전면도.
도 2b : 태아인형이 저고리를 입지 않은 상태의 인형 전면도.
도 3a : 산모인형의 복부에 태아가 보호되고 있는 상태도.
도 3b : 산모인형로 부터 태아인형이 배출되는 상태도.
도 4 : 본원의 보조장치인 2중 구조의 풍선인형 예시도.
도 5 : 본원의 보조장치인 청진기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얼굴부 20 : 몸통부
21 : 국부 22 : 탯줄
30 : 팔 40 : 다리부
50 : 산모인형 51 : 가운
60 : 태아인형 61 : 배냇저고리
62 : 배꼽 70 : 풍선인형
71 : 외부풍선 72 : 공기주입구
73 : 마개 74 : 내부풍선
80 : 청진기 81 : 감응부
82 : 청진기 헤드 83 : 튜브
84 : 바이누랄 85 : 이어팁
본원 발명은 유아 또는 초등교육을 받는 어린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성교육용 교구에 관한 것이다.
아이들은 자라나면서 자연스럽게 성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되며 이러한 성적 호기심에 대해서 잘못된 성 지식을 심어주지 않기 위해 유아 성교육이 필요하다.
올바른 성교육을 접한 아이들은 사춘기 이후에도 자연스럽게 성 문제를 적절히 소화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성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부끄러움이나 민망함을 느껴 제대로 교육하지 못하고 얼버무리거나 제대로 된 성 지식을 심어주지 못하게 되면 인간의 존엄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육체의 정욕을 다스리지 못하여 탈선의 위험이 따르게 되어 방황의 시간을 보낼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아시절부터 적절한 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유치원 이나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올바른 성 지식을 가르치고자 시도하지만 이때 적절한 성교육 교재가 미비하여 그림, 비디오 등의 시청각 자료만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는 내용을 습득하는 형식 뿐의 것이 대부분이어서 배우는 아이들의 실제적 참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시 아이들의 참여의욕을 돋우고 정확하고 올바른 성 지식을 아이들에게 전달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아이들이 성에 대해 편협하거나 잘못된 인식을 갖지 않도록 하고 단순한 성 지식 전달만이 아니라 긍정적이고 자연스러운 성 가치관 및 인간의 존엄성을 전달하면서 동기부여를 주어 흥미를 유발하면서 성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산모인형과 태아인형을 이용하고 풍선인형이나 청진기 등의 보조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성교육 교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특히, 성교육의 주요 내용 중 하나인 출산에 관해 선정적이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성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이들이 직접 눈으로 보고 확인하며 생동감을 유발시켜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는 성교육 교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원에서는 산모인형과 산모인형의 복부 속에 들어갈 수 있는 태아인형으로 구성되는 성교육 교재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상기 산모인형과 태아인형은 내부로 헝겊이 들어가고 외부로 살색의 천을 덧입혀서 꿰맨 형태의 일반 헝겊인형으로 제작되어 아이들이 만질 때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모인형은 여성의 신체의 특성을 잘 살려서, 얼굴부와 몸통부와 팔, 다리부를 갖는 인형몸체로 제공되며, 상기 얼굴부는 머리카락과 두 개의 눈과 귀 및 하나의 코와 입을 구비하고 몸통부는 임신부의 배처럼 불록한 형태로 제작되며 유두를 포함한 두 개의 젖가슴과 배꼽을 구비하되, 몸통부 내부로 태아인형의 인입공간을 형성하고 몸통부 하단의 두 다리 사이로 태아인형을 산모인형 내부로 인입하거나 인출하는 국부구멍을 갖는 형태로 제작된다.
특히, 산모인형의 몸통부 내부에 태아인형을 내장하는 공간에는 천을 덧대어 헝겊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며, 상기 산모인형의 몸통부 내부에서 천이나 고무줄과 같은 탄성부재로 제공되는 탯줄이 형성되어 제공되고, 탯줄의 단부는 태아인형의 배꼽에 연결되어 부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원형고리를 형성하여 제공된다.
상기 태아인형은 태아의 신체형상을 따라 얼굴부와 몸체부와 두 개의 팔, 다리부를 갖는 작은 인형몸체로 제공되며, 상기 얼굴부는 두 개의 눈과 귀 및 하나의 코와 입을 구비하고, 몸통부는 배꼽을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의 산모인형과 태아인형을 이용하여 산모인형의 탯줄 단부의 원 형고리가 태아인형의 배꼽에 체결된 상태로 태아인형이 산모인형의 국부구멍 내부로 인입시킨 후, 출산하는 모습으로 태아인형의 머리 부분부터 외부로 출산되는 모습을 구현시킬 수 있고 태아인형이 산모인형의 복중에서 다 나온 상태에서는 산모인형과 태아인형 사이에 탯줄로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게 되며, 탯줄 의 단부를 교육실시자의 손가락 검지와 중지를 가위로 예를들어 절단하는 모양을 구현하며 태아인형의 배꼽에 연결되어 부착되어 있는 원형고리를 태아인형의 배꼽에서 분리시켜 내는 전 출산과정을 자세하게 구현시키며 생동감 있는 성교육의 실시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모인형과 태아인형은 의복이 함께 제공될 수 있는바, 산모인형은 상하의 속옷과 임신부용 까운이 의복으로 제공될 수 있고, 태아인형에는 흰색의 배냇저고리가 의복으로 제공되어 외형상 산모인형과 태아인형의 미관을 도모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의 산모인형과 태아인형을 이용한 성교육 시 아이들의 참여의욕을 돋우고 실감을 높이기 위하여 산모인형과 태아인형 이외에 보조장치로서 풍선인형이나 청진기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보조장치로 제공되는 풍선인형은 외부풍선이 내부 풍선을 감싸는 2중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바, 외부풍선은 원형으로 태아를 감싸고 있는 양수포를 나타내는 비닐풍선으로 제공되고, 외부풍선 내부에 내장되는 태아형상의 풍선은 양수포 내부로 감싸져 있는 태아형상의 인형으로 제공된다.
상기 풍선인형의 일측으로는 외부풍선에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는 공기주입 구 및 마개를 갖고, 타측으로는 태아형상 풍선에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는 공기주입구 및 마개를 갖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비 교육시에는 바람이 없이 접혀진 구조로 저장되다가 교육시에는 내부풍선에 먼저 바람을 불어 넣고 외부풍선에 바람을 불어넣어 실감나는 교육을 실시하도록 제공되며 풍선인형의 크기는 산모인형의 국부구멍 내부로 인입 가능한 크기로 제공된다.
본원에서 또 다른 보조장치로 청진기가 제공될 수 있는바, 청진기는 청진기 헤드 내부에 태아의 심장박동이 녹음되어 스위치가 작동되었을 때 태아의 심장박동을 전달할 수 있는 출력장치가 내장되고, 다이어프램(박막판)이 눌려질 때 스위치가 작동되어 태아의 심장소리를 들을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산모인형과 산모인형의 복부 속에 들어갈 수 있는 태아인형과 생동감 넘치는 교육을 하기 위한 보조장치로서 풍선인형이나 청진기가 함께 세트로 제공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이루어지는 성교육 교구를 이용하여 성교육을 실시하는 양태를 가상하여 예를 들면, 엄마가 아기를 잉태하게 되면 새 생명이 그 태중에서 성장하여 갈 때 아기가 정상적으로 성장하여 가는지 진단하기 위하여 청진기를 귀에 꼽고 태아인형을 품고 있는 산모인형의 배에 청진기를 갖다대고 눌러보았을 때 태아의 심장박동을 들을 수 있게 되는 교육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아기가 더욱 성장하게 되면 본원에서 보조장치로 제공되는 풍선인형에 바람을 불어 넣고 외부풍선 부분은 태아를 감싸고 있는 양수막으로 설명해주고, 태아는 양수포에 감싸여진 상태로 웅크리고 있는 상태를 생동감 있게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산모의 출산이 임박해지면 양수포가 터지면서 어린아기가 엄마 뱃속에서 세상을 향해 나오는바, 출산하는 모습으로 태아인형을 이용하여 엄마의 뱃속에서 아기의 머리 부분부터 외부로 출산되는 모습을 구현시킬 수 있고, 태아인형이 산모인형의 복중에서 다 나온 상태에서는 산모인형과 태아인형 사이에 탯줄로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게 될 것이며, 탯줄 의 단부를 교육실시자의 손가락 검지와 중지를 가위로 예를 들어 절단하는 모양을 구현하며 태아인형의 배꼽에 연결되어 부착되어 있는 원형고리를 태아인형의 배꼽에서 분리시켜 냄으로 출산과정을 적나라하게 구현시키며 생동감 있는 성교육의 실시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성교육 교구의 바람직한 구성 예를 첨부된 도면을 겸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산모인형이 외부에 까운을 걸친 인형을 도시하고 있고, 도 1b는 산모인형이 까운을 걸치지 않은 상태의 인형을 도시하고 있는바, 본원에서 제공되는 산모인형(50)은 산모여성의 신체 특성을 살려서, 얼굴부(10)와 몸통부(20)와 두개의 팔(30), 두개의 다리부(40)를 갖는 인형몸체로 제공되며, 상기 얼굴부(10)는 머리카락과 두 개의 눈과 귀 및 하나의 코와 입을 구비하고 몸통부(20)는 임신부의 배처럼 불록한 형태로 제작되며 유두를 포함한 두 개의 젖가슴과 배꼽을 구비하되, 몸통부 내부로 태아인형의 인입공간을 형성하고 몸통부 하단의 두 다리 사이로 태아인형을 산모인형 내부로 인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국부구멍(21)을 갖는 형태로 제작된다.
본원의 산모인형은 얼굴부(10), 몸통부(20) 및 팔(30) 및 다리부(40)는 일반 헝겊천으로 제공되는 일반적 인형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특별히 개시되는 부분은 산모인형의 몸통부 내부에 태아인형을 내장하는 공간에는 천을 덧대어 헝겊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며, 상기 산모인형의 몸통부 내부에서 천이나 고무줄과 같은 탄성부재로 제공되는 탯줄(22)이 형성되어 제공되고, 몸통부 하단의 두 다리 사이로 도 2의 태아인형을 산모인형 내부로 인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국부구멍(21)을 갖는 형태를 갖는 구조의 산모인형이 제공되고 산모인형(50)의 외부는 교육이전에는 까운(51)이 입혀진 구조로 제공되었다가 교육이 시작되면서 까운(51)이벗겨진다.
도 2a는 태아인형(60)이 외부에 배냇저고리(61)을 걸친 인형을 도시하고 있고, 도 2b는 태아인형(60)이 배냇저고리(61)를 걸치지 않은 상태의 인형을 도시하고 있는바, 본원에서 제공되는 태아인형(60)의 배꼽(62)은 산모인형(50)의 복부에 내장된 탯줄(22)과 연결되도록 탯줄(22)의 단부가 태아인형(60)의 배꼽(62)에 연결되어 부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된다.
도 3a는 산모인형(50)의 복부에서 도 4의 태아인형(60')이 보호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b는 산모인형(50)의 국부구멍(21)으로 부터 태아인형(60)이 빠져나오면서 출생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산모인형(50)의 복부에 있는 탯줄(22)과 태아인형(60)의 배꼽(62)에 연결되어 아기가 탄생되어 지는 과정을 사실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원에서 보조장치로 제공되어 산모인형(50)의 복부 내부에서 성장하 고 있는 태아의 상태를 설명해 주기 위한 풍선인형(70)을 도시한 것으로, 풍선인형(70)은 외부풍선(71)이 내부풍선(74)을 감싸는 2중 구조로 제공되는바, 외부풍선(71)은 원형으로 태아를 감싸고 있는 양수포를 나타내는 비닐풍선으로 제공되고, 외부풍선(71) 내부에 내장되는 태아형상의 내부풍선(74)은 태아형상을 인형으로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풍선인형(70)의 일측으로 외부풍선(71)에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는 공기주입구(72) 및 마개(73)를 갖고, 그 반대측으로는 내부풍선(74)에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는 공기주입구(72') 및 마개(73')를 갖는 구성으로 제공된다.
도 5는 본원에서 보조장치로 제공되어 상기 산모인형이나 태아인형을 진단하기 위한 청진기(80)의 일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청진기(80)의 일측 단부는 박막판 감응부(81)가 눌려질 때 스위치가 접점되고 청진기 헤드(82) 내부에는 스위치가 접점될 때 태아의 심장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출력장치가 내장되어, 청진기의 일측 이어팁(85)을 양쪽 귀에 꽂고 튜브(83)와 바이누랄(84)을 통해서 태아의 심장박동을 들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청진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교구를 통하여 성교육의 주요 내용 중 하나인 출산에 관해 선정적이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성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이들이 직접 눈으로 보고 확인하며 생동감을 유발시켜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시킬 수 있는 성교육 교구를 제공하게 된다.
본원 고안에서 제공하는 성교육 교구는 아이들이 직접 인형의 몸을 만지고 태아인형을 끄집어내면서 성교육을 받을 수 있어 참여도를 높일 뿐 아니라, 단순한 성지식 습득에 그치지 않고 인간의 존업성을 깨달으며 성 가치관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산모인형과 태아인형으로 제공되는 본원의 성교육 교구는 태아인형이 산모인형의 배 속에 들어있다 끄집어 낼 수 있도록 하고 태아인형과 산모인형이 탯줄로 연결된 것까지 표현할 수 있어 아이들에게 정확한 성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에서 보조장치로 제공되는 풍선인형으로 복중의 태아가 양수포에 감싸여 보호되고 있음을 배울 수 있으며, 또 다른 보조장치인 청진기에 태아의 심장박동이 녹음되어 스위치가 작동되었을 때 태아의 심장소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의 생동감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정확한 성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성교육 교구에 있어서,
    여성 임신부의 신체형상을 따라 얼굴부와 몸통부와 팔, 다리부를 갖는 인형몸체로 얼굴부에는 두 개의 눈과 귀 및 하나의 코와 입을 갖고, 몸통부에는 유두를 포함한 두 젖가슴과 배꼽을 갖는 복부를 가지며, 몸통부와 양발이 접속되는 부위의 중앙부로는 태아인형이 산모인형 몸체로 입/출이 가능한 국부구멍을 갖고 국부구멍에는 태아인형과 연결되기 위한 탯줄이 인출되는 구조의 산모인형이 제공되고,
    태아의 신체형상을 따라 얼굴부와 몸체부와 두 개의 팔, 다리부를 갖고 몸체의 중앙부에는 배꼽이 형성된 구조의 태아인형이 제공되며,
    상기 산모인형의 국부구멍을 통하여 태아인형의 입출이 이루어지되, 산모인형의 탯줄에 태아인형의 배꼽이 연결되어 산모인형의 복부내부로 인입되어 보관되었다가 출산상태의 교육 시 산모인형의 국부구멍을 통하여 태아인형이 나올 때 탯줄이 태아의 배꼽과 연결되어 나오며 태아인형의 배꼽으로부터 탯줄이 분리되는 구성으로 제공되며,
    상기 산모인형과 태아인형에 보조기구로서 청진기가 추가되되, 청진기는 그 단부에 박막판 감응부를 갖고 감응부가 태아인형에 접하여 눌려질 때 스위치가 접점되고 스위치가 접점될 때 태아의 심장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출력장치가 내장되어 청진기의 이어팁을 통해 태아의 심장박동을 들을 수 있는 청진기가 포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교육 교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054115A 2007-06-01 2007-06-01 성교육용 교구 KR10087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15A KR100871364B1 (ko) 2007-06-01 2007-06-01 성교육용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15A KR100871364B1 (ko) 2007-06-01 2007-06-01 성교육용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1364B1 true KR100871364B1 (ko) 2008-12-02

Family

ID=4037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115A KR100871364B1 (ko) 2007-06-01 2007-06-01 성교육용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95B1 (ko) * 2014-03-17 2015-12-0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만 연습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3074U (ja) 1981-12-29 1983-07-13 京都科学標本株式会社 胎児触診教習模型
JP2000112341A (ja) 1998-08-04 2000-04-21 Eiji Ishikawa 性教育用教材
JP2000315045A (ja) * 1999-04-30 2000-11-14 Koken Co Ltd 妊産婦の全身モデル
KR200288220Y1 (ko) 2002-05-22 2002-09-09 이인규 기침하는 인형완구
JP2004126490A (ja) 2002-10-03 2004-04-22 Bunichi Iwamoto 携帯に便利な性教育等の教材
KR200435831Y1 (ko) * 2006-07-29 2007-02-23 이경옥 성교육 교구 세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3074U (ja) 1981-12-29 1983-07-13 京都科学標本株式会社 胎児触診教習模型
JP2000112341A (ja) 1998-08-04 2000-04-21 Eiji Ishikawa 性教育用教材
JP2000315045A (ja) * 1999-04-30 2000-11-14 Koken Co Ltd 妊産婦の全身モデル
KR200288220Y1 (ko) 2002-05-22 2002-09-09 이인규 기침하는 인형완구
JP2004126490A (ja) 2002-10-03 2004-04-22 Bunichi Iwamoto 携帯に便利な性教育等の教材
KR200435831Y1 (ko) * 2006-07-29 2007-02-23 이경옥 성교육 교구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95B1 (ko) * 2014-03-17 2015-12-0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만 연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6244B2 (en) Interactiv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patient care
US2551433A (en) Educational apparatus for teaching obstetrics and midwifery
JP5806229B2 (ja) マターナルシミュレータ
US20090117531A1 (en) Clothes for infant education
JP2004520606A (ja) 患者看護教授用対話型教育システム
CN206058733U (zh) 仿真产时宫颈变化和先露下降与产道关系的示教及训练模型
Gersh Naming the Body: A Translation with Commentary and Interpretive Essays of Three Anatomical Works Attributed to Rufus of Ephesus.
CN101441832A (zh) 一种用于产程中肛门和阴道检查的仿真教学模型
ITRM930194A1 (it) Vestito da maternita' per una bambola che simula la gravidanza.
KR100871364B1 (ko) 성교육용 교구
EP2056274A1 (en) Clothes for infant education
KR200435831Y1 (ko) 성교육 교구 세트
CN210131378U (zh) 一种儿童保护用智能仿真玩具
CN107067924B (zh) 一种仿真胎儿
CN207473922U (zh) 一种用于医学教学的仿真胎儿
TWI670695B (zh) 手動擠奶教學衣
CN217085977U (zh) 一种针对肺部身体评估的训练教具
TWI700675B (zh) 陰道內診教學模型
JP2005017944A (ja) 性教育用教材および性教育の方法
JP2012252358A (ja) 妊婦体験装置及びシステム
CN207182765U (zh) 作为母乳喂养科普器具的孕妇穿着装置
JP3076901U (ja) 保健用教材
CN215458132U (zh) 一种多功能远程听诊器
CN210804938U (zh) 一种用于生理性乳胀护理的教具
KR101238438B1 (ko) 임신태동체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