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220Y1 - 기침하는 인형완구 - Google Patents

기침하는 인형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220Y1
KR200288220Y1 KR2020020015664U KR20020015664U KR200288220Y1 KR 200288220 Y1 KR200288220 Y1 KR 200288220Y1 KR 2020020015664 U KR2020020015664 U KR 2020020015664U KR 20020015664 U KR20020015664 U KR 20020015664U KR 200288220 Y1 KR200288220 Y1 KR 200288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toy
sound
stethoscope
c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이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규 filed Critical 이인규
Priority to KR2020020015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220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인형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형의 가슴에 자력을 발생시키는 청진기를 대면 인형에서 심장소리가 나고, 청진기를 떼면 인형에서 기침소리가 발생토록 되는 인형완구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는 인형완구는 통상 버튼의 가압에 의하여 소리나 음성이 출력토록 되는 것이어서 단지 버튼의 온 오프로 놀이의 반복이 이루어짐으로 흥미가 반감되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병원놀이를 위한 인형완구의 제공을 위한 것으로, 신호에 의하여 인형이 기침을 개시하면 청진기로 특정부위(가슴)에 진찰을 시작하면 기침이 멎으면서 인형에서는 정상적인 심장박동소리가 나게 되어 놀이자에게 의사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기침하는 인형완구.

Description

기침하는 인형완구{A toy doll which coughs}
본 고안은 인형완구에 관한 것으로, 인형의 가슴 부위에 자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자석스위치를 장착함으로써 인형의 가슴에 청진기를 대면 심장소리가 나고, 청진기를 떼면 기침소리가 발생토록 되는 인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슬라시 금형을 이용하여 합성수지로 성형되어지거나 또는 직물 등을 이용하여 봉재수단에 의하여 제조되어진 인형완구에 IC를 이용하여 다양한 멜로디나 또는 음성이 출력토록 하는 것은 일반화되어진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화되어진 내용은 단지 완구에 장착되어지는 스위치의 작동으로 IC에 입력되어진 음악이나 음성이 출력토록 함으로 단지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른 반복적인 작동으로 놀이자에게 금방 싫증을 느끼게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사를 놓으면 울음소리가 출력토록 하거나 또는 청진기를 가슴에 대면 청진기를 통하여 심장박동소리가 출력토록 한 것이 실용신안등록 제82598호로 등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놀이자의 일방적인 행위에 의하여 인형이 반응토록 됨으로 놀이자에게 새로운 흥미감을 불러일으키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봉제 완구의 내부에 IC 등이 장착된 회로기판을 내장한 후 자력이 발생되는 청진기를 대면 자력에 의하여 자석스위치의 작동으로 인형은 심장소리가 발생토록 하고, 청진기를 떼면 인형이 기침소리를 발생토록 하여 의사놀이에 흥미감을 갖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형완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타이머 2 : 자석 스위치
3 : 제어부 4 : 메모리부
5 : D/A변환부 6 : 증폭기
7 : 스피커 20 : 회로기판
30 : 청진기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인형완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IC 등이 형성된 회로기판(20)을 장착하고, 상기 회로기판(20)과 연결되어 자석이 내장된 청진기(30)의 자기장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자석스위치(2)를 인형의 가슴 부위에 장착한 구성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은 인형완구의 전원을 온 시키면 초기화되면서 자동으로 작동이 시작되는 타이머(1);, 인형완구의 가슴 부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자석이 내장된 청진기를 갖다대면 동작되는 자석 스위치(2);, 상기 자석스위치(2)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메모리부(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 중 하나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원칩 IC로 이루어진 제어부(3);, 다수의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으로 이루어진 메모리부(4);, 상기 제어부(3)에서 출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 변환부(5);,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6);, 상기 증폭기(6)에 연결되어 증폭된 음성신호를 내보내는 스피커(7);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인형완구의 내부에는 1.5V 건전지를 사용하여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가 있으며, 외부에 전원스위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자석스위치(2)는 인형완구 가슴 부위의 외피 내측에 장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청진기(30)를 인형의 가슴에 갖다대거나 떼어내는 것에 따라 다른 출력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단순하게 스위치를 이용하여 음성출력이 되던 인형완구와는 다르게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각기 다른 반응이 나올 수 있도록제어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3)에서는 자석스위치(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서 기준값과 비교한 후에 해당되는 음성데이터를 메모리부(4)로부터 독출하여 출력을 하게되는데, 디지털 신호인 상기 음성데이터는 D/A변환부(5)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증폭기(6)에서 증폭되어 스피커(7)를 통해 최종 출력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모리부(4)의 번지에는 각각의 서로 다른 내용이 저장되어진 상태에서 제어부(3)의 제어에 의하여 각각의 단계에 따라 번지에 저장되어진 서로 다른 내용이 출력토록 함으로서 어린이에게 새로운 흥미유발은 물론 교육적인 측면의 제공에 따라 어린아이에게 감성교육을 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구성이외에 마이크로폰(도시안됨)과 A/D변환기(도시안됨)를 추가로 구성하여 외부에서 직접 음성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 흐름도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형완구의 작동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인형완구의 전원스위치를 온(201) 하게 되면, 상기 도 2에 나와있는 본 고안의 각 부분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시에 타이머가 초기화(202)된다.
이어서 자동으로 타이머가 진행하게 되고(203), 만약 타이머로 측정된 시간이 30초보다 큰 값이 되면(204) 제어부(3)에서는 메모리부(4)에 저장된 "쿨럭쿨럭" 등의 기침소리에 해당하는 음향데이터를 가져와 스피커(7)를 통해 발생(205)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의 별다른 동작이 없을 시에는 인형의 전원이 꺼질 때까지 일정시간동안 간격을 두어 계속해서 기침소리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인형의 기침소리를 듣고 가슴 부위에 청진기(30)를 갖다대게 되면 상기 청진기(30)에 내장된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자석스위치(2)가 작동을 하여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제어부(3)에서는 자석스위치(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판독하여 청진기모드인 것이 확인(206)되면 기침소리를 중지(207)시키고 메모리부(4)에 저장된 심장박동소리에 해당하는 음향데이터를 가져와 증폭과정을 거쳐서 스피커(7)를 통해 발생(208)되도록 한다. 다시 사용자가 인형의 가슴에서 청진기(30)를 떼어내면서 청진기 해제모드인 것이 확인(209)되면 제어부(3)에서는 심장박동소리를 중지(210)시키고 메모리부(4)에 저장된 웃음소리에 해당하는 음향데이터를 가져와 발생(211)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인형완구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웃음소리가 발생된 후에는 전원스위치가 오프(212)되기 전까지 자동으로 202단계로 돌아가 타이머가 초기화되면서 상기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인형의 특정부위에 청진기를 갖다대면 심장소리가 들리고 청진기를 떼면 기침 소리가 출력토록 함으로서 어린이에게 새로운 감성교육을 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인형완구의 전원을 온 시키면 초기화되면서 자동으로 작동이 시작되는 타이머(1);, 인형완구의 가슴 부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자석이 내장된 청진기(30)를 갖다대면 동작되는 자석 스위치(2);, 상기 자석스위치(2)의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메모리부(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 중 하나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원칩 IC로 이루어진 제어부(3);, 다수의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으로 이루어진 메모리부(4);, 상기 제어부(3)에서 출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 변환부(5);,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6);, 상기 증폭기(6)에 연결되어 증폭된 음성신호를 내보내는 스피커(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인형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인형완구의 전원을 온 시키면 타이머에 의하여 일정시간이 지난 후부터 기침소리가 발생되며, 사용자가 청진기를 가슴 부위에 갖다대면 자석스위치의 작동으로 기침소리가 멈추면서 심장박동소리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침 인형완구.
  3.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도시안됨) 및 A/D변환기(도시안됨)를 추가로 구성하여 외부에서의 음성입력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쿨쿨 자는 인형완구.
KR2020020015664U 2002-05-22 2002-05-22 기침하는 인형완구 KR200288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664U KR200288220Y1 (ko) 2002-05-22 2002-05-22 기침하는 인형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664U KR200288220Y1 (ko) 2002-05-22 2002-05-22 기침하는 인형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220Y1 true KR200288220Y1 (ko) 2002-09-09

Family

ID=7307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664U KR200288220Y1 (ko) 2002-05-22 2002-05-22 기침하는 인형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2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364B1 (ko) 2007-06-01 2008-12-02 이영자 성교육용 교구
KR101485402B1 (ko) 2013-05-02 2015-01-26 김동현 격발중지 기능을 갖는 전동건
KR102091335B1 (ko) * 2018-09-18 2020-03-19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완구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364B1 (ko) 2007-06-01 2008-12-02 이영자 성교육용 교구
KR101485402B1 (ko) 2013-05-02 2015-01-26 김동현 격발중지 기능을 갖는 전동건
KR102091335B1 (ko) * 2018-09-18 2020-03-19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완구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27045B (zh) 智能学习娃娃玩具及其实现方法和电路系统
US7510521B2 (en) Sound and heartbeat playback system
US20080026669A1 (en) Interactive response system for a figure
WO2010031233A1 (zh) 一种智能玩具及其使用方法
US5595489A (en) Electronic audio learning apparatus
US6106358A (en) Biblical scripture doll
US6454627B1 (en) Musical entertainment doll
KR200288220Y1 (ko) 기침하는 인형완구
KR200294856Y1 (ko) 간지럽히면 웃는 인형완구
KR200294859Y1 (ko) 쿨쿨 잠자는 인형완구
KR200294858Y1 (ko) 방귀 뀌는 인형완구
EP0549840A1 (en) Improved doll
KR200308031Y1 (ko) 옷에 따라 고유 음향이 발생하는 인형완구
RU121173U1 (ru) Интерактивная мягкая игрушка smart toy
KR200294857Y1 (ko) 입맞추면 소리를 내는 인형완구
US6964594B2 (en) Celebrity figurine
CN201020269Y (zh) 医疗玩具结构
CN200998594Y (zh) 小孩音乐安全椅玩具结构
CN201257294Y (zh) 一种智能玩具
CN208018133U (zh) 一种逗笑布偶玩具
CN2149234Y (zh) 学舌玩具
CN215962150U (zh) 一种电子安抚仪
CN113952706A (zh) 一种盲人儿童交互游戏穿戴式设备
CN210578969U (zh) 一款视频闹钟播放器
JP2004294610A (ja) 携帯型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