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314B1 -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314B1
KR100870314B1 KR1020080014724A KR20080014724A KR100870314B1 KR 100870314 B1 KR100870314 B1 KR 100870314B1 KR 1020080014724 A KR1020080014724 A KR 1020080014724A KR 20080014724 A KR20080014724 A KR 20080014724A KR 100870314 B1 KR100870314 B1 KR 10087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rna
mcl
glycero
nucleic acid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유경
심가용
김상희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314B1/ko
Priority to US12/735,809 priority patent/US20110160282A1/en
Priority to PCT/KR2009/000762 priority patent/WO2009104896A2/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12N15/1135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against oncogenes or tumor suppressor g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4Type of nucleic acid interfering N.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30Chemical structure
    • C12N2310/31Chemical structure of the backbone
    • C12N2310/315Phosphorothio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n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cl-1 전사체(mRNA) 염기서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세포 내에서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Mcl-1 전사체(mRNA)의 염기서열에 상보적인 siRNA는 리보핵산 매개 간섭현상(RNA-mediated interference, RNAi)에 의해 암세포에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Mcl-1의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를 사멸시키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항암제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nucleic acid for treating cancer}
본 발명은 Mcl-1 전사체(mRNA) 염기서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세포 내에서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Bcl-2군에 속하는 단백질들은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세포사멸 경로(mitochondria-dependent apoptosis)에 다양하게 관여하고 있다. Bcl-2군에 속하는 Bcl-2와 Bcl-xL단백질은 강력한 세포사멸 억제성 단백질이며 이에 비해 같은 Bcl-2군에 속한 Bax, Bak, Bid, Bad등은 세포사멸 유발성 단백질이다(Adams et al., Science, 281:1322, 1998). 암세포사멸에 대한 감수성 증가과 내성 억제를 위하여 Bcl-2나 Bcl-xL과 같은 항세포사멸성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는 치료법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 항암제로서 Bcl-2 안티센스 올리고머가 임상시험단계에 있다. 이러한 항세포사멸성 Bcl-2군 단백질들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싸이토크롬C(cytochrome c)의 방출을 억제함으로써 세포사멸을 방해하는 작용을 한다.
Mcl-1은 Bcl-2군에 속하는 단백질로 1993년 골수성 백혈병 세포에서 처음 발견되었다(Michels, J., et al., 37:267, 2005). Mcl-1의 억제는 세포사멸의 전 단계에 관여하는 단백질(pro-apoptotic protein)의 발현을 유도하여 미토콘드리아의 막을 파괴하여 싸이토크롬C의 방출을 도울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정확한 세포사멸 억제 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Hussain, S. R., et al., Clin Cancer Res 13:2144, 2007).
그러나 최근 이를 뒷받침해주는 연구가 보고되었는데 Mcl-1은 Bim단백질에 결합하고 있어 Bim이 Bax와 Bak등 세포사멸 유발성 단백질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Mcl-1을 억제하게 되면 세포사멸이 유도된다고 볼 수 있다(Anthony L., et al., Molecular Cell 21:728, 2006).
Mcl-1은 배아(embryo)발생, 림프구 유지, 세포 생존 등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Edwards, S. W., et al., Biochemical Society Transactions 32:489, 2004). Mcl-1은 성체세포, 배아조직, 상피조직 등 넒은 범위에서 발견되며 사이토카인이나 성장인자에 의해 유도된다. Mcl-1은 사멸 중인 세포에서는 억제되어 있으며 여러 가지 종류의 세포에서 암유전자(oncogene)로서 세포 생존과 종양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여러 연구가 보고 되었으며 새로운 항암의 표적으로 여겨져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Le Gouill, S., et al., 3:1259, 2004).
리보핵산 매개 간섭현상(RNAi)은 21-25개의 뉴클레오타이드 크기의 이중나선 구조를 가진 siRNA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전사체(mRNA transcript)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해당 전사체를 분해하여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현상이다. 최근 이 리보핵산 매개 간섭현상이 기존의 화학 합성 의약 개발에서 발생되는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면서 전사체 수준에서 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각종 질병 치료제, 특히 종양 치료제 개발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작은 분자량의 화학 약물(small molecule chemical drugs)의 경우 특정한 단백질 표적에 최적화되기까지 오랜 동안의 개발 기간 및 개발 비용이 소요되는 반면, 리보핵산 매개 간섭현상을 이용한 siRNA 의약의 가장 큰 장점은 의약화가 불가능(non-druggable)한 표적 물질을 포함한 모든 단백질 표적에 대하여 최적화된 선도 물질(lead compound)의 개발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단백질이나 항체 약물이 복잡한 제조공정으로 생산의 어려움을 겪는데 반해 siRNA는 합성 및 분리정제의 용이성으로 대량생산이 비교적 쉽고, 핵산 소재의 특징상 단백질 의약보다 보관상 안정성(stability)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약물과는 달리 특정 분자 표적에 오직 길항작용만 할 수 있다는 점 등 여러 장점에 기반하여 새로운 의약 후보군으로서 부상하고 있다 (David et al., Nature Chemical Biology, 2:711-719, 2006).
siRNA를 이용한 치료에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점은 목표로 하는 염기서열에서 가장 큰 활성을 가지는 최적의 siRNA 서열을 선정하는 것이다. 리보핵산 매개 간섭현상의 효율은 표적이 되는 전사체에의 특정 결합부위가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수 년 간의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단지 전사체에 결합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표적 리보핵산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의 서열위치를 디자인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in silico 방법으로 결정된 모든 siRNA가 실제 세포 및 생체중에서 표적 리보핵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siRNA가 표적 전사체와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요구 사항이 충족된다 하더라도 리보핵산과 단백질의 안정성 및 세포내 위치, 리보핵산 매개 간섭현상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상태 등 이 밖에도 아직 규명되지 않은 여러 요소들이 리보핵산 매개 간섭현상의 효율을 결정하는데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한 유전자의 전사체당 여러 개의 표적 서열위치를 선정하여 siRNA를 제조하고 이들 후보군중 발현 억제 효능이 우수한 최적위치의 서열을 발굴하는 기술이 표적 단백질에 대해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Derek et al., Annu. Rev. Biomed. Eng., 2006.8:377-402).
본 발명의 목적은 Mcl-1 전사체(mRNA) 염기서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세포 내에서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siRNA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2, 또는 서열번호 14의 Mcl-1 전사체(mRNA) 염기서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세포 내에서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siRNA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은 Mcl-1의 전사체(mRNA)의 하나의 서열위치에만 선택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siRNA 한가지만 포함할 수도 있으며 한군데 이상의 서열위치에 표적이 가능하도록 2 이상의 작은 간섭리보핵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siRNA”은 생체내 핵산 분해효소에 의한 빠른 분해를 막기 위해 화학적 변형된 siRNA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식대로 상기 siRNA를 합성하고 변형시킬 수 있다. (Andreas Henschel, Frank Buchholz1 and Bianca Habermann (2004) DEQOR: a web-based tool for the design and quality control of siRNAs. Nucleic Acids Research 32(Web Server Issue):W113-W120). siRNA는 이중나선 구조를 가지므로, 단일나선 구조의 리보핵산이나 안티센스 올리고핵산(antisense oligonucleotide)보다는 상대적으로 안정한 구조이지만 생체내 핵산 분해효소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화학적 변형을 통해 분해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siRNA가 쉽게 분해되지 않도록 안정하고 저항적이도록 하기 위한 siRNA의 화학적 변형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siRNA의 화학적 변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포스포로티오에이트(phosphorothioate) 또는 보라노포스페이트(boranophosphate) 수식(modification)이다. 이들 물질은 siRNA의 뉴클레오사이드(nucleoside) 간의 연결을 안정하게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핵산 분해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한다. 보라노포스페이트로 수식된 리보핵산은 핵산 분해가 잘 되지 않는 특징이 있지만, 화학 반응에 의하여 만들어 지지 않고 in vitro 전사 반응에 의해 보라노포스페이트가 리보핵산에 들어가는 방식으로만 합성이 된다. 보라노포스페이트 수식은 비교적 손쉬운 방법에 속하지만, 특정 위치에 수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 포스포로티오에이트 수식 은 원하는 부분에 황(sulfur) 원소를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정도가 심한 포스포티오에이션(phosphothioation)은 효능 감소, 독성, 비특이적 RISC(RNA-induced silencing complex) 형성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위의 두 가지 수식 방법 외에 리보핵산의 종결 위치(3'말단 초과부위)에만 화학적 변형을 하여 핵산 분해효소에 저항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보다 선호되고 있다. 또한 리보스 환(ribose ring)을 화학적으로 수식하여도 핵산 분해효소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본래 세포내 존재하는 리보오스 2'-위치의 변이는 이중나선 리보핵산을 안정시킨다. 그러나 이 위치에 정확히 메틸기가 들어가야 안정성이 증가되며 너무 많은 메틸기는 반대로 리보핵산 매개 간섭현상이 상실되는 등의 문제도 있다. 이러한 화학적 변형의 이유는 생체 내에서의 약물동력학적(pharmacokinetic)인 체류시간의 증대 및 유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도 있다 (Mark et. al., Molecular Therapy, 13:644-670, 2006).
화학적 수식방법 외에, siRNA의 세포 내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달 시스템이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siRNA는 핵산 전달체(nucleic acid delivery system)와의 복합체 형태로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세포 내로 핵산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핵산 전달체는 크게 바이러스성 벡터와 비바이러스성 벡터로 구분할 수 있다.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은 바이러스 벡터 (viral vector)로 전달 효율이 높고 지속 시간이 길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의 바이러스벡터 중 레트로바이러스 벡터(retroviral vector), 아데노바이러스 벡터(adenoviral vector),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 벡터(adeno-associated viral vector) 등이 주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 벡터는 리보핵산의 세포내 전달 면에서는 효율적이지만, 생체 내에서의 활성을 가진 바이러스로의 재조합, 면역 반응 유발, 숙주 염색체로의 무작위 삽입 등 안전성(safety)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비바이러스 벡터(nonviral vector)는 바이러스 벡터에 비해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독성과 면역 반응이 작고, 반복적으로 투여가 가능하며, 리보핵산과의 복합체 형성이 간편하고,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 또한, 질환 세포나 조직부위에 특이적 리간드를 비바이러스성 벡터에 접합하여, 장기·세포 선택적 핵산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비바이러스성 벡터로서는 리포좀, 양이온성 고분자를 비롯하여, 미셀, 에멀젼, 나노입자 등의 다양한 제형이 사용될 수 있다. 핵산 전달체는 동물 세포 내에 목적하는 핵산의 수송 효율을 현저히 증강시킬 수 있으며 전달하고자 하는 핵산의 사용 목적에 따라 어떤 동물 세포로도 핵산 전달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핵산 전달체는 양이온성 리포좀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리포좀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2-디올레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1,2-diole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EDOPC), 1-팔미토일-2-올레오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1-palmitoyl-2-ole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EPOPC),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 (1,2-dimyrist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EDMPC),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 (1,2-distear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SPC),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 (1,2-dipalmit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EDPPC), 1,2-디올레오일-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1,2-dioleoyl-3-trimethylammonium-propane, DOTAP), N-[1-(2,3-디올레일옥시)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N-[1-(2,3-dioleyloxy)propyl]-N,N,N-trimethylammonium chloride , DOTMA) 및 3ß-[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 (3ß-[N-(N',N'-dimethylaminoethane)-carbamoyl]cholesterol, DC-Cholesterol)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성 리포좀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2-디아실-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1,2-diac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OPE), 1,2-디피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1,2-diphytan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PhPE),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C),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1,2-dioleoyl-sn-glycero-3-[phospho-L-serine], DOPS),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 (1,2-diole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DO-Ethyl-PC), 콜레스테롤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지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핵산 전달체는 양이온성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L-라이신 (poly-L-lysine, PLL), 폴리-L-오르니틴(poly-L-ornithine), 폴리-L-히스티딘(poly-L-histidine),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 비스(3-아미노프로필)터미네이티드(polytetrahydrofuran,bis(3-aminopropyl)terminated, PTHF), 폴리아크릴아미이드 (polyacrylamide, PA), 폴리(α-[4-아미노부틸]-L-글리콜산 (poly(α-[4-aminobutyl]-L-glycolic acid , PAGA), 폴리(2-아미노에틸 프로필렌 포스페이트) (poly(2-aminoethyl propylene phosphate), PPE-EA),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이온성 유도체 (cationic derivatives of cyclodextrin), 폴리(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poly(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DMAEMA), 폴리(4-비닐피리딘) (poly(4-vinylpyridine), P4VP), O,O'-비스(2-아미노프로필)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블록-폴리에틸렌 글리콜-블록-폴리프로필렌 글리콜 ( O,O'-Bis(2-aminopropyl) polypropylene glycol-block-polyethylene glycol-block-polypropylene glycol), 폴리-N-에틸-4-비닐피리디늄 트리브로마이드 (poly-N-ethyl-4-vinylpyridinium tribromide, PVP), 키토산, 폴리아미도아민(polyamidoamine, PAMAM), 파쇄(fractured) PAMAM 및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imine, PEI)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일 수 있다.
양이온성 리포좀, 양이온성 고분자 등의 제형을 갖는 본 발명의 핵산 전달체는 양하전을 띠므로, 핵산 전달체의 양하전과 핵산의 음이온성 하전에 의해 단순한 혼합(mix)에 의해 정전기 결합을 함으로써 핵산 전달체와 핵산 간의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은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 외에 종래에 공지된 항암 화학요법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와 병용투여가 가능한 항암 화학요법제는 예를 들어,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독소루비신 (doxorubi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미토산트론(mitoxantrone), 발루비신(valubicin), 커큐민(curcumin), 제피티닙(gefitinib), 에를로티닙(erlotinib), 이리노테칸(irinotecan), 토포테칸(topotecan),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빈크리스틴(vincristine), 도세탁셀(docetaxel), 파클리탁셀(paclitaxe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siRNA 또는 siRNA와 핵산 전달체와의 복합체 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물, 식염수, 인산 완충 식염수, 덱스트린, 글리세롤, 에탄올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투여 후 활성 성분의 빠른 방출, 또는 지속적이거나 지연된 방출을 제공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siRNA 또는 siRNA와 핵산 전달체와의 복합체는 암의 치료를 위해 세포 내로 도입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siRNA 또는 siRNA와 핵산 전달체와의 복합체를 세포 내에 도입하게 되면 암의 생성에 관여하는 Mcl-1의 발현이 억제되어 암세포가 사멸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암제의 제조를 위한 서열번호 1,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2, 또는 서열번호 14의 Mcl-1 전사체(mRNA) 염기서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세포 내에서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의 용도 및 유효량의 서열번호 1,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2, 또는 서열번호 14의 Mcl-1 전사체(mRNA) 염기서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세포 내에서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대상체의 세포 내로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암 치료는 암의 예방 및 억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을 통해 in vivo 또는 ex vivo 상에서 세포 내부로 목적하는 핵산을 도입하게 되면 표적 단백질인 Mcl-1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감소시키거나 표적 유전자에 생긴 변이를 수정하는 역할을 하여 Mcl-1의 과다 발현으로 발생되는 암을 치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iRNA 또는 siRNA와 핵산 전달체의 복합체의 치료상 유효량은 암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위하여 투여에 요구되는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투여되는 핵산의 종류, 제형의 종류,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화학 항암제 등의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성인에게 상기 암 치료용 조성물을 예컨대 1일 1회 투여시 0.001 mg/kg ~ 100 ㎎/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Mcl-1의 전사체 전체 서열에서 발현 억제에 효과적인 siRNA 구성에 적합한 후보 서열군을 선택하여 siRNA들을 합성한 후, 리포좀, 양이온성 고분자 등의 전달체를 이용하여 종양 세포주에 처리하여 리보핵산 매개에 의한 발현 간섭현상을 전사체 단계에서 역전사효소반응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Mcl-1 발현 억제가 종양 세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Mcl-1에 대한 작은간섭 리보핵산 처리군들을 대상으로 MTT(tetrazolium 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을 이용한 염색 방법, 젖산 탈수소효소(LDH) 측정 실험, Annexin V-FITC/PI 염색법 및 세포염색법을 사용하였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서열번호 1,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2, 또는 서열번호 14의 Mcl-1 전사체(mRNA) 염기서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세포 내에서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본 발명의 siRNA 중에서도 서열번호 16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17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 서열번호 32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33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 서열번호 34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35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 서열번호 38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39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 서열번호 42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43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가 특히 Mcl-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산 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siRNA는 서열번호 16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17의 안티센스 서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산 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siRNA는 서열번호 32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33의 안티센스 서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산 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siRNA는 서열번호 34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35의 안티센스 서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산 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siRNA는 서열번호 38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39의 안티센스 서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산 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siRNA는 서열번호 42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43의 안티센스 서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Mcl-1의 발현을 억제하고 서열번호 16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17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Mcl-1의 발현을 억제하고 서열번호 32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33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Mcl-1의 발현을 억제하고 서열번호 34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35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Mcl-1의 발현을 억제하고 서열번호 38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39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Mcl-1의 발현을 억제하고 서열번호 42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43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보핵산 의약 조성물은, Mcl-1이외의 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보핵산 의약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되는 siRNA는 과발현에 의해 암을 발생시키는 유전자에 대한 siRNA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예를 들어, Mcl-1 이외의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는 Wnt-1, Hec1, Survivin, Livin, Bcl-2, XIAP, Mdm2, EGF, EGFR, VEGF, VEGFR, GASC1, IGF1R, Akt1, Grp78, STAT3, STAT5a, β-catenin, WISP1, c-myc의 c-myc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Mcl-1이외의 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일 유전자에 대한 siRNA를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유전자의 과발현에 의해 암이 발생되는 암 관련 유전자들에 대한 siRNA들을 각각 제작하여 병용 처리하는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siRNA를 포함하는 항암제의 제조를 위한 siRNA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대상체의 세포 내로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재된 본 발명에서 암 치료는 암의 예방 및 억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Mcl-1 전사체(mRNA)의 염기서열에 상보적인 siRNA는 리보핵산 매개 간섭현상(RNA-mediated interference, RNAi)에 의해 암세포에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Mcl-1의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를 사멸시키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항암제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Mcl-1 발현 억제 siRNA에 의해 매개된 Mcl-1 전사체 발현 억제 효능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사람의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Mcl-1 발현 억제 siRNA에 의해 매개된 종양 세포사멸효과를 MTT (tetrazolium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염색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Mcl-1 발현 억제 siRNA의 세포사멸효과를 젖산 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 LDH) 측정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는 Mcl-1 발현 억제 siRNA의 세포사멸효과를 annexin V-FITC/PI 염색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는 Mcl-1 발현 억제 siRNA의 세포사멸효과를 크리스탈 바이올렛 (crystal violet) 염료를 이용한 세포 염색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6은 Mcl-1 발현 억제 siRNA와 Wnt-1 및 Hec1 발현 억제용 siRNA의 병용처리에 의해 매개된 종양 세포사멸효과를 MTT (tetrazolium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염색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7은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Mcl-1 발현 억제 siRNA의 세포사멸효과를 젖산 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 LDH) 측정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Mcl -1 발현 억제용 siRNA 가 결합할 수 있는 타겟 염기서열 후보군의 디자인
Mcl-1의 전사체에서 siRNA가 결합할 수 있는 타겟 염기서열 후보군을 디자인하였다.
먼저 원하는 염기서열에 대한 siRNA 디자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Mcl-1 mRNA서열(NM_021960)에서 siRNA가 결합할 수 있는 타겟 염기서열을 디자인하였다.
표 1은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siRNA 디자인 프로그램 및 URL을 표기한 것이고, 표 2는 표 1의 프로그램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서 최종적으로 선택한 in silico method에 의한 siRNA의 타겟 염기서열의 후보군이다. 표 2의 open reading frame (ORF) 서열번호는 start codon인 ATG의 “A”를 “1번”으로 하여 서열 순서를 기재한 것이다.
표 1. siRNA 디자인 프로그램
디자인 프로그램 명칭 URL
siRNA Sequence Designer (Clontech) http://bioinfo.clontech.com/rnaidesigner/sirnaSequenceDesign.do
GenScript siRNA Target Finder http://www.genscript.com/ssl-bin/app/rnai
siRNA Design Tool (Qiagen) http://www1.qiagen.com/Products/GeneSilencing/CustomSiRna/SiRnaDesigner.aspx
Find siRNA sequences (Invivogen) http://www.sirnawizard.com/design.php
siRNA Selection Program (WI) http://jura.wi.mit.edu/bioc/siRNAext/
siRNA Target Finder (Ambion) http://ambion.com/techlib/misc/siRNA_finder.html
표 2. Mcl-1 mRNA (NM_021960)에서 siRNA가 결합할 수 있는 목표 염기서열 후보군
서열번호 ORF서열 번호 염기서열
1 29 UCGGACUCAACCUCUACUG
2 120 GGAGGCCUCGGCCCGGCGA
3 179 GCGCCGGCGCAAGCCCCCC
4 337 GCCCCGGCCGCUGACGCCA
5 408 GCGGCCGGCUGUCCUGCCG
6 582 GGACACAAAGCCAAUGGGC
7 624 GGCGCUGGAGACCUUACGA
8 669 CCACGAGACGGCCUUCCAA
9 716 ACGAAGACGAUGUGAAAUC
10 732 AUCGUUGUCUCGAGUGAUG
11 828 ACACUUGAAGACCAUAAAC
12 865 CCAUUAGCAGAAAGUAUCA
13 905 AACGGGACUGGCUAGUUAA
14 924 ACAAAGAGGCUGGGAUGGG
15 990 UGUGCUGCUGGCUUUUGCA
실시예 2. Mcl -1 발현 억제용 siRNA 후보군의 제조
실시예 1에서 디자인한 타겟 염기서열에 결합할 수 있는 작은 간섭리보핵산 15종을 Ambion사(Ambion Inc., Texas, USA)의 Silencer siRNA Construction kit를 구입하여 설명서에 기재된 방법대로 합성 제조하였다. 15종의 siRNA 후보군의 서열은 표3에 나타내었다.
표 3. Mcl-1 발현 억제용 siRNA의 염기서열 후보군
실시예 서열번호 센스 염기서열(5'-3') ORF표적서열 번호
안티센스 염기서열 (5'-3')
2-1 16 UCGGACUCAACCUCUACUGTT 29
17 CAGUAGAGGUUGAGUCCGATT
2-2 18 GGAGGCCUCGGCCCGGCGATT 120
19 UCGCCGGGCCGAGGCCUCCTT
2-3 20 GCGCCGGCGCAAGCCCCCCTT 179
21 GGGGGGCUUGCGCCGGCGCTT
2-4 22 GCCCCGGCCGCUGACGCCATT 337
23 UGGCGUCAGCGGCCGGGGCTT
2-5 24 GCGGCCGGCUGUCCUGCCGTT 408
25 CGGCAGGACAGCCGGCCGCTT
2-6 26 GGACACAAAGCCAAUGGGCTT 582
27 GCCCAUUGGCUUUGUGUCCTT
2-7 28 GGCGCUGGAGACCUUACGATT 624
29 UCGUAAGGUCUCCAGCGCCTT
2-8 30 CCACGAGACGGCCUUCCAATT 669
31 UUGGAAGGCCGUCUCGUGGTT
2-9 32 ACGAAGACGAUGUGAAAUCTT 716
33 GAUUUCACAUCGUCUUCGUTT
2-10 34 AUCGUUGUCUCGAGUGAUGTT 732
35 CAUCACUCGAGACAACGAUTT
2-11 36 ACACUUGAAGACCAUAAACTT 828
37 GUUUAUGGUCUUCAAGUGUTT
2-12 38 CCAUUAGCAGAAAGUAUCATT 865
39 UGAUACUUUCUGCUAAUGGTT
2-13 40 AACGGGACUGGCUAGUUAATT 905
41 UUAACUAGCCAGUCCCGUUTT
2-14 42 ACAAAGAGGCUGGGAUGGGTT 924
43 CCCAUCCCAGCCUCUUUGUTT
2-15 44 UGUGCUGCUGGCUUUUGCATT 990
45 UGCAAAAGCCAGCAGCACATT
실시예 3. Mcl -1 발현 억제용 siRNA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의 제조
실시예 2에서 합성 제조한 15종의 Mcl-1 발현 억제용 siRNA와 이를 전달해 주는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먼저, 세포 융합성 인지질인 1,2-디아실-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1,2-diac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OPE)과 콜레스테롤, 양이온성 인지질인 1,2-디올레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 (1,2-diole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EDOPC) (Avanti Polar Lipid Inc., USA)을 몰비 1:1:1로 취해 유리 바이얼에 넣어 혼합한 후 질소 환경에서 모든 클로로포름이 증발될 때까지 낮은 속도로 회전 증발시켜 지질 박막 필름으로 제조하였다. 지질 다층형 소구체 (multilamella vesicle)를 제조하기 위하여 이 박막필름에 인산완충용액 1ml을 첨가하고 바이얼을 37℃로 하여 밀봉 후 3분간 교반(vortexing)하였다. 균일한 크기를 만들기 위해 이를 입자 균질화 제조기 (extruder, Northern Lipid Inc., Canada)를 사용하여 0.2㎛ 폴리카보네이트 막을 3번 통과시켜 양이온성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양이온성 리포좀을 실시예 2의 15종의 Mcl-1 발현 억제용 siRNA와 각각 혼합하여 상온에서 20분간 유지시켜 siRNA 및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의 구성을 정리하면 표 4와 같다.
표 4.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의 구성
실시예 Mcl-1 siRNA 양이온성 리포좀
3-1 실시예 2-1 DOPE + 콜레스테롤 + EDOPC
3-2 실시예 2-2
3-3 실시예 2-3
3-4 실시예 2-4
3-5 실시예 2-5
3-6 실시예 2-6
3-7 실시예 2-7
3-8 실시예 2-8
3-9 실시예 2-9
3-10 실시예 2-10
3-11 실시예 2-11
3-12 실시예 2-12
3-13 실시예 2-13
3-14 실시예 2-14
3-15 실시예 2-15
실시예 4. Mcl -1 발현 억제용 siRNA 양이온성 고분자와의 복합체의 제조
실시예 2에서 합성 제조한 Mcl-1 발현 억제용 siRNA를 2종씩 양이온성 고분자인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과 혼합하여 3가지의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분자량 25kD 폴리에틸렌이민(PEI) (Sigma-Aldrich, USA)을 물에 녹인 후 몰농도 1 mM의 비율로 조정하고 취해 파이렉스 100ml 유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어 녹인 후 1N 염산으로 pH 5가 될 때까지 조정하였다.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syringe filter 0.2㎛ 막을 통과시켜 양이온성 고분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에서 합성 제조한 Mcl-1 발현 억제용 siRNA 중 2종을 표 4와 같이 선택하여, 상기 제조한 양이온성 고분자와 혼합하고 20분간 실온에 방치하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표 5. 실시예 4를 통해 제조된 siRNA와 양이온성 고분자와의 복합체의 구성
실시예 Mcl -1 siRNA 양이온성 고분자
4-1 실시예 2-1 + 실시예 2-10 폴리에틸렌이민
4-2 실시예 2-9 + 실시예 2-10
4-3 실시예 2-12 + 실시예 2-14
비교예 1. 루시퍼라제 GL2(luciferase GL2) 발현 억제용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의 제조
siRNA 자체의 세포독성을 비교하기 위한 음성대조군으로써 기존 시판품인 루시퍼라제 GL2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삼천리제약(Samchully Pharmaceuticals, 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루시퍼라제 GL2 발현 억제용 siRNA의 염기서열은 정방향이 5’-CGUACGCGGAAUACUUCGATT-3’ 이고 역방향이 5’-UCGAAGUAUUCCGCGUACGTT-3’ 이다. 루시퍼라제 GL2 발현 억제용 siRNA를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양이온성 리포좀과 혼합하여 상온에서 20분간 유지시켜 siRNA 및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간암세포주 Hep3B의 배양>
간암세포인 Hep3B 세포주는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Hep3B 세포주는 10% 우태아 혈청 w/v (HyClone laboratories Inc, USA)과 100 unit/ml 페니실린 또는 100 ㎍/ml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USA)에 배양하였다.
실시예 5.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Mcl-1 발현 억제 siRNA의 Mcl-1 전사체 발현 억제 효능평가
Mcl-1에 대한 siRNA 함유 조성물이 암세포사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하기 위하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Hep3B 세포주를 실험 전날 24-웰 플레이트에 웰 당 세포를 8× 10⁴씩 분주(seeding)하였다. 각 플레이트의 세포가 50-70%정도 균일하게 성장했을 때 배지를 제거하고 새 배지를 웰(well) 당 250㎕씩 첨가하였다.
에펜도르프 튜브에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 50㎕씩을 넣고 비교예 1의 루시퍼라제 GL2 발현 억제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3-1 내지 3-15까지의 15종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을 각각 첨가하였다. 배양배지에 포함된 siRNA의 최종 농도는 50nM이 되게 조절하였다. 이들을 서서히 피펫팅(pipetting)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고 이렇게 제조된 복합체를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37℃의 CO₂세포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Trizol 시약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세포내에 존재하는 전체 리보핵산(RNA)을 분리하고 이 리보핵산은 AccuPower RT PreMix (Bioneer, Daejeon, Korea)를 사용하여 상보성 디옥시리보핵산(cDNA)으로 역전사 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위해 사용한 Mcl-1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의 서열은 5’-AGCTGCATCGAACCATTAGC-3’ (왼쪽), 5’-GCTCCTACTCCAGCAACACC-3’ (오른쪽)이며, 중합효소연쇄반응 생성물의 크기는 176염기쌍이었다. Mcl-1 전사체 (transcript)의 발현 정도는 Mcl-1 특이적인 연쇄반응 생성물의 밴드 밀도를 GAPDH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전사체를 증폭하여 나타나는 밴드 밀도로 보정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도 1은 Mcl-1 발현 억제 siRNA에 의해 매개된 Mcl-1 전사체 발현 억제 효능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사람의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1A는 Mcl-1의 전사체의 상대적인 발현량을 수치화 한 것이고, 도면 1B는 Mcl-1의 전사체의 발현 정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1에서, “C”는 대조군, “NC”는 비교예 1 처리군, 3-1 내지 3-15는 실시예 3-1부터 3-15까지의 복합체 처리군을 나타낸다. 대조군(C)은 미처리군으로 Mcl-1 전사체의 발현이 관찰되었고, 비교예 1 처리군(NC)은 루시퍼라제 GL2 리보핵산 처리군으로서 Mcl-1 전사체의 발현에 대조군에 비하여 변화가 없었고, 실시예 3-1 내지 3-15의 복합체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다양한 발현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중 실시예 3-1, 3-9, 3-10, 3-12, 3-14의 복합체 처리군에서 Mcl-1 전사체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도 1로부터 실시예 2-1, 2-9, 2-10, 2-12, 2-14에서 제조된 siRNA가 Hep3B 세포 내로 전달되어 Mcl-1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MTT 방법을 이용한 Mcl-1 발현 억제 siRNA의 항종양 효능 평가
Mcl-1에 대한 siRNA 함유 조성물이 암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하기 위하여 MTT (3-(4,5-dimethylthiazole-2-yl) -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Hep3B 세포주를 실험 전날 24-웰 플레이트에 웰 당 세포를 8×10⁴씩 분주(seeding)하였다. 각 플레이트의 세포가 50-70%정도 균일하게 성장했을 때 플레이트안의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새 배지를 웰(well) 당 250㎕씩 첨가하였다.
에펜도르프 튜브에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 50㎕씩을 넣고 비교예 1의 루시퍼라제 GL2 발현억제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3-1 내지 3-15의 15종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을 각각 첨가하였다. 배양배지에 포함된 siRNA의 최종 농도는 50nM이었다. 이들을 서서히 피펫팅(pipetting)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고 이렇게 제조된 복합체를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37℃의 CO₂세포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복합체를 처리하고 48시간 경과 후 각각 MTT (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배지의 10 %가 되도록 가하고, 4시간 더 배양 한 다음 상층액을 제거하고 0.06 N 염산 이소프로판올 용액을 첨가한 후에 엘라이져 리더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그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세포가 사용되었다.
도 2는 Mcl-1 발현 억제 siRNA에 의해 매개된 종양 세포사멸효과를 MTT (tetrazolium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염색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에서, “C”는 대조군, “NC1”은 핵산 전달체인 양이온성 리포좀 단독처리군, “NC2”는 비교예 1 처리군, 3-1 내지 3-15는 실시예 3-1부터 3-15까지의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처리군을 나타낸다. 대조군 “C”는 미처리군으로 종양세포 생존율을 100%로 산정하였으며, 전달체 리포좀 단독처리군인 “NC1"은 siRNA를 함유하지 않아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에 큰 변화가 없었고, 비교예 1 처리군인 “NC2"는 루시퍼라제 GL2 억제 siRNA으로서 종양세포 생존율에 아무 영향을 주지 않았고, 실시예 3-1 내지 3-15의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실시예 3-1, 3-9, 3-10, 3-12, 3-14의 복합체 처리군에서 종양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도 2로부터 실시예 2-1, 2-9, 2-10, 2-12, 2-14에서 제조된 siRNA가 Hep3B 세포 내로 전달되어 Mcl-1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고 그 결과로 항종양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젖산탈수소효소 ( LDH ) 방법을 이용한 Mcl -1 발현 억제 siRNA 의 항종양 효능 평가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 함유 조성물이 종양세포를 손상시키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종양세포의 손상으로 인하여 세포 외부로 배출된 젖산 탈수소효소(LDH)를 고감도로 측정하는 LDH Cytotoxicity Detection kit(TAKARA Bio Inc., Otsu Shiga, Japan)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Hep3B 세포주를 실험 전날 24-웰 플레이트에 웰 당 세포를 8×10⁴씩 분주(seeding)하였다. 각 플레이트의 세포가 50-70%정도 균일하게 성장했을 때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새 배지를 웰(well) 당 250㎕씩 첨가하였다.
에펜도르프 튜브에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 50㎕씩을 넣고 비교예 1의 루시퍼라제 GL2 발현 억제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3-1 내지 3-15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을 각각 첨가하였다. 미디어에 포함된 siRNA의 최종 농도는 50nM이 되게 맞추었다. 이들을 서서히 피펫팅(pipetting)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고 이렇게 제조된 복합체를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37℃의 CO₂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 때 Triton X-100을 3%가 되도록 처리하여 최대 LDH 활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 역시 37℃의 CO₂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복합체를 처리하고 48시간 경과 후, 조직배양 플레이트를 250×g 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청액을 웰당 100㎕씩 취하여 별도의 투명한 96-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제조사의 프로토콜 대로 반응혼합액을 조제하여 100㎕씩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차광하여 실온에서 30분간 정치한 후 엘라이져 리더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92 nm에서 그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아무 것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배양배지가 사용되었고 양성대조군으로는 Triton X-100을 3%가 되도록 처리한 세포가 사용되었다. 종양세포 손상율은 [(실험군의 흡광도-음성대조군의 흡광도)/(양성대조군의 흡광도-음성대조군의 흡광도)×100]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도 3은 Mcl-1 발현 억제 siRNA의 세포사멸효과를 젖산 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 LDH) 측정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에서, “C”는 대조군, “NC1”은 핵산 전달체인 양이온성 리포좀 단독처리군, “NC2”는 비교예 1 처리군, 3-1내지 3-15는 실시예 3-1 내지 3-15의 복합체 처리군을 나타낸다. 대조군 “C”는 미처리군으로 종양세포 손상율에 변화가 없었고, 양이온성 리포좀 단독처리군인 “NC1"은 siRNA를 함유하지 않아 대조군에 비하여 종양세포 손상율에 큰 변화가 없었으며, 비교예 1 처리군인 “NC2"는 루시퍼라제 GL2 억제 siRNA가 리보핵산매개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종양세포 손상율에 큰 변화가 없었고, 실시예 3-1내지 3-15의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실시예 3-1, 3-9, 3-10, 3-12, 3-14의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의 복합체 처리군에서 종양세포 손상율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도 3으로부터 실시예 2-1, 2-9, 2-10, 2-12, 2-14에서 제조된 siRNA가 Hep3B 세포 내로 전달되어 Mcl-1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고 그 결과로 항종양 효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형광 유세포 분석을 통한 Mcl -1 발현 억제 siRNA 의 암세포 사멸 효과 확인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 함유 조성물이 암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형광 유세포 분석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암 세포주(Hep3B)에 비교예 1의 루시퍼라제 GL2 발현 억제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실시예 3-5, 3-10, 3-12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4-1, 4-3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 2종과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성 고분자와의 복합체 조성물을 각각 처리하고 세포사멸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BD사(BD Biosciences, USA)에서 구입한 Annexin V-FITC Apoptosis Detection kit을 사용하였다.
Hep3B 세포주를 실험 전날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세포를 2×105씩 분주(seeding)하였다. 각 플레이트의 세포가 40-50%정도 균일하게 성장했을 때 플레이트안의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새 배지를 웰(well) 당 1400㎕ 씩 첨가하였다.
에펜도르프 튜브에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 50㎕씩을 넣고 비교예 1의 루시퍼라제 GL2 발현억제 siRNA와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3-5, 3-10, 3-12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와 리포좀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4-1, 4-3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 2종과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성 고분자와의 복합체 조성물을 각각 첨가하였다. 배양배지에 포함된 siRNA의 최종 농도는 50nM이 되게 맞추었다. 이들을 서서히 피펫팅(pipetting)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고 이렇게 제조된 복합체를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37℃의 CO₂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복합체를 처리하고 92시간 경과 후, 배양된 세포를 수집한 후 인산완충용액으로 2번 세척하고 킷트에서 제공하는 annexin V-FITC와 propium iodide (PI)를 사용하여 빛을 차광한 채 30분 염색하였다. 그 후 형광 유세포 분석기인 BD FACS CALIBUR(BD Bioscience, USA)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 피크의 이동에 의한 세포사멸 효율을 분석하였다. 리보핵산 미처리 세포군, annexin V-FITC와 PI를 단독처리하여 염색한 세포군들을 각각 사용하여 형광 강도 피크의 이동을 보정하였다.
도 4는 Mcl-1 발현 억제 siRNA의 세포사멸효과를 annexin V-FITC/PI 염색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에서, (A)는 비교예 1의 복합체, (B)는 Mcl-1 전사체 억제효능이 없었던 실시예 3-5의 복합체, (C)는 실시예 3-10의 복합체, (D)는 실시예 3-12의 복합체, (E)는 실시예 4-1의 복합체, (F)는 실시예 4-3의 복합체 처리군을 나타낸다. 비교예 1의 복합체 처리군에서는 아넥신(annexin V) 양성 세포, 즉 세포사멸이 일어난 세포의 비율이 15%였으며(도면 4A 참고), 실시예 5에서 Mcl-1 전사체 억제효능이 없었으며 실시예 6과 7에서도 항종양 효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던 실시예 3-5의 복합체 조성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아넥신 양성 세포가 24%로 비교예 1 처리군과 유사한 수준이었다(도 4B). 반면 실시예 3-10, 3-12의 복합체는 아넥신 양성세포의 비율이 각각 88%, 87%로 세포사멸(apoptosis)이 진행된 세포들이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도 4C, 4D). 2종의 Mcl-1 발현 억제 siRNA를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4-1의 복합체(실시예 2-1의 siRNA + 실시예 2-10의 siRNA) 및 실시예 4-3의 복합체(실시예 2-12의 siRNA + 실시예 2-14의 siRNA)를 처리한 군에서는 세포사멸이 진행된 아넥신 양성세포의 비율이 각각 92%, 91%로 증가되었다(도 4E, 4F). 따라서 도 4로부터 실시예 2-10, 2-12에서 제조된 siRNA가 Hep3B 세포 내로 전달되어 Mcl-1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고 그 결과로 항종양 효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실시예 4-1 및 실시예 4-3의 복합체 처리군에서 관찰되는 것과 같이 효과적인 siRNA 2종을 함께 사용하는 것 또한 현저한 항종양 효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잔존 세포염색 방법을 통한 Mcl -1 siRNA 의 암세포 사멸 효과 확인
Mcl-1 siRNA 함유 조성물이 암세포사멸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잔존 세포염색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암 세포주(Hep3B)에 비교예 1의 루시퍼라제 GL2 발현 억제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실시예 3-1, 3-3, 3-9, 3-14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4-2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 2종과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성 고분자와의 복합체 조성물을 각각 처리하고 세포사멸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염료(dye)를 이용한 세포 염색법을 사용하였다.
Hep3B 세포주를 실험 전날 6-웰 플레이트에 웰 당 세포를 2× 105씩 분주(seeding)하였다. 각 플레이트의 세포가 40-50%정도 균일하게 성장했을 때 플레이트안의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새 배지를 웰(well) 당 1400㎕ 씩 첨가하였다.
에펜도르프 튜브에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 50㎕씩을 넣고 비교예 1의 루시퍼라제 GL2 발현억제 siRNA와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3-1, 3-3, 3-9, 3-14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와 리포좀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4-2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 2종과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성 고분자와의 복합체 조성물을 각각 첨가하였다. 배양배지에 포함된 siRNA의 최종 농도는 50nM이 되게 맞추었다. 이들을 서서히 피펫팅(pipetting)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고 이렇게 제조된 복합체를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37℃의 CO₂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복합체를 처리하고 92시간 경과 후, 인산완충용액으로 세척하고 0.5% 크리스탈 바이올렛, 20% 메탄올이 포함된 용액을 500㎕ 처리하여 1분간 염색한 후 용액을 제거하여 플레이트에 남아있는 잔존세포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siRNA 미처리 세포를 사용하였다.
도 5는 Mcl-1 발현 억제 siRNA의 세포사멸효과를 크리스탈 바이올렛 (crystal violet) 염료를 이용한 세포 염색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에서, (A)는 비교예 1의 복합체, (B)는 Mcl-1 전사체 억제효능이 없었던 실시예 3-3의 복합체 조성물, (C)는 실시예 3-1의 복합체, (D)는 실시예 3-9의 복합체, (E)는 실시예 3-14의 복합체, (F)는 실시예 4-2의 복합체 처리군을 나타낸다. 비교예 1의 복합체 처리군 (도 5A)에 비교할 때 Mcl-1 발현 억제능이 없는 실시예 3-3의 리보핵산과 리포좀 조성물 처리군 (도 5B)은 웰플레이트에 부착된 잔존 세포들이 다량 염색되어 세포사멸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반면 실시예 5에서 Mcl-1 발현이 억제되었던 실시예 3-1의 조성물, 실시예 3-9의 조성물, 실시예 3-14의 조성물, 그리고 실시예 4-2의 조성물 처리군(도 5C, 5D, 5E, 5F)은 손상된 종양세포들이 웰플레이트에서 떨어져 나가서 염색된 잔존세포의 비율이 감소된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도 5로부터 실시예 3-1, 3-9, 3-14에서 제조된 siRNA와 리포좀 조성물이 Mcl-1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고 그 결과로 항종양 효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실시예 4-2의 조성물 처리군에서 관찰되는 것과 같이 효과적인 siRNA 2종을 함께 사용하는 것 또한 유의성 있는 항종양 효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Mcl -1 발현 억제 siRNA 와 타 유전자 발현 억제 siRNA 의 병용 처리 후 항종양 효능 평가
Mcl-1에 대한 siRNA 외에 암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또 다른 siRNA를 추가적 처리함으로써 2가지 이상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병용 처리하였을 때 암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TT (3-(4,5-dimethylthiazole-2-yl) -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Hep3B 세포주를 실험 전날 24-웰 플레이트에 웰 당 세포를 8×10⁴씩 분주(seeding)하였다. 각 플레이트의 세포가 50-70%정도 균일하게 성장했을 때 플레이트안의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새 배지를 웰(well) 당 250㎕씩 첨가하였다.
에펜도르프 튜브에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 50㎕씩을 넣고 비교예 1의 루시퍼라제 GL2 발현억제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6에서 가장 항종양능이 좋았던 실시예 3-14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2-14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와 Wnt-1발현억제용 siRNA의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2-14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와 Hec1발현억제용 siRNA의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을 각각 첨가하였다. Wnt-1(카달로그번호: M-003937-00)과 Hec1(카달로그번호: M-004106-00) 발현억제용 siRNA는 DHARMACON(Lafayette, C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배양배지에 포함된 각 siRNA의 최종 농도는 50nM이었다. 이들을 서서히 피펫팅(pipetting)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고 이렇게 제조된 복합체를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37℃의 CO₂세포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복합체를 처리하고 48시간 경과 후 각각 MTT (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배지의 10 %가 되도록 가하고, 4시간 더 배양 한 다음 상층액을 제거하고 0.06 N 염산 이소프로판올 용액을 첨가한 후에 엘라이져 리더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그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세포가 사용되었다.
도 6은 Mcl-1 발현 억제 siRNA와 Wnt-1 및 Hec1 siRNA의 병용처리에 의해 매개된 종양 세포사멸효과를 MTT (tetrazolium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염색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6에서, “C”는 대조군, “NC1”은 핵산 전달체인 양이온성 리포좀 단독처리군, “NC2”는 비교예 1 처리군, “siMcl-1”은 실시예 3-14의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처리군, “siMcl-1+siWnt-1”, “siMcl-1+siHec1”은 실시예 2-14의 Mcl-1 발현억제용 siRNA와 Wnt-1 또는 Hec1 발현억제용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처리군을 나타낸다. 대조군 “C”는 미처리군으로 종양세포 생존율을 100%로 산정하였으며, 전달체 리포좀 단독처리군인 “NC1"은 siRNA를 함유하지 않아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에 큰 변화가 없었고, 비교예 1 처리군인 “NC2"는 루시퍼라제 GL2 억제 siRNA으로서 종양세포 생존율에 아무 영향을 주지 않았고, "siMcl-1+siWnt-1"과 "siMcl-1+siHec1"의 실시예 2-14의 Mcl-1 발현 억제용 siRNA에 Wnt-1 또는 Hec1 발현억제용 siRNA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siMcl-1"인 실시예 3-14의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처리군만 처리하였을 때보다 종양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도 6으로부터 Mcl-1 발현 억제용 siRNA와 함께 Wnt-1 및 Hec1 발현 억제용 siRNA와 같이 암세포사멸을 유도하는 siRNA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Hep3B 세포 내로 전달되어 각 siRNA가 표적하고 있는 유전자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고 그 결과로 Mcl-1 발현 억제용 siRNA를 단독처리하였을 때보다 높은 항종양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 화학적으로 변형한 Mcl -1 발현 억제용 siRNA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의 제조
실시예 2의 15종의 Mcl-1 발현 억제용 siRNA의 3'말단 초과부위에 포스포로티오에이트를 수식하여 이를 전달해 주는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Mcl-1 발현 억제용 siRNA의 화학적 변형은 삼천리제약(Samchully Pharmaceuticals, Seoul, Korea)에 주문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양이온성 리포좀의 제조를 위해, 세포 융합성 인지질인 1,2-디아실-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1,2-diac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OPE)과 콜레스테롤, 양이온성 인지질인 1,2-디올레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 (1,2-diole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EDOPC) (Avanti Polar Lipid Inc., USA)을 몰비 1:1:1로 취해 유리 바이얼에 넣어 혼합한 후 질소 환경에서 모든 클로로포름이 증발될 때까지 낮은 속도로 회전 증발시켜 지질 박막 필름으로 제조하였다. 지질 다층형 소구체 (multilamella vesicle)를 제조하기 위하여 이 박막필름에 인산완충용액 1ml을 첨가하고 바이얼을 37℃로 하여 밀봉 후 3분간 교반(vortexing)하였다. 균일한 크기를 만들기 위해 이를 입자 균질화 제조기 (extruder, Northern Lipid Inc., Canada)를 사용하여 0.2㎛ 폴리카보네이트 막을 3번 통과시켜 양이온성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양이온성 리포좀을 siRNA의 3'말단 초과부위에 포스포로티오에이트를 수식한 15종의 Mcl-1 발현 억제용 siRNA와 각각 혼합하여 상온에서 20분간 유지시켜 siRNA 및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을 통해 제조된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의 구성을 정리하면 표 6과 같다.
표 6. 실시예 11을 통해 제조된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의 구성
실시예 GASC1 siRNA 양이온성 리포좀
11-1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1의 siRNA DOPE + 콜레스테롤 + EDOPC
11-2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2의 siRNA
11-3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3의 siRNA
11-4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4의 siRNA
11-5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5의 siRNA
11-6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6의 siRNA
11-7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7의 siRNA
11-8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8의 siRNA
11-9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9의 siRNA
11-10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10의 siRNA
11-11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11의 siRNA
11-12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12의 siRNA
11-13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13의 siRNA
11-14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14의 siRNA
11-15 포스포로티오에이트로 수식된 실시예 2-15의 siRNA
실시예 12. 젖산탈수소효소 (LDH) 방법을 이용한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Mcl-1 발현 억제 siRNA의 항종양 효능 평가
화학적으로 변형된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 함유 조성물이 종양세포를 손상시키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종양세포의 손상으로 인하여 세포 외부로 배출된 젖산 탈수소효소(LDH)를 고감도로 측정하는 LDH Cytotoxicity Detection kit(TAKARA Bio Inc., Otsu Shiga, Japan)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과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Hep3B 세포주를 실험 전날 24-웰 플레이트에 웰 당 세포를 8×10⁴씩 분주(seeding)하였다. 각 플레이트의 세포가 50-70%정도 균일하게 성장했을 때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새 배지를 웰(well) 당 250㎕씩 첨가하였다.
에펜도르프 튜브에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 50㎕씩을 넣고 비교예 1의 루시퍼라제 GL2 발현 억제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 실시예 11-1 내지 11-15의 siRNA의 3'말단 초과부위에 포스포로티오에이트를 수식한 15종의 Mcl-1 발현 억제용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과의 복합체 조성물을 각각 첨가하였다. 미디어에 포함된 siRNA의 최종 농도는 50nM이 되게 맞추었다. 이들을 서서히 피펫팅(pipetting)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하고 이렇게 제조된 복합체를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37℃의 CO₂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 때 Triton X-100을 3%가 되도록 처리하여 최대 LDH 활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 역시 37℃의 CO₂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복합체를 처리하고 48시간 경과 후, 조직배양 플레이트를 250×g 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청액을 웰당 100㎕씩 취하여 별도의 투명한 96-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제조사의 프로토콜 대로 반응혼합액을 조제하여 100㎕씩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차광하여 실온에서 30분간 정치한 후 엘라이져 리더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92 nm에서 그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아무 것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배양배지가 사용되었고 양성대조군으로는 Triton X-100을 3%가 되도록 처리한 세포가 사용되었다. 종양세포 손상율은 [(실험군의 흡광도-음성대조군의 흡광도)/(양성대조군의 흡광도-음성대조군의 흡광도)×100]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도 7은 Mcl-1 발현 억제 siRNA의 세포사멸효과를 젖산 탈수소효소(lactate dehydrogenase, LDH) 측정법을 사용하여 사람의 간암 세포주인 Hep3B에서 확인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7에서, “C”는 대조군, “NC1”은 핵산 전달체인 양이온성 리포좀 단독처리군, “NC2”는 비교예 1 처리군, 11-1내지 11-15는 실시예 11-1 내지 11-15의 복합체 처리군을 나타낸다. 대조군 “C”는 미처리군으로 종양세포 손상율에 변화가 없었고, 양이온성 리포좀 단독처리군인 “NC1"은 siRNA를 함유하지 않아 대조군에 비하여 종양세포 손상율에 큰 변화가 없었으며, 비교예 1 처리군인 “NC2"는 루시퍼라제 GL2 억제 siRNA가 리보핵산매개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종양세포 손상율에 큰 변화가 없었고, 실시예 11-1내지 11-15의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실시예 11-1, 11-9, 11-10, 11-12, 11-14의 siRNA와 양이온성 리포좀의 복합체 처리군에서 종양세포 손상율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도 7으로부터 실시예 11-1, 11-9, 11-10, 11-12, 11-14의 화학적으로 변형된 Mcl-1 발현 억제용 siRNA가 Hep3B 세포 내로 전달되어 Mcl-1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고 그 결과로 항종양 효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110> Korea University Industrial & Academic Collaboration Foundation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nucleic acid for treating cancer <130> P08-009-KRU <160> 45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1 ucggacucaa ccucuacug 19 <210> 2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2 ggaggccucg gcccggcga 19 <210> 3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3 gcgccggcgc aagcccccc 19 <210> 4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4 gccccggccg cugacgcca 19 <210> 5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5 gcggccggcu guccugccg 19 <210> 6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6 ggacacaaag ccaaugggc 19 <210> 7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7 ggcgcuggag accuuacga 19 <210> 8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8 ccacgagacg gccuuccaa 19 <210> 9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9 acgaagacga ugugaaauc 19 <210> 10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10 aucguugucu cgagugaug 19 <210> 11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11 acacuugaag accauaaac 19 <210> 12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12 ccauuagcag aaaguauca 19 <210> 13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13 aacgggacug gcuaguuaa 19 <210> 14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14 acaaagaggc ugggauggg 19 <210> 15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400> 15 ugugcugcug gcuuuugca 19 <210> 1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16 ucggacucaa ccucuacugt t 21 <210> 1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17 caguagaggu ugaguccgat t 21 <210> 1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18 ggaggccucg gcccggcgat t 21 <210> 1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19 ucgccgggcc gaggccucct t 21 <210> 2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20 gcgccggcgc aagcccccct t 21 <210> 2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21 ggggggcuug cgccggcgct t 21 <210> 2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22 gccccggccg cugacgccat t 21 <210> 2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23 uggcgucagc ggccggggct t 21 <210> 2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24 gcggccggcu guccugccgt t 21 <210> 2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25 cggcaggaca gccggccgct t 21 <210> 2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26 ggacacaaag ccaaugggct t 21 <210> 2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27 gcccauuggc uuugugucct t 21 <210> 2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28 ggcgcuggag accuuacgat t 21 <210> 2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29 ucguaagguc uccagcgcct t 21 <210> 3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30 ccacgagacg gccuuccaat t 21 <210> 3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31 uuggaaggcc gucucguggt t 21 <210> 3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32 acgaagacga ugugaaauct t 21 <210> 3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33 gauuucacau cgucuucgut t 21 <210> 3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34 aucguugucu cgagugaugt t 21 <210> 3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35 caucacucga gacaacgaut t 21 <210> 3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36 acacuugaag accauaaact t 21 <210> 3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37 guuuaugguc uucaagugut t 21 <210> 3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38 ccauuagcag aaaguaucat t 21 <210> 3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39 ugauacuuuc ugcuaauggt t 21 <210> 4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40 aacgggacug gcuaguuaat t 21 <210> 4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41 uuaacuagcc agucccguut t 21 <210> 4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42 acaaagaggc ugggaugggt t 21 <210> 4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43 cccaucccag ccucuuugut t 21 <210> 4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sense sequence <400> 44 ugugcugcug gcuuuugcat t 21 <210> 4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220> <223> siRNA against Mcl-1, antisense sequence <400> 45 ugcaaaagcc agcagcacat t 21

Claims (21)

  1. 서열번호 16의 센스서열 및 서열번호 17의 안티센스서열을 갖는 siRNA, 서열번호 34의 센스서열 및 서열번호 35의 안티센스서열을 갖는 siRNA, 및 서열번호 42의 센스서열 및 서열번호 43의 안티센스서열을 갖는 siRNA 중에서 선택되며, 세포 내에서 Mcl-1의 발현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siRNA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RNA가 포스포로티오에이트 수식 또는 보라노포스페이트 수식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된 형태인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RNA를 핵산 전달체와의 복합체 형태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 전달체는 양이온성 리포좀인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리포좀은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1,2-diole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EDOPC), 1-팔미토일-2-올레오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1-palmitoyl-2-ole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EPOPC),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 (1,2-dimyrist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EDMPC),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 (1,2-distear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SPC),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 (1,2-dipalmit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EDPPC), 1,2-디올레오일-3-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1,2-dioleoyl-3-trimethylammonium-propane, DOTAP), N-[1-(2,3-디올레일옥시)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N-[1-(2,3-dioleyloxy)propyl]-N,N,N-trimethylammonium chloride , DOTMA) 및 3ß-[N-(N',N'-디메틸아미노에탄)-카바모일]콜레스테롤 (3ß-[N-(N',N'-dimethylaminoethane)-carbamoyl]cholesterol, DC-Cholesterol)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는 것인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리포좀은 1,2-디아실-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1,2-diac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OPE), 1,2-디피타노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1,2-diphytan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DPhPE),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C),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1,2-dioleoyl-sn-glycero-3-[phospho-L-serine], DOPS),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에틸포스포콜린 (1,2-dioleoyl-sn-glycero-3-ethylphosphocholine, DO-Ethyl-PC) 및 콜레스테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 지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 전달체는 양이온성 고분자인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는 폴리-L-라이신 (poly-L-lysine, PLL), 폴리-L-오르니틴(poly-L-ornithine), 폴리-L-히스티딘(poly-L-histidine), 비스(3-아미노프로필)터미네이티드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 (bis(3-aminopropyl)terminated polytetrahydrofuran, PTHF), 폴리아크릴아마이드 (polyacrylamide, PA), 폴리(α-[4-아미노부틸]-L-글리콜산 (poly(α-[4-aminobutyl]-L-glycolic acid, PAGA), 폴리(2-아미노에틸 프로필렌 포스페이트) (poly(2-aminoethyl propylene phosphate), PPE-EA),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양이온성 유도체 (cationic derivatives of cyclodextrin), 폴리(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poly(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DMAEMA), 폴리(4-비닐피리딘) (poly(4-vinylpyridine), P4VP), O,O'-비스(2-아미노프로필)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블록-폴리에틸렌글리콜-블록-폴리프로필렌 글리콜 ( O,O'-Bis(2-aminopropyl) polypropylene glycol-block-polyethylene glycol-block-polypropylene glycol), 폴리-N-에틸-4-비닐피리디늄 트리브로마이드 (poly-N-ethyl-4-vinylpyridinium tribromide, PVP), 키토산, 양이온성 키토산 유도체, 폴리아미도아민(polyamidoamine, PAMAM), 파쇄(fractured) PAMAM,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imine, PEI), 및 폴리에틸렌이민 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항암 화학요법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Mcl-1의 발현을 억제하고 서열번호 16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17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
  16. 삭제
  17. Mcl-1의 발현을 억제하고 서열번호 34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35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
  18. 삭제
  19. Mcl-1의 발현을 억제하고 서열번호 42의 센스 서열 및 서열번호 43의 안티센스 서열을 갖는 siRNA.
  20. 제1항에 있어서, Wnt-1, Hec1, Survivin, Livin, Bcl-2, XIAP, Mdm2, EGF, EGFR, VEGF, VEGFR, GASC1, IGF1R, Akt1, Grp78, STAT3, STAT5a, β-catenin, WISP1, 또는 c-myc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siRNA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21. 삭제
KR1020080014724A 2008-02-19 2008-02-19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KR10087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724A KR100870314B1 (ko) 2008-02-19 2008-02-19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US12/735,809 US20110160282A1 (en) 2008-02-19 2009-02-18 Nucleic-ac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ancer therapy
PCT/KR2009/000762 WO2009104896A2 (ko) 2008-02-19 2009-02-18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724A KR100870314B1 (ko) 2008-02-19 2008-02-19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314B1 true KR100870314B1 (ko) 2008-11-25

Family

ID=4028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724A KR100870314B1 (ko) 2008-02-19 2008-02-19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60282A1 (ko)
KR (1) KR100870314B1 (ko)
WO (1) WO200910489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203B1 (ko) 2011-04-01 2011-11-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의약 전달용 인지질 나노입자
WO2022131398A1 (ko) * 2020-12-16 2022-06-23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유전자 발현 및 억제가 동시에 가능한 핵산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03581T3 (es) * 2014-10-29 2021-01-28 Walter & Eliza Hall Inst Medical Res Inhibidores de Mcl-1 para su uso en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provocadas por neovascularización patológica
EP3565547B1 (en) * 2017-01-06 2024-03-13 Les Laboratoires Servier Combination of a mcl-1 inhibitor and a taxane compound, us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CN109125741B (zh) * 2018-08-13 2022-02-11 四川大学 透明质酸/dotap/生存素编码基因自组装的三元复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284266T3 (da) * 2002-11-14 2014-01-13 Thermo Fisher Scient Biosciences Inc sIRNA-MOLEKYLE MOD TP53
JP2004313167A (ja) * 2003-02-24 2004-11-11 Joji Inasawa 薬剤耐性マーカーおよびその利用
WO2006113679A2 (en) * 2005-04-15 2006-10-2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elivery of sirna by neutral lipid compositions
WO2007109174A2 (en) * 2006-03-16 2007-09-27 Isis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on of mcl-1 express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MC Cancer, Vol. 6, No. 232(2006. 10. 0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203B1 (ko) 2011-04-01 2011-11-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의약 전달용 인지질 나노입자
WO2022131398A1 (ko) * 2020-12-16 2022-06-23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유전자 발현 및 억제가 동시에 가능한 핵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4896A3 (ko) 2009-11-05
US20110160282A1 (en) 2011-06-30
WO2009104896A2 (ko)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069B1 (ko) 암 치료용 의약 조성물
Cheng et al. Lipid nanoparticles loaded with an antisense oligonucleotide gapmer against Bcl-2 for treatment of lung cancer
JP7003044B2 (ja) Angpt2およびpdgfbを標的化するrna複合体を用いる血管新生関連疾患の処置
Scognamiglio et al. Transferrin‐conjugated SNALPs encapsulating 2′‐O‐methylated miR‐34a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myeloma
Ramasamy et al. Nano drug delivery systems for antisense oligonucleotides (ASO) therapeutics
US10059949B2 (en) Treatment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using RNA complexes that target MYD88 or TLR3
US20070287677A1 (en) Rad51 Expression Inhibitors, Pharmaceutical Agents Containing The Inhibitors As Active Ingredients, And Uses Thereof
KR100870314B1 (ko) 암 치료용 핵산 의약 조성물
EP2520651A2 (en) Sirna for inhibiting c-met expression and an anti-canc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6722586B2 (ja) アンチセンス抗悪性腫瘍剤
KR100861278B1 (ko) 암 치료용 리보핵산 의약 조성물
Yang et al. Development of a carrier system containing hyaluronic acid and protamine for siRNA delivery in the treatment of melanoma
US20130281513A1 (en) siRNA FOR INHIBITION OF Hif1alpha EXPRESSION AND ANTICANCER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WO2013056670A1 (zh) 小干扰RNA及其应用和抑制plk1基因表达的方法
EP3119887B1 (en) Improved small interfering ribonucleic acid molecules
US20210380988A1 (en) Reducing Prominin2-Mediated Resistance to Ferroptotic Cell Death
US20120130060A1 (en) Modified antisense oligopeptides with anticancer properties and method of obtaining them
US20240076672A1 (en) Double-helix oligonucleotide construct comprising double-stranded mirna and use thereof
Clark Effect of morpholino-mediated knockdowns of oncofetal RNA-binding proteins on cancer cell biology.
KR20240086730A (ko) IFITM1 shRNA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20088294A (ko) Oligodendrocyte transcription factor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흑색종 치료 효과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WO2018157026A1 (en) Treatment of tumors with mirna targeting cdk4/cdk6
Saravia Development of Lipoplex Formulations for Specific Genetic Material Delivery to Pancreatic Cancer Cells
Bauman Modification of Bcl-x and Mcl-1 pre-mRNA splicing using splice-switching oligonucleot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