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947B1 -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947B1
KR100869947B1 KR1020070051887A KR20070051887A KR100869947B1 KR 100869947 B1 KR100869947 B1 KR 100869947B1 KR 1020070051887 A KR1020070051887 A KR 1020070051887A KR 20070051887 A KR20070051887 A KR 20070051887A KR 100869947 B1 KR100869947 B1 KR 10086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information
image
effect
color
phot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1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947B1/ko
Priority to US12/019,300 priority patent/US900841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2Repositioning or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3Photography assistance, e.g. displaying suggestions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58Sequential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browsing or sc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6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marking or otherwise tagging one or more displayed image, e.g. for selective re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진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사진들 중 적어도 일 사진의 색정보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색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색온도, 색분포, 채도, 명도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Apparatus of producing image i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의 예.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 단말기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기능 면에서 음성 통화나 문자 메시지 서비스와 같은 전통적인 통신 기능 외에 멀티미디어, 무선 인터넷, 근거리 무선 통신, 이동 방송 수신 등 매우 다양한 기능들이 새 롭게 부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 디자인, 해상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측면에서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제 휴대폰은 단순한 전화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원래 기능 이외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부가기능들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증진시키는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또한 별개로 구비해야 하였던 다수의 전자기기를 휴대폰과 복합한 형태, 예를 들어 라디오 청취와 전화기능을 제공하는 휴대폰과 라디오를 복합한 라디오폰, TV 시청과 전화기능을 제공하는 휴대폰과 TV를 복합한 TV폰, 인터넷과 전화기능을 제공하는 인터넷폰, 카메라와 전화기능을 제공하는 휴대폰과 카메라를 복합한 카메라폰 등의 복합 휴대폰이 개발되어 휴대가 간편한 휴대폰에서 제공하는 다른 부가기능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나아가 휴대폰 효율의 극대화와 사용자의 편리를 극대화시키는 차세대 휴대폰 개발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와 사용이 간편한 복합 휴대폰 중에서 카메라와 휴대폰이 복합된 형태인 일명 '카메라폰'은 영상 사진을 촬영 후 저장하여 두고 이를 재생하거나, 이를 배경화면으로 사용하거나, 이메일(E-Mail)이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다른 곳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에는 카메라폰을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아 컴퓨터로 옮긴 후, 컴퓨터에서 편집을 하였다. 그러나 컴퓨터로 사진 파일들을 옮기는 과정이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많은 불편이 따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들은 사진 편집 기능의 강화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요구를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사진을 편집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은, 사진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사진들 중 적어도 일 사진의 색정보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장치는, 사진들이 선택되면, 상기 사진들 중 적어도 일 사진의 색정보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진들을 순차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는 색상을 표준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색좌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색좌표는 색좌표계를 통하여 표현할 수 있다. 색좌표계에서, 주어지는 좌표 값은 한점을 나타내고 그 점은 하나의 특정한 색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색정보를 도출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RGB 색좌표를 사용하며, RGB에 특정값을 치환하여 사용하는 YUV, YCbCr 및 HSI(Hue, Saturation, Intensit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RGB(Red, Green, Blue) 색좌표는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으로 구성된다. 기본 3색 외의 다른 색상은 기본색을 일정한 양만큼 더하여 만드는 가산 혼합의 특성을 가진다. YUV는 눈이 광도에 가장 민감한 특성을 이용한 색체계이다. Y는 광도, 휘도(luminance)를 나타내며, U,V는 색도(chrominance)를 나타낸다. YCbCr에서 Y는 휘도 성분이며, 색도 값인 Cb, Cr은 0 과 1 사이에서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다양한 색 표현 방법에 따라 표현되는 사진을 RGB, YUV, YCbCr 및 HSI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해 하나 이상의 사진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영상을 생성한다. 특히, 다양한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자동으로 영상을 생성할 수 있 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3개의 사진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3개의 사진을 순차로 보여주는 영상(소위, 슬라이드 쇼(slide show))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서 색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색정보 및 선택한 사진의 수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여기서, 색정보는 사진의 기본 색정보인 색온도, 색분포, 명암, 및 채도를 포함하며, 사진간의 기본 색정보(색온도, 색분포, 명암 및 채도)의 변화치, 전체 사진들의 기본 색정보의 평균치 및 변화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편집 효과는 사진 효과, 전환 효과, 및 음악 효과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진 효과는 사진의 원 이미지를 특정 효과를 주어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사진 효과는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어느 일 사진 효과를 적용하면, 사진을 흐릿하게 하거나 선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진 효과는 사진의 명암 대비를 분명하게 하거나, 명암의 구분을 줄일 수 있다.
전환 효과는, 화면상에서 표시된 사진이 사라지고 다음 사진이 표시되는 화면 전환의 경우, 전환의 속도 및 방법에 적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화면 전환의 속도가 증감되거나, 사진이 차차 흐려지며 사라지는 페이드아웃(Fade Out), 사진이 점차 분명해지며 나타나는 페이드인(Fade In)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음악 효과는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배경 음악을 재생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음악 효과는 색정보에 따라 음악의 종류, 빠르기, 볼륨 등이 적용된다.
상술한 각 편집 효과는 색정보에 따라 상한 및 하한의 임계치를 정하고, 그 범위에서 색정보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한다. 이하로는 색정보에 따른 편집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진의 기본 색정보인 색온도, 색분포, 명암 및 채도에 따른 편집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색 온도(Color Temperature)는 조명 밝기를 캘빈 스케일 (kelvin scale) 로 나타낸 값이다. 이처럼 광원의 색에 대한 물리적인 수치를 캘빈 스케일(kelvin scale)(°K)로 표현 된 것이 색온도이다. 색온도는 상승할수록 빛이 빨강에서 주황, 노랑, 흰색, 파랑으로 변하게 된다. 예컨대, 한낮의 태양은 약 5500K이고, 200W짜리 백열등의 색 온도는 약 3000K이며, 주광색 형광등의 색 온도는 약 6500K이다.
다음의 <표 1>은 색 온도에 따른 편집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색온도 편집 효과
3000 ~ 4000K 붉은색 테마 13
4000 ~ 5000K 테마 14
5000 ~ 6000K 흰색 테마 15
6000 ~ 7000K 테마 16
7000 ~ 8000K 테마 17
8000 ~ 9000K 테마 18
9000 ~ 10000K 파란색 테마 19
<표 1>을 참조하면, 색온도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기 위하여 임계치로 하한을 3000K, 상한을 10000K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색온도 범위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테마 13 내지 테마 19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3000K이하는 테마 13을 적용하며, 10000K 이상은 테마 19을 적용한다.
이때, 각 테마에 적용되는 편집 효과는 사진 효과, 전환 효과 및 음악 효과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테마의 편집 효과는 색온도에 따라 달리 설정되어 진다.
예를 들면, 색온도가 3000K에 가까운 빛은 붉은색에 가까우며, 일반적으로 온화하고 따사로운 느낌을 줄 수 있다. 반면, 색온도가 10000K에 가까운 빛은 파란색에 가까우며, 일반적으로, 밝고 발랄한 분위기를 줄 수 있다.
따라서 테마 13은 사진을 흐리게 나타내는 사진 효과, 사진이 느리게 전환되는 전환 효과 및 느린 템포, 작은 볼륨의 조용한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하는 음악 효과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색온도가 3000K에 가까워질수록 테마 13과 유사한 편집 효과를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테마 19는 사진을 선명하게 나타내는 사진 효과, 사진이 빠르게 전환되는 전환 효과, 및 빠른 템포, 큰 볼륨의 경쾌한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하는 음악 효과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색온도가 10000K에 가까워질수록 테마 19에 가까운 편집 효과를 적용될 수 있다.
색상은 여러 파장의 빛이 눈에서 받아들여지는 색깔의 느낌을 말하며, 색분포는 색상의 분포가 다양한 정도를 말한다.
색온도와 마찬가지로, 색분포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기 위하여 색분포의 다양성의 임계치로 하한 및 상한을 설정하고, 그런 다음, 색분포의 다양성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다수개의 테마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색분포가 가장 단조로운 사진을 1로 가장 다양한 사진을 10으로 하여 임계치 및 범위를 설정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해당 사진의 색분포가 10의 값에 가까울수록, 사진을 선명하게 나타내는 사진 효과, 사진이 빠르게 전환되는 전환 효과, 및 빠른 템포, 큰 보륨의 경쾌한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하는 음악 효과가 적용된 테마를 설정할 수 있다. 반면, 해당 사진의 색분포가 1의 값에 가까울수록, 사진을 흐리게 나타내는 사진 효과, 사진이 느리게 전환되는 전환 효과, 및 느린 템포, 작은 보륨의 조용한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하는 음악 효과를 적용된 테마를 설정할 수 있다.
채도(saturation)는 색의 선명도이며, 채도는 백색으로 희석되지 않은 색깔의 정도를 의미한다. 0%는 흰색, 순수한 색은 100% 채도이다.
다음의 <표 2>는 채도에 따른 편집 효과가 적용된 테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채도 편집 효과
0 ~ 10 % 채도 낮음 테마 21
... ... ...
40 ~ 50% 테마 25
... ... ...
90 ~ 100% 채도 높음, 순색 테마 30
<표 2>를 참조하면, 채도에 따른 편집 효과를 적용하기 위하여 임계치로 하한을 0%, 상한을 100%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채도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다수개의 테마(테마 21 내지 테마 30)를 설정할 수 있다.
명도는 빛이 물체에 반사되어 느껴지는 강도를 나타내며, 빛의 양을 말한다. 색온도와 마찬가지로, 명도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기 위하여, 명도의 임계치로 하한 및 상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명도가 가장 낮은 0%를 하한으로 하고, 명도가 가장 높은 100%를 상한으로 하여 그 임계치 및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명도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다수개의 테마를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진의 기본 색정보에 따른 편집 효과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편집 효과에 적용되는 색정보는, 앞서 설명한 기본 색정보 이외로, 사진간의 기본 색정보의 변화치, 전체 사진들의 기본 색정보의 평균 및 변화치를 포함한다. 이하로는, 이러한 색정보들은 두개 이상의 사진이 선택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기본 색정보의 변화치는, 두개 이상의 사진이 선택되면, 각 사진의 기본 색정보를 추출하고, 어느 일 사진의 기본 색정보와 타 사진의 기본 색정보를 비교한 변화값을 의미한다. 또한, 전체 사진들의 기본 색정보 변화치는 다수개의 사진들의 색정보들의 변화값을 의미하며, 전체 사진들의 기본 색정보의 평균은 다수개의 사진들의 색정보의 평균을 의미한다. 이러한 다수개의 사진들의 기본 색정보의 변화치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기 위하여, 기본 색정보의 변화치의 임계치 및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기본 색정보의 변화치의 레벨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다수개의 테마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색정보에 따른 편집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해당 색정보에 대응하는 테마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으로부터 색정보를 추출하여, 해당하는 테마의 편집 효과를 적용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술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카메라부(150), 영상처리부(160), 표시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데이터 및 음성 등의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는 정지 영상,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MP3 등의 음악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제어부(180)로부터 받은 변조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한 후 다시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 antenna)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기지국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IF)와 기저 대역(base band)으로 순차적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제공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제어부(18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13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들 및 기능 키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력부(13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및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booting)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예컨대, 음악 파일,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파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 사용이라함은 카메라 기능에 따른 카메라 촬영,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의 수신,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소정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예컨대, 카메라 기능, 음악 및 동영상 등의 재생 기능, 및 영상 편집 기능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음악 파일, 정지 영상, 동영상)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상응하여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인코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영상처리부(160)는 카메라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60)는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영상처리부(160)는 영상 신호 등의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가 구비한 표시부(170)에 따라 화면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70)는 영상처리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휴대 단말기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7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70)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영상 데이터를 일시 저장할 수 있는 비디오 메모리 및 액정표시장치의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7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표시부(170)는 입력부(13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무선 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카메라부(150), 영상처리부(160) 및 표시부(170)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예컨대, 키 입력 신호,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각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 수행에 따른 현재 상태 및 사용자 메뉴 등의 정보를 표시부(170)를 통해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동영상 생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서 색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수집한 색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방송 신호 수신 모듈, 충전용 단자,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이동식 저장 매체와의 연결을 위해 이동식 저장매체를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을 가능토록 하는 저장매체 삽입부 및 외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연결 단자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유닛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자세히,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편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의 예이다.
먼저, 사용자의 키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180)는 S201 단계에서 영상 생성 모드로 전환한다. 영상 생성 모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생성을 위한 메뉴이다.
영상 생성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80)는 S203 단계에서 표시부(170)를 통해 사진 리스트를 표시한다. 사진 리스트는 다수개의 사진을 미리보기가 가능하도록 섬 네일(thumb nail)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진 리스트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되어지는 사진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사진은 카메라부(150) 등을 이용한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한 사진,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다운로드한 각종 사진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식 저장 매체 또는 타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진이 포함될 수 있다.
사진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진 리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진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들의 예를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제2 및 제3 사진(310, 320, 330)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S205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207 단계에서 선택한 사진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선택한 사진들이 표시되어질 순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1, 제2 및 제3 사진(310, 320, 330) 순으로 표시되어질 순서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S209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211 단계에서 순서를 임시 저장한다.
다음으로, S213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1, 제2 및 제3 사진(310, 320, 330)중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서 색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색정보는 사진의 기본 색정보인 색온도, 색분포, 명암, 및 채도를 포함하며, 사진간의 기본 색정보(색온도, 색분포, 명암 및 채도)의 변화치, 전체 사진들의 기본 색정보의 평균치 및 변화치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기본 색정보를 이용하여 편집효과를 설명하나, 사진간의 기본 색정보의 변화치, 전체 사진들의 기본 색정보의 평균치 및 변화치에 따라 편집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사진(310, 320, 330)은 노을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때, 제1 사진(310)의 색정보를 수집한 결과, 색온도는 3500K, 색분포는 2, 채도는 20%, 명도는 30%의 값을 얻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S215 단계에서 색정보에 따른 테마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S217 단계에서 편집효과가 적용된 영상을 생성한다.
색정보에 따르면, 색온도는 3500K, 색분포는 2, 채도는 20%, 명도는 30%의 값이므로, 제어부(180)는 사진 효과로 사진들(310, 320, 330)을 흐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영상 재생 시 제1, 제2 및 제3 사진(310, 320, 330)이 순차로 전환되는 속도를 느리게 하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느린 템포, 작은 보륨의 조용한 음악을 배경음악으로 하는 음악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각 편집 효과는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색정보에 따라 사진의 느낌, 분위기 등을 반영하는 편집 효과를 자동으로 적용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편집 효과를 적용한 영상을 생성한 후, 제어부(180)는 S219 단계에서 생성한 영상을 표시부(170)를 통해 재생한다. 즉, 제1, 제2, 및 제3 사진(310, 320, 330)이 순차로 소정 간격을 두고 표시되는 영상을 재생한다. 이때, 음악 효과에 따라 선택된 배경 음악이 동시에 재생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표시부(170)를 통해 이를 확인하고, 저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키 입력을 통해 저장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S221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223 단계에서 생성한 영상을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하지 않으면, 생성한 영상을 저장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의 색정보에 따라 영상을 자동 생성함으로써, 사진의 분위기에 따른 심미감을 살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사진(제1 사진(310))에서 색정보를 추출하여 편집효과에 적용하였다. 하지만, 하나 이상의 사진, 예컨대, 제1, 제2 및 제3 사진(310, 320, 330)의 색정보를 추출하여, 색정보의 누적, 색정보의 평균 및 각 사진의 색정보 변화 등을 이용하여 편집효과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색정보를 통해 편집 효과를 적용하는 것을 단순히 전환효과의 빠르기를 조절하거나, 사진 효과의 흐리게 또는 선명하게 하거나, 음악의 템포 등의 조절에 한정하지 않으며, 색정보, 즉, 색온도, 색분포, 채도 및 명도의 정도에 따라 차등을 두어 영상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든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사진을 순차로 표시하는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사진의 색정보에 따라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사진을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을 늘리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에 있어서,
    사진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사진들 중 적어도 일 사진의 색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한 색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테마에 의거한 전환 효과, 사진 효과 및 음악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사진들을 순차로 표시하는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색정보는
    하나의 사진에서 얻을 수 있는 기본 색정보인 색온도, 색분포, 채도 및 명도와 둘 이상의 사진에서 얻을 수 있는 상기 기본 색정보의 변화치, 및 평균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색정보는
    상한 및 하한의 임계치를 가지며, 상기 색정보의 정도에 따라 상기 편집 효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진들을 순차로 표시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6.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장치에 있어서,
    사진들이 선택되면, 상기 사진들 중 적어도 일 사진의 색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색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테마에 의거한 전환 효과, 사진 효과 및 음악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편집 효과를 적용하여 상기 사진들을 순차로 표시하는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사진들을 순차로 표시하는 상기 영상을 재생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색정보는
    하나의 사진에서 얻을 수 있는 기본 색정보인 색온도, 색분포, 채도 및 명도와 둘 이상의 사진에서 얻을 수 있는 상기 기본 색정보의 변화치, 및 평균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색정보는
    상한 및 하한의 임계치를 가지며, 상기 색정보의 정도에 따라 상기 편집 효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장치.
  9. 삭제
KR1020070051887A 2007-05-29 2007-05-29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0869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887A KR100869947B1 (ko) 2007-05-29 2007-05-29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US12/019,300 US9008418B2 (en) 2007-05-29 2008-01-24 Image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887A KR100869947B1 (ko) 2007-05-29 2007-05-29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947B1 true KR100869947B1 (ko) 2008-11-24

Family

ID=4008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887A KR100869947B1 (ko) 2007-05-29 2007-05-29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08418B2 (ko)
KR (1) KR100869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8408B2 (ja) * 2009-08-04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933960B2 (en) * 2009-08-14 2015-01-13 Apple Inc. Image alteration techniques
US9930310B2 (en) 2009-09-09 2018-03-27 Apple Inc. Audio alteration techniques
JP5801038B2 (ja) * 2009-09-18 2015-10-28 株式会社ザクティ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9466127B2 (en) * 2010-09-30 2016-10-11 Apple Inc. Image alteration techniques
CN105224162A (zh) * 2014-06-12 2016-01-06 乐蛙科技(上海)有限公司 终端显示风格的匹配方法及系统
US10607386B2 (en) 2016-06-12 2020-03-31 Apple Inc. Customized avatars and associated framework
US10861210B2 (en) 2017-05-16 2020-12-08 Apple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udio and video effec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667Y1 (ko) * 2004-06-21 2004-09-21 김용선 플래시 앨범 씨디 자동 제작시스템
KR20050074254A (ko) * 2004-01-13 2005-07-18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장치, 화상 처리방법 및 그 프로그램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3912A (en) * 1980-05-19 1981-12-01 Burroughs Corporation Digitally controlled composite color video display system
JP4120724B2 (ja) * 1998-08-18 2008-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管理装置、画像データ管理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AUPQ589300A0 (en) * 2000-02-28 2000-03-23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ally selecting fonts
US7148990B2 (en) * 2002-08-15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photobook
US20050062888A1 (en) * 2003-09-19 2005-03-24 Wood Anthony Joh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ation of portably-stored content on an high-definition display
US7694213B2 (en) * 2004-11-01 2010-04-06 Advance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Video content creating apparatus
US20070050718A1 (en) * 2005-05-19 2007-03-01 Moore Michael R Systems and methods for web server based media production
TWI272017B (en) * 2005-09-26 2007-01-21 Realtek Semiconductor Corp An on scre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2007121654A (ja) * 2005-10-27 2007-05-17 Eastman Kodak Co 撮像装置
JP2007272684A (ja) * 2006-03-31 2007-10-18 Fujifilm Corp 画像整理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7646392B2 (en) * 2006-05-03 2010-01-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Dynamic theme color palette generation
US20080104516A1 (en) * 2006-10-25 2008-05-01 Ulead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slideshow
US7925121B2 (en) * 2007-04-30 2011-04-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heme-based batch processing of a collection of imag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254A (ko) * 2004-01-13 2005-07-18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장치, 화상 처리방법 및 그 프로그램 제품
KR200362667Y1 (ko) * 2004-06-21 2004-09-21 김용선 플래시 앨범 씨디 자동 제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98705A1 (en) 2008-12-04
US9008418B2 (en)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947B1 (ko) 휴대 단말기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EP3304881B1 (en) Rendering and displaying high dynamic range content
CN112714214B (zh) 一种内容接续方法、设备、系统、gui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508450B (zh) 屏幕颜色转换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1874895B1 (ko) 증강 현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5683745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CN103391363B (zh) 一种拍照预览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6134189B (zh) 图像处理装置、摄像装置、图像处理方法及程序
US20110205397A1 (en) Portable imaging device having display with improved visibility under adverse conditions
US20100048139A1 (en) Battery power consumption control
US20150002700A1 (en) Image display device, photograph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CN106165409B (zh) 图像处理装置、摄像装置、图像处理方法及程序
CN113810602A (zh) 一种拍摄方法及电子设备
US2016029518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13132704A (zh) 一种图像处理的方法、装置、终端以及存储介质
WO2023016067A1 (zh) 视频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8877734A (zh) 触控显示屏的色温调节方法及相关产品
WO2019064753A1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767844A (zh) 一种灯效控制方法及其相关设备
CN116229884B (zh) 屏幕显示方法及相关电子设备
US20230282178A1 (en) Automatic white balancing of display device to match user-preferred modes
CN116567188A (zh) 用于匹配用户优选模式的显示设备的自动白平衡
CN116704934A (zh) 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6433781A (zh) 调色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996274A (zh) 视频的制作方法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