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770B1 -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770B1
KR100869770B1 KR1020080059570A KR20080059570A KR100869770B1 KR 100869770 B1 KR100869770 B1 KR 100869770B1 KR 1020080059570 A KR1020080059570 A KR 1020080059570A KR 20080059570 A KR20080059570 A KR 20080059570A KR 100869770 B1 KR100869770 B1 KR 100869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barrel body
dry
hol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상주
Original Assignee
나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상주 filed Critical 나상주
Priority to KR1020080059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A23B9/025Preserving by heating with use of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지지체와; 일영역에 식품주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건조통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후방측면판에 양측개구가 밀폐되도록 결합되고 바닥에는 배출낙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인접영역에는 열기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요형단면의 건조통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건조통바디부의 개구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바디부와 협조하여 상기 열기통과공에 연통하는 안내통밀폐공간을 상기 건조통바디부의 외측영역에 형성하도록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후방측면판에 결합되고, 일 영역에는 열기진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열기안내통과; 히터를 가지고, 상기 히터로부터 발생하는 열기를 상기 열기진입공을 통해 상기 안내통밀폐공간에 공급하는 열기공급부와; 일단은 상기 배출낙하공에 연통하고 타단은 상기 열기안내통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건조통바디부에 결합된 배출관과; 상기 건조통바디부에 공급된 입자상식품을 상기 배출낙하공을 향해 이송시키는 건조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열기공급부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열전달효율이 향상된다.
고춧가루, 건조, 이송, 입자상식품

Description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Device for Drying Particle Type Food}
도1, 도2,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히터지지블럭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의 요부 결합사시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배출송풍부와 배출스크류이송부 영역의 사시도,
도8은 도6에 도시된 건조이송축영역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의 열전달경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10은 종래의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지지체 20, 120 : 건조통
21 : 건조통전방측면판 22 : 건조통후방측면판
30 : 건조통바디부 40 : 열기안내통
50, 150 : 열기공급부 51 : 지지판
52 : 히터지지블럭 53, 151, 152 : 히터
60 : 식품공급부 61 : 호퍼
70 : 배출관 71 : 자유낙하배출관부
72 : 스크류이송배출관부 73 : 송풍이송배출관부
80, 180 : 건조이송부 81, 181 : 건조이송축
83, 183 : 이송판 84 : 청소판
91 : 배출송풍부 92 : 배출스크류이송부
본 발명은 입자상 식품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춧가루 등과 같은 입자상 식품을 건조시키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춧가루 등과 같은 식품은 유통과정에서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하기 전에 건조공정을 거치게 되며, 이를 위해 입자(粒子)상 식품을 건조하는 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는 입자상 식품이란 용어는 알갱이형태의 식품(쌀, 보리 등), 파쇄물형태의 식품(고춧가루 등), 가루형태의 식품(밀가루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10은 종래의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10)와, 지지체(110)에 설치되는 건조통(120)과, 건조통(120)의 내부에 열기를 공급하는 열기공급부(150)와, 건조통(120)의 내부에 공급된 고춧가루를 이송시키는 건조이송부(180)를 갖고 있다.
건조통(120)은 상단에 건조통도어(121)가 형성되어 있다.
열기공급부(150)는 건조통도어(121)에 설치된 메인히터(151) 및 열기송풍모터(154)와, 건조통(120)의 하부 외표면에 인접하여 설치된 보조히터(152)와, 보조히터(152)의 둘레영역에 설치된 단열재층(153)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열기공급부(150)에 따르면 메인히터(151), 열기송풍모터(154) 및 보조히터(152)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건조통(120)의 내부에 열기가 전달된다.
건조이송부(180)는 건조통(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건조이송축(181)과, 각 건조이송축(181)의 외표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지지바(182)와, 각 지지바(182)의 종단에 부착된 이송판(183)과, 건조통(120)의 하부에 배치된 이송관(184)과, 이송관(184)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185)와, 이송스크류(185)를 회전 구동하는 이송스크류모터(186)와, 건조이송축(181)을 회전 구동하는 이송축모터(187)를 갖고 있다.
이송관(184)은 건조통(120)의 중앙에 형성된 배출낙하공(120a)을 통해 건조통(120)과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건조이송부(18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스크류모터(186)와 이송축모터(187)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건조이송축(181)과 이송스크류(185)가 회전한다.
건조이송축(181)이 회전하면 건조통(120)의 내부로 투입된 고춧가루는 이송판(183)에 의해 배출낙하공(120a)으로 이송된 후, 배출낙하공(120a)을 통해 이송 관(184)으로 낙하한다.
한편 이송스크류(185)가 회전하면 이송관(184)의 내부로 투입된 고춧가루는 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고춧가루 건조장치는 200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6062호(고안의 명칭 : 고춧가루 및 곡물가루 건조기)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고춧가루 건조장치에 따르면, 메인히터(151)과 보조힐(152)로부터 각각 분리된 열전달경로를 통해 건조통(120)에 열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기공급부(150)의 구조가 복잡하다(보조히터, 메인히터, 단열재층의 설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보조히터(152)로부터 발생한 열은 보조히터(152)에 인접한 건조통(120) 외표면 영역을 통해 건조통(120)의 내부로 열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전달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기공급부의 구조가 간단하고 열전달효율이 향상된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지지체와; 일영역에 식품주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건조통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후방측면판에 양측개구가 밀폐되도록 결합되고 바닥에는 배출낙하공이 형성되어 있으 며 상단인접영역에는 열기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요형단면의 건조통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건조통바디부의 개구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바디부와 협조하여 상기 열기통과공에 연통하는 안내통밀폐공간을 상기 건조통바디부의 외측영역에 형성하도록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후방측면판에 결합되고, 일 영역에는 열기진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열기안내통과; 히터를 가지고, 상기 히터로부터 발생하는 열기를 상기 열기진입공을 통해 상기 안내통밀폐공간에 공급하는 열기공급부와; 일단은 상기 배출낙하공에 연통하고 타단은 상기 열기안내통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건조통바디부에 결합된 배출관과; 상기 건조통바디부에 공급된 입자상식품을 상기 배출낙하공을 향해 이송시키는 건조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건조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건조통바디부는 상기 식품주입공에 연통하도록 양단이 상기 건조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후방측면판에 결합되고 상기 건조통후방측면판에 인접하는 바닥면영역에는 중간낙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인접영역에는 상부열기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요형단면의 상부건조통바디부와, 상기 배출낙하공이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에 인접하는 바닥면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열기통과공과 상기 중간낙하공을 통해 상기 상부건조통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며 상기 상부건조통바디부와 협조하여 하부건조공간을 상기 상부건조통바디부의 외측영역에 형성하도록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후방측면판에 결합되며 상단 인접영역에는 상기 안내통밀폐공간과 상기 하부건조공 간을 연결하는 하부열기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건조통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이송부는 상기 상부건조통바디부에 공급된 입자상식품을 상기 중간낙하공을 향해 이송시키고, 상기 중간낙하공을 통해 상기 하부건조통바디부로 낙하하는 입자상식품을 상기 배출낙하공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건조된 입자상식품의 온도를 낮춘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낙하공에 연통하고 상기 열기안내통을 통과하도록 상기 건조통바디부에 결합된 자유낙하배출관부와, 상측에 식품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품유입공이 상기 자유낙하배출관부의 하측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자유낙하배출관부에 결합된 스크류이송배출관부와, 상기 스크류이송배출관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스크류이송배출관부에 결합된 송풍이송배출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이송배출관부에 연결된 배출송풍관을 가지고 상기 송풍이송배출관의 내부를 향해 송풍하는 배출송풍부와, 상기 스크류이송배출관부의 내부에 설치된 배출스크류를 가지고 상기 식품유입공을 통해 상기 스크류이송배출관부의 내부로 진입하는 입자상식품을 상기 송풍이송배출관부로 이송하는 배출스크류이송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상식품과 열기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건조이송부는 상기 건조통바디부의 내부를 통과한 상태로 양단이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건조이송축과, 상기 건조이송축의 외표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지지바와, 상기 건조이송축의 회전시 이송방향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각 지지바의 종단에 부착된 이송판과, 상기 건조이송축 을 회전 구동하는 건조이송축구동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통바디부의 내표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이송부는 상기 건조이송축의 회전시 상기 건조통바디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이송판에 결합된 유연성 재질의 청소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도2,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도1에 도시된 히터지지블럭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의 요부 결합사시도이고, 도7은 도6에 도시된 배출송풍부와 배출스크류이송부 영역의 사시도이고, 도8은 도6에 도시된 건조이송축영역의 사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의 열전달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0)와, 지지체(10)에 설치되는 건조통(20)과, 건조통(20)을 둘러싸도록 건조통(20)에 결합된 열기안내통(40)과, 열기안내통(40)에 열기를 공급하는 열기공급부(50)와, 건조통(20)의 내부에 입자상식품을 공급하는 식품공급부(60)와, 지지체(1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건조통(20)에 결합된 배출관(70)과, 건조통(20)의 내부에 공급된 입자상식품을 배출관(70)을 향해 이송시키는 건조이송부(80)와, 배출관(70)의 내부를 향해 송풍하는 배출송풍부(92)와, 배출관(70)의 내부에서 입자상식품을 이송시키는 배출스크류이송부(92)를 갖고 있다.
지지체(10)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지지체바디부(11)와, 지지체바디부(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건조통커버(12) 및 모터커버(13)와, 지지체바디부(11)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부재(14) 및 보호망(15)을 갖고 있다.
지지체바디부(11)는 상면에 호퍼개구(11a)와 건조통개구(11b)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격벽(11c)에 의해 투입공간(11d), 이송공간(11e) 및 부속공간(11f)으로 구획되어 있다.
보호망(15)은 건조통개구(11b)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건조통커버(12)에는 한 쌍의 공기유입공(12a)과 한 쌍의 배습공(12b)이 형성되어 있다.
건조통(20)은 상호 나란하도록 배치된 건조통전방측면판(21) 및 건조통후방측면판(22)과, 건조통전방측면판(21)과 건조통후방측면판(22)에 양측개구가 밀폐되도록 결합된 요형(凹形)단면의 건조통바디부(30)를 갖고 있다.
건조통전방측면판(21)은 중앙 상측영역에 식품주입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건조통바디부(30)는 식품주입공(21a)의 하측에서 양단이 건조통전방측면판(21)과 건조통후방측면판(22)에 결합된 요형단면의 상부건조통바디부(31)와, 상부건조통바디부(31)의 하측에서 건조통전방측면판(21)과 건조통후방측면판(22)에 결합된 요형단면의 하부건조통바디부(32)를 갖고 있다.
상부건조통바디부(31)는 건조통후방측면판(22)에 인접하는 바닥면영역에 중간낙하공(31b)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인접영역에 상부열기통과공(31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건조통바디부(31)는 내표면중 상부열기통과공(31a)에 대향하는 영역에 는 상부열기통과공(31a) 보다 높은 위치에 열기안내판(31d)이 상부열기통과공(31a)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건조통바디부(31)의 내부에는 상부건조공간(31c)이 형성된다.
하부건조통바디부(32)는 건조통전방측면판(21)에 인접하는 바닥면영역에 배출낙하공(32b)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인접영역에 하부열기통과공(32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건조통바디부(32)는 상부건조통바디부(31)와 협조하여 상부건조통바디부(31)의 외측영역에 하부건조공간(32c)을 형성한다.
하부건조공간(32c)은 중간낙하공(31b)을 통해 상부건조공간(31c)에 연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건조통(20)은 상부건조통바디부(31)의 개구영역이 상측을 향한 상태로 이송공간(11e)에 수용되도록 지지체바디부(11)에 설치된다.
열기안내통(40)은 하부건조통바디부(32)의 하측에서 건조통전방측면판(21)과 건조통후방측면판(22)에 결합된 안내통바디부(41)와, 안내통바디부(41)의 상단과 상부건조통바디부(31)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안내통바디부(41)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안내통천정부(42)를 갖고 있다.
안내통천정부(42)에는 열기진입공(4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열기안내통(40)에 의해 건조통바디부(30)의 외측영역에 는 안내통밀폐공간(43)이 형성된다. 안내통밀폐공간(43)은 하부열기통과공(32a)을 통해 하부건조공간(32c)에 연결된다.
열기공급부(50)는 지지판(51)과, 지지판(5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중공(中空)의 히터지지블럭(52)과, 히터지지블럭(52)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히터(53)와, 히터지지블럭(52)의 내부공간에 송풍관이 진입하도록 설치된 4개의 열기송풍모터(54)와, 히터지지블럭(52)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히터지지블럭(52)에 설치된 한 쌍의 배습관(55)을 갖고 있다.
지지판(51)에는 열기안내공(51a)이 히터지지블럭(52)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열기복귀공(51b)이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히터지지블럭(52)은 배면에 한 쌍의 열기회수공(52a)이 열기복귀공(51b)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열기송풍모터(54)는 공기유입공(12a)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습관(55)은 배습공(12b)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열기공급부(5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히터(53)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히터(53)로부터 히터지지블럭(52)의 내부공간으로 열이 방출된다.
다음에 열기송풍모터(54)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히터지지블럭(52)의 내부열기는 열기안내공(51a)과 열기진입공(42a)을 통해 안내통밀폐공간(43)으로 전달된다.
안내통밀폐공간(43)에 전달된 열기는 하부열기통과공(32a)을 통해 하부건조공간(32c)으로 전달되고, 하부건조공간(32c)에 전달된 열기는 상부열기통과공(31a)을 통해 상부건조공간(31c)으로 전달된다. 상부건조공간(31c)에 전달된 열기는 열기안내판(31d)에 의해 하방향으로 안내된다.
상부건조공간(31c)에 전달된 열기는 보호망(15), 열기복귀공(51b) 및 열기회수공(52a)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열기송풍모터(54)를 통해 다시 히터지지블럭(52)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한다(건조통커버와 지지판에 의해 공기인입공과 배습공을 제외한 열기송풍모터의 둘레영역에는 밀폐공간이 형성됨).
한편 열기복귀공(51b)과 열기회수공(52a)사이영역에서 열기에 포함된 습기는 배습관(55)과 배습공(12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식품공급부(60)는 호퍼개구(11a)에 설치된 호퍼(61)와, 호퍼(61)의 하측개구와 식품주입공(21a)사이를 연결하는 식품투입관(62)과, 식품투입관(62)의 내부에 설치된 투입스크류(63)와, 투입스크류(63)를 회전구동하는 투입스크류구동부(64)를 갖고 있다.
투입스크류구동부(64)는 투입공간(11d)에 설치된 투입모터(64a)와, 투입모터(64a)의 회전축과 투입스크류(63)의 축을 연결하는 벨트(64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식품공급부(6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입모터(64a)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면 투입스크류(63)가 회전한다.
투입스크류(63)가 회전하면 호퍼(61)를 통해 투입된 입자상식품은 식품투입관(62)과 식품주입공(21a)을 통해 상부건조공간(31c)으로 공급된다.
배출관(70)은 하부건조통바디부(32)에 결합된 자유낙하배출관부(71)와, 자유낙하배출관부(71)에 결합된 스크류이송배출관부(72)와, 스크류이송배출관부(72)에 결합된 송풍이송배출관부(73)를 갖고 있다.
자유낙하배출관부(71)는 배출낙하공(32b)에 연통하고, 열기안내통(40)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크류이송배출관부(72)는 상측에 식품유입공(72a)이 형성되어 있고, 식품유입공(72a)을 통해 자유낙하배출관부(71)의 하측개구에 연통한다.
송풍이송배출관부(73)는 일단은 스크류이송배출관부(72)에 연통하고, 타단은 지지체바디부(11)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다.
건조이송부(80)는 상부건조통바디부(31)와 하부건조통바디부(32)의 내부를 각각 통과한 상태로 양단이 건조통전방측면판(21)과 건조통전방측면판(21)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건조이송축(81)과, 각 건조이송축(81)의 외표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지지바(82)와, 각 지지바(82)의 종단에 부착된 이송판(83)과, 이송판(83)에 결합된 청소판(84)과, 건조이송축(81)을 회전 구동하는 건조이송축구동부(85)를 갖고 있다.
이송판(83)은 건조이송축(81)의 회전시 이송방향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지지바(82)에 부착된다.
청소판(84)은 고무 등의 유연성 재질로 제작되고, 건조이송축(81)의 회전시 상부건조통바디부(31)와 하부건조통바디부(32)의 내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폭을 갖고 있다.
건조이송축구동부(85)는 부속공간(11f)의 상측에서 지지체바디부(11)의 상면에 설치된 건조이송모터(85a)와, 건조이송모터(85a)의 회전력을 건조이송축(81)에 전달하는 건조이송체인기어(85b) 및 건조이송체인(85c)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건조이송부(8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이송모터(85a)에 동작전압을 공급하여 건조이송축(81)을 회전시킨다.
건조이송축(81)이 회전하면 식품주입공(21a)을 통해 상부건조통바디부(31)에 공급된 입자상식품은 중간낙하공(31b)을 향해 이송되고, 중간낙하공(31b)을 통해 하부건조통바디부(32)로 낙하한 입자상식품은 배출낙하공(32b)으로 이송된다.
배출송풍부(92)는 스크류이송배출관부(72)에 연결된 배출송풍관(92a)과, 배출송풍관(92a)에 송풍관이 연결된 배출송풍모터(92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송풍부(92)는 배출송풍모터(92b)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송풍이송배출관부(73)의 내부를 향해 송풍하게 된다.
배출스크류이송부(92)는 스크류이송배출관부(72)의 내부에 설치된 배출스크류(92a)와, 배출스크류(92a)의 종단에 형성된 전달판(92b)과, 배출스크류(92a)를 회전구동하는 배출스크류구동부(92c)를 갖고 있다.
전달판(92b)은 배출스크류(92a)의 회전시 스크류이송배출관부(72)에 있는 입자상식품을 송풍이송배출관부(73)로 넘겨주는 작용을 한다.
배출스크류구동부(92c)는 건조이송축(81)의 회전력을 배출스크류(92a)의 축에 전달하는 배출스크류체인기어(92d) 및 배출스크류송체인(92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스크류이송부(92)는 식품유입공(72a)을 통해 스크류이송배출관부(72)의 내부로 진입하는 입자상식품을 송풍이송배출관부(73)로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자상식품은 고춧가루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히터(53), 열기송풍모터(54), 투입모터(64a), 건조이송모터(85a) 및 배출송풍모터(92b)에 각각 동작전압을 공급한다.
투입모터(64a)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건조공간(31c)에 고춧가루가 공급된다.
히터(53)와 열기송풍모터(54)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열은 안내통밀폐공간(43), 하부건조공간(32c)과 상부건조공간(31c)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건조이송모터(85a)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상부건조통바디부(31)에 투입된 고춧가루는 중간낙하공(31b)을 향해 이송된 후 하부건조통바디부(32)로 투입된다. 고춧가루가 상부건조통바디부(31)에서 이송되는 동안 상부건조공간(31c)과 하부건조공간(32c)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건조된다.
하부건조통바디부(32)에 투입된 배출낙하공(32b)을 향해 이송된 후 자유낙하배출관부(71)로 낙하한다. 고춧가루가 하부건조통바디부(32)에서 이송되는 동안 안내통밀폐공간(43)과 하부건조공간(32c)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건조된다.
배출송풍모터(92b)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면 자유낙하배출관부(71)로 낙하한 고춧가루는 송풍이송배출관부(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53)로부터 발생한 열이 연속된 하나의 열전달경로를 통해 건조통(2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열기공급부(5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열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열전달효율이 향상되면 고온에 의한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입자상식품의 이송경로를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상부건조통바디부(31)와 하부건조통바디부(32)를 포함하도록 건조통바디부(30)를 형성함으로써, 건조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스크류이송부(92)를 더 포함함으로써, 건조된 입자상식품의 온도를 낮춘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이송축(81)의 회전시 입자상식품이 이송판(83)에 의해 흩어지도록 함으로써, 입자상식품과 열기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청소판(84)을 더 포함하도록 건조이송부(80)를 구성함으로써, 건조통바디부(30)의 내표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로부터 발생한 열이 연속된 하나의 열전달경로를 통해 건조통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열기공급부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열전달효율이 향상된다.

Claims (5)

  1. 삭제
  2. 지지체와, 일영역에 식품주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건조통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후방측면판에 양측개구가 밀폐되도록 결합되고 바닥에는 배출낙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인접영역에는 열기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요형단면의 건조통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건조통바디부의 개구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건조통과, 상기 건조통바디부와 협조하여 상기 열기통과공에 연통하는 안내통밀폐공간을 상기 건조통바디부의 외측영역에 형성하도록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후방측면판에 결합되고 일 영역에는 열기진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열기안내통과, 히터를 가지고 상기 히터로부터 발생하는 열기를 상기 열기진입공을 통해 상기 안내통밀폐공간에 공급하는 열기공급부와, 일단은 상기 배출낙하공에 연통하고 타단은 상기 열기안내통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건조통바디부에 결합된 배출관과, 상기 건조통바디부에 공급된 입자상식품을 상기 배출낙하공을 향해 이송시키는 건조이송부를 갖는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바디부는 상기 식품주입공에 연통하도록 양단이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후방측면판에 결합되고 상기 건조통후방측면판에 인접하는 바닥면영역에는 중간낙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인접영역에는 상부열기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요형단면의 상부건조통바디부와, 상기 배출낙하공이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에 인접하는 바닥면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열기통과공과 상기 중간낙하공을 통해 상기 상부건조통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며 상기 상부건조통바디부와 협조하여 하부건조공간을 상기 상부건조통바디부의 외측영역에 형성하도록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후방측면판에 결합되며 상단 인접영역에는 상기 안내통밀폐공간과 상기 하부건조공간을 연결하는 하부열기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건조통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이송부는 상기 상부건조통바디부에 공급된 입자상식품을 상기 중간낙하공을 향해 이송시키고, 상기 중간낙하공을 통해 상기 하부건조통바디부로 낙하하는 입자상식품을 상기 배출낙하공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낙하공에 연통하고 상기 열기안내통을 통과하도록 상기 하부건조통바디부에 결합된 자유낙하배출관부와, 상측에 식품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품유입공이 상기 자유낙하배출관부의 하측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자유낙하배출관부에 결합된 스크류이송배출관부와, 상기 스크류이송배출관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스크류이송배출관부에 결합된 송풍이송배출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이송배출관부에 연결된 배출송풍관을 가지고 상기 송풍이송배출관의 내부를 향해 송풍하는 배출송풍부와, 상기 스크류이송배출관부의 내부에 설치된 배출스크류를 가지고 상기 식품유입공을 통해 상기 스크류이송배출관부의 내부로 진입하는 입자상식품을 상기 송풍이송배출관부로 이송하는 배출스크류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이송부는 상기 상부건조통바디부와 상기 하부건조통바디부의 내부를 각각 통과한 상태로 양단이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과 상기 건조통전방측면판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건조이송축과, 상기 각 건조이송축의 외표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지지바와, 상기 건조이송축의 회전시 이송방향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각 지지바의 종단에 부착된 이송판과, 상기 건조이송축을 회전 구동하는 건조이송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이송부는 상기 건조이송축의 회전시 상기 상부건조통바디부의 내표면과 상기 하부건조통바디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이송판에 결합된 유연성 재질의 청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
KR1020080059570A 2008-06-24 2008-06-24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 KR100869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570A KR100869770B1 (ko) 2008-06-24 2008-06-24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570A KR100869770B1 (ko) 2008-06-24 2008-06-24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770B1 true KR100869770B1 (ko) 2008-11-21

Family

ID=4028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570A KR100869770B1 (ko) 2008-06-24 2008-06-24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0457A (zh) * 2018-06-20 2018-12-14 安徽华瑞医药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黄芪滚筒式烘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683A (en) * 1991-02-21 1992-03-31 Wenger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ed product coating and drying
KR100500153B1 (ko) 2005-02-02 2005-07-11 이종민 구형체 건조장치
JP2006334324A (ja) 2005-06-06 2006-12-14 Kawasaki Kiko Co Ltd 粉粒物質の蒸気加熱殺菌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用いた殺菌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683A (en) * 1991-02-21 1992-03-31 Wenger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ed product coating and drying
KR100500153B1 (ko) 2005-02-02 2005-07-11 이종민 구형체 건조장치
JP2006334324A (ja) 2005-06-06 2006-12-14 Kawasaki Kiko Co Ltd 粉粒物質の蒸気加熱殺菌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用いた殺菌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0457A (zh) * 2018-06-20 2018-12-14 安徽华瑞医药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黄芪滚筒式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4634A (en) Modular column dryer for particulate material
KR101874849B1 (ko) 회전식 분말 건조장치
WO2018047640A1 (ja) 穀物乾燥機及び該穀物乾燥機の使用方法
KR100869770B1 (ko) 입자상식품용 건조장치
KR200196148Y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1853450B1 (ko) 회전형 건조장치
US4398356A (en) Multi-stage dryer for particulate material
KR101899758B1 (ko) 분말 건조장치
KR200455426Y1 (ko) 식료품 건조기
KR100837228B1 (ko) 톱밥 건조기
US4402302A (en) Air heating apparatus
KR100587767B1 (ko) 곡물 가열 및 냉각 장치
JP5421193B2 (ja) 穀物乾燥機における穀物張込装置
KR101347938B1 (ko) 고춧가루 및 곡물 건조 장치
NZ200681A (en) Gravity flow grain dryer with two stages of drying
KR20150089180A (ko)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CN210004741U (zh) 一种饲料烘干装置
KR20080025590A (ko) 회전식 건조장치
CN206496610U (zh) 一种粮食烘干机
HUE035348T2 (en) Dryer for bulk goods with air intake
CN216655325U (zh) 一种无绞龙谷物烘干机
US2319674A (en) Rotary drier
JP5184913B2 (ja) 排塵装置
KR20190055343A (ko) 고춧가루 살균 건조장치
JP2023108539A (ja) 穀物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