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276B1 -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276B1
KR100868276B1 KR1020080040300A KR20080040300A KR100868276B1 KR 100868276 B1 KR100868276 B1 KR 100868276B1 KR 1020080040300 A KR1020080040300 A KR 1020080040300A KR 20080040300 A KR20080040300 A KR 20080040300A KR 100868276 B1 KR100868276 B1 KR 100868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cope
lens
eyepiece
holder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순
Original Assignee
아람휴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람휴비스(주) filed Critical 아람휴비스(주)
Priority to KR1020080040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2Mechanical details, e.g. mountings for the camera or image sensor,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18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light path, e.g. for comparing two specimens
    • G02B21/20Binoc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02B21/241Devices for focusing
    • G02B21/242Devices for focusing with coarse and fine adjustment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1Optical details, e.g. image relay to the camera or image sensor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카메라 몸체(100)의 전방으로 카메라 센서(1)와 렌즈(2)를 홀더 유니트(3)에 의해 단일체로써 일체화하고, 상기 홀더 유니트(3)의 카메라 센서(1)와 렌즈(2)를 함께 이동시켜 초점을 맞추는 초점조절용 가이더(6)를 상기 홀더 유니트(3)와 연결 결합하며,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6)의 외측으로 구성되고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6)를 이동시키는 조절노브수단(7)과, 상기 조절노브수단 (7)의 전방에 접안렌즈(Eye Piece Lens)(E)와 조립 및 분리되게 결합되는 아답터 (14)와 결합되는 커넥터(15)를 삽입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카메라 몸체(100)의 전방으로 카메라 센서(1)와 렌즈(2)를 홀더 유니트(3)에 의해 단일체로써 일체화하고, 상기 홀더 유니트(3)의 카메라 센서(1)와 렌즈(2)를 함께 이동시켜 초점을 맞추는 초점조절용 가이더(6)를 상기 홀더 유니트(3)와 연결 결합하며,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6)의 외측으로 구성되고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6)를 이동시키는 조절노브수단(7)과, 상기 조절노브수단(7)의 전방에 커넥터(15)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커넥터(15)에는 삼안현미경의 경통(K)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200)와 아답터(300)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렌즈와 카메라 센서를 홀더 유니트에 의해 단일체로써 일체화함으로써 각각 초점거리가 다른 현미경의 접안렌즈(Eye Piece Lens) 에 장착하더라도 초점거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어 재물대(Stage)의 시료가 접안렌즈(Eye Piece Lens)를 통해 육안으로 보이는 배율과 동일한 배율로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로 출력하여 볼 수 있어 원활하게 시료의 영상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둘째, 단안 또는 쌍안현미경의 접안렌즈(Eye Piece Lens)가 초점거리와 구조가 제조사나 모델별로 다르더라도 접안렌즈(Eye Piece Lens)에 결합할 수 있는 아답터만 구비하면 단일의 멀티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만으로 모두 삽입 장착이 가능하고 조절노브수단에 의해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있어 호환성의 효과가 있다.
셋째,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가 단일체로 결합되는 멀티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삼안현미경의 경통에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에 아답터를 조립 및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경통에 결합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어떠한 형태의 경통이라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아답터만 구비하면 모든 삼안현미경의 경통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뛰어나고 저가의 비용으로 구비함은 물론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80040300
카메라 센서, 렌즈, 접안렌즈, 단안현미경, 쌍안현미경, 삼안현미경

Description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Multi-media image camera system for microscope}
본 발명은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미경의 접안렌즈(Eye Piecen Lens)를 통해 육안으로 본 시료 영상을 그대로 같은 배율의 영상으로 촬영하여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 등을 통해 동일한 배율로 출력하여 볼 수 있고, 또한 초점 거리가 각기 다른 다양한 현미경에도 결합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갖춘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에는 접안렌즈(Eye Piece Lens)의 장착 개수에 따라 단안현미경, 쌍안현미경, 삼안현미경으로 구분되어 지는데, 상기 단안현미경은 한 개의 대안렌즈가 장착된 것이고, 쌍안현미경은 두 개의 대안렌즈가 장착된 것이며, 삼안현미경은 디지털 카메라나 시시디(CCD) 또는 시모스(C-MOS)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는 현미경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단안현미경과 쌍안현미경의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접안렌즈(Eye Piece Lens)가 구성되는 경통 부분에 상기 접안렌즈(Eye Piece Lens)를 제거한 다 음 디지털 카메라나 시시디(CCD) 또는 시모스(C-MOS) 카메라(이하, "영상카메라"로 통칭한다)를 장착하여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를 통해 재물대(Stage)의 시료를 관찰하게 되는데, 이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현미경의 재물대(Stage) 위에 장착된 시료를 접안렌즈(Eye Piece Lens)를 통해 육안으로 볼 때 도 1의 (a)와 같은 크기로 관찰되는 것이 접안렌즈를 제거하고 영상카메라를 장착하여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를 통해 볼 경우에는 도 1의 (b)에서와 같이 시료의 크기가 육안의 영상보다 6배 이상 확대된 영상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확대된 영역은 영상 취득이 될지라도 나머지 안 보이는 부분은 영상 촬영이 안 되므로 시료의 정보 판단을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기존의 영상카메라는 렌즈와 카메라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와 카메라센서의 거리를 조절하여 배율을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영상카메라는 현미경의 접안렌즈(Eye Piece Lens)에 직접 장착할 경우 상기 접안렌즈(Eye Piece Lens)는 제조 업체와 모델별로 초점거리(위치)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상기 영상카메라의 렌즈와 접안렌즈(Eye Piece Lens) 간의 초점이 맞지않아 사용이 불가하고 반드시 접안렌즈(Eye Piece Lens)를 제거한 후 경통 부분에 영상카메라를 장착하여 사용해야만 했다.
이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안렌즈(Eye Piece Lens)를 통해 육안으로 보이는 것보다 영상카메라를 통해 컴퓨터나 일반모니터로 출력되는 시료의 영상이 6배 이상 확대되어 보이기 때문에 확대된 영역 이외의 영역은 영상 촬영이 안 되므로 시료의 정보 판단을 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현미경 경통의 종류(구조와 크기)가 제조 업체와 모델별로 천차만별 이기 때문에 영상카메라를 호환성 있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없어 제조 업체와 모델별로 카메라를 구비해야 하므로 사용상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구비에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와 카메라 센서를 홀더 유니트에 의해 단일체로써 일체화한 멀티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발명하여 각각 초점거리가 다른 현미경의 접안렌즈(Eye Piece Lens)에 장착하더라도 초점거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어 재물대(Stage)의 시료가 접안렌즈(Eye Piece Lens)를 통해 육안으로 보이는 배율과 동일한 배율로 영상카메라를 통해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로 출력하여 볼 수 있고, 또한 다양한 현미경 모델에도 원활하게 멀티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현미경의 접안렌즈(Eye Piece Lens)와 경통의 종류가 제조 업체와 모델별로 다르더라도 단일의 멀티미디어 영상카메라 장치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카메라 몸체의 전방으로 카메라 센서와 렌즈를 홀더 유니트에 의해 단일체로써 일체화하고, 상기 홀더 유니트에는 상기 카메라 센서가 장착된 회로기판을 지지 설치하는 회로기판 서포터를 구성하며, 상기 홀더 유니트의 카메라 센서와 렌즈를 함께 이동시켜 초점을 맞추는 초점조절용 가이더를 상기 홀더 유니트와 연결 결합하고,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의 외측으로 구성되고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를 이동시키는 조절노브수단과, 상기 홀더 유니트와 조절노브수단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홀더 유니트와 초점조절용 가이더를 잡아주고 일측부는 케이스와 고정되게 연결되는 브라켓 홀더와, 상기 브라켓 홀더의 전방부에 결합되고 여러 형태의 아답터와 결합되는 커넥터와, 상기 카메라 몸체의 외측으로 구성되고 카메라 몸체를 보호하는 보호용 부재와, 상기 보호용 부재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몸체를 지지 결합하는 지지홀더와, 상기 보호용 부재의 외측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 홀더와 고정되게 결합 구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는 캡에 의해 체결 구성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는 상기 카메라 몸체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시료의 정보 영상을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로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과 파우워 스위치를 구성하고, 상기 카메라 몸체와 카메라 센서 간에는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카메라 몸체로 전송하는 와이어를 연결하며, 상기 커넥터에는 다양한 형태의 단안 또는 쌍안현미경의 접안렌즈(Eye Piece Lens)와 호환성 있게 결합하는 여러 형태의 아답터와 조립 및 분리되게 연결하기도 하고, 다양한 형태의 삼안현미경의 경통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와 아답터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첫째, 렌즈와 카메라 센서를 홀더 유니트에 의해 단 일체로써 일체화함으로써 각각 초점거리가 다른 현미경의 접안렌즈(Eye Piece Lens)에 장착하더라도 초점거리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어 재물대(Stage)의 시료가 접안렌즈(Eye Piece Lens)를 통해 육안으로 보이는 배율과 동일한 배율로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로 출력하여 볼 수 있어 원활하게 시료의 영상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둘째, 단안 또는 쌍안현미경의 접안렌즈(Eye Piece Lens)가 초점거리와 구조가 제조사나 모델별로 다르더라도 접안렌즈(Eye Piece Lens)에 결합할 수 있는 아답터만 구비하면 단일의 멀티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만으로 모두 삽입 장착이 가능하고 조절노브수단에 의해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있어 호환성의 효과가 있다.
셋째,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가 단일체로 결합되는 멀티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삼안현미경의 경통에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에 아답터를 조립 및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경통에 결합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어떠한 형태의 경통이라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아답터만 구비하면 모든 삼안현미경의 경통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뛰어나고 저가의 비용으로 구비함은 물론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은 쌍안현미경의 접안렌즈(Eye Piece Lens)에 본 발명의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장착 결합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삼안현미경의 경통에 본 발명의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장착 결합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카메라 몸체(100)의 전방으로 카메라 센서(1)와 렌즈(2)를 홀더 유니트(3)에 의해 단일체로써 일체화한다.
상기 홀더 유니트(3)에는 상기 카메라 센서(1)가 장착된 회로기판(4)을 지지 설치하는 회로기판 서포터(5)를 구성하고, 상기 홀더 유니트(3)의 카메라 센서(1)와 렌즈(2)를 함께 이동시켜 초점을 맞추는 초점조절용 가이더(6)를 상기 홀더 유니트(3)와 연결 결합한다.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6)의 외측으로 구성되고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6)를 이동시키는 조절노브수단(7)을 구성한다.
상기 조절노브수단(7)은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6)의 일측부에 가이드 핀(8)을 설치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핀(8)이 가이드되는 나선형의 가이드 홈(9)을 조절노브(10)의 내측면에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홀더 유니트(3)와 조절노브수단(7)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홀더 유니트(3)와 초점조절용 가이더(6)를 잡아주고 일측부는 케이스(11)와 고정되게 연결되는 브라켓 홀더(12)를 구성하고, 상기 브라켓 홀더(12)에는 상기 가이드 핀(8)이 관통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공(13)을 형성한다.
상기 브라켓 홀더(12)의 전방부에 여러 형태의 아답터(14)와 결합되는 커넥 터(15)를 결합 구성한다.
상기 카메라 몸체(100)의 외측으로 구성되고 카메라 몸체(100)를 보호하는 보호용 부재(16)와, 상기 보호용 부재(16)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몸체(100)를 지지 결합하는 지지홀더(17)와, 상기 보호용 부재(16)의 외측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 홀더(12)와 고정되게 결합 구성되는 상기 케이스(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1)의 후방에는 캡(18)에 의해 체결 구성되는 홀더(19)와, 상기 홀더(19)에는 상기 카메라 몸체(100)와 와이어(20)로 연결되어 시료의 정보 영상을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로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21)과 파우워 스위치(22)를 구성하고, 상기 카메라 몸체(100)와 카메라 센서(1) 간에는 상기 카메라 센서(1)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카메라 몸체(100)로 전송하는 와이어(23)를 연결한다.
상기 커넥터(15)에는 다양한 형태의 단안 또는 쌍안현미경의 접안렌즈(Eye Piece Lens)(E)와 호환성 있게 결합하는 여러 형태의 아답터(14)와 조립 및 분리되게 연결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커넥터(15)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삼안현미경의 경통(K)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200)와 아답터(300)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200)에는 접안렌즈(201)가 내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접안렌즈(201)를 이동시키는 렌즈조절노브수단(202)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쌍안현미경의 접안렌즈(Eye Piece Lens)(E)에 도 6 및 도 9에서와 같이 "멀티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의 커넥터(15)에 결합된 아답터(14)에 의해 접안렌즈(E)에 삽입 장착되면 홀더 유니트(3)의 렌즈(2)와 접안렌즈(E) 간에 조절노브수단(7)에 의해 초점을 맞추게 된다.
즉, 조절노브(10)를 회전시키면 나선형의 가이드 홈(9)에 삽입된 가이드 핀(8)은 나선형의 가이드 홈(9)을 따라 가이드되고 이때 초점조절용 가이더(6)와 홀더유니트(3)가 이동되며 상기 홀더유니트(3)가 이동됨에 따라 홀더유니트(3)에 단일체로써 일체화한 렌즈(2)와 카메라 센서(1)를 함께 이동시켜 도 9에서와 같이 접안렌즈(Eye Piece Lens)(E)와 렌즈(2)간의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 경우 카메라 센서(1)를 통해 현미경(H)의 재물대(S)(도 3참조)에 있는 시료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카메라 몸체(100)로 전송하고 다시 카메라 몸체(100)로부터 케이블(21)을 통해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를 통해 시료의 영상 정보가 출력된다.
상기 홀더유니트(3)에 단일체로써 일체화한 렌즈(2)와 카메라 센서(1)는 현미경의 접안렌즈(E)를 통해 육안으로 볼 때의 동일한 배율로 보이도록 셋팅되어 있기 때문에 현미경의 재물대에 셋팅되어 있는 시료의 영상 정보는 육안으로 볼 때의 같은 배율로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에 출력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본 발명은 현미경의 접안렌즈를 통해 육안으로 보이는 모든 영역의 시료 영상 정보가 그대로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로 출력되므로 원활하게 시료의 영상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현미경의 접안렌즈가 초점거리와 구조가 제조사나 모델별로 다르더라도 접안렌즈(E)에 결합할 수 있는 아답터(14)만 구비하면 단일의 멀티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만으로 모두 삽입 장착이 가능하고 조절노브수단(7)에 의해 초점을 정확히 맞출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센서(1)가 장착된 회로기판(4)은 카메라 센서(1)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구성 회로기판이며, 회로기판 서포터(5)는 상기 회로기판(4)과 카메라 센서(1)를 지지하여 줌과 아울러 초점조절용 가이더(6)와 연결 결합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삼안현미경(M)의 경통(K)에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접안렌즈(201)가 내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접안렌즈(201)를 이동시키는 렌즈조절노브수단(202)이 구성된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200)와 경통(K)에 결합되는 아답터(300)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200)의 렌즈조절노브수단(202)에 의해 재물대에 셋팅된 시료의 초점을 조절하여 맞추면 멀티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의 조절노브수단(7)으로써 렌즈(2)와 접안렌즈(201) 간의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때 상기에서 쌍안현미경의 접안렌즈에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재물대에 셋팅된 시료의 모든 영 역의 영상 정보가 그대로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로 출력되므로 원활하게 시료의 영상 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200)에 결합되는 아답터(300) 만을 경통(K)의 크기나 형태가 다르더라도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하면 단일의 멀티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와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200)만으로 현미경이 제조사나 모델별로 다르더라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현미경의 재물대에 셋팅되어 있는 시료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현미경의 접안렌즈를 통해 육안으로 보이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종래의 영상카메라에 의해 컴퓨터나 일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쌍안현미경의 접안렌즈에 본 발명의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삽입 장착하여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삼안현미경의 경통에 본 발명의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삽입 장착하여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단안 또는 쌍안현미경의 다양한 형태의 접안렌즈에 아답터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와 아답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단안 또는 쌍안현미경의 다양한 형태의 접안렌즈에 아답터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상태에서의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를 삼안현미경의 경통 에 접안렌즈유니트와 아답터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카메라 센서 2: 렌즈
3: 홀더 유니트 4: 회로기판
5: 회로기판 서포터 6: 초점조절용 가이더
7: 조절노브수단 8: 가이드 핀
9: 가이드 홈 10: 조절노브
11: 케이스 12: 브라켓 홀더
13: 가이드공 14: 아답터
15: 커넥터 16: 보호부재
17: 지지홀더 18: 캡
20,23: 와이어 21: 케이블
100: 카메라 몸체 200: 접안렌즈유니트
201: 접안렌즈 202: 렌즈조절노브수단
300: 아답터
E: 접안렌즈 H: 쌍안현미경
K: 경통 M: 삼안현미경
S: 재물대

Claims (6)

  1. 카메라 몸체(100)의 전방으로 카메라 센서(1)와 렌즈(2)를 홀더 유니트(3)에 의해 단일체로써 일체화하고,
    상기 홀더 유니트(3)의 카메라 센서(1)와 렌즈(2)를 함께 이동시켜 초점을 맞추는 초점조절용 가이더(6)를 상기 홀더 유니트(3)와 연결 결합하며,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6)의 외측으로 구성되고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6)를 이동시키는 조절노브수단(7)과,
    상기 조절노브수단(7)의 전방에 접안렌즈(Eye Piece Lens)(E)와 조립 및 분리되게 결합되는 아답터(14)와 결합되는 커넥터(15)를 삽입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홀더 유니트(3)에 카메라 센서(1)가 장착된 회로기판(4)을 지지 설치하는 회로기판 서포터(5)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조절노브수단(7)은 초점조절용 가이더(6)의 일측부에 가이드 핀(8)을 설치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핀(8)이 가이드되는 나선형의 가이드 홈(9)을 조절노브(10)의 내측면에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홀더 유니트(3)와 조절노브수단(7) 사이에 구성되어 홀더 유니트(3)와 초점조절용 가이더(6)를 잡아주고 일측부는 케이스(11)와 고정되게 연결되는 브라켓 홀더(12)와, 상기 브라켓 홀더(12)의 전방부에는 아답터(14)와 결합되는 커넥터(15)를 삽입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5. 카메라 몸체(100)의 전방으로 카메라 센서(1)와 렌즈(2)를 홀더 유니트(3)에 의해 단일체로써 일체화하고,
    상기 홀더 유니트(3)의 카메라 센서(1)와 렌즈(2)를 함께 이동시켜 초점을 맞추는 초점조절용 가이더(6)를 상기 홀더 유니트(3)와 연결 결합하며,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6)의 외측으로 구성되고 상기 초점조절용 가이더(6)를 이동시키는 조절노브수단(7)과,
    상기 조절노브수단(7)의 전방에 커넥터(15)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커넥터(15)에는 삼안현미경의 경통(K)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200)와 아답터(300)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접안 렌즈 유니트(Eye Piece Lens Unit)(200)는 접안렌즈(201)가 내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접안렌즈(201)를 이동시키는 렌즈조절노브수단(20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KR1020080040300A 2008-04-30 2008-04-30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KR100868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300A KR100868276B1 (ko) 2008-04-30 2008-04-30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300A KR100868276B1 (ko) 2008-04-30 2008-04-30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276B1 true KR100868276B1 (ko) 2008-11-11

Family

ID=4028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300A KR100868276B1 (ko) 2008-04-30 2008-04-30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7488A (zh) * 2017-01-18 2017-05-24 梅木精密工业(珠海)有限公司 一种快速对焦显微镜
CN113433126A (zh) * 2021-06-24 2021-09-24 褚崇胜 一种水稻花粉育性镜检仪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635A (ko) * 1995-11-24 1997-06-24 윤덕용 현미경의 자동 초점조절 장치
KR20000063466A (ko) * 2000-07-14 2000-11-06 배춘미 현미경 접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방법 및 그 장치
KR200294068Y1 (ko) 2002-06-03 2002-11-04 (주)시원광기술 디지털현미경
KR200321786Y1 (ko) 2003-04-26 2003-07-31 김용모 생물 영상 현미경
KR20040047053A (ko) * 2002-11-29 2004-06-05 (주)시원광기술 디지털 현미경
KR100513156B1 (ko) 2005-02-05 2005-09-07 아람휴비스(주) 휴대폰용 고배율 확대 영상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635A (ko) * 1995-11-24 1997-06-24 윤덕용 현미경의 자동 초점조절 장치
KR20000063466A (ko) * 2000-07-14 2000-11-06 배춘미 현미경 접안렌즈를 이용한 관찰영상 촬영방법 및 그 장치
KR200294068Y1 (ko) 2002-06-03 2002-11-04 (주)시원광기술 디지털현미경
KR20040047053A (ko) * 2002-11-29 2004-06-05 (주)시원광기술 디지털 현미경
KR200321786Y1 (ko) 2003-04-26 2003-07-31 김용모 생물 영상 현미경
KR100513156B1 (ko) 2005-02-05 2005-09-07 아람휴비스(주) 휴대폰용 고배율 확대 영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7488A (zh) * 2017-01-18 2017-05-24 梅木精密工业(珠海)有限公司 一种快速对焦显微镜
CN113433126A (zh) * 2021-06-24 2021-09-24 褚崇胜 一种水稻花粉育性镜检仪
CN113433126B (zh) * 2021-06-24 2024-03-08 褚崇胜 一种水稻花粉育性镜检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99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stereoscopic 3D visualization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2D endoscopes
CN1946332B (zh) 内窥镜系统
JP3257640B2 (ja) 立体視内視鏡装置
US20050111088A1 (en) Microscope camera
EP1920708A1 (en) Electronic endoscope
US6142932A (en) Front end structure of stereoscopic endoscope including an elongated lens
US20140357951A1 (en) Video endoscopic device
CN101634749B (zh) 一种内窥镜
CN104812289A (zh) 内窥镜装置
US20200249462A1 (en) Optical system for an endoscope
JP2008089671A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
JP2005331923A (ja) 光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KR100868276B1 (ko) 현미경용 멀티 미디어 영상 카메라 장치
JP6430948B2 (ja) 内視鏡
JP5384906B2 (ja) 内視鏡装置
CN105455768A (zh) 电子内窥镜
US10146063B2 (en) Focal length extender for telescopic imaging systems
CN101637380B (zh) 一种内窥镜
JP2018505731A (ja) 内視鏡
US20040095471A1 (en) Telescopic system with imaging function
CN211511722U (zh) 内窥镜总成结构及物镜装置
JP2001221961A (ja) 双眼光学アダプタ
US6149582A (en) Front end structure of stereoscopic endoscope
WO2019155665A1 (ja) 内視鏡撮像光学系及び内視鏡装置
WO2014021092A1 (ja) 光学素子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