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238B1 - 표면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글레이징 - Google Patents

표면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글레이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238B1
KR100868238B1 KR1020050080654A KR20050080654A KR100868238B1 KR 100868238 B1 KR100868238 B1 KR 100868238B1 KR 1020050080654 A KR1020050080654 A KR 1020050080654A KR 20050080654 A KR20050080654 A KR 20050080654A KR 100868238 B1 KR100868238 B1 KR 100868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film
scratch
res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971A (ko
Inventor
신희철
권영도
김명욱
이재환
유승찬
조정환
김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050080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238B1/ko
Publication of KR2007002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71Introduction of auxiliary energy into the plasm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와 변성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용매에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고 캐스팅하여 내스크래치성 필름을 제조하고, 이 필름을 금형 내벽에 부착하고 다시 폴리카보네이트로 사출 성형한 후 하드코팅하고 실리콘 다이옥사이드층을 증착시켜 내스크래치성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신규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polybenzoyl paraphenylene), 글레이징(glazing), 내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t), 필름(film), 캐스팅(casting), 삽입사출성형(insert injection molding), 물리적 기상증착법(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하드코팅(hard coating)

Description

표면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Polycarbonate glazing having good surface hardness and scratch resistant}
본 발명은 표면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와 변성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용매에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고 캐스팅하여 내스크래치성 필름을 제조하고, 이 필름을 금형 내벽에 부착하고 다시 폴리카보네이트로 사출 성형한 후 하드코팅하고 실리콘 다이옥사이드층을 증착시켜 내스크래치성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신규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충격성, 투명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글레이징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폴리실록세인계 하드 코팅이나 플라즈마 도움증착과 같은 표면 처리 기술을 통하여 내스크래치성을 증대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폴리카보네이트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표면 처리 기술에는 크게 폴리실록세인계 하드 코팅제를 폴리카보네이트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 폴리카보네이트와 내스크래치성이 강한 고분자와 블랜딩하는 방법,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실리콘 다이옥사이드를 화학증착시키는 방법, 내스크래치 특성을 보유한 필름을 금형에 삽입하여 사출 성형하는 방법 등이 있다.
미국특허 제4,298,632호, 제4,308,317호, 제4,353,965호, 제4,353,959호, 제4,396,678호, 제4,404,257호, 제4,410,594호, 제4,396,644호, 및 제4,241,116호 등에서는 표면 층은 열경화성 폴리실록세인 또는 콜로이드 상태의 실리카가 포함된 열경화성 폴리실록세인이고, 폴리카보네이트 층과 표면층의 중간에 삽입되는 프라이머 층으로서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를 적용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과 부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제품 코팅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5,156,882호에서는 플라즈마 도움증착 시 티타늄다이옥사이드가 함유된 자외선 흡수층과 실리콘 다이옥사이드의 부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층을 중간 층으로 삽입함으로써 자외선 차단과 내마모 특성을 갖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916,980호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폴리실록세인 구조를 그래프팅 시킨 후 이 수지에 폴리실록세인을 0~20 중량% 첨가하여 블렌딩함으로써 내스크래치 특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미국특허 제5,227,457호, 제5,976,437호, 및 제6,087,467호 등에서는 매우 경직된 분자 구조를 갖는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의 합성 및 개질, 공중합 등에 대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은 경직된 분자 구조 때문에 경도와 내스크래치성, 기계적 물성 등은 우수하나 용매에 잘 녹지 않고 열에 의해 용융시키기도 어렵다. 따라서 가공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파라페닐렌 반복 구조에 용해하기 쉬운 그룹을 도입하여 보다 가공하기 쉬운 변성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을 합성하는방법 등을 제공하고 있다.
끝으로 한국특허 출원번호 제2003-7011788호에는 내스크래치 코팅을 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금형에 삽입한 후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출하여 폴리카보네이트 필름과 부착 시킴으로써 보다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실록세인계 하드 코팅제로 코팅을 하는 방법과 플라즈마 도움증착의 방법은 기판으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가 무른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내스크래치성과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내스크래치 코팅을 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삽입사출성형 하는 방법도 제조 공정만 추가 되었을 뿐 내스크래치성 및 광학적 특성이 증대되기는 어려울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가공성이 개선된 변성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의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와 디클로로메탄, 1-메틸-2-피롤리디논 등의 용매에서 투명하게 용해, 혼합되며 필름 캐스팅 시 투명한 필름을 얻을 수 있으나, 이렇게 제조된 필름도 변성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과 폴리카보네이트와의 혼합 조성비에 따라 내스크래치성과 필름의 부착 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폴리카보네이트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표면 처리 기술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어서,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폴리카보네이트와 변성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을 공통 용매에 적정 비율 혼합하여 적절한 두께로 투명한 내스크래치성 필름을 캐스팅한 후 금형에 삽입하고 다시 폴리카보네이트로 사출 성형한 후 하드코팅 하고 실리콘 다이옥사이드층을 증착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해 내스크래치성 및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충격성, 광학적 특성, 가공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내스크래치성 PC 글레이징은 삽입사출된 블렌드필름의 영향으로 종래의 내스크래치성 PC에 비해서 하드코팅층 밑의 기저가 딱딱한 성질을 갖기 때문에 내스크래치성이 대폭 향상되어 자동차용 글레이징이나 액정표시장치의 창 등의 내스크래치성과 강도와 투명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용도로써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 10 ~ 90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B) 10 ~ 90 중량%의 하기 화학식 1의 변성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필름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필름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부착시키는 제 2 단계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표면에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및 에폭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제로 하드코팅 하는 제 3 단계 및
하드코팅 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표면에 물리적 기상증착법 또는 플라즈마 도움증착법을 이용하여 실리콘 다이옥사이드층을 증착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5048710649-pat00001
(상기 식에서 x와 y의 구조의 몰(mol)비는 60:40 ~ 95:5이고,
n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수평균분자량이 6,000 내지 15,000이 되도록 하는 양의 정수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한다.
제1 단계
상기 성분 (A)의 폴리카보네이트(이하, 'PC') 수지는 내충격성, 내열성, 내 후성, 자기 소화성, 유연성, 가공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며, 내후성이 뛰어나 장기간 높은 물성을 유지하고 내열, 내한성이 뛰어나 심한 온도변화에도 성능을 유지한다. 그러나 스크래치에 취약하고 경도가 무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PC 수지의 제조방법은 통상적인 제조방법을 따르며, 구체적으로 분자량 조절제 및 촉매의 존재 하에서 디히드록시페놀(dihydroxy phenol)과 포스겐(phosgen)을 반응시켜 제조하거나, 디히드록시페놀(dihydroxy phenol)과 디페닐카보네이트 (diphenyl carbonate)에 의해 얻어지는 전구체의 에스테르 상호 교환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PC 수지의 함량은 10 ~ 90 중량%가 적합하며, 보다 바람직한 함량은 40 ~ 80 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한 함량은 30 ~ 50 중량%이다. PBP 수지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때는 내스크래치 및 내마모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내충격성 및 캐스팅 된 블렌드 필름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사이의 부착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상기 성분 (B)의 변성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이하, 'PBP') 수지의 경우 그 경직된 구조로 인하여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고강도, 고경도, 자기 소화성, 내열성, 투명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내충격성과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엷은 노란 색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PBP는 상기의 화학식 1과 같은 화학구조를 가지며, 그의 제조 방법은 미국특허 제5,227,457호, 제5,976,437호, 및 제6,087,46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화학식 1에서 x와 y의 구조의 몰(mol)비는 60:40 ~ 95:5가 바람직하며, 60:40 미만일 경우 PBP의 내스크래치 및 내마모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95:5를 초과할 경우 가공이 어렵고 용해성, 용융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수평균분자량은 6,000 ~ 15,000가 바람직하다. 수평균분자량이 6,000 미만일 경우 PBP의 내스크래치 및 내마모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15,000을 초과하여 중합시키기가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에서 PBP 함량은 10 ~ 90 중량%가 적합하며, 보다 바람직한 함량은 40 ~ 80 중량%이고, 가장 바람직한 함량은 50 ~ 70 중량%이다. PBP 수지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때는 내스크래치 및 내마모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내충격성 및 캐스팅 된 블렌드 필름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사이의 부착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단계의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매로 용해시킨 후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캐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 캐스팅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는 두 고분자 수지를 공통으로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면 사용가능하며, 구체적으로 디클로로메탄 또는 1-메틸-2-피롤리디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된 용매의 증기압에 따라 필름 캐스팅 시 건조 온도와 진공 압력을 조절하여 증발 속도를 조절하여야 보다 우수한 품질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필름의 두께는 10 ~ 400㎛가 적합하며, 보다 바람직한 두께는 30 ~ 400㎛이고, 가장 바람직한 두께는 30 ~ 80㎛이다. 캐스팅된 필름의 두께가 10㎛ 미만일 때는 내스크래치 특성이 현저히 감소하며 가공 도중 찢김 현상이 빈번히 발생한다. 캐스팅된 필름의 두께가 400㎛를 초과할 경우 더 이상의 내스크래치특성의 증가는 없으며 필름제조공정에서 기포가 많이 발생하여 제조된 필름의 품질이 저하된다.
제2단계
제 2 단계의 필름의 부착방법은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필름을 금형에 삽입하고 폴리카보네이트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은 필름 삽입 사출 공정에 있어서 제품 크기에 맞게 블렌드 필름을 재단하고 정전기력에 의해서 필름을 금형 표면에 부착시킨 후 금형을 닫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2 단계의 필름의 부착방법은 투명한 에폭시 계열 또는 실리콘 계열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내스크래치성 필름을 폴리카보네이트 성형품에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단계
캐스팅 된 필름을 삽입 사출 공정을 통한 제 2 단계에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의 표면에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하드코팅을 한다.
하드코팅시 아크릴레이트 계열 외에도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의 하드코팅에 사용되는 우레탄 계열 또는 에폭시 계열의 하드코팅을 할 수 있다.
제 4 단계
하드코팅 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표면에 물리적 기상증착법을 통하여 실리콘 다이옥사이드층을 증착하여 표면 경도와 내스크래치성을 증대시킨다.
물리적 기상증착법 외에도 플라즈마 도움 증착법 등을 사용하여 실리콘 다이옥사이드 층을 증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제조 방법에 있어서, PC와 PBP 혼합 조성물에 추가로 자외선 차단제, 대전방지제, 전자파 차폐제, 난연제, 이형제, 내가수분해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및 충격보강제 등의 기능성 첨가제나 가공 조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들은 PC와 PBP 혼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3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매에 5 중량% 농도로 PBP를 용해시키고 여과해서 불순물을 제거한 후, 비용매인 아세톤을 가하여 침전시킨 후 10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건조하여 PBP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PBP와 폴리카보네이트를 표 1의 조성비율을 가지고 12 중량%의 농도로 80℃의 1-메틸-2-피롤리디논(NMP)용매에 용해시킨 후 자체 제작한 닥터블레이드를 이용하여 길이 30cm, 폭 20cm, 두께 400㎛로 얇게 편 다음 120℃의 진공 오븐에 넣고 2시간 동안 건조하여 길이 30cm, 폭 20cm, 두께 70㎛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필름을 지름 10cm의 원형으로 재단하고, 사출성형 금형에 부착시킨 후 폴리카보네이트로 사출하여 필름과 결합시켰다. 이 때 사출기 실린더의 온도는 315℃이었고, 금형의 온도는 85℃이었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이 부착된 PC원형시편에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하드코팅제 3) 를 플로우 코팅한 후 자외선 램프로 경화시켰다. 여기에 물리적 기상증착법(PVD)에 의해 실리콘 다이옥사이드 층을 0.5㎛ 두께로 증착하여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시편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시편의 연필경도는 ASTM D3363과 같이 500g 하중에서 측정하였으며, 광투과율은 ASTM D1003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한 내마모 테스트는 ASTM D1044에 따라 테이버(taber) 마모 테스트 방법으로 CS-10F 휠(wheel)을 사용, 500g 하중, 1000cycle의 마모 실험 후 헤이즈의 변화 값(ΔHaze)을 측정하였다. 테이프(tape) 당김(pull) 테스트는 ASTM D3359에 따라 3M사의 tape를 가지고 필름의 박리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열수 테스트는 시편을 1시간 동안 90℃의 물속에 넣은 후 시편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열충격 테스트는 테스트시편을 열충격 챔버에 넣은 후 온도를 -40℃에서 1시간 체류하고 85 ℃까지 승온하여 1시간 체류하기를 24회 반복하였다. 이렇게 측정한 물성 평가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2 3
PC(1) 50 40 30
PBP(2) 50 60 70
Hard coating(3)
PVD
연필경도 5H 6H 5H
광투과율(%) 86 86 86
내마모 테스트(ΔHaze),1000회 12 10 15
Tape Pull 테스트 통과 통과 통과
열수 테스트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열충격 테스트 (-40~85℃, 24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1) 비스페놀 A로부터 유도된 점도평균분자량이 21,000인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2) Mississippi Polymer Technology 사의 Parmax1201: Poly(benzoyl-1,4-phenylene-co-1,3-penylene), 화학식 1에서 x와 y의 구조의 몰(mol)비는 약 85:15, 수평균분자량은 11,700 (3) SK-Cytec 사 UP-016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3의 내스크래치성의 지표인 연필경도와 내마모성 테스트 결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필름의 부착성을 평가하는 지표인 테이프 당김 테스트와 열수테스트, 열충격 테스트에서 박리 및 균열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제조 방법은 내스크래치성과 내마모 특성이 취약한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단점을 효율적 으로 보완하며 자동차의 유리창, 디스플레이장치의 보호용 창, 기차, 버스 등의 고정창, 샤워 부스, 진열장, 광고판, 캐노피, 건물의 유리창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A) 10 ~ 90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B) 10 ~ 90 중량%의 하기 화학식 1의 변성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필름을 제조하는 제 1 단계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필름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부착시키는 제 2 단계
    제 2 단계에서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표면에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및 에폭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제로 하드코팅 하는 제 3 단계 및
    하드코팅 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표면에 물리적 기상증착법 또는 플라즈마 도움증착법을 이용하여 실리콘 다이옥사이드층을 증착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8071923565-pat00002
    (상기 식에서 x와 y의 구조의 몰(mol)비는 60:40 ~ 95:5이고,
    n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수평균분자량이 6,000 내지 15,000이 되도록 하는 양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20 ~ 60 중량%, 화학식 1의 변성 폴리벤조일파라페닐렌 수지가 40 ~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의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용매로 용해시킨 후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캐스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캐스팅된 필름의 두께가 10 ~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용매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1-메틸-2-피롤리디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의 필름의 부착방법은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필름을 금형에 삽입하고 폴리카보네이트로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의 필름의 부착방법은 제 1 단계에서 제조된 필름을 에폭시 계열 또는 실리콘 계열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성형품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80654A 2005-08-31 2005-08-31 표면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글레이징 KR100868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654A KR100868238B1 (ko) 2005-08-31 2005-08-31 표면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글레이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654A KR100868238B1 (ko) 2005-08-31 2005-08-31 표면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글레이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971A KR20070024971A (ko) 2007-03-08
KR100868238B1 true KR100868238B1 (ko) 2008-11-12

Family

ID=3809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654A KR100868238B1 (ko) 2005-08-31 2005-08-31 표면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글레이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2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756A (ko) 2018-10-16 2020-04-2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및 제조방법
KR20210035511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제조방법
KR20210035510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서연이화 윈도우용 플라스틱 글라스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404A (ko) * 2013-10-08 2015-04-16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글래이징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666A (ja) * 1993-03-24 1994-10-04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20040033023A (ko) * 2001-09-07 2004-04-17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KR20040105826A (ko) * 2002-03-28 2004-12-16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공중합 시약 및폴리카보네이트
KR100614586B1 (ko) 2004-08-13 2006-08-25 주식회사 삼양사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이를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666A (ja) * 1993-03-24 1994-10-04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20040033023A (ko) * 2001-09-07 2004-04-17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KR20040105826A (ko) * 2002-03-28 2004-12-16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공중합 시약 및폴리카보네이트
KR100614586B1 (ko) 2004-08-13 2006-08-25 주식회사 삼양사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이를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756A (ko) 2018-10-16 2020-04-2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및 제조방법
KR20210035511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제조방법
KR20210035510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서연이화 윈도우용 플라스틱 글라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971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130B1 (ko) 플라스틱 글레이징 및 그 제조방법
EP1484351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polarizing sheet using the same
EP1302785B1 (en) Plastic lens
JP7306385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成形品、積層体
US20180223127A1 (en) Anti-fingerpringing composition with self-healing property, film, laminate, and device
JP2004510040A (ja) 新規なコポリカーボネートおよびその使用
EP0978374A3 (en) Decorative film for use in plastics molding, its preparation, and injection-molded part
JP2009270121A (ja) シート状窓部材および窓構造体
JP2009063976A (ja) 光学素子成形品およびそのための成形材料
KR100868238B1 (ko) 표면경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글레이징
EP3647335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rmoplastic polyoxazolidinone polymers
JP2004359220A (ja) シート状窓部材および窓構造体
KR100889829B1 (ko) 내스크래치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EP2660271A2 (en) Polycarbonate-polysiloxane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0614586B1 (ko)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이를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글레이징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6879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68294B1 (ko) 실록산계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액 조성물
WO2009045558A3 (en) Film-forming material, crosslinkers and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ilane, methods for producing a coating composition and a coated substrate
CN115353728B (zh) 一种改性pc及tpu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9119049A (ja) 加飾フィルム、および加飾成型体
KR101768277B1 (ko)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글레이징
JP2017177553A (ja) 積層体
EP2953998B1 (en) Improved maximum processing temperature of plastic substrates using hard coats
US20230212421A1 (en) Polymers,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polymers, and anti-fingerprint coatings formed therefrom
JPH08318598A (ja) 合成樹脂製積層型防曇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