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399B1 - 철판의 피복장치 및 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철판의 피복장치 및 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399B1
KR100867399B1 KR1020070075215A KR20070075215A KR100867399B1 KR 100867399 B1 KR100867399 B1 KR 100867399B1 KR 1020070075215 A KR1020070075215 A KR 1020070075215A KR 20070075215 A KR20070075215 A KR 20070075215A KR 100867399 B1 KR100867399 B1 KR 10086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iron plate
adhesive resin
plat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희
Original Assignee
한미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lready applied to the surface, e.g. coating thickness, weight or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 및 내식성을 높인 피복철판을 제조하기 위한 철판의 피복장치 및 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열 상태의 철판을 이송시키면서 철판의 상하면에 접착성수지를 접착하고, 그 위에 수지를 접착되게 하여 피복하는 것으로, 피복되는 수지가 철판으로부터 이탈되는 박리현상이 방지되게 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철판, 금속판, 수지, 피복, 접착제, 용융

Description

철판의 피복장치 및 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coating apparatus of iron plate and it's coating method}
본 발명은 철판의 피복장치 및 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판의 표면에 내구성 및 내식성을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해 가열 상태에서 수지가 피복됨으로서 수지가 철판으로부터 이탈되는 박리현상이 방지되게 하여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철판의 피복장치 및 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판은 그 내구성을 높이면서, 특히 수분에 의하여 발생되는 녹과 같은 부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내식성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철판의 표면에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포리오리팬계(PE,PP)나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시트)를 피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금속판재의 표면에 합성수지재를 피복하기 위해서는 이송되는 철판을 먼저 가열시킨 후 그 상,하 표면에 일정두께의 합성수지 시트,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시트 등을 철판에 압착롤러 등으로 압착시키면서 합성수지 시트를 금속판재의 표면에 융착시키어 피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합성수지시트를 열을 이용하여 접착 피복시킨 금속판재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접착 피복된 합성수지시트의 피복층이 철판의 표면에서 이탈되는 박리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판의 표면에 내구성 및 내식성을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해 가열 상태에서 철판을 수지로 피복함으로 해서 상기 철판에 피복되는 수지가 철판으로부터 이탈되는 박리현상이 방지되게 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철판의 피복장치 및 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판의 피복장치는, 청구항 1기재의 가열된 철판을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철판이송구멍과 상기 철판이송구멍의 상하부에서 접착성수지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접착성수지이송구멍과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의 상하부에서 수지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수지이송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각 이송구멍들의 출구들은 어느 일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위치되고 상기 각 이송구멍들의 입구들은 상호 다른 측면에 각각 위치된 본체다이스; 상기 본체다이스에 수지이송구멍의 입구가 위치된 측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지이송구멍으로 수지를 공급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공급되는 수지가 채워진 상태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수지이송구멍의 입구와 연결되는 수지수용홈을 갖는 수지공급용측판; 상기 본체다이스에 접착성수지이송구멍의 입구가 위치된 측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으로 접착성수지를 공급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공급되는 접착성수지가 채워진 상태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의 입구와 연결되는 접착성수지수용홈을 갖는 접착성수지공급용측판; 상기 본체다이스에 각 이송구멍들 의 출구들이 위치된 일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이송구멍들을 통해 이송되는 철판과 접착성수지 및 수지를 계속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철판이송구멍과 접착성수지이송구멍 및 수지이송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구멍들의 출구는 서로 만날 수 있게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과 수지이송구멍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철판의 상하부면에 접착성수지와 수지를 부착되게 하는 선단다이스; 및 상기 선단다이스의 앞쪽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며, 상기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철판의 상하부로 부착되는 접착성수지와 수지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철판의 상하부에 피복되는 접착성수지와 수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배출수지조종판을 포함한다.
또한, 청구항 2기재의 상기 선단다이스에 형성된 접착성수지이송구멍과 수지이송구멍에는 상기 이송되는 접착성수지와 수지가 채워진 상태로 계속 일정량을 이송될 수 있게 하고, 또한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는 홈부가 형성된다.
또, 청구항 3기재의 상기 접착성수지수용홈과 상기 수지수용홈에 각각 설치되어 공급되는 접착성수지와 수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공급수지조종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공급수지조정판을 밀어줄 수 있게 제1볼트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볼트를 관통하여 상기 공급수지조정판에 나사 결합되게 제2볼트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수지조종판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또, 청구항 4기재의 상기 배출수지조종판은 선단다이스의 앞쪽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상하부로 위치되게 설치되며, 상기 배출수지조정판을 밀어줄 수 있게 제3볼트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3볼트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수지조정판에 나사 결합되게 제4볼트를 설치하여 상기 배출수지조종판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또, 청구항 5기재의 상기 배출수지조종판은 상하부로 설치되어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 어느 하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와 요홈이 합쳐지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수지가 접착된 철판이 통과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은, 청구항 6기재의 본체다이스의 뒷면으로 형성된 철판이송구멍의 입구를 통해 가열된 철판을 공급하여 선단다이스의 정면으로 형성된 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가열된 철판을 이송되게 하는 단계; 상기 철판이송구멍의 상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다이스의 측면으로 형성된 접착성수지이송구멍의 입구를 통해 접착성수지의 양을 조절하면서 접착성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선단다이스의 정면으로 형성된 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철판의 상하면에 접착성수지가 부착되게 하는 단계;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의 상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다이스의 반대 측면으로 형성된 수지이송구멍의 입구를 통해 수지의 양을 조절하면서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선단다이스의 정면으로 형성된 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철판에 부착된 접착성수지 위에 수지가 부착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선단다이스의 출구에 인접되어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배출수지조종판을 설치하여 상기 배출수지조종판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의해 배출수지조종판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각 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철판의 상하부에 접착되는 접착성수지 및 수지의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여 철판에 피복되는 두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철판의 표면에 내구성 및 내식성을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해 가열된 철판을 수지로 피복함에 의해, 상기 철판에 피복되는 수지가 철판으로부터 이탈되는 박리현상이 방지되게 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는 가열된 철판을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철판이송구멍과 상기 철판이송구멍의 상하부에서 접착성수지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접착성수지이송구멍과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의 상하부에서 수지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수지이송구멍이 형성된 본체다이스(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다이스(3)는 6개의 다이스를 상하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되는 다이스들의 각 면에 상기 철판이송구멍과 접착성수지이송구멍 및 수지이송구멍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다이스(3)에 형성된 철판이송구멍과 접착성수지이송구멍 및 수지이 송구멍의 출구들은 본체다이스(3)의 전면으로 위치된다. 즉, 상기 본체다이스(3)의 전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5개의 본체다이스출구(1c,1d,2c,2d,3b)가 위치되는데, 상기 본체다이스출구(1c,1d,2c,2d,3b) 중에서 가운데 위치한 본체다이스출구(3b)는 철판이 이송되는 것이고, 최상부와 최하부에 위치한 본체다이스출구(1c,1d)는 수지가 이송되는 것이며, 중간에 위치한 본체다이스출구(2c,2d)는 접착성수지가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다이스(3)에 형성된 철판이송구멍과 접착성수지이송구멍 및 수지이송구멍의 입구들은 본체다이스(3)의 뒷면과 우측면 및 좌측면에 각각 위치된다. 즉, 상기 본체다이스(3)의 우측면에는 2개의 본체다이스입구(1a,1b)가 위치되는데, 이러한 본체다이스입구(1a,1b)는 상기 본체다이스(3)의 전면에 최상부와 최하부로 위치되도록 형성된 본체다이스출구(1c,1d)와 연결되어 수지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는 후술하는 도 4와 도 7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다이스(3)의 좌측면으로도 2개의 본체다이스입구가 위치되는데, 이러한 본체다이스입구는 뒤에서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 본체다이스(3)의 뒷면으로도 본체다이스입구가 위치되는데, 이 역시 뒤에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서, 상기 본체다이스(3)의 오른쪽으로는 수지공급용측판(1)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수지공급용측판(1)은 상기 다이스본체(3)의 우측면으로 형성된 2개의 본체다이스입구(1a,1b)를 통해 수지를 공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다이스(3)의 왼쪽으로는 접착성수지공급용측판(2)이 설치되 는데, 이러한 접착성수지공급용측판(2)은 상기 다이스본체(3)의 좌측면으로 형성되는 2개의 본체다이스입구를 통해 접착성수지를 공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지공급용측판과 접착성수지공급용 측판의 내측면에는, 즉 상기 다이스본체(3)와 접촉하는 면에 수지수용홈과 접착성수지수용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지수용홈과 접착성수지수용홈은 공급되는 수지와 접착성수지가 채워진 상태에서 공급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상기 본체다이스(3)의 앞쪽으로는 선단다이스(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선단다이스(4)에는 상기 다이스본체(3)의 전면으로 형성된 5개의 본체다이스출구(1c,1d,2c,2d,3b)와 연결되어 철판과 접착성수지 및 수지가 계속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철판이송구멍(3c)과 접착성수지이송구멍(2e,2f) 및 수지이송구멍(1e,1f)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선단다이스(4)에 형성된 철판이송구멍(3c)과 접착성수지이송구멍(2e,2f)과 수지이송구멍(1e,1f)은 앞쪽에서 서로 만날 수 있게 상기 철판이송구멍(3c)은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2e,2f)과 수지이송구멍(1e,1f)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철판이송구멍(3c)과 접착성수지이송구멍(2e,2f) 및 수지이송구멍(1e,1f)의 선단은 하나의 출구를 통해 이송되는 철판과 접착성수지 및 수지가 모아진 형태로 하여 배출됨으로서, 상기 철판의 상하부면에 접착성수지가 먼저 부착되고 그 위에 수지가 부착되면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선단다이스(4) 역시 6개의 다이스를 상하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되는 다이스들의 각 면에 상기 철판과 접착성수지 및 수지를 계속 이송시 킬 수 있게 하는 철판이송구멍(3c)과 접착성수지이송구멍(2e,2f) 및 수지이송구멍(1e,1f)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선단다이스(4)의 좌우측면으로는 각각 좌우측판(4a,4b)이 설치되어 상기 철판이송구멍(3c)과 접착성수지이송구멍(2e,2f) 및 수지이송구멍(1e,1f)의 양측면을 막아주게 되어, 철판과 접착성수지 및 수지가 선단다이스(4)의 앞쪽으로만 배출되게 한다.
도 1과 도 2에서, 상기 선단다이스(4)의 맨 앞에는 상기 철판의 상하부면에 부착되는 접착성수지와 수지의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철판의 상하부면에 피복되는 접착성수지와 수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배출수지조종판(5)(5')이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하부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수지조종판(5)(5')에는 각각 장공(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5a)을 관통하여 고정볼트(5b)로서 상기 선단다이스(4)의 앞쪽으로 고정되므로 상기 배출수지조종판(5)(5')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배출수지조종판(5)(5')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3볼트(5c)와 제4볼트(5d)가 결합되어 상기 배출수지조종판(5)(5')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도 9a와 도 9b 및 도 10a와 도 10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서, 도면 부호(6a)(6b)는 상기 수지공급용측판(1)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수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공급수지조종판을 조절하는 제1볼트(6a)와 제2볼트(6b)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 및 작동상태 역시 뒤에서 도 8a ~도 8b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공급수지조종판은 상기 접착성수지공급용측판(2)에도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에 대하여 도 2표시의 I-I선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에 대하여 도 2표시의 II-II선 절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다이스(3)에 형성되어 철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철판이송구멍(3')의 본체다이스입구(3a)와 본체다이스출구(3b)는 상기 본체다이스(3)의 뒷면과 앞면으로 위치된다. 또한, 수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수지이송통로(1')의 본체다이스입구(1a,1b)와 본체다이스출구(1c,1d)는 상기 본체다이스(3)의 우측면과 앞면으로 위치되다. 그리고 접착성수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접착성수지이송구멍(2')의 본체다이스입구(2a,2b)와 본체다이스출구(2c,2d)는 상기 본체다이스(3)의 좌측면과 앞면으로 위치된다. 즉, 상기 본체다이스출구(1c,1d,2c,2d,3b)는 모두 본체다이스(3)의 정면으로 위치되고 상기 본체다이스입구(1a,1b,2a,2b,3a)는 본체다이스(3)의 좌우측면과 뒷면으로 각각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철판과 접착성수지 및 수지가 뒷면과 좌우측면에서 각각 공급되어 앞면으로 배출된다.
도 3에서, 상기 선단다이스(4)에 형성되어 철판을 이송시키도록 하는 철판이송구멍(3c)과 접착성수지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접착성수지이송구멍(2e,2f)과 수지를 이송시키도록 하는 수지이송구멍(1e,1f)의 각 출구들은 하나의 출구를 통해 모아져서 배출되게 하는 것이며,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2e,2f)과 수지이송구 멍(1e,1f)의 경로에 기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홈부(1g,1h,2g,2h)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1g,1h,2g,2h)에 접착성수지와 수지가 채워지게 한 상태가 일정량을 이송시키게 하고, 또한 기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철판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본체다이스와 선단다이스에 형성된 철판이송구멍을 나타낸 도 4표시의 III-III선 절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철판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다이스(3)에 형성된 철판이송구멍(3')의 본체다이스입구(3a)는 본체다이스(3)의 뒷면으로 위치되고 본체다이스출구(3b)는 본체다이스(3)의 앞면으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선단다이스(4)에 형성되는 철판이송구멍(3c)은 상기 본체다이스출구(3b)와 연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철판은 본체다이스(3)에 뒤쪽에서 공급되어 앞쪽으로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접착성수지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본체다이스와 선단다이스에 형성된 접착성수지이송구멍을 나타낸 도 4표시의 IV-IV선 절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착성수지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다이스(3)에 형성된 접착성수지이송구멍(2')의 본체다이스입구(2a,2b)는 본체다이스(3)의 좌측면으로 형성되고 본체다이스출구(2c,2d)는 본체다이스(3)의 앞면으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선단다이스(4)에 형성되는 접착성수지이송구멍(2e,2f)은 상기 본체다이스출구(2c,2d)와 연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성수지는 본체다이스(3)에 왼쪽에서 공급되어 앞쪽으로 배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수지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본체다이스와 선단다이스에 형성된 수지이송구멍을 나타낸 도 4표시의 V-V선 절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지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다이스(3)에 형성된 수지이송구멍(1')의 본체다이스입구(1a,1b)는 본체다이스(3)의 우측면으로 형성되고 본체다이스출구(1c,1d)는 본체다이스(3)의 앞면으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선단다이스(4)에 형성되는 수지이송구멍(1e,1f)은 상기 본체다이스출구(1c,1d)와 연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지는 본체다이스(3)에 오른쪽에서 공급되어 앞쪽으로 배출된다.
도 8a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접착성수지 및 수지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공급수지조종판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급되는 접착성수지 및 수지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수지조종판(6)은 상기 본체다이스(3)의 좌우측면으로 설치되는 접착성수지공급용측판(2)과 수지공급용측판(1)의 내측면으로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접착성수지공급용측판(2)과 수지공급용측판(1)에 구비되는 접착성수지수용홈(2i)과 수지수용홈(1i)에 각각 위치되도록 공급수지조종판(6)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공급수지조종판(6)은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2')의 본체다이스입구(2a,2b)와 수지이송구멍(1')의 본체다이스입구(1a,1b)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상기 본체다이스입구(1a,1b,2a,2b)를 통해 공급되는 접착성수지 및 수지의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착성수지수용홈(2i)과 수지수용홈(1i)에 각각 위치되게 설치되는 상기 공급수지조종판(6)은, 제1볼트(6a)와 제2볼트(6b)로 결합되어 공급수지조종판(6)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제1볼트(6a)를 상기 접착성수지공급용측판(2)과 수지공급용측판(1)에 각각 나사 결합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공급수지조종판(6)을 밀수 있게 하고, 상기 제1볼트(6a)를 관통되게 제2볼트(6b)를 상기 공급수지조종판(6)에 나사 결합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공급수지조종판(6)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하여 접착성수지수용홈(2i)과 수지수용홈(1i)에 채워져 있는 상기 본체다이스입구(1a,1b,2a,2b)를 통해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볼트(6a)와 제2볼트(6b)에 의해 상기 공급수지조종판(6)을 이동시켜 공급되는 접착성수지 및 수지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2볼트(6b)가 공급수지조종판(6)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제1볼트(6a)를 우측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제1볼트(6a)의 끝이 공급수지조종판(6)을 밀어주게 됨으로서 수지수용홈(1i)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다이스에 수지가 적게 들어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볼트(6a)를 좌측방향으로 돌리면 제1볼트(6a)의 머리가 제2볼트(6b)의 머리를 밀어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볼트(6b)는 공급수지조종판(6)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뒤로 밀리게 되므로 상기 공급수지조종판(6)을 뒤로 이동시켜 수지수용홈(1i)의 공간이 넓게 되어, 다이스에 수지가 많이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볼트(6a)의 회전에 의해 공급수지조종판(6)을 밀거나 혹은 제2볼트(6b)의 머리를 밀어 공급수지조종판(6)을 이동시킴에 따라 공급되는 수지의 양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작동은 접착성수지수용홈(2i)에 설치되는 공급수지조종판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도 9a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수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배출수지조종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a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되는 수지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수지조종판(5)(5')은 상기 선단다이스(4)의 앞쪽으로 설치된다. 즉, 2개의 배출수지조종판(5)(5')을 소정 간격을 갖도록 상하부에 배치하여 장공(5a)을 통해 고정볼트(5b)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배출수지조종판(5)(5')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배출수지조종판을 이동시키는 제3볼트(5c)를 상하부에서 각각 상기 선단다이스(4)에 나사 결합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배출수지조종판(5)(5')을 이동시키는 제3볼트(5c)를 관통하여 제4볼트(5d)를 배출수지조종판(5)에 나사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되어 배출되는 수지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4볼트(5d)가 배출수지조종판(5)(5')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장공(5a)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고정볼트(5b)를 미세하게 풀고, 제3볼트(5c)를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볼트(5c)의 끝이 배출수지조종판(5)(5')을 밀어주게 됨으로 철판과 배출수지조종판(5)(5')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수지가 철판에 얇게 접착된다.
또한, 제3볼트(5c)를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볼트(5c)의 머리가 제4볼트(5d)의 머리를 밀어주게 됨으로, 배출수지공급판(5)(5')에 나사 결합된 제4볼트(5d)가 밀리면서 배출수지공급판(5)(5')을 함께 이동시켜 철판과 배출수지조종판(5)(5')의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수지가 철판에 두껍게 접착된다. 이와 같이 배출수지조종판(5)(5')을 조종한 다음에는 장공(5a)을 통해 고정볼트(5b)를 조여 배출수지조종판(5)(5')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철판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수지조정판(5)(5')을 이동시킴에 의해 철판에 접착되는 수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수지의 양을 조절하도록 한 배출수지조종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볼트(5c)를 회전시켜 배출수지조종판(5)(5')을 조절할 때, 상기 배출수지조종판(5)(5')의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 즉 어느 하나의 배출수지조종판(5)에는 돌출부(5e)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배출수지조종판(5')에는 요홈(5f)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5e)와 요홈(5f)이 서로 합쳐지면서 공간부(5g)가 생기도록 하여, 이 공간부(5g)로 수지가 접착된 철판이 통과되게 함으로서, 수지가 접착된 철판의 양면의 가장자리를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를 이용하여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를 이용하여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작동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판의 표면에 수지를 피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열된 철판을 상기 본체다이스(3)에 형성된 철판이송구멍(3')으로 이송되게 한다. 즉, 본체다이스(3)의 뒤쪽에서 상기 철판이송구멍(3')의 본체다이스입 구(3a)를 통해 공급하여 본체다이스출구(3b)를 거쳐 선단다이스(4)에 형성된 철판이송구멍(3c)으로 이송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접착성수지를 본체다이스(3)의 좌측에서 접착성수지이송구멍(2')의 본체다이스입구(2a,2b)를 통해 공급하여 본체다이스출구(2c,2d)를 거쳐 선단다이스(4)의 접착성수지이송구멍(2e,2f)으로 이송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지를 본체다이스(3)의 우측에서 수지이송구멍(1')의 본체다이스입구(1a,1b)를 통해 공급하여 본체다이스출구(1c,1d)를 거쳐 선단다이스(4)의 수지이송구멍(1e,1f)으로 이송되게 한다.
이와 같이 이송되는 철판과 접착성수지 및 수지는, 상기 선단다이스(4)의 철판이송구멍(3c)과 접착성수지이송구멍(2e,2f) 및 수지이송구멍(1e,1f)을 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철판의 위아래로 접착성수지와 수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접착되면서 피복하게 된다. 즉, 상기 선단다이스(4)에 형성된 철판이송구멍(3c)과 접착성수지이송구멍(2e,2f) 및 수지이송구멍(1e,1f)의 출구는 모아지는 형태로 되어 하나의 출구를 통해 철판과 접착성수지 및 수지가 배출됨으로, 상기 철판의 위아래로 접착성수지와 수지가 부착되도록 하여 피복할 수 있으며, 이는 가열된 철판이 이송시킴에 의해 상기 가열된 철판에 접착성수지와 수지가 견고하게 부착되면서 피복된다.
또한, 상기 철판의 상하부면에 접착성수지와 수지를 부착할 때 상기 접착성수지와 수지의 배출되는 양을 배출수지조종판에 의해 조절함으로서 철판의 상하부면에 부착되므로 피복되는 접착성수지와 수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방법은, 가열된 철판을 어느 일면으로부터 공급하여 그 반대면으로 배출되게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되는 철판의 상하부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접착성수지와 수지를 각각 이송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접착성수지와 수지는 철판과 함께 하나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서 상기 철판의 상하부면에 접착성수지가 먼저 접착되고 그 위에 수지가 부착되게 하여 철판을 피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표시의 IV-IV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표시의 V-V선 단면도이고,
도 8a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접착용수지와 수지의 양을 조절하도록 한 공급수지조종판의 작동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a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수지의 양을 조절하도록 한 배출수지조종판의 작동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수지의 양을 조절하도록 한 배출수지조종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판의 피복장치에 의한 피복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지공급용측판 2 - 접착성수지공급용측판
3 - 본체다이스 4 - 선단다이스

Claims (6)

  1. 가열된 철판을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철판이송구멍과 상기 철판이송구멍의 상하부에서 접착성수지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접착성수지이송구멍과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의 상하부에서 수지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수지이송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각 이송구멍들의 출구들은 어느 일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위치되고 상기 각 이송구멍들의 입구들은 상호 다른 측면에 각각 위치된 본체다이스;
    상기 본체다이스에 수지이송구멍의 입구가 위치된 측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지이송구멍으로 수지를 공급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공급되는 수지가 채워진 상태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수지이송구멍의 입구와 연결되는 수지수용홈을 갖는 수지공급용측판;
    상기 본체다이스에 접착성수지이송구멍의 입구가 위치된 측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으로 접착성수지를 공급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공급되는 접착성수지가 채워진 상태로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의 입구와 연결되는 접착성수지수용홈을 갖는 접착성수지공급용측판;
    상기 본체다이스에 각 이송구멍들의 출구들이 위치된 일면으로 설치되어 상기 이송구멍들을 통해 이송되는 철판과 접착성수지 및 수지를 계속 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철판이송구멍과 접착성수지이송구멍 및 수지이송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구멍들의 출구는 서로 만날 수 있게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과 수지이송구멍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철판의 상하부면에 접착성수지와 수지를 부착되게 하는 선 단다이스; 및
    상기 선단다이스의 앞쪽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며, 상기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철판의 상하부로 부착되는 접착성수지와 수지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철판의 상하부에 피복되는 접착성수지와 수지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배출수지조종판을 포함하는 철판의 피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다이스에 형성된 접착성수지이송구멍과 수지이송구멍에는 상기 이송되는 접착성수지와 수지가 채워진 상태로 계속 일정량을 이송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기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피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수지수용홈과 상기 수지수용홈에 각각 설치되어 공급되는 접착성수지와 수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공급수지조종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공급수지조정판을 밀어줄 수 있게 제1볼트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볼트를 관통하여 상기 공급수지조정판에 나사 결합되게 제2볼트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수지조종판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피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지조종판은 선단다이스의 앞쪽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상하부로 위치되게 설치되며, 상기 배출수지조정판을 밀어줄 수 있게 제3볼트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3볼트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수지조정판에 나사 결합되게 제4볼트를 설치하여 상기 배출수지조종판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피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지조종판은 상하부로 설치되어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 어느 하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와 요홈이 합쳐지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수지가 접착된 철판이 통과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의 피복장치.
  6. 본체다이스의 뒷면으로 형성된 철판이송구멍의 입구를 통해 가열된 철판을 공급하여 선단다이스의 정면으로 형성된 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가열된 철판을 이송되게 하는 단계;
    상기 철판이송구멍의 상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다이스의 측면으로 형성된 접착성수지이송구멍의 입구를 통해 접착성수지의 양을 조절하면서 접착성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선단다이스의 정면으로 형성된 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철판의 상하면으로 접착성수지를 부착되게 하는 단계;
    상기 접착성수지이송구멍의 상하부에 위치되게 상기 본체다이스의 반대 측면으로 형성된 수지이송구멍의 입구를 통해 수지의 양을 조절하면서 수지를 공급하여 상기 선단다이스의 정면으로 형성된 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철판에 부착된 접착성수지 위에 수지를 부착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선단다이스의 출구에 인접되어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배출수지조종판을 설치하여 상기 배출수지조종판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의해 배출수지조종판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각 출구를 통해 배출되면서 철판의 상하부에 접착되는 접착성수지 및 수지의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여 철판에 피복되는 두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
KR1020070075215A 2007-07-26 2007-07-26 철판의 피복장치 및 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 KR10086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215A KR100867399B1 (ko) 2007-07-26 2007-07-26 철판의 피복장치 및 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215A KR100867399B1 (ko) 2007-07-26 2007-07-26 철판의 피복장치 및 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399B1 true KR100867399B1 (ko) 2008-11-06

Family

ID=4028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215A KR100867399B1 (ko) 2007-07-26 2007-07-26 철판의 피복장치 및 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3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663A (ko) * 1991-11-26 1993-06-21 최오영 합성수지 피복철선 제조장치
US5458291A (en) 1994-03-16 1995-10-17 Nordson Corporation Fluid applicator with a noncontacting die set
KR20030045567A (ko) * 2001-12-04 2003-06-11 임성진 플랜지형 피복파형강관의 제조방법 및 그 피복파형강관
KR20050035532A (ko) * 2005-03-11 2005-04-18 김태자 화학물질 탱크용 강판의 고분자수지 코팅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663A (ko) * 1991-11-26 1993-06-21 최오영 합성수지 피복철선 제조장치
US5458291A (en) 1994-03-16 1995-10-17 Nordson Corporation Fluid applicator with a noncontacting die set
KR20030045567A (ko) * 2001-12-04 2003-06-11 임성진 플랜지형 피복파형강관의 제조방법 및 그 피복파형강관
KR20050035532A (ko) * 2005-03-11 2005-04-18 김태자 화학물질 탱크용 강판의 고분자수지 코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122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ack of laminations
JP4746894B2 (ja) 塗工装置
CN102055004B (zh) 可再充电电池及其制造方法
KR20150037112A (ko) 슬롯 다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PT2338693E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acabamento de uma placa de material derivado de madeira
KR100867399B1 (ko) 철판의 피복장치 및 그 철판을 피복하기 위한 제조방법
CN106183336A (zh) 热熔胶涂布贴合机
WO2004017785A3 (en) Razor having a microfluidic shaving aid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ejecting shaving aid
KR20190000589A (ko) 이차전지용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시스템
US8375997B2 (en) Pasting apparatus and method
US4565509A (en) Continuous operation press
AU2020226295A1 (en) Belt contact surface with inserts, and a conveyor system using same
US20170072411A1 (en) Die mounted contact applicator
EP2969247B1 (en) Variable volume hot melt adhesive dispensing nozzle or die assembly with choke suppression
KR101015179B1 (ko) 연속적인 재료에 유체를 도포하는 모듈형 장치를 포함하는 연속적인 재료 처리 장치
US20060201789A1 (en) Link belt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7281643B2 (ja) 床材
EP2521681A2 (en) Multi-belt conveyor having link belts
JPH11207237A (ja) 塗布装置
US11851284B2 (en) Conveyor system for wheeled structures and improvements thereto
EP3109028B1 (en) Print head for co-extruding conformal battery separator and electrode
KR101670049B1 (ko) 합지공정용 적층장치
CN116174247B (zh) 一种喷胶枪头及胶枪
US20070274758A1 (en) Merchandise Detecting And Bill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Receipt Dispensers
JP5263642B2 (ja) パーツフィ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