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382B1 -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 Google Patents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382B1
KR100867382B1 KR1020060096713A KR20060096713A KR100867382B1 KR 100867382 B1 KR100867382 B1 KR 100867382B1 KR 1020060096713 A KR1020060096713 A KR 1020060096713A KR 20060096713 A KR20060096713 A KR 20060096713A KR 100867382 B1 KR100867382 B1 KR 10086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ire
language learning
diagram
image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381A (ko
Inventor
최재봉
Original Assignee
최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봉 filed Critical 최재봉
Priority to KR102006009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382B1/ko
Publication of KR2008003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 또는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된 전체 이미지상에 여러 종류의 다이어그램을 도입하여, 그 전체 이미지를 표현하는 영어 문장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학습 교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전체 이미지를 표현하는 전체 영어 문장의 구성 단위가 배열되는 순서는 그 전체 이미지를 인식하는 주체의 그 구성 단위에 대응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에 대한 시각적 인식 흐름과 일치한다는 발견을 전제로 하여, 상기 발견을 효과적으로 영어 학습에 적용하기 위한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체 영어 문장의 구성 단위에 대응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서는 그 전체 영어 문장의 구성 단위가 순차적으로 학습자의 머릿속에 입수될 수 있도록 매개하는 대응 부분 이미지를 지정하는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 다이어그램, 화살표 등과 같은 방향성 다이어그램 등의 학습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더욱이, 전체 문장의 관절 역할을 수행하는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에 각각에 대응되는 대응 다이어그램이 대응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본 어학 학습 교재의 학습 효과는 더욱 뛰어나게 된다.
전체 이미지, 대응 부분 이미지, 대응 다이어그램, 전치사, 관계사, 분사

Description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 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Language Learning Material Comprising Diagrams Expressed between Part Images on a Whole Image}
도 1은 일러스트레이션과 상기 일러스트레이션에 관련된 학습 문장을 제공해 주는 방식으로 그림을 통해서 영어 문장을 학습하도록 도와주는 종래의 학습 교재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된 전체 이미지상에 다이어그램이 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일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3은 사진과 사진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는 신문을 활용한 학습 교재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진으로 된 전체 이미지상에 다이어그램이 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일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5는 사진과 사진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는 신문을 활용한 학습 교재에 관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6은 사진으로 된 전체 이미지상에 다이어그램이 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또 다른 일실시예적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a ~ 100c : 전체이미지
200a ~ 200l :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
300a ~ 300c :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
310a ~ 310d : 식별표시
400a ~ 400g :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
500 a : 부사
500b ~ 500d : 전치사
600a ~ 600c : 방향성 화살표 다이어그램
700a, 700b : 확장 표시성 다이어그램
710a, 710b : 확장 표시성 화살표 다이어그램
720a ~ 720c : 확장 표시 대응 문장 구성 단위
800a ~ 800d : 순서 표시 수단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1-000531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1-0052657호
본 발명은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진 또는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된 전체 이미지상에 여러 종류의 다이어그램을 도입하 여, 그 전체 이미지를 표현하는 영어 문장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학습 교재에 관한 것이다.
제1 외국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학습 방법과 학습 교재는 홍수라고 말이 무색할 정도로 학습자들에게 공급되고 있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시대의 흐름 속에서 여러 가지 영어 학습법이 명멸해 가기도 했고, 세월의 선택을 이기어 가면서 다수에게 여전히 선택받는 영어 학습법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영어 학습의 요체는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영어로 말하고, 쓰고, 듣고,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대부분의 한국인은 극소수를 제외한 압도적인 다수가 여러 가지 이유로 투입하는 노력을 대비할 때, 목적하는 학습 성과를 이뤄 내지 못하고 있으며, 영어 정복을 위해 수차례의 도전과 실패를 반복하면서 비용과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
우리는 국어로 읽자마자 읽는 순서대로 바로 이해하고, 듣자마자 듣는 순서대로 바로 알아듣고, 생각하자마자 생각하는 순서대로 바로 말이 되어 입에서 나간다. 원어민들도 영어에 대해서 마찬가지임은 분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영어에 대한 하나의 발견에 기초하고 있는데, 그 발견의 핵심은 " 영어 문장은 주어를 중심으로 순서대로 확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라는 명제이다. 조금 더 풀어서 말하면, 주어, 즉 기준이 되는 주체로부터 물리적으로 가까운 것으로부터 먼 순서대로, 철저히 논리적 단계를 밟아가며 한 단어 한 구절이 배열되어 나가는 구조가 영어 문장의 구조라는 것이다.
국어나 일본어에는 조사가 발달하여 있기 때문에 조사가 해당 단어의 위치와 쓰임새를 밝혀주기 때문에 문장의 어순이 바뀌어도 그 뜻을 전달하는 데는 크게 문제가 없다. 하지만, 영어에는 조사가 없기 때문에 어순이 바뀔 경우 전달하고자 하는 뜻이 왜곡되거나, 이상한 말이 되고 만다. 그래서 영어에는 단어가 놓은 위치, 순서가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의 예를 보면 더욱 직관적일 것이다.
존은 웬디를 사랑한다 John Wendie loves
존은 사랑한다 웬디를 John loves Wendie
웬디를 사랑한다 존은 Wendie loves John
웬디를 존은 사랑한다 Wendie John loves
사랑한다 존은 웬디를 loves John Wendie
사랑한다 웬디를 존은 loves Wendie John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영어에서는 어순이 의사 전달에 극히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영어 문장은 순서대로 정보가 표현되고, 수용되어야 하는 구조로 될 수밖에 없음을 있다. 그러므로, 영어를 자연스럽게 듣고, 말하고, 쓰고, 읽기 위한 영어 학습도 "순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순서"에 기반한 학습 트레이닝이 필요한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인용한 선행 기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1-0005314호는 영어 강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어 단어의 소리 속에 의미를 담는 방법을 알아냄으로써, 영어 단어를 구성하는 소리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이해시키고, 그림 문자에서 영어의 어순을 풀어내는 순서를 풀어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상형 문자를 활용하여 영어의 어순 문제 중 "주어 + 동사" 어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1-0052657호는 그림만들기를 이용한 영어 교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어를 표현하기 전에 그 영어 표현에 해당하는 자기의 사고의 흐름에 따라 만들어지는 그림이 어떤 순서로 그려지느냐를 판단하여, 그림을 그리고, 이에 영어 표현을 일치시키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영어를 교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그림들은 문장 또는 문장의 구성 요소 단위를 설명해 주는 것에 불과할 뿐, 그 그림에 대응되는 전체 문장이 어떠한 흐름, 순서 및 연결 관계로 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 주는 장치가 없어, 그림을 통하여 원어민들처럼 자연스럽게 영어 순서대로 영어를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신문, 도서 및, 기타 특별하게 인용할 수 없지만 무수하게 나와 있는 영어 학습 교재들은 그림이나 사진을 그 학습의 한 요소로 반영하고 있다. 도 1은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하여 하나의 문장을 익히는 방법에 대한 그림이며, 도 5는 영자 신문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진과 사진 밑에 있는 영어 문장을 통해서 영어를 익히는 것에 대한 선행 기술이다. 상기 사진이나 일러스트레이션들도 학습해야 하는 문장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뿐, 그림이나 사진에 대응되는 전체 문장이 어떠한 흐름, 순서 및 연결 관계로 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해 주는 장치가 없어, 그림을 통하여 원어민들처럼 자연스럽게 영어 순서대로 영어를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본 발명은 우선적으로 그림을 통하여 영어 문장이 순차적으로 어떻게 구성되고, 확장해 나가는지에 대한 효과적 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어학 학습 교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훈련이 반복되어 영어의 문장의 순서에 대한 감각이 생기게 되면, 이러한 능력은 듣기, 말하기뿐만 아니라 읽기와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 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그림은 영어 문장이라는 형식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전달하고자 하는 자의 의도, 생각 등)의 한 대상물에 대응되므로, 본 발명의 어학 학습 교재의 궁극적인 목적 중의 하나는 "정보가 영어로 표현되는/드러나는 순서" 및 "영어 단위와 영어 단위가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로 연결되는 관계"를 해당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에 대응되는 고유한 그림(다이어그램)을 통해서 체감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 영어 문장의 구성 단위에 대응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들을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해 주고, 그 대응 부분 이미지 사이에서는 그 전체 영어 문장의 구성 단위가 순차적으로 학습자의 머릿속에 입수될 수 있도록 매개하는 화살표나 동선 등과 같은 각 대응 부분 이미지들 사이의 관계성을 표현해 주는 관계성 매개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 표시된 대응 부분 이미지들을 따라가 보면서 전체 문장이 직관적으로 순서대로 떠오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학습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더욱이, 전체 문장의 관절 역할을 수행하는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에 대응되는 화살표나 선 그림 등의 관계성 매개 수단이 대응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본 어학 학습 교재의 학습 효과는 더욱 뛰어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전체 이미지상에서 선택된 복수개의 대응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 관계성 표시 수단을 포함시켜 대응 부분 이미지들과 관계성 표시 수단을 보면서 전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전체 문장이 학습자의 머릿속에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떠오를 수 있게 하는 어학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관계성 표시 수단으로 특별히 방향성 화살표 다이어그램을 채용하여 상기 전체 문장의 구성 순서를 명확하게 하도록 도와 줄 수 있는 어학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관계성 표시 수단으로 상기 전체 문장에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그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 각각에 대응되는 고유의 대응 다이어그램을 표시하여 영어 문장의 관절 역할을 하는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에 대한 위치, 사용되는 환경을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어학 학습 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전체 이미지; 상기 전체 이미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 상기 전체 이미 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 및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를 제공한다.
상기 전체 이미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 상의 내용의 전개 순서를 제시하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성 화살표 다이어그램;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전체 이미지 위에 표시되는 전치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치사는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 주변에 표시되며, 상기 전치사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은 폐도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폐도형은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의 기설정된 일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폐도형에 대응되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의 기설정된 일 영역은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의 단어, 구 및 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상기 전체 이미지의 경계 영역 및 상기 전체 이미지의 외곽 영역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지만,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현되지 않는 어학 학습 콘텐츠에 대응되는 확장 표시성 다이어그램;을 더 포함하는 것을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는 텍스트로 된 문장이며, 상기 문장은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에 대응되는 부분에 식별 표시가 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표시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글자의 기울기, 밑줄, 음영 및 글자의 색깔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것인 것이 좋다.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는 텍스트로 된 문장이며, 상기 문장은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에 대응되는 부분에 식별 표시가 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표시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글자의 기울기, 밑줄, 음영, 단어나 구절 사이의 빈칸의 거리, 및 글자의 색깔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것인 것이 좋다.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에서는 순서를 나타낼 수 있는 숫자, 문자 및 로마 기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순서 표시 수단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는 텍스트로 된 문장이며, 상기 문장은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에 대응되는 부분에 식별 표시가 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표시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글자의 기울기, 밑줄, 음영 및 글자의 색깔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것인 것이 좋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기존의 이미지나 사진을 통해서 영어를 공부하는 교재들은 하나의 이미지에 하나의 학습 콘텐츠를 대응시켜 놓고 있는 것이 많다. 이렇게 되는 경우, 하나의 전체 이미지에 대해 어떤 요소 요소가 문장의 어디 어디와 연관된다는 등과 같은 구조적인 대응 관계가 없어, 하나의 이미지가 어떻게 전체 문장으로 연결되는가에 대해 체계적으로 파악하기가 불가능해 지며, 통상적으로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는 상기 영어 문장 또는 상기 영어 문단을 설명하는 등의 보조적, 수동적, 소극적 용도에만 사용된다.
영어가 입으로 술술 자연스럽게 순차적으로 나오기 위해서는 머릿속에서 1) 전체적인 내용의 흐름과, 2) 자기가 현재 말하는 부분 및 3) 상기 자기가 현재 말하는 부분에 곧바로 이어지는 부분이 유기적으로 잘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렇게 되지 않으면, 영어 문장의 자연스러운 전개가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학습의 목적은 전체 이미지(100a, 100b, 100c)가 주어졌을 때, 학습자가 전체 문장을 용이하게 학습하고, 표현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는데, 기존에는 도 1, 도 3, 도 5처럼 전체 이미지(100a, 100b, 100c)에 대하여 그냥 전체 문장을 대응시켜 놓았기 때문에, 문장의 모든 구성 요소들을 한꺼번에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문장을 순차적으로 말하거나 쓰는데, 주어진 전체 그림이 큰 기여를 하지 못했다.
하지만, 도 2,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러스트레이션 또는 사진 등과 같은 전체 이미지(100a, 100b, 100c) 상에 복수개의 대응 부분 이미지를 지정 표시하는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a 내지 200l)을 도입 하였다. 상기 전체 이미지(100a, 100b, 100c)에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300a 내지 300c)로서 전체 문장 또는 전체 영어문장이 대응될 수 있고 상기 전체 문장(300a 내지 300c)은 복수개의 문장의 구성 단위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표시된 "She steps up to the temple seeing her little dog on his hind legs trying to get the bone"이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300a 내지 300c)로서의 상기 전체 문장(300a 내지 300c)이 된다.
이때,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는 상기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말한다. 이때, 상기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상기 전체 이미지(100a, 100b, 100c) 상에서 학습자가 인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특정하는 것이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a 내지 200e)이다. 도 2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200a 내지 200e가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으로, 200a 200b, 200c, 200d, 200e에는 각각 타원, 원 또는 사각형의 폐곡선 또는 폐도형으로 된 다이어그램이 상기 전체 이미지 위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각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은 상기 전체 문장에서 200a는 "she"에, 200b는 "the temple"에, 200c는 "her little dog"에, 200d는 "his hind legs"에, 200e는 "the bone"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a 내지 200e)이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되면,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가 1:1로 용이하게 대응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학습자는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를 머릿속에 떠올리면서,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에 대응 되는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를 순차적으로 떠올릴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에 표시된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a 내지 200e)은 문장을 순차적으로 말하고 쓰는데 큰 기여를 하게 된다.
상기 대응은 상기 전체 문장(300a)에 포함되어 있는 전치사나 접속사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the temple"은 "to the temple"로, 상기 "his hind legs"는 "on his hind legs"가 될 수 있다.
상기 전체 이미지(100a)가 표현되고 드러나는 바탕 화면이 본 발명의 학습 베이스면이 된다. 상기 학습 베이스면은 학습자가 학습하는 바탕이 되는 것으로, 그 바탕이 되는 재료는 종이, 또는 전자적 매체에 의해 표현되는 화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이가 좋다.
본 발명 사상은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구성 단위가 본질적으로 주어를 중심으로 공간적 및 시간상으로 멀어지면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는 것에 기반하므로, 영어 문장의 구성 단위의 순차적 배열을 훈련하는 것이 학습의 중요 목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성 단위에 해당되는 상기 전체 영어 문장(300a)에서의 구성 부분을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a 내지 200e) 및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와 대응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a 내지 200e) 및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들의 연결 순서를 보면서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a 내지 200e) 및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문장의 구성 단위들을 대응시키면서 머릿속으로 떠올릴 수 있게 된다. 즉, 머 릿속에서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a 내지 200e) 및 대응 부분 이미지들이 연속해서 지나가고,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들에 대응되는 상기 문장의 구성 부분이 떠오른다면 전체 영어 문장(300a)은 자연스럽게 머릿속에 떠오르거나, 입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대부분의 학습자가 하나의 전체 문장(300a)을 자연스럽게 연이어 말하지 못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그 전체 문장을 구성 단위로 끊어 내지 못하고, 설령 끊어내더라도 연결이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들을 이용하게 되면, 대응 부분 이미지를 머릿속에 그리면서 그 순서대로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문장의 구성 단위를 말하면 상기 전체 문장의 순서대로 말하게 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장의 구성단위가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도록 방향성을 표시하는 방향성 화살표 다이어그램(600a, 600b, 600c)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에서의 600a 내지 600c가 상기 전체 이미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 상의 내용의 전개 순서를 제시하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되는 방향성 화살표 다이어그램(600a, 600b, 600c)의 한 예가 된다. 상기 방향성 화살표들이 각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a 내지 200e) 및 대응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런데, 이때 상기 각각의 문장의 구성 단위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주는 데는 연결 장치가 필요한데, 통상적으로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가 그런 역할을 맡게 된다.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사람들에게는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를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어느 정도 분명한 뜻을 가 지면서 문장을 연결할 때만 사용되는 접속사와는 달리, 전치사는 문장의 여러 요소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다수의 학습자에게 전치사는 특정한 느낌 없이 숙어 등을 통해 외워서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전치사는 문장 등에서 명사나 기타 다른 요소와 합쳐져서 구 등을 형성하면서 상기 영어 문장을 구성 단위로 분절하는데 중요한 관절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학습자들은 모국어에 전치사가 없으므로, 전치사에 대한 본능적인 느낌/이미지/컨셉이 없는 관계로 전치사의 정확하고 자유로운 사용에 어려움이 많다. 그래서, 학습자들은 전치사가 들어가 있는 구 등을 숙어 등으로 외우기도 하고, 전치사의 용법에 대해 문법의 관점에서 학습하기도 한다. 하지만, 마치 우리가 은/는/이/가와 같은 조사를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과 같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들은 전치사에 대해 특별한 학습이 없어도 전치사를 자연스럽게 사용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원어민들처럼 전치사를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치사 각각에 대한 느낌/용도/활용 상황을 다이어그램을 표현해 주는 것이 좋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상기 다이어그램은 상기 반드시 그 전치사가 작용하는 복합적인 대상과 함께 표시되어야 그 대상들 사이의 관계성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전치사가 사용되는 구조는 "A + 전치사 + B"의 구조를 가지는데, 더욱 쉽게 말하면, "전치사의 앞에 오는 말(A) + 전치사 + 전치사의 뒤에 오는 말(B)"의 구조로 전치사가 사용된다.
예를 든다면 "her little dog + on + his hind legs"이 된다. 이때, 전치사 의 앞에 오는 말 및/또는 전치사의 뒤에 오는 말과 상기 전치사가 개개의 전치사마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가가 전치사의 사용에 중요하다. 상기 개별 전치사마다 그 전치사의 뜻에 해당되는 각 다이어그램이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각 다이어그램은 상기 전치사의 본질적 용도를 가장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다이어그램을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이라 한다.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 2의 실시예에서 전치사 to 는 기준에서 기준의 반대쪽으로의 직선 화살표(400b)로 표현되어 있으며, on은 접촉면(400c)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4의 during은 초승달 모양(400g)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after는 따라가는 듯한 호형상의 화살표(400e)로 표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은 상기 전치사의 용법/쓰임 용도/쓰임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전치사 to에 대한 다이어그램이 닮은 꼴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각 전치사 마 다에 하나의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이 대응되어 있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접속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관계성 표시 수단의 한 요소로 도입될 수 있다. 전치사에서와 같이 접속사마다 고유한 접속사 대응 다이어그램이 대응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접속사 until이 있을 때, until은 접속사 뒤에 오는 대상(B)까지 가는 화살표와 그 화살표가 상기 접속사 뒤에 오는 대상(B) 바로 앞에 정지한다는 정지선이 결합한 모습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어그램이 학습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면 그 다이어그램을 표시해 줄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 라서는 표시해 주지 않아도 무방할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의 접속사 while에 대한 다이어그램은 표현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후자의 한 예가 된다.
상기 전치사와 접속사 등과 마찬가지로 관계사와 분사에 대해서도 특별한 실시예를 들지 않아도, 각각 관계사 대응 다이어그램 및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도입할 수 있음을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관계사는 주로 앞뒤에 문장(특히, 앞에는 선행사로서 명사로 오는 경우가 많음)이 오므로, 접속사에 준하여 관계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면 되고, 분사는 앞뒤에(특히 앞에) 문장이 아닌 명사 등이 주로 오므로 전치사에 준해서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면 충분할 것이다. 물론, 관계사의 종류는 한정되어 있어 각각에 대해 관계사 대응 다이어그램이 1:1로 대응될 수 있겠지만, 분사는 기본적으로 동사에 기반하므로, 동사의 종류만큼 다수가 있게 된다. 다만, 분사는 수동형과 능동형의 2종류가 있고, 이들은 "분사 앞에 오는 말(A)+ 분사 + 분사 뒤에 오는 말(B)"의 구조로 되어 있고, 수동형은 A와 분사가 "목적어 + 동사"의 관계가 성립할 때가 많고, 능동형은 A와 분사가 "주어 + 동사"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 수동과 능동의 관계를 반영하여 해당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요약하여 정리한다면, 본 발명의 어학 학습 교재에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300a)를 학습하게 하는데 필요한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a 내지 200e),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400a 내지 400d)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접속사 대응 다이어그램, 관계사 대응 다이어그램 또는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방향성 화살표 다이어그램(600a 내지 600c)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 2에는 전치사(500b, 500c, 500d) 및 부사(500a)가 상기 전체 이미지에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전치사는 학습자가 상기 전치사와 상기 전치사에 대응되는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에 익숙해 있는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아도 무방하기 때문에 모든 어학 학습 교재마다 반드시 표시될 필요까지는 없다. 부사도 상기 전치사와 마찬가지로 취급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전체 영어 문장에서 상기 문장 구성 단위를 연결하는 전치사에 대해서 학습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식별 표시(310b, 310c, 310d)가 포함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식별 표지는 전치사뿐만 아니라, 접속사, 관계사 및 분사에도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식별 표시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글자의 기울기, 밑줄, 음영 및 글자의 색깔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 표시는 상기 전치사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다른 문장의 구성 단위에 대해서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식별 표시가 많이 사용되면 학습자의 주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식별 표시로 글자의 크기를 크게 하는 방법을 취했다. 물론, 310a와 같이 전치사와 동등한 형태로 사용되는 부사 등에서도 상기 전치사에서와 같은 식별 표시(310a)를 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에서는 일러스트레이션 그림을 대상으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사 상은 일러스트레이션에만 한정되지 않고, 실사 사진에 대해서도 물론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실사 사진에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한 것이다. 대상이 되는 실사 사진은 도 3에 있다. 도 4에서도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으로 200f 내지 200h가 있으며,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으로 400e, 400f, 400g가 있다.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6에는 도 2와 다른 상기 전체 이미지의 경계 영역 및 상기 전체 이미지의 외곽 영역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300b, 300c)에 포함되어 있지만,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현되지 않는 어학 학습 콘텐츠에 대응되는 확장 표시성 다이어그램(700a, 700b)이 도입되어 있다. 상기 확장 표시성 다이어그램(700a, 700b)에는 확장되고 있음을 더욱 직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확장 표시성 화살표 다이어그램(710a, 710b)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 표시성 다이어그램(700a, 700b)이 도입될 때는 영어로 된 확장 표시 대응 문장 구성 단위(720b, 720c)가 더 도입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한 번역된 확장 표시 대응 문장 구성 단위(720a, 720b, 720c)가 도입될 수도 있다.
상기 확장 표시성 다이어그램(700a, 700b), 상기 확장 표시성 화살표 다이어그램(710a, 710b), 상기 확장 표시 대응 문장 구성 단위(720a, 720b, 720c)가 도입되어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진이나 일러스트레이션 등과 같은 상기 전체 이미지(100b, 100c)는 상기 전체 문장(300b, 300c)에 대응되는데, 상기 전체 문장(300b, 300c)에는 포함되어 있지만, 상기 사진이나 일러스트레이션에는 포 함되지 못하는 요소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이미지의 공간적, 시각적 제약성에 기인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표현된 상기 전체 문장(300c)에서 in downtown과 Tokyo는 상기 전체 이미지(100c)의 공간적 제약성 때문에 상기 어린이에 초점을 맞춘 사진에 함께 표현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체 이미지(100b, 100c)의 중요 부분은 아니지만, 상기 전체 문장(300b, 300c)을 구성하는 문장 구성 단위는 주로, 전체 배경 공간, 설명성 전체 위치(아이들이 도심에 있고, 그 도시는 도쿄임을 설명함) 표현에서 자주 발견될 수 있다. downtown이나 Tokyo 등과 같은 상기 확장 표시 대응 문장 구성 단위(720a, 720b, 720c) 등도 상기 전체 문장의 한 요소가 되므로, 이들을 순차적으로 말하고, 쓰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여러 다이어그램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상기 전체 이미지(100b, 100c)상에 표현되지 않는 어학 학습 콘텐츠에 대응되는 확장 표시성 다이어그램(700a, 700b)이 도입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 표시성 다이어그램(700a, 700b)에는 특정 방향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더욱 직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끔 방향을 가진 화살표로 표현되는 다이어그램인 확장 표시성 화살표 다이어그램(710a, 710b)가 더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확장 표시성 다이어그램(700a, 700b)이 도입될 때는 영어로 된 확장 표시 대응 문장 구성 단위(720b, 720c)가 더 도입되어, 확장이 일어남과 그 확장이 일어나는 구체적인 상기 문장 구성 단위(downtown, Tokyo)를 명확하게 보여 줄 수 있다. 이때, 700a, 700b, 700c와 같이 학습자의 직감과 설명의 편의를 위한 번역된 확장 표시 대응 문장 구성 단위가 상기 전체 이미지(100b, 100c)에 표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와 같은 확장 표시성 다이어그램(700b)은 상기 전체 이미지(100c)의 경계 영역 및 상기 전체 이미지(100c)의 외곽 영역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확장 표시성 다이어그램(700a)이 상기 전체 이미지(100b) 내에 표현될 수 있다면 그 내부에 표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는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i 내지 200l)에 대응되는 순서 표시 수단(800a 내지 800d)이 더 도입되어 있다. 상기 순서 표시 수단(800a 내지 800d)은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i 내지 200l)에 1:1로 대응되며, 순서를 나타낼 수 있는 숫자, 문자 및 로마 기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순서 표시 수단(800a 내지 800d)이 더 도입되는 경우, 학습자는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i 내지 200l) 및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200i 내지 200l)에 대응되는 상기 전체 문장 구성 단위가 전개되는 순서를 더욱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순서 표시 수단(800a 내지 800d)과 유사한 목적을 수행하는 상기 방향성 화살표 다이어그램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 도 4, 및 도 6은 학습 베이스 면이 표현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상기 학습 베이스 면과 상기 학습 베이스 면에 표현되는 내용부의 관계가 1) 종이 매체 vs. 상기 종이 매체 위에 표현되는 콘텐츠, 2) 디지털 디스플레이 매체 vs.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매체 위에 표현되는 콘텐츠 및 콘텐츠가 표현될 수 있는 매체 vs. 상기 콘텐츠가 표현될 수 있는 매체 위에 표현되는 콘텐츠의 관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기 때문에, 도 2, 도 4, 및 도 6은 상기 학습 베이스 면에 표현되는 내용부를 중심으로 도시하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학 학습 교재를 주위에 있는 일러스트레이션이나 사진으로부터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사진 기사나 애니메이션의 스크립트 등을 통하여 용이하게 어학 학습 교재를 제작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응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는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 및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를 연관짓기가 용이해 지게 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상기 문장의 구성 단위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써 전체 문장을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긴 영어 문장을 직관적이고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을 도입하였으므로 학습자의 머릿속에 대응 부분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떠오를 수 있게 되어 특정한 문장의 구성 부분 다음에 올 다른 특정한 문장의 구성 부분이 용이하게 떠오를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상기 문장의 구성 부분들 사이에서 관계성을 부여하면서 연결해 주는 전치사에 대해서, 상기 전치사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다이어그램을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들 사이에 표현해 줌으로써, 전치사에 대한 직관적인 느낌을 가지게 도와 주며, 전치사의 용도와 쓰임새를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어학 학습 교재는 하나의 전체 이미지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존재하는 대응 부분 이미지가 상하 좌우로 입체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입체적으로 배열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에 상기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가 입체적으로 대응되므로, 영어를 입체적으로 배울 수 있게 된다. 기존의 그림을 통한 영어 학습법은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 방향만의 흐름(평면적 배열)만이 존재했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평면적으로 영어를 배울 수밖에 없게 되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어학 학습 교재는 화살표 등과 같은 방향성 표시 수단이 다수 있고, 전치사, 접속사, 관계사, 또는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이 있으므로, 학습자는 그 방향성을 따라가거나, 상기 다이어그램을 통하여 방향을 잡을 수 있으므로, 영어식 순서에 따라 전체 문장의 구성 단위를 읽고 듣고 말하고, 쓰게 된다. 그러므로, 본 어학 학습 교재로 학습하게 되면, 한국식 영어 학습의 고질적인 문제인 영어 문장을 한국말로 거꾸로 뒤집어서 해석하면서 영어 문장에 나와 있는 정보를 파악하는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전체 이미지;
    상기 전체 이미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
    상기 전체 이미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 및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응되는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이미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 상의 내용의 전개 순서를 제시하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성 화살표 다이어그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이미지 위에 표시되는 전치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치사는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 주변에 표시되며, 상기 전치사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은 상기 전치사 각각에 대하여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이미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사 대응 다이어그램 주변에서는 접속사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사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사 대응 다이어그램은 상기 접속사 각각에 대하여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이미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계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계사 대응 다이어그램 주변에서는 관계사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관계사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사 대응 다이어그램은 상기 관계사 각각에 대하여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이미지의 기설정된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 주변에서는 분사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은 상기 분사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형상을 가지는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이며, 상기 분사 대응 다이어그램은 상기 분사가 수동형일 때와 능동형일 때가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은 폐도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폐도형은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의 기설정된 일 영역에 대응되며, 상기 폐도형에 대응되는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의 기설정된 일 영역은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의 단어, 구 및 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이미지의 경계 영역 및 상기 전체 이미지의 외곽 영역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표시되며,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지만, 상기 전체 이미지상에 표현되지 않는 어학 학습 콘텐츠에 대응되는 확장 표시성 다이어그램;을 더 포함하는 것을 어학 학습 교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는 텍스트로 된 문장이며, 상기 문장은 상기 전치사 대응 다이어그램에 대응되는 부분에 식별 표시가 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표시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글자의 기울기, 밑줄, 음영 및 글자의 색깔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는 텍스트로 된 문장이며, 상기 문장은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에 대응되는 부분에 식별 표시가 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표시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글자의 기울기, 밑줄, 음영, 단어나 구절 사이의 빈칸의 거리, 및 글자의 색깔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에서는 순서를 나타낼 수 있는 숫자, 문자 및 로마 기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순서 표시 수단이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전체 어학 학습 콘텐츠는 텍스트로 된 문장이며, 상기 문장은 상기 대응 부분 이미지 특정성 다이어그램에 대응되는 부분에 식별 표시가 되어 있으며, 상기 식별 표시는 글자체,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글자의 기울기, 밑줄, 음영 및 글자의 색깔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KR1020060096713A 2006-09-30 2006-09-30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KR10086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713A KR100867382B1 (ko) 2006-09-30 2006-09-30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713A KR100867382B1 (ko) 2006-09-30 2006-09-30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202U Division KR200434905Y1 (ko) 2006-09-30 2006-09-30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381A KR20080030381A (ko) 2008-04-04
KR100867382B1 true KR100867382B1 (ko) 2008-11-10

Family

ID=3953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713A KR100867382B1 (ko) 2006-09-30 2006-09-30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3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50A (ko)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단어의 컨셉 메이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KR20200109749A (ko)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컨셉 이미지를 통한 언어 습득 효율 향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763A (ko) 2012-07-24 2014-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ed 패키지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2202A (en) 1994-11-22 1999-03-16 Softrade Intern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KR20000026636A (ko) * 1998-10-22 2000-05-15 김호운 기억연상 학습방법
KR20010044645A (ko) * 2001-03-13 2001-06-05 조동진 시간과 공간의 순차원리에 따른 영어학습방법 및 그학습지 및 기록매체
KR20020045480A (ko) * 2000-12-06 2002-06-19 우에다 사나에 어학의 학습용 교재 및 그 제작방법
KR200434904Y1 (ko) 2006-09-30 2006-12-29 최재봉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 관계성정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교재
KR200434905Y1 (ko) 2006-09-30 2006-12-29 최재봉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KR20070067353A (ko) * 2005-12-23 2007-06-28 원종민 단어의 구성 철자에 부여된 이미지 캐릭터의 연상에 따라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그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2202A (en) 1994-11-22 1999-03-16 Softrade Intern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KR20000026636A (ko) * 1998-10-22 2000-05-15 김호운 기억연상 학습방법
KR20020045480A (ko) * 2000-12-06 2002-06-19 우에다 사나에 어학의 학습용 교재 및 그 제작방법
KR20010044645A (ko) * 2001-03-13 2001-06-05 조동진 시간과 공간의 순차원리에 따른 영어학습방법 및 그학습지 및 기록매체
KR20070067353A (ko) * 2005-12-23 2007-06-28 원종민 단어의 구성 철자에 부여된 이미지 캐릭터의 연상에 따라학습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그기록 매체
KR200434904Y1 (ko) 2006-09-30 2006-12-29 최재봉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 관계성정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교재
KR200434905Y1 (ko) 2006-09-30 2006-12-29 최재봉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50A (ko)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단어의 컨셉 메이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KR20200109749A (ko)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컨셉 이미지를 통한 언어 습득 효율 향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381A (ko) 200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adings Introducing Lyotard: art and politics
Shell Educational Publishing Greek and Latin roots: Keys to building vocabulary
Hassett et al. Finding space and time for the visual in K-12 literacy instruction
Zabrodskaja Tallinn: Monolingual from above and multilingual from below
Hinton New writing systems
Waller Graphic aspects of complex texts: Typography as macropunctuation
CN101908290B (zh) 英语读物及其识读机
KR100867382B1 (ko)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US200302323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tantly communicating, translating, and learning a secondary language
KR200434905Y1 (ko)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KR200434909Y1 (ko) 다이어그램이 포함된 전체 이미지와 부분 이미지를 활용한영어 학습 교재
KR200434904Y1 (ko)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 관계성정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교재
KR100867384B1 (ko) 다이어그램이 포함된 전체 이미지와 부분 이미지를 활용한영어 학습 교재
KR100887307B1 (ko)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 관계성정보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교재
CN201853386U (zh) 英语电子读物、英语教材或书籍及其识读机
Roberts Implicational markedness and the acquisition of relativization by adult learners of Japanese as a foreign language
Rockwell Appropriating written French: Literacy practices in a Parisian elementary classroom
Rasinski et al. Building Vocabulary with Greek and Latin Roots: A Professional Guide to Word Knowledge and Vocabulary Development: Keys to Building Vocabulary
JP3119837U (ja) 語学学習用の教科書
Atanassova Exploring Local Linguistic Scenery amongst Superdiversity: A Small Place in the Global Landscape
Robertson Writing Another’s Tongue
Weiss The three stages of learning to read
JP2019184821A (ja) 中国語教材
Stern Quotations as pictures
KR101508337B1 (ko) 만화 및 이미지 캐릭터 보드가 구비된 영어학습용 인쇄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