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164B1 -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 - Google Patents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164B1
KR100867164B1 KR1020070121976A KR20070121976A KR100867164B1 KR 100867164 B1 KR100867164 B1 KR 100867164B1 KR 1020070121976 A KR1020070121976 A KR 1020070121976A KR 20070121976 A KR20070121976 A KR 20070121976A KR 100867164 B1 KR100867164 B1 KR 10086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cooking oil
slices
coated
phle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영
Original Assignee
최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영 filed Critical 최문영
Priority to KR102007012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 후 일정한 길이로 절단돼 나오는 절편을 정량씩 포장하기 위해 분급할 때 계량 오차가 적어 정량 포장의 신뢰도가 높고, 분급을 위한 계량 직전 단계에서 가래떡 절편끼리 달라 붙지 않게 하여 정량 계량 오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는, 가래떡 절단기의 후방에 배치된 컨베이어에 실려와 떨어지는 가래떡 절편이 일시적으로 머물다 빠져나가게 하는 절편 대기통 내에 강선날이 나선상으로 심어진 전동식 스크류를 설치하여 가래떡 절편이 절편 대기통으로 떨어지는 즉시 스크류에 의해 투하구쪽으로 이송되면서 헤쳐지고 그 과정에서 급유펌프가 딸린 급유장치의 호스를 통해 뿜어지는 식용유를 가래떡 절편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 가래떡 절편끼리 달라붙지 않게 하며, 절편 대기통의 투하구 밑에는 떨어져 모이는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의 무게가 미리 정한 수치에 달하는 순간 밀대 구동수단이 밀대를 전진시켜 분급 호퍼로 떨구고 그 과정에서 뒤따라 떨어지는 후속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은 밀대 상면에 해당하는 선반에 임시로 얹혀 대기토록 하며, 선반에 임시로 얹힌 후속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은 밀대가 복귀할 때 밀대의 전진대기위치에 있는 계량통의 뒷벽에 걸려 계량통 바닥으로 쓸려 내려서 후속 가래떡 절편의 계량분에 포함되고, 그 양이 정해진 수치에 도달하면 투하구(35)로 내몰리어 분급 호퍼(60)로 떨어지도록 한 자동 계량장치를 설치하여 계량 오차를 최소화한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절편 대기통, 전동식 스크류, 투하구, 강선날, 급유장치, 급유통, 자동 계량장치, 계량통, 밀대, 밀대 구동수단, 전자저울, 선반, 무게센서, 댐퍼

Description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Apparatus for distributing cut pieces of sliced rice cake}
본 발명은 가래떡 압출기에서 압출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돼 나오는 절편을 포장단위로 분급할 때의 계량오차를 줄여 신뢰도를 높이고, 절편끼리 달라붙는 것을 억제하여 정량 분급이 가능하게 한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래떡 제조공장에서 하루에 출고되는 가래떡의 양은 실로 엄청나다.
그렇듯 많은 가래떡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떡볶이용과 떡국용으로 출고된다.
여느 가래떡 공장이든 대체로 가래떡 압출기의 직후방에는 절편화하는 데 필요한 가래떡 절단기가 위치하여 압출되어 나오는 가래떡을 정해진 길이대로 절단하여 반출하고 있다.
가래떡 절편은 일정한 단위로 포장되어 유통된다.
가래떡 절편의 단위포장이 생산자와 수요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려면 정확한 계량이 전제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래떡 절편의 계량은 무게로 따지는 게 아니라 절단기에서 컨베이어에 실려오는 가래떡은 양측에 위치하는 포장용 분급 호퍼의 직전방에 설치된 댐퍼로 조작하는 기구식이다.
댐퍼는 주기적으로 양측 분급 호퍼를 오가며 일방의 호퍼를 차단함으로써 도래하는 가래떡 절편이 개방된 분급 호퍼측으로 향하게 한다.
그러나 가래떡 절편용 댐퍼형 계량기구는 분말인 경우 정량 분급이 가능하지만 입도가 큰 가래떡 절편 분급용으로는 부적합하다.
어느 때는 많고 또 어느 때는 적은 등 댐퍼 직전에 도래하는 가래떡 절편의 양과 시차에 따른 계량 오차가 크기 때문이다.
그 원인 중에는 2개 이상의 가래떡 절편이 달라붙어 한꺼번에 쏟아지는 바람에 정량 계량이 이뤄지지 않는 탓도 있다.
이런 점에서 가래떡 절편을 정량씩 단위 포장하기 위한 장래의 계량장치는 분급 호퍼의 개방시간을 설정하던 종래의 댐퍼식을 지양하고 가래떡 절편의 무게를 정확히 재서 정량 포장이 가능한 방향으로의 모색이 필요하다.
아울러, 정량 포장에 장애가 되는 가래떡 절편끼리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 후 일정한 길이로 절단돼 나오는 절편을 정량씩 포장하기 위해 분급할 때 계량 오차가 적어 정량 포장의 신뢰도가 높고, 분급을 위한 계량 직전단계에서 가래떡 절편끼리 달라붙지 않게 하여 정량 계량 오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가래떡 절단기의 후방에 배치된 컨베이어에 실려와 떨어지는 가래떡 절편이 일시적으로 머물다 빠져나가게 하는 절편 대기통 내에 강선날이 나선상으로 심어진 전동식 스크류를 설치하여 가래떡 절편이 절편 대기통으로 떨어지는 즉시 스크류에 의해 투하구쪽으로 이송되면서 헤쳐지고 그 과정에서 급유장치의 급유 노즐로 뿜어지는 식용유를 가래떡 절편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 가래떡 절편끼리 달라붙지 않게 하며, 절편 대기통의 투하구 밑에는 떨어져 모이는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의 무게가 미리 정한 수치에 달하는 순간 밀대 구동수단이 밀대를 전진시켜 분급 호퍼로 떨구고 그 과정에서 뒤따라 떨어지는 후속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은 밀대의 상면에 해당하는 선반에 임시로 얹혀 대기토록 하며 선반에 임시로 얹힌 후속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은 밀대가 복귀할 때 밀대의 전진대기위치에 있는 계량통의 뒷벽에 걸려 계량통 바닥으로 쓸려 내려서 후속 가래떡 절편의 계량분에 포함되도록 한 자동 계량장치를 설치하여 계량 오차를 최소화한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는 절편 대기통 내에서 스크류가 회전하는 동안 식용유 노즐에서는 식용유가 분사되고 스크류는 절편 대기통으로 떨어지는 뭉쳐진 가래떡 절편을 헤쳐서 흐트러뜨려 투하구 쪽으로 이송시키며, 식용유는 가래떡 절편의 표면에 골고루 도포되어 윤활의 역할로써 가래떡 절편끼리 달라붙지 않게 함으로써 정량 계량을 돕는다.
절편 대기통에서 투하되는 가래떡 절편은 그 무게를 감지하여 제때 작용하는 자동 계량장치에 의해 비교적 정확히 계량된 후 분급 호퍼로 투하된다.
절편 대기통과 급유장치 및 자동 계량장치의 협동으로 계량 오차가 적은 가래떡 절편의 분급과 가래떡 절편끼리 달라붙는 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가래떡 절편 생산자와 수요자에게 정량 포장의 신뢰도가 높아진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발명은 절편 대기통(10)과 급유장치(20), 및 자동 계량장치(30)로 구성된다.
절편 대기통(10)은 도시하지 아니한 가래떡 절단기의 후방에 배치된 컨베이어(40)에 실려와 떨어지는 가래떡 절편(50)이 일시적으로 머물다가 자동 계량장치(30)로 떨어져 내리게 하는 것으로, 전동식 스크류(11)와 투하구(12)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식 스크류(11)는 절편 대기통(10)의 외부에 설치된 전동기(13)에 의해 절편 대기통(10) 내에서 제자리 회전하면서 가래떡 절편을 휘저어 흐트러뜨리면서 투하구(12) 쪽으로 이송하고, 그러는 가운데 휘저어지는 가래떡 절편의 표면에 식용유가 골고루 묻어 나가게 하는 것으로, 투하구(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에 방사상이면서 나선형으로 심은 강선날(14)에 가래떡 절편의 휘젓기 기능과 이송능력을 부여한 것이다.
나선익형 날은 가래떡 절편에 외상을 입히기 쉽고 헤치는 기능도 약해서 가래떡 절편의 표면에 골고루 식용유를 묻히는 역할도 미흡하다.
이에 대하여 강선날(14)은 가래떡 절편에 외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헤치는 기능이 탁월해 가래떡 절편끼리 달라붙지 않도록 그 표면에 골고루 식용유가 묻게 하는 데 더없이 훌륭하다.
급유장치(20)는 절편 대기통(10) 내로 식용유를 분사하여 스크류(11)에 의해 흩어지면서 투하구(12) 쪽으로 이송되는 가래떡 절편의 표면에 도포되게 해 가래떡 절편끼리 달라붙지 않게 함으로써 계량 오차를 줄여 정량 포장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으로, 급유펌프(23)가 딸린 급유통(21)과 급유통(21)에 연결된 반대쪽 끝 부분이 절편 대기통(10)의 상부에서 그 바닥을 향하도록 한 호스(22)로 이뤄진다.
자동 계량장치(30)는 절편 대기통(10)의 투하구(12)로 떨어지는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을 설정한 계량치대로 들어차는 대로 밀어내 분급 호퍼로 떨구고 복귀하기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으로, 계량통(31)과 밀대(32), 밀대 구동수단(33), 전자저울(34)로 구성되어 있다.
계량통(31)은 전자저울(34)에 얹혀서 절편 대기통(10)에서 떨어지는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을 받아 계량되도록 하는 것으로, 바닥의 말미에는 정량 계량분의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을 쏟아내는 투하구(35)가 설치되어 있고, 이 투하구(35)에는 계량분의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이 밀대(32)에 의해 내몰릴 때 그 압력에 의해 열려서 투하구(35)를 개방하는 힌지식 댐퍼(39)도 설치되어 있다.
밀대(32)는 계량통(31) 내에서 밀대 구동수단(33)에 의해 그 행정범위 내에서 투하구(35)쪽과 밀대 구동수단(33)쪽으로 왕복동하면서 계량분의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을 밀어 내 투하구(35)로 떨구고 복귀하는 것으로, 평탄한 상면은 선행 계량분의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을 투하구(35)로 내모는 과정에서 나중에 쏟아져 내리는 후속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을 받아 선행 계량분의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에 섞이지 않게 하는 절편 선반(36)의 역할이 맡겨져 있다.
밀대(32)의 후단은 계량통(31)의 뒷벽을 관통한 밀대 구동수단(33)의 램 선단에 연결되어 있다.
밀대 구동수단(33)은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이다.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는 도시하지 아니한 유압펌프 또는 콤프레서에 연결돼 구동하게 된다.
전자저울(34)은 계량통(31) 내에 쌓이는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의 무게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무게센서가 감지해 보내는 신호로 밀대 구동수단(33)을 움직여 밀대(32)로 하여금 그 계량분의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이 투하구(35)로 쏟아지도록 내몰게 한 통상의 무게측정용이다.
상기 전자저울(34)에서 무게를 설정하고 설정된 무게가 무게센서(37)에 감지되는 순간 밀대 구동수단(33)이 동작하게 되는데, 전자저울(34), 무게센서(37) 및 밀대 구동수단(33)은 제어반(38)에서 통제하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60)은 투하구(35)의 하방에 설치된 통사의 분급 호퍼를 표시한다.
도 4에서, 밀대(32)가 대기위치에 머물고 있을 때, 절편 대기통(10) 안에 든 가래떡 절편(50a)은 가동 중인 전동식 스크류(11)의 강선날(14)에 의해 헤쳐지면서 표면에는 호스(22)를 통해 내뿜어지는 식용유를 골고루 묻혀 가지고 투하구(12)로 투하된다.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50b)은 식용유 때문에 서로 달라붙지 않아 오로지 낱개 상태로만 투하된다.
절편 대기통(10)을 떠난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50b)은 계량통(31)에 담기게 되는데, 그 양이 정해진 수치에 달한 것이 무게센서(37)에 감지되는 순간 밀대 구동수단(33)이 가동하여 밀대(32)를 내민다.
도 5에서, 그러면 밀대(32)는 계량통(31)에 담긴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50b)을 투하구(35) 쪽으로 내몬다.
이렇게 내몰리는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50b)은 그 압력을 이기지 못한 투하구(35)의 댐퍼(39)가 열리면서 분급 호퍼(60)로 떨어지게 된다.
앞선 계량분의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50b)이 밀대(32)에 밀려가는 동안에 절편 대기통(10)에서 떨어지는 후속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50c)은 밀대(32)의 선반(36)에 얹혔다가 앞선 계량분의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50b)를 모두 쏟아낸 밀대(32)가 복귀하는 과정에서 계량통(31)의 밀대(32) 위 뒷벽(31a)에 걸려서 계량 통(31)으로 쓸려 내려져 후속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의 계량분에 포함되었다가 그 양이 정해진 수치에 도달하면 투하구(35)로 내몰리어 분급 호퍼(60)로 떨어지게 된다.
분급 호퍼(60)에 떨어진 정량의 가래떡 절편은 분급 호퍼(60)의 배출구에 받치는 포장용 봉지에 담기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동 사시도
도 3은 동 정면도
도 4는 밀대가 대기위치에 머물 때의 단면도
도 5는 밀대가 계량분의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을 내친 경우의 단면도
10: 절편 대기통
11: 전동식 스크류
12,35: 투하구
14: 강선날
20: 급유장치
21: 급유통
30: 자동 계량장치
31: 계량통
32: 밀대
33: 밀대 구동수단
34: 전자저울
36: 선반
37: 무게센서
39: 댐퍼

Claims (1)

  1. 가래떡 절단기의 후방에 배치된 컨베이어에 실려와 떨어지는 가래떡 절편을 일시 머물게 하면서 나선상으로 강선날(13)이 심어진 전동식 스크류(11)에 의해 투하구(12) 쪽으로 가래떡 절편을 이송시키면서 흐트러뜨리게 한 절편 대기통(10)과;
    상기 절편 대기통(10) 내의 가래떡 절편 표면에 급유펌프(23)가 딸린 급유통(21) 내의 식용유를 호스(22)를 통해 분사하여 묻게 함으로써 가래떡 절편끼리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급유장치(20)와;
    상기 절편 대기통(10)의 투하구(12)로 떨어지는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을 담는 투하구(35)에 힌지식 댐퍼(39)를 그리고 계량분의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을 내몬 밀대(32)가 복귀할 때 그 선반에 얹힌 후속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을 걷어내는 기능의 뒷벽(31a)을 가진 계량통(31)과;
    상기 계량통(31) 내에서 계량된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을 밀어내 떨구고 복귀하는 밀대(32)의 밀대 구동수단(33)과 계량통(31)을 탑재하여 계량분의 식용유 도포 가래떡 절편 무게를 측정하는 전자저울(34)과, 상기 전자저울(34)이 측정한 무게를 감지하여 밀대 구동수단(33)이 가동토록 지시하는 무게센서(37)가 포함된 자동 계량장치(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
KR1020070121976A 2007-11-28 2007-11-28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 KR10086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976A KR100867164B1 (ko) 2007-11-28 2007-11-28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976A KR100867164B1 (ko) 2007-11-28 2007-11-28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164B1 true KR100867164B1 (ko) 2008-11-06

Family

ID=4028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976A KR100867164B1 (ko) 2007-11-28 2007-11-28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1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806B1 (ko) * 2010-12-07 2012-11-28 최문영 떡 주정장치
KR101446863B1 (ko) 2013-03-18 2014-10-06 박태식 가래떡 성형장치
KR102309606B1 (ko) * 2021-06-22 2021-10-05 김기현 떡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8717A (ko) * 1985-05-15 1986-12-18 박용화 무늬떡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8717A (ko) * 1985-05-15 1986-12-18 박용화 무늬떡의 연속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806B1 (ko) * 2010-12-07 2012-11-28 최문영 떡 주정장치
KR101446863B1 (ko) 2013-03-18 2014-10-06 박태식 가래떡 성형장치
KR102309606B1 (ko) * 2021-06-22 2021-10-05 김기현 떡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5408B2 (ja) 製品を運搬し、そして選択的に排出するための装置
US3712019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ispensing icy material
US44071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der bagging
KR920701795A (ko) 유동물질의 정량측정 장치 및 그 측정방법과 그 방법의 응용
CN103523249B (zh) 多头自动计量灌装系统
EP0584213A1 (en) IMPROVED VOLUMETRIC MEASURING DEVICE, IN PARTICULAR FOR CHAMOMILE FLOWERS TO BE PACKED IN FILTER BAGS.
KR100867164B1 (ko) 가래떡 절편용 분급장치
EP1337164B1 (en) Flavouring system
US7117653B2 (en) Flavoring system and method
CN115135423A (zh) 渣屑分离设备和方法
US3543811A (en) Process for dispensing icy materials
RU45981U1 (ru) Дозатор
KR20220075017A (ko) 맛김치 정량 충진 장치
FR2527568A1 (fr) Distributeur de produits
US20080230562A1 (en) Bulk feeding system and method
RU2483992C1 (ru) Дозатор для фасовочно-упаковочной машины
US20080230557A1 (en) Bulk feeding system and method
US4399931A (en) Dry material dispenser
CN209064447U (zh) 防粘黏无挤压红糖定量分装机
CA1059055A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predetermined quantities of material
KR20110119884A (ko) 떡 정량 포장장치
CN109398813A (zh) 一种适用于包装生产线的多列称量计数一体机
US20140110437A1 (en) Bulk Feeding System and Method
CN109178456A (zh) 防粘黏无挤压红糖定量分装机
RU89223U1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рошкообра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