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041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041B1
KR100867041B1 KR1020030032612A KR20030032612A KR100867041B1 KR 100867041 B1 KR100867041 B1 KR 100867041B1 KR 1020030032612 A KR1020030032612 A KR 1020030032612A KR 20030032612 A KR20030032612 A KR 20030032612A KR 100867041 B1 KR100867041 B1 KR 100867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washing
dish washer
cleaning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1750A (ko
Inventor
오야마마코토
이누이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48714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53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4871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353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48713A external-priority patent/JP3829759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9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B28C7/0023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by heating or cooling
    • B28C7/003Heating, e.g. using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81Plant for proportioning, supplying or ba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잔재 등의 이물이 분수 수단에 유입된 경우에도 확실히 세정 경로의 전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27)을 전환하는 분수 수단(37)을 구비하고, 분수 수단(37)은 세정 수단(27)에 각각 연통된 복수개의 유출부(39)를 갖는 케이싱(40)과, 이 케이싱(40)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밸브체(41)를 갖고, 상기 밸브체(41)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출부(39)를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유출부(39)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밸브체(41)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세정 펌프 운전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세정 펌프 정지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에 이물이 끼어든 상태의 하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에 이물이 끼어든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의 모터 축과 밸브체의 끼워맞춤부의 하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에 가압 수단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이물의 대표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을 사용한 주요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의 다른 세정 수단을 사용한 주요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척기의 다른 세정 수단을 사용한 주요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세정 펌프 운전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밸브체의 하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세정 펌프 정지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결합부의 상세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다른 결합부의 상세도,
도 20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다른 결합부의 상세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유출부와 밸브체와의 사이에 이물이 끼어든 상태의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가압 수단을 설치한 분수 수단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분수 수단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분수 수단의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분수 수단의 단면도,
도 26은 실시예 3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단면도,
도 27은 실시예 3의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분수 수단의 사시도,
도 28은 실시예 3의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분수 수단의 단면도,
도 29는 실시예 4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유출부의 평면도,
도 30은 동 실시예 4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밸브체의 평면도,
도 31은 동 실시예 5의 식기 세척기의 오목부 분해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밸브체의 상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근접부에 이물이 끼어든 상태의 개략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식기 세척기의 밸브체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근접부에서 이물이 빠지는 상태의 개략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볼록부와 상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볼록부와 상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밸브체의 상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식기 세척기의 다른 분수 수단의 밸브체의 상면도,
도 40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41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분수 수단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세정조 26 : 세정 펌프
27 : 세정 수단(세정 노즐) 29 : 잔재 필터
37 : 분수 수단 38 : 유입부
39 : 유출부 40 : 케이싱
41 : 밸브체 42 : 개구부
44 : 상부 결합부(결합부) 45 : 하부 결합부(결합부)
50 : 가압 수단 60 : 축부
61 : 구멍부 63 : 볼록부(근접부)
64 : 상부 65 : 오목부
본 발명은 식기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는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었다. 이하, 그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 본체(1)는 내부에 세정조(2)를 설치하고 있고, 이 세정조(2)내로 급수 밸브(3)에 의해 물 또는 온수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세정조(2)의 저부에는 배수 구멍(4)을 설치하고, 이 배수 구멍(4)에 연통하고,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세정 펌프(5)를 부착하고, 이 세정 펌프(5)에 의해 세정수를 세정조(2)의 내부에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수 구멍(4)에는 잔재를 포집하는 잔재 필터(6)를 구비하고 있다.
즉, 세정조(2)내에 공급된 세정수는 잔재 필터(6)를 통과하여 세정 펌프(5)에 흡입되고, 세정 펌프(5)보다 세정조(2)의 내저부에 설치된 세정 수단(세정 노즐)(7)에 공급된다. 세정 노즐(7)로부터 분사된 세정수는 식기를 세정한 후, 다시 배수 구멍(4)으로 되돌아가는 경로로 순환한다. 이 때, 피세정물(식기)(9)로부터 탈락한 잔재 등은 세정수와 동시에 잔재 필터(6)에 유입되고, 이 잔재 필터(6)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잔재는 잔재 필터(6)에 포집된다.
또한 세정 노즐(7)과 세정조(2)의 저부와의 사이에는 세정수 가열용 히터(8)를 장비하고, 세정 노즐(7)의 상방에는 식기(9)를 정연하게 배치할 수 있고, 세정수를 효과적으로 식기(9)에 분사하도록 구성한 식기 바구니(10)를 설치하여 효율적으로 세정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배수 펌프(11)는 배수 호스(12)를 통해서 세정 수를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일반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여러가지 형상의 식기 등의 피세정물에 대해, 세정수는 하방으로부터의 분사만 있어, 식기 바구니(10)에 세트된 모든 식기(9)를 충분히 세정하기 어려웠다. 또한 세정조의 상방으로부터의 분사가 없는 경우, 찻잔이나 국공기 등 실굽이 있는 식기류는 잘잘한 잔재가 실굽에 퇴적하기 쉽고, 또한 전체의 헹굼 성능도 불충분하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세정 노즐을 사용하여 여러 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한번에 다량의 분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세정조에 괴어두는 급수량도 많게 해야 한다. 즉, 급수량의 증대에 의해서 세정수의 온도 상승 시간이 길어지고, 결과적으로 운전시간이 연장되어, 소비 전력량이 늘어나고, 세정 사용수량이 늘어나고, 또한 세정 펌프도 대형이 필요해진다는 점에서 코스트의 상승 및 한번에 다량의 세정수를 분사함에 따른 소음, 진동의 증대 등 수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복수개의 세정 펌프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세정 펌프가 각 세정 노즐마다 필요하고, 식기 세정 건조기 전체에 차지하는 세정 기구부 용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식기 세정에 필요한 용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거나, 필요 이상으로 식기 세척기 본체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수단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사용하여 소량의 물로 여러 방향에서 효율적으로 세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고, 3방 밸브를 사용하여 전환하거나, 전동 모터로 밸브체를 구동하는 것 등이 있다. 또한 모터 등의 전동 구동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 세정 펌프의 단속 운전에 의해 전환하는 것도 있다.
전동 모터를 사용하여 밸브체를 전환하는 구성의 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218721호 공보에 게시된 것이 있었다.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케이싱(13)내에, 매우 소입경의 원통형의 밸브체(14)를 배치하고, 밸브체(14)의 원통부에는 개구부(15)를 1개소 설치하고, 케이싱(13)의 원통부에는 복수개의 유출부(16)를 설치하고, 이 유출부(16)는 복수개의 세정 수단의 각각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밸브체(14)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7)를 구비하여 분수 수단(19)을 구성하고 있고, 세정 펌프(5)를 운전중에 밸브체(14)를 회전시킴으로써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수단(7)을 순차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케이싱(13)과 밸브체(14)와의 미소한 간극은 대략 일정하고, 잔재 및 이쑤시개 등의 이물을 따라 흐르는 세정수를 순환하고, 개구부(15)와 유출부(16)와의 사이에 이물이 끼어든 경우, 밸브체(14)가 로크되어 회전 불능이 되고, 분수 수단(19)이 동작하지 않고, 소정의 세정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케이싱(13) 및 밸브체(14)를 파손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잔재 및 이쑤시개 등의 이 물이 세정수와 함께 유입된 경우에도, 밸브체에 의한 세정수의 전환이 확실히 실시되도록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물 막힘을 방지하면서, 누설이 적고, 분기 효율이 좋은 분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세정 펌프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을 전환하는 분수 수단은 세정 펌프로 가압된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복수개의 세정 수단에 각각 연통된 복수개의 유출부를 갖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밸브체로 구성되고, 밸브체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출부를 전환함과 동시에, 밸브체를 유출부에서 떨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분수 수단에 이물이 유입되고, 케이싱과 밸브체와의 사이에 이물이 끼어든 경우에도, 밸브체가 유출부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밸브체의 회전 동작을 계속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상기 세정조 내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복수개의 세정 수단과, 상기 세정 펌프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을 전환하는 분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분수 수단은 상기 세정 펌프로 가압된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복수개의 상기 세정 수단에 각각 연통된 복수개의 유출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밸브체를 갖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출부를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는 상기 유출부를 구비한 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고, 급 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임의의 피세정물에 대하여 복수 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세정 성능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단시간에 세정할 수 있는 등, 고효율 세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급수량 및 헹굼 회수의 삭감에 의한 수량(水量) 절약,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피세정물의 식기 바구니로의 세트 위치, 세트 방법을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세트성이 우수한 식기 세척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는 유출부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한 것으로, 잔재 및 이쑤시개 등의 이물을 따라 흐르는 세정수를 순환하고, 유출부와 밸브체와의 사이에 이물이 끼어든 경우에도, 밸브체가 유출부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밸브체의 회전 동작은 계속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이물이 끼어든 시점에서 밸브체가 로크되어 회전 불능이 되거나, 케이싱 및 밸브체를 파손시키지 않는다. 이물이 끼어든 상태에서는 모든 세정 수단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등, 그 때의 세정수의 공급은 불완전해지지만, 다음 유출부까지 회전하면, 이물은 빠지고, 다시 정상으로 세정수를 전환할 수 있고, 고효율로 피세정물을 세정할 수 있다. 즉, 이물이 케이싱과 밸브체와의 간극에 끼어든 경우에도, 그 이물의 제거가 가능한 분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는 세정 펌프의 운전중에 유출부를 구비한 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이고, 세정 펌프 운전 중에, 잔재 및 이쑤시개 등의 이물이 케이싱과 밸브체와의 사이에 끼어 든 경우에도, 다음 유출부까지 회전하면, 이물은 빠지고, 다시 정상적으로 세정수를 전환할 수 있고, 고효율로 피세정물을 세정할 수 있다. 즉, 이물이 케이싱과 밸브체와의 간극에 끼어든 경우에도, 그 이물의 제거가 가능한 분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는 상기 밸브체의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경사 가능하게 한 것으로, 유출부와 밸브체와의 사이의 일부에 이물이 끼고, 세정수의 압력 등에 의해 밸브체에 경사지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 밸브체가 비집는 모양으로 케이싱 등에 끼어넣고, 밸브체가 전환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는 세정 펌프의 정지 상태로 유출부로부터 떨어지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유출부와 밸브체와 사이에 이물이 끼고, 세정 펌프의 운전중은 그 이물이 떨어지지 않았다고 해도, 세정 펌프와 정지했을 때에 간극은 반드시 확대되기 때문에, 확실히 끼어든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로 이물이 탈락하지 않은 경우에도, 세정 펌프 운전 개시시의 수류에 의해서 유출부측에 이물은 흐르고, 간극에 계속해서 끼이지 않는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를 유출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설치한 것으로, 케이싱과 밸브체와의 사이에 이물이 끼어들어 세정 펌프의 정지 상태에서 밸브체가 유출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를 어느 방향으로 설치한 경우에도, 유출부로부터 떨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분수 수단의 설치하는 방향을 선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세정 펌프는 세정 및 헹굼 공정의 도중에 일시 정지하는 것으로, 유출부와 밸브체와의 사이에 끼어 든 이물이 세정 펌프의 정지시에 빠진다고 해도, 그것이 세정이나 헹굼 공정이 종료되었을 때 뿐인 경우라면, 그 1 공정중에는 계속 세정 불량이 된다는 점에서 세정 성능은 저하되어 버리지만, 각 공정의 도중에서 몇 번인가 세정 펌프를 일시 정지시킴으로써 전환이 불완전한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서, 세정 성능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세정수가 통과함으로써 잔재를 포집하는 잔재 필터를 설치하고, 밸브체가 유출부로부터 떨어지는 거리는 상기 잔재 필터의 간극 이상으로 한 것이고, 분수 수단에 유입할 수 있는 이물의 크기 이상의 간극이, 유출부와 밸브체와의 사이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할 수 있는 모든 이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신뢰성이 높은 분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가 회전 동작함으로써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출부를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유출부와 상기 밸브체와의 대향하는 면은 상기 밸브체의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밸브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밸브체를 이동시키면, 유출부와 밸브체와의 대향하는 면의 거리는 멀어지도록 작용하고, 잔재 및 이쑤시개 등의 이물을 따라 흐르는 세정수를 순환하고, 유출부와 밸브체와의 간극에 이물이 들어간 경우에도, 밸브체가 떨어진 때에, 그 이물을 간극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 에, 간극에 이물이 끼어, 밸브체가 이동 불능이 되지 않고, 확실히 밸브체의 전환을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세정수가 통과함으로써 잔재를 포집하는 잔재 필터를 설치하고, 케이싱과 밸브체와의 최소 간극은 상기 잔재 필터의 간극 이상으로 한 것이고, 분수 수단에 유입할 수 있는 이물의 크기 이상의 간극이 유출부와 밸브체와의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 간극에 이물이 끼기 어려워지고, 밸브체가 전환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유출부는 케이싱 내에 돌출하여 설치된 것으로, 유출부와 밸브체의 접촉 면적은 최소가 된다는 점에서, 유출부와 밸브체와의 사이에 이물이 끼기 어려워지고, 전환 불필요가 되는 회수를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유출부의 형상은 부채 형상으로 한 것이고, 복수개의 유출부에서 형성되는 형상이 대략 원형이 된다는 점에서 밸브체의 외형을 가장 작게 할 수 있고, 밸브체와 케이싱과의 사이에 충분한 간극을 설치하고, 이물이 끼어드는 것을 방지하면서, 분수 수단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밸브체의 외형이 대략 원형이기 때문에, 밸브체와 케이싱의 사이에 이물이 끼어들기 어려워진다. 또한 밸브체의 이동에 대한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에, 밸브체의 이동이 원활하고, 또한 단시간에서 실시할 수 있어서, 세정 펌프를 정지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단시간에 고효율의 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는 상기 밸브체를 세정수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는 밸브체의 외형부와 연결된 절결 형상으로 한 것으로, 개구부는 구멍 형상이 아니라 절결 형상으로 한 점에서, 케이싱과 개구부와 사이에 이물이 끼어 들 것 같은 경우에도, 그 이물이 빠져나가는 장소가 있고, 끼이는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출부를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는 상기 세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출부에 밀어붙여지도록 한 것으로, 밸브체에 의한 밀폐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세정수를 공급하고자 하는 유출부 이외로의 세정수의 누설을 강하게 억제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세정수가 세정 수단으로부터 분사된다는 점에서, 세정 성능은 더욱 향상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는 세정 펌프를 정지했을 때에 유출부로부터 떨어지고, 세정 펌프를 운전했을 때에 유출부에 접촉하고, 소정의 유출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세정 펌프의 정지시에는 밸브체는 반드시 유출부로부터 떠나기 때문에, 끼어든 이물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고, 전환 불량에 의해 세정수가 세정조 전체에 닿지 않고, 세정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는 유출부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유출부에 접촉하는 직전은 대략 직동(直動)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가압된 세정수에 의해 이동되는 밸브체는 회 전 동작하지 않고 유출부에 당접하기 때문에, 밸브체가 유출부에 밀어붙여진 상태로 이동하지 않고, 양자의 접하는 면은 거의 마모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따른 경시 변화는 작고, 마모에 따른 전환 성능 및 부품의 강도 등이 초기 상태보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세정 펌프를 정지했을 때에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는 정지시 회전 각도는 세정 펌프를 운전했을 때에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는 운전시 회전 각도보다 커지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가압되면서 회전하는 거리가 작아지는 것부터, 밸브체의 회전 동작을 발생시키는 결합부의 마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 운전으로부터 밸브체가 유출부에 당접하기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는 점에서, 이물이 끼어드는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세정 펌프를 정지했을 때에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는 정지시 회전 각도는 세정 펌프를 운전했을 때에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는 운전시 회전 각도보다 작아지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세정 펌프 정지시에 회전하는 각도는 작아진다는 점에서, 밸브체의 이동 시간은 짧아지고, 세정 펌프 정지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으로써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1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1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세정 펌프를 정지했을 때에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는 정지시 회전 각도는 세정 펌프를 운전했을 때에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는 운전시 회전 각도와 대략 동일한 것으로, 상승 및 강하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는 결합부에 소요된 값은 상승측과 강하측에서 균등해지기 때문에, 양방향 모두 오동작이 없이, 보다 확실히 동작시킬 수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세정 펌프의 단속 운전에 의해 밸브체를 대략 직동 및 회전 동작시키는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결합부는 유출부보다 상기 밸브체의 회전 중심측에 설치한 것으로, 밸브체의 이동에 따른 결합부에 의한 마찰을 저감할 수 있고, 밸브체의 회전 동작의 안정화를 꾀함과 동시에, 결합부의 마모 저감으로도 이어져, 전환 불량이 생기는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세정 펌프의 단속 운전에 의해 밸브체를 대략 직동 및 회전 동작시키는 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결합부는 인접한 유출부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유출부의 내외의 어느 쪽에도 결합부가 존재하지 않고, 동일 유출면적을 확보하면서, 밸브체의 크기(외경)을 최소로 할 수 있고, 분수 수단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1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와 유출부가 접촉하는 부분의 양쪽 내지 한편은 탄성체로 형성한 것으로, 밸브체와 유출부 사이의 밀착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밸브체가 유출부에 접촉하기 직전은 대략 직동하는 구성에 대해 보다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케이싱 또는 밸브체 중 어느 한편에 설치된 축부와 다른 편에 설치된 구멍부를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춘 것으로, 밸브체와 케이싱은 중심 부근의 축부와 구멍부가 근접 내지 접촉 하면서 상대 운동하기 때문에, 밸브체의 외주부에서 상대 운동하는 경우와 비해, 대향하는 면적은 최소가 되고, 이물이 끼일 확률은 작아진다. 또한 그 간극에 이물이 들어간 경우에도, 또한 그것에 대항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힘도 최소로 들기 때문에, 케이싱내의 흐름의 변동에 의해서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등, 밸브체를 회전시키는 힘이 작은 경우에도, 이물에 의해서 밸브체가 회전 불능이 될 가능성은 거의 없어진다. 이 때문에, 이물에 의해서 분수 수단이 전환 불능이 되고, 세정조내 전체의 세정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뢰성이 높은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끼워 맞춘 축부와 구멍부에는 복수개의 근접부가 있고, 인접한 근접부 사이에는 그 근접부보다 큰 공간부를 형성한 것으로, 축부와 구멍부는 복수개의 근접부만으로 접한다는 점에서, 이물은 보다 끼어들기 어려워짐과 동시에, 한번 끼어든 이물은 약간의 밸브체의 이동으로 용이하게 빠진다는 점에서, 이물 막힘에 의해 밸브체가 전환 불가능해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2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축부의 외주부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줄기 형상의 볼록부를 설치하여 근접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축부 및 구멍부의 외측에 각각 설치하고, 세정 펌프를 운전하여 케이싱내를 세정수가 흐르고 있을 때, 구멍부측에 설치한 결합부의 인접하는 상부 사이에 상기 볼록부를 대향시킨 것으로, 축부와 구멍부의 간극 이외에서, 운전 중에 이물이 걸릴 가능성이 있는 축부와 결합부와의 간극에 이물이 끼일 확률을 감소시키고, 보다 이물에 대하여 신뢰성이 높은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구멍부측에 설치한 결합부의 인접하는 상부 사이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를 대향시킨 것으로, 축부와 결합부와의 간극에 이물이 끼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청구항 2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세정수의 흐름을 정지 내지 감소시켰을 때에, 밸브체는 이동개시와 동시에 회전 동작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근접부에 이물이 끼어든 경우에도, 밸브체가 이동개시와 동시에 회전 동작하면, 근접부와 근접부의 사이가 넓은 공간에서 이물은 이동하고, 이것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2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세정수가 케이싱에 유입되는 유입부의 중심은 밸브체의 회전 중심부보다 외주측에 치우치게 위치시킨 것으로, 케이싱내에는 케이싱내를 도는 선회류가 발생하고, 이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보다 비중이 큰 잔재 등의 이물은 이 선회류에 의해서 케이싱의 외주측에 이동한다. 이 때문에, 케이싱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는 축부와 구멍부에서는 이물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축부와 구멍부의 간극에 이물이 끼일 확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청구항 2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는 케이싱의 내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대향하는 상기 케이싱 내면과 상기 밸 브체 외면에 복수개의 근접부를 설치하고, 그 인접한 근접부의 사이에 상기 근접부보다 큰 공간부를 형성한 것이다. 밸브체와 케이싱이 실질적으로 상대 운동하는 것은 근접부만이며, 그 면적은 전체 둘레에서 대향하는 경우에 비해 작고, 이물이 끼일 확률은 감소한다. 이 때문에, 이물에 의해서 분수 수단이 전환 불능이 되고, 세정조내 전체의 세정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이 높은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케이싱 내면 및 밸브체 외면은 대략 원형으로 하고, 대향하는 케이싱 내면 내지 밸브체 외면의 어느 것인가 한편에 복수개의 볼록부를 설치하여 근접부를 형성한 것으로, 볼록부 이외의 원형 부분의 간극은 이물이 끼어들지 않도록 설정하고, 복수개의 볼록부만으로 밸브체와 케이싱이 상대 운동하도록 하면, 대향하는 면적이 작아지는 것에 부가하여, 만일 그 간극에 이물이 들어간 경우라도, 한번 끼어든 이물은 약간의 밸브체의 이동으로 용이하게 빠진다는 점에서, 보다 이물 막힘은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분수 수단이 전환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는 세정 펌프의 단속 운전에 의해 회전 동작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모터 등의 전용 전동 구동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코스트가 낮게,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청구항 3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는 전동 구동원에 의해 회전 동작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확실히 밸브체 를 회전시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수단을 전환할 수 있다.
청구항 3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3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전동 구동원의 운전은 세정 펌프의 정지 상태로 한 것으로, 세정수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밸브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밸브체와 유출부의 접촉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고, 분수 수단의 수명이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 본체(20)에는 문(21)으로 개폐 가능한 세정조(22)를 설치하고, 식기 등의 피세정물(23)은 식기 바구니(24)에 세트되고, 세정조(22)내에 수용하고 있다. 급수 밸브(25)는 세정조(22)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세정 펌프(26)는 세정수를 가압하고, 복수의 분사 구멍을 설치한 세정 수단(세정 노즐)(27)에 공급하고, 이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한다. 세정 수단(27)은 식기 바구니(24)의 하방에서 분사하는 참조부호(27a, 27b), 우측 상방에서 분사하는 참조부호(27c), 좌측면에서 분사하는 참조부호(27d)의, 4개소에 설치하고 있고, 분류에 의해서 축주위에 회전하는 회전 노즐로 하고 있다.
세정조(22)의 저부에는 세정 펌프(26)의 흡입측으로 연통한 배수구(28)를 갖고, 이 배수구(28)에는 잔재를 수집하는 잔재 필터(29)와 가열용 발열체(30)를 설치하고, 세정조(22)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31)를 설치하고 있다. 배수 펌프(32)는 세정조(22)내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것이다. 송풍기(33)는 송풍 경로(34)를 통해서 세정조(22)로 공기를 보내고, 그 배기를 배기구(35)로부터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세정 펌프(26)의 토출 경로(36)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수단(27)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분수 수단(37)을 설치하고 있고, 이 분수 수단(37)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구조를 하고 있다. 세정 펌프(26)에서 가압된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부(38)와 4개의 세정 수단(27)에 각각 연통된 4개의 유출부(39)를 갖는 케이싱(40)과, 이 케이싱(40)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밸브체(41)로 구성되고, 밸브체(41)에는 세정수를 통과시키는 개구부(42)를 설치하고 있다.
4개의 유출부(39)는 각각 세정 경로(43)로 세정 수단(27)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42)와 연통하는 유출부(39)를 전환하기 위해서, 밸브체(41)를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 모터(전동 구동원)(54)을 갖고, 이 구동 모터(54)의 모터 축(55)은 간극을 가진 상태로 밸브체(41)와 끼워맞춤하고 있다.
또한 도 3 등은 개념적인 도면이며, 실제로는 케이싱(40)은 상하로 2분할하고, 비스 고정이나 끼워넣기, 용착이나 용접 등으로 결합된 구조가 된다. 또한 세정조(22)가 수지제인 경우 등, 이 세정조(22)의 저면과 일체로 케이싱(4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우선, 식기 세척기의 기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식기 등의 피세정물(23)을 식기 바구니(24)에 세트하여 세정조(22)에 수납하고, 세 제를 투입한 후, 문(21)에 의해 식기 세척기 본체(20)의 개구부를 폐색하고, 운전을 시작한다. 피세정물(23)의 더러움을 떨어뜨리는 세정 공정, 부착된 세제나 잔채를 흘려내는 헹굼 공정, 그리고 피세정물(23)에 부착되어 있는 물방울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의 순으로 실행한다.
우선, 급수 밸브(25)를 동작하여 소정량의 세정수를 세정조(22)에 급수하고, 계속해서 세정 펌프(26)에 의해 세정수를 가압하고,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한다. 이 때, 세정조(22)내에 설치한 시즈히터 등의 발열체(30)에 통전하고 있고, 세정수를 가열하면서 세정 공정은 실시된다. 또한 온도 센서(31)는 세정조(22)의 온도를 검지하고 있고, 소정 온도 이상으로 되면 발열체(30)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세정수는 잔재 필터(29)를 통과하여 세정 펌프(26)에 흡입되고, 세정 펌프(26)보다 세정조(22)의 내저부에 설치한 세정 수단(세정 노즐)(27)에 공급되고, 이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분사되고, 식기 등의 피세정물(23)을 세정한 후, 다시 배수구(28)로 되돌아가는 경로로 순환한다. 이 때, 피세정물(23)로부터 탈락한 잔재 등은 세정수와 동시에 잔재 필터(29)에 유입되고, 잔재 필터(29)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잔재는 잔재 필터(29)에 포집된다.
소정 시간의 세정 공정을 끝내면, 더러움을 포함한 세정수는 배수 펌프(32)에 의해 기기 밖으로 배출되고, 새롭게 세정수가 공급된다. 세정 펌프(26)를 운전하고,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다시 세정수를 분사하고, 세제나 잔채 등이 부착된 피세정물(23)의 헹구기를 실시한다. 소정 시간 운전한 후, 세정수를 배출하고, 다 시 세정수를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이 헹굼 공정은 연속하여 3회 정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세정수를 기기 밖으로 배출하고, 헹굼 공정은 종료된다.
계속해서 건조 공정을 실시하고, 송풍기(33)를 동작시킴으로써 송풍 경로(34)를 통해 외기가 세정조(22)내에 송풍되고, 배기구(35)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 발열체(30)에는 통전되어 있고, 송풍과 온도의 양쪽의 효과에 의해서 피세정물(23)에 부착된 물방울의 증발은 촉진된다. 소정 시간 이러한 건조공정을 실시하고, 운전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인 분수 수단(37)의 동작,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40)은 대략 원통형이며, 그 축 방향이 대략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세정 펌프(26)로 가압된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부(38)는 케이싱(40)의 하단부에, 유출부(39)는 케이싱(40)의 상면에 설치하고 있다. 밸브체(41)는 대략 평면 형상을 하고 있고, 유출부(39)를 설치한 면(A)[밸브체(41)와 대향하는 면]과 밸브체(41)와의 대향하는 면도 평면 형상으로 하고 있다.
밸브체(41)와 모터 축(55)은 간극을 가지고 끼워맞춤하고 있고, 밸브체(41)는 회전 동작 이외에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고, 유출부(39)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세정 펌프(26)를 운전한 경우, 유입부(38)로부터 유입된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서 밸브체(41)는 상승하고, 유출부(39)에 가압되고, 구동 모터(54)에 의해 밸브체(41)를 회전시켜, 개구부(42)와 일치한 유출부(39)에 세정수가 공급되고, 이 유출부(39)와 연통된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된다.
밸브체(41)를 회전시킴으로써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출부(39)가 순차 전환되고,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수단(27)은 참조부호(27a), 참조부호(27b), 참조부호(27c), 참조부호(27d)의 순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구동 모터(54)는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방법과, 유출부(39)의 위치에서 개구부(42)가 정지하도록 단속적으로 구동하는 방법이 있지만, 어느 하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전자의 경우는 밸브체(41)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등이 불필요하고, 구성은 간단해지고, 후자의 경우는 위치 센서 등을 필요로 하지만, 전환 효율이 좋고,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정 수단(27)의 위치나 분사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동시에 4개소의 세정 수단(27)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순차로 세정수를 보내주기 때문에 급수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임의의 피세정물(23)에 대하여 복수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시간에 식기 등의 피세정물(23)에 부착된 오염물을 세정할 수 있고, 고효율 세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식기 등의 피세정물(23)에 부착된 세제나 잔재를 단시간에 헹구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헹굼 회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헹굼 공정을 4회 실시했던 것을 3회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회의 급수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헹굼 회수를 삭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발열체(30)를 사용한 세정수의 가열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에너지 절약 및 수량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급수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세정 노즐(27)의 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식기 등의 피세정물(23)에 대해 보다 여러 방향에서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세정 방식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세정물(23)의 식기 바구니(24)로의 세트 위치 및 세로로 놓기, 뒤집어 놓기 등의 세트 방법을 선택하지 않고 자유롭게 세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세트성이 우수한 식기 세척기로 할 수 있다. 또한, 각진 사발, 깊고 작은 사발, 각진 접시 등, 단일 방향에서의 분사로는 세정수가 충분히 미치지 않는 식기에 대해서도 충분한 세정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1개소의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분사하는 시간은 수 초에서 1분 정도에서 전환하면, 효율적인 세정을 실시할 수 있지만, 한 번의 세정 내지 헹굼 공정 중에, 적어도 한 번은 모든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분사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10초에서 30초 정도로 설정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체(41)의 구동은 구동 모터(전동 구동원)(54)에 의해 실시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확실히 밸브체(41)를 회전시킬 수 있고,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 수단(27)의 전환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4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출부(39)를 설치한 면(A)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 가능하다. 즉, 밸브체(41)는 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세정 펌프(26)의 운전시에도, 그 이동은 가능하다. 잔재 및 이쑤시개 등의 이물(49)을 수반하여 흐르는 세정수를 순환시키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42)와 유출부(39)와의 간극이 없어질 때, 마침 이물(49)이 끼어 들어가는 경우가 있지만, 밸브체(41)가 유출부(39)로부터 떨어지지 않는 경우, 이물(49)의 종류대로는 밸브체(41)는 로크하여 전환불능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동 모터(54)의 구동력이 강한 경우에는 밸브체(41) 및 유출부(39)를 파손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밸브체(41)가 유출부(39)를 설치한 면(A)에서 떨어지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7과 같이 이동하고, 이물(49)이 껴서 들어가는 것을 회피하고,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물(49)이 끼어든 상태로는 모든 세정 수단(27)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등, 그 때의 세정수의 공급은 불완전해지지만, 다음 유출부(39)까지 회전하면, 이물(49)은 빠지고, 다시 정상적으로 세정수를 전환할 수 있고, 고효율로 피세정물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이물(49)로서는 여러가지 것이 상정되고, 식품 외에도, 물고기의 뼈, 이쑤시개, 고무밴드, 비닐 또는 식기의 파편 등이 상정된다. 특히, 이쑤시개나 버찌의 줄기 등의 가늘고 긴 물질은 길이가 긴데도 불구하고, 잔재 필터를 통과할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이물에 대해서도 대응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린 이물(49)은 일회 내지 수회 유출부(39)를 통과할 때 제거할 수 있지만, 가늘고 긴 이물 등 빠지기 어려운 것도 있다. 이 때문에, 세정 펌프(26)를 도중에서 일단 정지시키면, 정지시에 밸브체(41)는 그 자중에 의해 유출부(39)로부터 떨어지도록 동작하여 걸린 이물(49)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간극에 이물(49)이 끼어들어 밸브체(41)가 이동 불능이 되는 경우 없이, 확실히 밸브체(41)의 전환을 실시할 수 있다.
세정 펌프(26)는 적어도 세정 및 헹굼 공정의 끝에는 정지하기 때문에, 그 일회뿐인 세정의 세정 성능이 전환 불량에 의해 저하될 가능성은 있지만, 다음 번 의 사용으로부터는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정 및 헹굼 공정의 도중에서 몇번이나 세정 펌프(26)의 일단 정지를 실시하면, 전환 불량의 회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세정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밸브체(41)는 이 밸브체(41)가 직동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 가능하게 하고 있다. 밸브체(41)와 모터 축(55)의 끼워맞춤부는 모터 축(55)을 단면으로 하여 상방향에서 보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고, 모터 축(55)과 밸브체(41)와의 사이에 간극(41a)을 설치하고, 모든 방향으로 경사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물(49)이 끼어든 경우의 밸브체(41)의 이동이 원활히 실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구부(42)와 유출부(39)의 접촉부의 단면에, 모떼기 및 필릿을 실시함으로써 이 밸브체(41)의 빠져나가는 동작을 보다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간극의 일부에 이물(49)이 끼고, 세정수의 압력 등에 의해 밸브체(41)에 경사지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도, 밸브체(41)가 비집고 들어가는 모양으로 케이싱(40) 등에 껴들어가, 밸브체(41)가 전환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에 따라, 밸브체(41) 및 케이싱(40)이 파손될 우려가 없는 경사 각도는 잔재 필터(29)의 간극과 동일한 크기의 이물(49)이 끼어든 경우에 경사지는 각도 이상 경사 가능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체(41)와 모터 축(55)과의 연결은 볼 조인트를 사용하는 등, 다른 구성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26)를 운전한 순간에 케이싱(40)과 밸브체(41)의 사이에 이 물(49)이 끼어든 경우에도,모든 세정 수단(27)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등, 세정수의 공급이 불완전해 질 가능성은 있지만, 세정 펌프(26)를 일시 정지하면,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거리가 넓어진다는 점에서 이물(49)은 제거되고, 다음에 세정 펌프(26)를 운전한 때에는 문제없이 전환할 수 있고, 고효율로 피세정물(23)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세정 펌프(26)의 정지 상태에서, 밸브체(41)를 유출부(39)로부터 떨어지게 하기 위해서, 밸브체(41)가 유출부(39)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용수철)(50)을 설치한 경우에는 케이싱(40)과 밸브체(41)와의 사이에 이물(49)이 끼어 들고, 세정 펌프(26)의 정지 상태에서 밸브체(41)가 유출부(39)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정지 상태에서 확실히 이물(49)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41)를 어느 방향으로 설치한 경우에도, 유출부(39)로부터 떨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분수 수단(37)의 설치하는 방향을 선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압 수단(50)으로서는 도시한 코일 용수철 이외에, 판용수철을 사용하거나, 고무 등의 탄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세정 펌프(26)를 운전한 상태로는 케이싱(40)내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서 밸브체(41)는 유출부(39)측, 즉 상방에 가압됨으로써 밸브체(41)는 유출부(39)와의 밀봉면의 밀착성이 늘어나기 때문에, 세정수의 누설을 극히 작게 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세정수가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분사됨으로써 세정 성능은 더욱 향상된다. 밸브체(41) 내지 유출부(39)가 수압에 의해 변형 가능하면, 이 밀 봉성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케이싱(40)내는 세정 펌프(26)의 운전시에는 통상 20 내지 40kPa 정도까지 가압되기 때문에, 밸브체(41)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20 내지 100N 정도의 힘이 작용하게 되고, 강고하게 유출부(39)에 밀어붙여지게 된다.
한편, 밸브체(41)가 세정수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밸브체(41)를 회전시키면 큰 마찰을 발생시켜, 밸브체(41)나 유출부(39)가 마모되어 버릴 우려가 있지만, 구동 모터(54)의 구동시에는 세정 펌프(26)를 정지시킴으로써, 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세정 펌프(26)의 정지시에 밸브체(41)를 회전시켜 다음 소정 위치까지 밸브체(41)를 구동하고, 구동 모터(54)의 정지 후, 다시 세정 펌프(26)를 운전하면, 밸브체(41)는 유출부(39)에 밀어 붙여질 뿐, 미끄럼 운동하지 않고, 마모는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수 수단(37)의 수명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26)와 구동 모터(54)가 일부 동시 운전되고 있다해도, 마모에 지장이 없으면, 완전히 세정 펌프(26)를 정지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유출부(39)와 밸브체(41)는 조밀하게 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품의 치수 정밀도 등에 따라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거나, 또는 1mm 이하의 미소한 일정한 간극을 설치한 경우에도, 다른 유출부(39)로의 다소의 누설은 발생하지만, 분수 수단(37)으로서는 충분히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41)가 유출부(39)로부터 떨어지는 거리는 잔재 필터(29)의 간극 이상으로 하고 있고, 잔재 필터(29)를 통과하여 분수 수단(37)에 유입할 수 있는 이물(49)의 크기 이상의 간극이,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세정 펌프(26)를 정지했을 때, 그동안에 끼어든 이물(49)을 제거할 수 있고, 항상 신뢰성이 높은 분수 수단(37)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잔재 필터(29)의 간극 이상이란, 둥근 구멍의 직경, 메쉬의 변 길이 등이 이에 상당하지만, 엄밀하게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잔재 필터(29)를 통과할 수 있는 이물(49)의 최소 치수 B 이상인 것을 말한다. 또한 잔재 필터(29)에는 배수구(28)에 고정되어 탈착 불가능한 고정 필터(51)와, 탈착하여 청소할 수 있는 착탈 필터(52)의 2개를 갖는 경우가 있지만, 둘중 작은 쪽의 치수[통상은 착탈 필터(52)]로 설정하면, 통상 운전시에는 문제없이 대응할 수 있다. 단, 착탈 필터(52)의 잘못된 설치 및 실수로 부착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고정 필터(51)의 간극 이상의 거리를 떨어지도록 설정하면 확실하다.
또한 케이싱(40)과 밸브체(41)와의 최소 간극은 상기 잔재 필터(29)의 간극 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케이싱(40)과 밸브체(41)와의 간극이란, 밸브체(41)의 외주 및 단면 방향이며, 유출부(39)측의 단면은 밸브체(41)가 직동하는 거리이다. 또한 상기 잔재 필터(29)의 간극 이상이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분수 수단(37)에 유입할 수 있는 이물(49)의 크기 이상의 간극이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 간극에 이물(49)이 끼고, 밸브체(41)가 전환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세정수가 공급되고 있는 세정 수단(27)을 검지하는 검지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하면, 세정 수단(27)마다 분사 시간을 가변할 수 있고,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세정하기 어려운 밥공기에 대한 세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세정 수단(27a)으로부터의 분사 시간을 다른 것 보다도 길게하는 것 등이 효과적이다.
검지 수단으로서는 밸브체(41)의 회전위치를 검지하는 수단 및 세정 경로(43) 내의 압력을 검지하거나, 흐르는 물의 유무를 검지하는 수단 등 여러가지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4개소에 센서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1개소이더라도, 세정 펌프(26)의 운전·정지의 회수의 정보와 합하면, 어느 위치로부터 분사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피세정물(23)이 소량인 경우 등, 모든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세정 수단(27)으로부터의 분사 시간은 1초 이하 정도의 극히 단시간으로 함으로써 거의 분사시키지 않고, 필요한 세정 수단(27)만으로부터 분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운전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헹구기의 최종 분사는 식기 바구니(24)의 상방에 설치된 세정 수단(27c)으로부터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미세한 입자의 부착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할 수 있고, 보다 세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세정 수단(27)은 4개소로 하고, 전부 회전 가능한 회전 노즐로 했지만, 4개소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식기 바구니(24)의 식기 배치 등에 따라, 그 개수를 설정하면 바람직하다. 2개소 이상이면 효과를 발휘하지만, 모든 식기에 대하여 2방향 이상으로부터의 분사가 얻어지는 것이 세정 성능을 향상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는 점에서, 4개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분기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1개의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분사되는 총 수량이 작아져 세정 효과가 줄어든다는 점에서 10개소 이하, 바람직하게는 6개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 수단에 회전 노즐을 사용하면 세정 성능은 향상되지만, 세정 수단(27)이 차지하는 공간이 증대한다는 점에서, 본체의 외곽 치수가 동일한 경우, 피세정물(23)을 수용하는 부분의 용적이 감소하는 과제도 있기 때문에, 도 11과 같이, 배면 및 상방에 설치하는 세정 노즐이 회전하지 않는 고정식의 세정 수단(27c, 27d)으로 하는 것도 유효하고, 회전 노즐이나 고정 노즐 등의 방식 및, 그 분사구의 개수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12와 같이, 세정 수단(27)을, 참조부호(27a, 27b, 27e)의 3개소로 한 것 및, 도 13과 같이, 식기 바구니(24)를 상하 2단으로 하고, 상하의 바구니(24)의 중간 부분에 2개의 회전 노즐(27c, 27d)을 설치한 것 등, 식기 세척기 본체(20)의 형상 및 식기 배치 등에 따라, 알맞게 설정하면, 세정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세정 수단(27) 중 분사되는 세정 수단(27)은 1개소만으로 했지만, 밸브체(41)의 개구부(42)를 2개소, 또는 그 이상 설치함으로써 복수개의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동시에 분사시켜, 그 위치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개의 유출부(39) 중 1개를, 기기 밖으로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출 경로에 접속하면, 배수 펌프(32)를 사용하지 않고 배수를 실시할 수도 있고, 배수 펌프(32)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코스트 다운 및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운전시에 순차 세정 수단(27)을 전환할 때, 이 유출부(39)도 반드시 통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세정 펌프(26)를 운전을 계속하면 세정 중에 배수되어 버리기 때문에, 세정수가 공급되고 있는 유출부(39)를 검출하여, 배수때 이외는 이 배수용의 유출부(39)에 대해 세정수를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배수때 이외의 기기 밖으로의 배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 경로의 도중에 개폐 밸브를 설치하면, 확실히 기기 밖으로의 세정수의 배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수의 전환 방식에 관한 것으로, 식기 세척기 본체(20)의 형상이나 크기, 문(21)의 개폐 방식, 식기 등의 피세정물의 배치, 개개의 부품의 배치 등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건조 기능을 갖는 식기 세척기의 예를 개시했지만, 건조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은 식기 세척기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분수 수단(37)은 도 14, 도 15에 나타낸 구조를 하고 있고, 실시예 1과 같이, 유입부(38)와 4개의 유출부(39)를 갖는 케이싱(40)과, 이동 가능한 밸브체(41)로 구성되고, 밸브체(41)에는 세정수를 통과시키는 개구부(42)를 설치하고 있지만, 밸브체(41)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54)는 설치하지 않고 있다. 그 대신에, 밸브체(41)의 상승시에 밸브체(41)를 소정 각도만 회전시키는 1쌍의 상부 결합부(44)와, 밸브체(41)의 강하시에 밸브체(41)를 소정 각도만 회전시키는 1쌍의 하부 결합부(45)를 케이싱(40)측과 밸브체(41)측에 각각 설치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40)은 대략 원통형이며, 그 축 방향이 대 략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세정 펌프(26)로 가압된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부(38)는 케이싱(40) 하단부에, 유출부(39)는 케이싱(4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41)는 대략 평면 형상을 하고 있고,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대향하는 면(A)도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세정 펌프(26)를 운전한 경우, 유입부(38)로부터 유입된 세정수의 흐름(압력)에 의해서 밸브체(41)는 상부 결합부(44)의 경사에 따라, 대략 직동 및 회전을 따른 동작으로 상승하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유출부(39)가 개구되는 위치에서 고정되고, 이 유출부(39)와 연통하는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된다. 밸브체(41)의 바로 아래에서 보면, 도 16과 같이, 밸브체(41)를 세정수가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한 개구부(42)가, 소정의 유출부(39)와 일치하도록, 상부 결합부(44)를 설정하고 있다(단면도에서는 결합부의 상세한 것은 도시하고 않고, 도 18을 참조할 것).
계속해서, 세정 펌프(26)를 일단 정지시키면, 밸브체(41)를 하방으로부터 밀어 올리고 있었던 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 밸브체(41)는 그 자중에 의해 강하하지만, 이 때, 하부 결합부(45)의 경사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강하하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위치에서 정지한다.
다시, 세정 펌프(26)를 운전하면, 상부 결합부(44)의 다음 경사에 결합되고, 밸브체(41)는 회전하면서 상승하고, 다음 유출부(39)와 연통됨으로써 다음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한다. 이와 같이, 세정 펌프(26)를 단속적으로 운전함으로써, 세정수가 분사하는 세정 수단(27)은 참조부호(27a, 27b, 27c, 27d)의 순 으로 전환할 수 있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분수 수단(37)에 의한 높은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원형의 상부 결합부(44) 및 하부 결합부(45)를 평면에 확대하여 그 관계를 나타내면, 도 18과 같이 되어 있고, 세정 펌프(26)의 운전과 정지를 반복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대략 직동과 회전 운동을 조합시킨 동작을 하면서 밸브체(41)의 위치는 순차로 전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4개소의 유출부(39)로 순차 전환되기 때문에, 일회의 정지와 운전으로 밸브체(41)가 90°회전하는 구성이며, 이 도면에서는 상승시에 약 20°, 강하시에 약 70°회전하도록 상부 결합부(44) 및 하부 결합부(45)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이 각 결합부에 관해서는 나선형 및 삼각 등의 본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정 펌프(26)를 단속적으로 운전했을 때, 세정 펌프(26)를 운전중에 소정의 유출부(39)와 밸브체(41)의 개구부(42)가 일치하면 바람직하고, 예컨대, 삼각형상의 발톱부 형상이 아닌, 도 19와 같이 홈부(46)를 가이드부(47)가 따르는 구성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체(41)의 외주부 등, 결합부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수단(27)의 전환은 세정 펌프(26)의 단속운전에 의해 실시되고 있고, 3방 밸브 및 전동 모터 등의 전동 구동 감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저렴하게, 또한 분수 수단(37)의 소형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의 경우에는 회전축은 케이싱(40)을 관통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조밀한 밀봉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어서 구조가 복잡해짐과 동시에, 이 밀봉이 불량인 경우에 는 제품 외부에 누수를 일으킬 가능성을 갖고 있었지만, 본 구성에서는 케이싱(40)을 관통하여 동작하는 부품은 존재하지 않고, 외부에 누수를 일으킬 우려는 없다.
또한 세정 펌프(26)를 운전한 상태로는 케이싱(40)내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서 밸브체(41)는 유출부(39)측, 즉 상방에 가압된다. 이에 따라, 밸브체(41)는 유출부(39)와의 밀봉면의 밀착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세정수의 누설을 극히 작게 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세정수가 세정 수단(27)으로부터 분사된다는 점에서, 세정 성능은 더욱 향상된다. 밸브체(41) 내지 유출부(39)가 수압에 의해 변형 가능하면, 이 밀봉성은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밸브체(41)의 상승 동작은 가압된 세정수의 압력으로, 강하 동작은 밸브체(41)의 자중으로 실시하도록 되어 있고, 밸브체(41)의 축 방향은 대략 연직 방향으로 취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밸브체(41)의 비중은 1이상이 필요하고, 가압시에 밸브체(41)가 상승 가능한 범위에서 클수록, 확실하게 강하 및 회전 동작을 실시할 수 있고, 분수 수단(37)의 전환 성능은 높아진다. 수지 재료에서는 밸브체(41)를 구성해도, 충분한 전환 동작은 수득되지만, 금속 등의 비중이 무거운 재료를 사용하거나, 수지 재료와 금속 재료를 조합시키면 유효하다. 또한 밸브체(41)가 유출부(39)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용수철 및 고무 재료 등의 가압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확실하게 밸브체(4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는 연직 상향으로 취할 필요는 없고, 분수 수단(37)을 임의의 방향을 향해서 설치할 수 있다.
상부 결합부(44)는 가압되면서 미끄럼 운동하지만, 하부 결합부(45)에는 수 압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결합부(44)의 회전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상부 결합부(44)의 마모를 작게 할 수 있고, 개구부(42)와 유출부(39)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등의 전환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26)의 운전 개시로부터 밸브체(41)가 유출부(39)에 당접하기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는 점에서, 이물(49)이 끼일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세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정 펌프(26)를 정지했을 때에 밸브체(41)가 회전 동작하는 정지시 회전 각도는 세정 펌프(26)를 운전했을 때에 밸브체(41)가 회전 동작하는 운전시 회전 각도보다 작아지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세정 펌프(26) 정지시에 회전하는 각도는 작아진다는 점에서, 밸브체(41)의 이동 시간은 짧아지고, 세정 펌프(26) 정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정 펌프(26)의 운전 시간이 연장되고,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26)를 정지했을 때에 밸브체(41)가 회전 동작하는 정지시 회전 각도는 세정 펌프(26)를 운전했을 때에 밸브체(41)가 회전 동작하는 운전시 회전 각도와 대략 동일해지도록 상부 결합부(44)와 하부 결합부(45)를 설치한 경우에는 도 20과 같이, 상승 및 강하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는 결합부의 소요된 값은 상승측의 소요된 값(G)과, 강하측의 소요된 값(H)과 함께 45°로 최대가 되기 때문에, 양방향 모두 오동작 없이, 보다 확실히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7과 같이, 상부 결합부(44) 및 하부 결합부(45)는 유출부(39)[개구부(42)] 보다도 내측에 설치하고 있다. 밸브체(41)의 외주부보다 내측인 쪽이 회전시의 속도는 느리고, 이동 거리도 작고, 결합부의 사면의 각도도 급경 사가 된다는 점 등으로부터, 밸브체(41)의 회전 동작의 안정화를 꾀함과 동시에, 상부 결합부(44) 및 하부 결합부(45)의 마모 저감으로도 이어져, 전환 불량을 일으키는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상부 결합부(44)는 세정 펌프(26)를 운전하고, 밸브체(41)가 유출부(39)에 접촉하기 직전은 밸브체(41)는 대략 직동하도록 작용한다. 즉, 도 18에 나타내는 상부 결합부(44)의 돌출부(F)의 작용에 의해 상방으로 대략 직동 한다. 이 때문에, 가압된 세정수에 의해 이동되는 밸브체(41)는 회전 동작하지 않고 상승하여 유출부(39)에 당접하기 때문에, 밸브체(41)가 유출부(39)에 밀어붙여지면서 이동하지 않고, 양자의 접하는 면은 거의 마모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따른 경시 변화는 작고, 마모에 따라 전환 성능 및 부품의 강도 등이 초기 상태보다 손상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내마모성 재료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단순한 PP 및 POM 등의 일반적인 수지 성형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41)와 유출부(39)가 접촉하는 부분의 양쪽, 내지 어느 한편을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형성하면, 밸브체(41)와 유출부(39)의 사이의 밀착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단, 밸브체(41)와 유출부(39)가 미끄러질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마찰 저항이 크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밸브체(41)가 유출부(39)에 접촉하기 직전에는 대략 직동하는 구성에 있어서 사용하면, 탄성체의 마모도 적다는 점에서 보다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세정수가 공급되고 있는 세정 수단(27)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하면, 세정 수단(27) 마다 분사 시간을 가변할 수도 있고, 보다 효율 적인 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세정하기 어려운 밥공기에 대한 세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세정 수단(27a)에서의 분사 시간을 다른 것 보다도 길게하는 것 등이 효과적이다.
검지수단으로서는 밸브체(41)의 회전 위치를 검지하는 수단 및, 세정 경로(43) 내의 압력을 검지하거나, 흐르는 물의 유무를 검지하는 수단 등 여러가지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4개소에 센서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1개소이더라도, 세정 펌프(26)의 운전·정지의 회수의 정보와 합하면, 어느 위치로부터 분사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피세정물(23)이 소량인 경우 등, 모든 세정 수단(27)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세정 수단(27)으로부터의 분사 시간은 1초 이하 정도의 극히 단시간으로 함으로써 거의 분사시키지 않고, 필요한 세정 수단(27)만으로부터 분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세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운전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헹구기의 최종의 분사는 식기 바구니(24)의 상방에 설치한 세정 수단(27)에서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미세한 입자의 부착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하는 수 있고, 보다 세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출부(39)를 설치한 밸브체(41)와 대향하는 면(A)은 밸브체(41)의 대략 직동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부터 경사져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대향하는 면은 수평 방향이며, 밸브체(41)의 직동 방향으로부터는 90°경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전환시의 밸브체(41)의 직동에 의해 서,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대향하는 면(A)의 거리는 멀어지도록 작용하고, 잔재 및 이쑤시개 등의 이물(49)을 따라 흐르는 세정수를 순환시키고, 케이싱(40)과 밸브체(41)와의 간극에 이물(49)이 들어간 경우에도, 세정 펌프(26)를 정지하고, 밸브체(41)가 떨어진 때에, 그 이물(49)을 간극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분수 수단(37)에서의 이물(49)의 막힘을 회피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져서 확실히 밸브체(41)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21과 같이, 세정 펌프(26)를 운전한 순간에 케이싱(40)과 밸브체(41)의 사이에 이물(49)이 끼어든 경우라도, 모든 세정 수단(27)에 세정수가 공급되는 등, 세정수의 공급이 불완전해질 가능성은 있지만, 일단 세정 펌프(26)가 정지하면,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거리가 넓어진다는 점에서 이물(49)은 제거되고, 다음에 세정 펌프(26)를 운전한 때는 문제없이 전환할 수 있고, 고효율로 피세정물(23)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26)의 정지 상태에서 이물(49)이 탈락하지 않은 경우라도, 세정 펌프(26) 운전 개시시의 수류에 의해서 유출부(39)측에 이물(49)은 흘러, 간극에 계속해서 끼이는 경우는 없다. 또한 세정 펌프(26)를 한 번 정지·운전한 것 만으로는 이물(49)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라도, 수회 반복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41)의 상면에 경사를 갖는 형상으로 하면, 보다 이물(49)을 배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16과 같이 케이싱(40)과 밸브체(41)와의 최소 간극(J)은 상기 잔재 필터(29)의 간극 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케이싱(40)과 밸브체(41)와의 간극이 란, 밸브체(41)의 외주 및 단면방향이며, 유출부(39)측의 단면은 밸브체(41)가 직동하는 거리를 말한다. 이에 따라, 분수 수단(37)에 유입할 수 있는 이물(49)의 크기 이상의 간극이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 간극에 이물(49)이 끼어, 밸브체(41)가 전환 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밸브체(41)는 평면 형상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추 형상 및 구체이더라도, 수압에 의해 유출부(39)에 밀어붙이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유출부(39)는 파이프 형상으로 케이싱(40)내에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접촉면적은 4개의 파이프의 단면만이며, 돌출시키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작게 할 수 있고,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사이에 이물(49)이 끼이기 어려워져, 전환 불량의 회수를 저감할 수 있다. 단, 이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출부(39) 및 밸브체(41)의 형상대로는 돌출시키지 않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26)는 운전과 정지를 반복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인버터 모터를 사용한 세정 펌프(26)와 같이, 펌프의 출력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펌프의 출력의 강약을 이용하여 밸브체(41)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약할 때의 출력을, 밸브체(41)가 유출부(39)로부터 떨어지는 출력 이하로 하면 전환 가능하고, 펌프의 운전과 정지의 회수가 감소한다는 점에서, 모터의 수명 향상을 꾀할 수 있고, 정음화(靜音化)로도 이어진다.
또한 도 15와 같이, 케이싱(40)에 설치한 축부(60)에, 밸브체(41)에 설치한 구멍부(61)를 삽입하여 구성하고, 구멍부(60)와 축부(61)가 근접 또는 접촉함으로 써, 밸브체(41)의 상하 직동 및 회전의 동작을 규제하고 있다. 예컨대, 밸브체(41)의 외경이 100mm, 축부(61)의 입경을 5mm로 하면, 밸브체(41)의 외주부에서 상대 운동하는 경우에 비해, 대향하는 면적(원주 길이)은 20분의 1 정도로 대단히 작고, 이물이 끼일 확률도 작아진다. 그에 추가로, 그 간극에 이물이 들어간 경우라도, 이물에 대항하여 회전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회전 토크)도 동일하게 20분의 1 정도이면 되고, 전용 구동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케이싱(40)내의 흐름의 변동에 의해서 밸브체(41)를 이동시키는 등, 밸브체(41)를 회전시키는 힘이 작은 경우라도, 이물에 의해서 밸브체(41)가 회전 불능이 될 가능성은 거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이물에 의해서 분수 수단(37)이 전환 불능이 되고, 세정조(22)내 전체의 세정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이 높은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세정수가 케이싱(40)에 유입되는 유입부(38)의 중심(K)은 밸브체(41)의 회전 중심부(L)보다 외주측에 거리(M)만큼 치우치게 위치시키고 있고, 케이싱(40)내에는 케이싱(40)내를 도는 선회류가 발생하고, 이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보다 비중이 큰 이물은 이 선회류의 원심 작용으로 케이싱(40)의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케이싱(40)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는 축부(60)와 구멍부(61)로부터는 이물이 멀어지는 경향이 있고, 축부(60)와 구멍부(61)의 간극에 이물이 걸리는 확률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밸브체(41)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에는 세정수의 압력이 작용하고, 케이싱(40)내는 통상 20 내지 40kPa 정도까지 가압되기 때문에, 밸브체(41)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20 내지 100N 정도의 큰 힘이 밸브체(41)에는 작용하기 때문에, 다소 이물 이 걸려 있었다고 해도, 밸브체(41)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밸브체(41)의 강하에 대해서는 밸브체(41)의 자중만이 작용이 되고, 그 추진력은 작다.
이 때문에, 도 22와 같이, 밸브체(41)가 유출부(39)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 수단(62)으로서 코일 용수철을 밸브체(41)에 작용시킴으로써 이물이 끼어 든 상태라도 충분히 밸브체(41)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전환의 신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도 22와 같은 코일 용수철을 작용시킨다는 점에서, 판용수철 등의 다른 용수철재를 사용하거나, 고무 등의 탄성체를 작용시키거나, 또는 밸브체(41)의 자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금속제의 별개의 개체를 밸브체(41)에 고정하거나, 삽입하여 성형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밸브체(41)에 자석 또는 자성체를 설치하고, 자력을 이용하여 밸브체(41)를 하방에 가압하는 구성 등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축부(60)와 구멍부(61)의 형상에 관해서는 도 15의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23과 같이 축부(60)를 도중에서 절단한 것이나, 도 24와 같이 구멍부(61)를 관통하지 않는 폐색 구멍으로 한 경우나, 도 25와 같이 케이싱(40)과 구멍부(61)를, 밸브체(41)에 축부(60)를 설치한 경우 등, 여러가지의 구성이 상정되지만, 모두 이물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대향하는 면을 평면 순서 이외로 한 것이다.
도 26에 나타낸 것은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대향하는 면을 원추 형상으로 한 것이다. 도면과 같이, 대향하는 면은 수평보다 경사져 있고, 밸브체(41)가 유출부(39)로부터 떨어진 때에, 끼어든 이물(49)이 밸브체(41)상에 머물 가능성은 낮아지고, 보다 이물(49)의 제거 성능이 높은 분수 수단(37)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의 방향은 어느 방향에 설치하더라도 수평보다 경사지기 때문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출부(39)와 밸브체(41)가 접촉한 상태라도 밸브체(41)는 회전 가능하고, 밸브체(41)의 직동하는 거리에 관계없이 세정수의 경로를 전환할 수 있고,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도면과 같이, 유출부(39)를 나간 세정수가 수평 방향으로 굴절하는 구성인 경우, 원추모양의 유출부(39)는 법선(수평) 방향으로 성분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분수부의 압손 저감을 꾀할 수도 있다. 또한 밸브체(41)가 떨어지는 거리란 면과 면과의 거리를 말하는데, 도면중의 C 치수가 그 거리이다.
또한 원추부의 테이퍼 각도(D)로 한정되지 않지만, 0°에 가까워지면 쐐기의 효과에 의해 밸브체(41)의 이동이 불가능해지거나, 필요한 간극을 확보하기 위한 직동 거리가 길어지고, 케이싱(40)이 커지는 등의 과제를 갖고 있고, 원추부의 테이퍼 각도(D)는 30°이상, 바람직하게는 9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7에 나타낸 것은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대향하는 면을 각뿔형상으로 한 것이다. 대향하는 면이 수평보다 경사진다는 점에서는 원추와 같은 작용이며, 또한 유출부(39)와 밸브체(41)는 대략 평면으로 대향한다는 점에서, 상대면의 평면도와 각도로 부품 형상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고, 양산한 경우에도, 소정 치수의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누설 등이 적은 안정한 성능을 갖는 분수 수단(37)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8에 나타낸 것은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의 대향하는 면을 구형상으로 한 것이다. 밸브체(41)가 다소 경사져서 유출부(39)에 대향하는 경우, 간신히 개구부(42)와 유출부(39)의 위치는 어긋나지만, 대향하는 면은 유출부(39)도 밸브체(41)도 구형상이라는 점에서, 그 때문에 유출부(39)와 밸브체(41)와 간극이 넓어지지 않고, 세정수의 누설 등은 증대되지 않고, 전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출부(39)의 형상은 부채 형상으로 한 것으로, 밸브체(41)의 개구부(42)는 밸브체(41)의 외형부와 연결한 절결 형상으로 한 것으로,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유출부(39)의 형상을 부채 형상으로 하고, 복수개의 유출부(39)를 축 주위에 배치하면, 그것들의 유출부(39)에서 형성되는 형상(E)은 대략 원형이 된다. 동일한 유출부(39)의 면적을 확보하는 경우, 이 형상이 밸브체(41)의 외형을 가장 작게 할 수 있고, 밸브체(41)와 케이싱(40)과의 사이에 충분한 간극을 설치하고, 이물(49)의 끼어듬을 방지하면서, 분수 수단(37)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41)의 외형이 대략 원형이 되면, 밸브체(41)와 케이싱(40)의 사이에 이물(49)이 끼어들기 어려워지고, 전환 불량을 일으키는 확률도 감소한다. 또한 밸브체(41)의 이동에 대한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에, 밸브체(41)의 이동이 원활하고,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어, 세정 펌프(26)를 정지시키는 시간을 단축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단시간에 고효율의 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42)를 밸브체(41)의 외형부와 연결한 절결 형상으로 함으로써 유출부(39)나 케이싱(40)과 개구부(42)와 사이에 이물(49)이 끼어들 것 같은 경우에도, 그 이물(49)이 빠져나가는 장소가 있어, 끼일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측의 상부 결합부(44)는 이 유출부(38)의 경계벽의 부분이 겸용되고 있고, 인접한 유출부(38)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출부의 내외의 어느 쪽에도 결합부가 존재하지 않고, 동일한 유출 면적을 확보하면서, 밸브체의 크기(외경)를 최소로 할 수 있고, 분수 수단(37)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수 수단(37)을 분해 가능한 구조로 한 것이다. 도면은 세정조(22)의 저부의 사시도이며, 커버부(53)를 돌려서 탈착함으로써, 분수 수단(37)을 분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분수 수단(37)의 내부의 청소 등이 가능하고, 만일 전환이 불가능해진 경우에도, 이물(49)을 제거하는 등의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확실히 전환 가능한 상태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세정조(22)내로부터 분해 가능한 구조로 한 경우에는 식기 세척기 본체(20)를 분해하지 않고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어서, 대단히 용이하게 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53)를 나사체로 한 본 구성 이외에, 비스 조이기로 분해 가능하거나, 커버부(53)를 삽입하면 발톱부가 끼워맞춤되어 원터치로 착탈할 수 있는 구 성 등, 어떤 방법도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조(22) 내에서 분해할 수 없더라도, 저면으로부터 간단히 분해할 수 있으면, 용이하게 보수 작업은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세정조(22)내에 케이싱(40)의 개구 위치가 있는 경우, 세정조(22)와 케이싱(40)을 일체 부품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는 분수 수단(37)으로부터의 누수의 우려가 없어진다.
실시예 6
도 32는 밸브체(41)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케이싱(40)의 하방으로부터 돌출된 축부(60)에는 그 외주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줄기 형상의 볼록부(63)를 설치하여 근접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 밖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세정 펌프(26)의 운전, 정지의 반복에 의해, 밸브체(41)는 상하로 움직이고, 90°씩 회전함으로써 순차 세정수가 분사하는 세정 수단(27)을 전환하지만, 축부(60)에 설치한 4개의 볼록부(63)를 근접부로서, 축부(60)와 구멍부(61)는 접촉 내지 근접하면서, 밸브체(41)는 회전 및 직동 한다. 근접부(볼록부)(63)와 근접부(볼록부)(63)의 사이에는 그것보다도 큰 공간부(63a)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물이 끼일 가능성은 근접부의 4점만이 되고, 이물은 보다 걸리기 어렵게 된다.
도 33과 같이 한번 끼어든 이물(49)도, 밸브체(41)가 약간 회전 동작하는 것 만으로 용이하게 빠진다는 점에서, 이물 막힘에 의해서 밸브체(41)가 전환 불가능해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도 34와 같이, 세정수의 흐름을 정지 내지 감소시켰을 때에, 밸브체(41)는 이동 개시와 동시에 회전 동작(화살표와 같이 비스듬하게 이동)하도록, 상부 결합부(44)를 설정하면, 도 35와 같이 이물(49)은 근접부(볼록부)(63)와 근접부(볼록부)(63)의 사이가 넓은 공간부(63a)로 이동하고,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인접하는 근접부(63)의 간극은 잔재 필터(29)의 사이즈 보다 크게 설정해 두면, 보다 확실히 이물 막힘을 회피할 수 있다. 통상, 잔재 필터(29)는 펀칭 메탈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 입경(1mm이나 2mm 정도)보다도 크게 설정하면 바람직하지만, 착탈식의 필터와 고정식의 필터가 있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고정식 필터의 사이즈 이상의 간극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부(60)와 구멍부(61)의 외주측에는 한 쌍의 하부 결합부(45)를 각각 설치하고 있고, 도 36과 같이, 세정 펌프(26)를 운전하여 세정수가 통과하고 있는 상태의 밸브체(41) 위치에 있어서, 볼록부(63)는 밸브체(41)측에 설치한 하부 결합부(45)의 인접하는 상부(64)의 사이에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결합부(45)는 도면과 같이 삼각형 모양이며, 결합부(45)와 공간이 교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케이싱(40)내의 흐름을 타고, 이물은 그 공간 부분으로부터 결합부(45)와 축부(60)의 사이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상부(64)와 볼록부(63)가 일치하면, 그 간극에 이물이 걸릴 가능성이 증대하지만, 볼록부(63)를 인접하는 상부(64)의 사이에 대향시킴으로써 대향하는 면적이 작아지고, 간극으로의 이물의 걸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7과 같이, 인접하는 상부(64)와 상부(64)의 사이에 경사가 없는 오목부(65)를 설치하고, 그 오목부(65)와 볼록부(63)를 대향시킴으로써 축부(60)와 하부 결합부(45)와의 사이의 이물 막힘은 완전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볼록부(63)의 수와 결합부(45)의 상부(64)의 수를 일치시키면, 어느 쪽의 볼록부(63)의 관계도 동일 조건이 된다는 점에서, 이물에 대한 안정성은 더욱 높아진다.
실시예 7
도 38은 밸브체(41)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케이싱(40) 및 밸브체(41)는 대략 원형 형상으로 하고, 밸브체(41)의 외주부에 복수개의 볼록부(근접부)(63)를 설치하고 있다.
밸브체(41)와 케이싱(40)은 밸브체(41)의 외주에 설치한 볼록부(근접부)(63)에 의해, 접촉 내지 근접함으로써, 밸브체(41)의 동작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고, 근접부(63)와 근접부(63)의 사이에는 그것보다 큰 공간부(63a)를 설치하고 있다. 케이싱(40)과 밸브체(41)는 근접부(63)만으로 근접한다는 점에서, 이물이 걸리는 면적이 감소하여, 이물에 대한 신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과 같이, 근접부(63)에 한번 끼어든 이물도, 밸브체(41)가 회전 동작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빠진다는 점에서, 이물 막힘에 의해 밸브체(41)가 전환 불가능해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의 흐름을 정지 내지 감소시켰을 때에, 밸브체(41)는 이동 개시와 동시에 회전 동작하는 구성으로 하면, 근접부(63)에 이물이 끼어든 경우라도, 이물은 근접부(63)와 근접부(63)의 사이가 넓은 공간으로 확실히 이동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에 의해 전환 불가능해지는 사태를 거의 회피할 수 있다.
인접하는 근접부(63)의 간극은 잔재 필터(29)의 사이즈보다 크게 설정해 두 면, 보다 확실히 이물 막힘을 회피할 수 있다. 통상, 잔재 필터(29)는 펀칭 메탈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 입경(1mm이나 2mm 정도)보다도 크게 설정하면 바람직하지만, 착탈식의 필터와 고정식의 필터가 있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고정식 필터의 사이즈 이상의 간극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63)는 밸브체(41)측이 아니라, 케이싱(40)측에 설치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근접부는 볼록부(63)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 39와 같이 밸브체(41)를 타원 모양으로 구성하고, N의 부분을 근접부로 하는 등, 여러가지 형상을 상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물이 케이싱과 밸브체의 간극에 끼어든 경우라도, 그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을 정확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이물 막힘을 방지하면서, 누설이 적고, 분기 효율이 좋은 분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2)

  1.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상기 세정조내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갖는 복수의 세정 수단과, 상기 세정 펌프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되는 세정 수단을 전환하는 분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분수 수단은 상기 세정 펌프로 가압된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복수의 상기 세정 수단에 각각 연통된 복수의 유출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밸브체를 갖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출부를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는 상기 유출부를 구비한 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세정 펌프의 운전중에, 상기 유출부를 구비한 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 가능한
    식기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체의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경사 가능한
    식기 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세정 펌프의 정지 상태에서 상기 유출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
    식기 세척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유출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마련한
    식기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펌프는 세정 및 헹굼 공정 도중에 일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가 통과함으로써 잔재를 포집하는 잔재 필터를 마련하고, 상기 밸브체가 상기 유출부로부터 분리되는 거리는 상기 잔재 필터의 간극 이상인
    식기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가 회전 동작함으로써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출부를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유출부와 상기 밸브체가 대향하는 면은 상기 밸브체의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가 통과함으로써 잔재를 포집하는 잔재 필터를 마련하고, 상기 케이싱과 밸브체의 최소 간극은 상기 잔재 필터의 간극 이상인
    식기 세척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상기 케이싱내에 돌출하여 마련된
    식기 세척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의 형상은 부채 형상인
    식기 세척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체를 세정수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밸브체의 외형부와 연결된 절결 형상인
    식기 세척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출부를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는 상기 세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유출부로 밀어 붙여지는
    식기 세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세정 펌프를 정지했을 때에 상기 유출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세정 펌프를 운전했을 때에 상기 유출부에 접촉하여, 소정의 유출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구성인
    식기 세척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유출부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유출부에 접촉하기 직전에는 직동(直動)하도록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펌프를 정지했을 때에 상기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는 정지시 회전 각도는 상기 세정 펌프를 운전했을 때에 상기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는 운전시 회전 각도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펌프를 정지했을 때에 상기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는 정지시 회전 각도는 상기 세정 펌프를 운전했을 때에 상기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는 운전시 회전 각도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펌프를 정지했을 때에 상기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는 정지시 회전 각도는 상기 세정 펌프를 운전했을 때에 상기 밸브체가 회전 동작하는 운전시 회전 각도와 동일한
    식기 세척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펌프의 단속 운전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직동 및 회전 동작시키는 결합부를 마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유출부보다 상기 밸브체의 회전 중심측에 마련된
    식기 세척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펌프의 단속 운전에 의해 상기 밸브체를 직동 및 회전 동작시키는 결합부를 마련하고, 상기 결합부는 인접한 유출부의 사이에 마련된
    식기 세척기.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와 유출부가 접촉하는 부분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은 탄성체로 형성된
    식기 세척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또는 밸브체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된 축부와 다른 쪽에 마련된 구멍부를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춘
    식기 세척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끼워 맞춘 상기 축부와 구멍부에는 복수개의 근접부가 있고, 인접한 근접부의 사이에는 그 근접부보다 큰 공간부를 형성한
    식기 세척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외주부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줄기 형상의 볼록부를 마련하여 근접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축부 및 구멍부의 외측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세정 펌프를 운전하여 케이싱내를 세정수가 흐르고 있을 때에, 구멍부측에 마련된 결합부가 인접하는 상부의 사이에 상기 볼록부를 대향시킨
    식기 세척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측에 마련된 결합부가 인접하는 상부의 사이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를 대향시킨
    식기 세척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의 흐름을 정지 내지 감소시켰을 때에, 상기 밸브체는 이동 개시와 동시에 회전 동작하는 구성으로 한
    식기 세척기.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가 상기 케이싱에 유입되는 유입부의 중심은 상기 밸브체의 회전 중심부보다 외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된
    식기 세척기.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케이싱의 내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대향하는 상기 케이싱 내면과 상기 밸브체 외면에 복수개의 근접부를 마련하고, 그 인접한 근접부의 사이에 상기 근접부보다 큰 공간부를 형성한
    식기 세척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면 및 상기 밸브체 외면은 원형으로 하고, 대향하는 케이싱 내면 또는 밸브체 외면 중 어느 한쪽에 복수개의 볼록부를 마련하여 근접부를 형성한
    식기 세척기.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세정 펌프의 단속 운전에 의해 회전 동작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된
    식기 세척기.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전동 구동원에 의해 회전 동작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된
    식기 세척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원의 운전은 상기 세정 펌프의 정지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30032612A 2002-05-23 2003-05-22 식기 세척기 KR100867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8713 2002-05-23
JP2002148714A JP3835347B2 (ja) 2002-05-23 2002-05-23 食器洗い機
JP2002148715A JP3835348B2 (ja) 2002-05-23 2002-05-23 食器洗い機
JP2002148713A JP3829759B2 (ja) 2002-05-23 2002-05-23 食器洗い機
JPJP-P-2002-00148714 2002-05-23
JPJP-P-2002-00148715 2002-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750A KR20030091750A (ko) 2003-12-03
KR100867041B1 true KR100867041B1 (ko) 2008-11-04

Family

ID=2971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612A KR100867041B1 (ko) 2002-05-23 2003-05-22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67041B1 (ko)
CN (2) CN100393270C (ko)
TW (1) TWI2312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203A (ko) * 2010-03-26 201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31201B (en) * 2002-05-23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h washer
JP4692037B2 (ja) * 2005-03-22 2011-06-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4483670B2 (ja) * 2005-04-14 2010-06-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4947071B2 (ja) * 2009-02-26 2012-06-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TWI626030B (zh) * 2016-01-05 2018-06-11 新潤活有限公司 洗碗系統
CN109820463B (zh) * 2019-03-28 2021-07-06 佛山市百斯特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进水控制方法及洗碗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584A (ja) * 1993-03-23 1994-02-01 Taiheiyo Seiko Kk 空気調和機用バルブ
KR19980078484A (ko) * 1997-04-29 1998-11-16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세척찌꺼기 배출장치
KR19990036125A (ko) * 1995-08-04 1999-05-25 히로시 요꼬따 자동 분사 세정에 의한 여과 장치
KR200168566Y1 (ko) 1999-08-25 2000-02-1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온수의 급배수량을 동시 제어하고 원수압을 차단하는 세라믹 4웨이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308314A1 (ru) * 1985-10-08 1987-05-07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Электробытовых Машин И Приборов Разбрызгиватель посудомоечной машины
EP0383028A3 (de) * 1989-02-14 1992-05-06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elektromechanischen Umsteuervorrichtung
CN2384571Y (zh) * 1999-07-07 2000-06-28 海尔集团公司 带有内胆清洗装置的洗碗机
TWI231201B (en) * 2002-05-23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h was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584A (ja) * 1993-03-23 1994-02-01 Taiheiyo Seiko Kk 空気調和機用バルブ
KR19990036125A (ko) * 1995-08-04 1999-05-25 히로시 요꼬따 자동 분사 세정에 의한 여과 장치
KR19980078484A (ko) * 1997-04-29 1998-11-16 구자홍 식기세척기의 세척찌꺼기 배출장치
KR200168566Y1 (ko) 1999-08-25 2000-02-1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온수의 급배수량을 동시 제어하고 원수압을 차단하는 세라믹 4웨이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203A (ko) * 2010-03-26 201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637355B1 (ko) * 2010-03-26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3270C (zh) 2008-06-11
TWI231201B (en) 2005-04-21
CN1460447A (zh) 2003-12-10
TW200400019A (en) 2004-01-01
CN2617303Y (zh) 2004-05-26
KR20030091750A (ko)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9759B2 (ja) 食器洗い機
JP3956870B2 (ja) 食器洗い機
US8714167B2 (en) Dishwasher
US8707973B2 (en) Dishwasher
KR100716349B1 (ko) 식기 세척기
US20060054201A1 (en) Sump assembly of dishwasher
KR100867041B1 (ko) 식기 세척기
KR102391681B1 (ko) 식기세척기
EP2554102A2 (en)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88292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hwasher
JP3835348B2 (ja) 食器洗い機
JP4654767B2 (ja) 食器洗い機
JP3835393B2 (ja) 食器洗い機
JP4215060B2 (ja) 食器洗い機
JP3835347B2 (ja) 食器洗い機
JP3829795B2 (ja) 食器洗い機
KR0143429B1 (ko) 식기 세척기의 회전용 분사 노즐
JP3829790B2 (ja) 食器洗い機
JP4654768B2 (ja) 食器洗い機
KR100214259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찌꺼기 배출장치
JP4595676B2 (ja) 食器洗い機
JP2004166774A (ja) 食器洗い機
JP4354199B2 (ja) 食器洗浄機
CN113892886A (zh) 餐具清洗机及控制方法
JP2005344676A (ja) ポンプおよびこのポンプを備えた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