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896B1 - 발광 키보드용 키 - Google Patents

발광 키보드용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896B1
KR100865896B1 KR1020060054612A KR20060054612A KR100865896B1 KR 100865896 B1 KR100865896 B1 KR 100865896B1 KR 1020060054612 A KR1020060054612 A KR 1020060054612A KR 20060054612 A KR20060054612 A KR 20060054612A KR 100865896 B1 KR100865896 B1 KR 100865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ight
cap
guide wall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975A (ko
Inventor
조장연
최민호
Original Assignee
럭시움라이팅(주)
주식회사 에피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럭시움라이팅(주), 주식회사 에피밸리 filed Critical 럭시움라이팅(주)
Priority to KR102006005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896B1/ko
Priority to PCT/KR2007/002954 priority patent/WO2007148903A1/en
Publication of KR2007011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28Printed information
    • H01H2219/03Printed information in transparent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9Selective or different modes of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7Actuators transpa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02Linear coil spring combined with dome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키보드에 사용되는 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키; 키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키 하부에 위치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키보드에 사용되는 발광 키보드용 키에 있어서, 키의 상면을 이루며, 빛을 투과시키는 캡으로서, 문자 및 기호 중의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영역을 구비하는 캡; 그리고, 캡의 하면에 위치하며, 탄성부재로 지지되는 레그로서, 캡의 하면과 간극을 두고 위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한다.
키보드, 발광, LED, 키, 캡, 레그

Description

발광 키보드용 키{KEY FOR A KEYBOARD WITH LIGHT EMITTIMG DEVICE}
도 1은 종래의 발광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발광 키보드용 키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키보드용 키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키보드용 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번의 설명>
100-키 200-캡
210-누름부 211-둘레단
220-주변부 300-레그
310-가이드 벽 311-체결 후크
320-지지부 350-지지부
500-탄성부재 600-발광소자
본 발명은 발광 키보드에 사용되는 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발광소자에 의해 발생한 빛이 키를 투과하며 음영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된 키를 제공하 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보드는 PC 등의 하드웨어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최근 PC 등의 사용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에 대한 소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발광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발광 키보드(10)에는 키(20)가 구비된다. 도 2는 종래의 발광 키보드에 사용되는 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키의 평면, 측단면(A-A'), 저면을 나타낸다. 키(20)는 캡(30)과 레그(leg)(40)를 구비하는데, 캡(30)은 문자 또는 기호 등을 지니며 키(20)의 상면을 이루는 누름부(32)와, 누름부(32) 둘레에 하방으로 경사진 주변부(34)를 지니며, 레그(40)는 누름부(32)의 하면에 하방으로 벽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레그(40)는 키(20)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발광 키보드(10)에 끼워지며, 탄성부재(50)에 의해 지지되어 발광 키보드(10)에서 키(20)가 누름되었을 때, 키(20)의 위치를 식별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키(20)의 평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된 키(20)는 키(20)의 하부에서 발광소자(60)에 의해 발생된 빛이 투과될 때, 캡(30)이 지니는 누름부(32)에 레그(40)의 음영이 생겨 문자 또는 기호가 키(20)의 외부로 깨끗하게 조명되지 않으며, 문자 또는 기호와 겹치게 되어 문자 또는 기호의 식별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영이 생기지 않는 발광 키보드 용 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 또는 기호의 식별력이 향상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깨끗한 발광표면을 지니되, 적은 힘으로 타자할 수 있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자감이 향상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 키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키 하부에 위치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키보드에 사용되는 발광 키보드용 키에 있어서, 키의 상면을 이루며, 빛을 투과시키는 캡으로서, 문자 및 기호 중의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영역을 구비하는 캡; 그리고, 캡의 하면에 위치하며, 탄성부재로 지지되는 레그로서, 캡의 하면과 간극을 두고 위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그가 발광소자의 빛을 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벽을 포함하며, 지지부는 가이드 벽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벽이 캡의 하면에서, 상기 영역의 바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가 키의 누름시 탄성부재를 가압하도록 십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가 가이드 벽에 맞닿는 2개의 끝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가 4개의 끝단이 가이드 벽에 맞닿는 십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가 가이드 벽 하단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 키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키 하부에 위치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키보드에 사용되는 발광 키보드용 키에 있어서, 키의 상면을 이루며, 빛을 투과시키는 캡으로서, 문자 및 기호 중의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영역을 구비하는 캡; 그리고, 캡의 하면에 위치하며, 탄성부재로 지지되는 레그로서, 캡의 하면에서 상기 영역과 맞닿지 않는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그가 상기 영역의 바깥에 위치하며 발광소자의 빛을 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그가 가이드 벽 내측에 위치하며, 캡의 하면과 간극을 두고 위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 또는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오직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키보드용 키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키의 평면, 측단면(B-B'), 저면을 나타낸다. 발광 키보드에 사용되는 키(100)는 캡(200)과, 레그(300)를 포함한다.
캡(200)은 키(100)의 상면을 이루고, 빛이 투과되도록 통광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누름부(210)와, 주변부(2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누름부(210)는 문자 또는 기호를 지니는데, 전체적으로 사각형을 이루되 안정적이고 편하게 누를 수 있도록 중앙이 완만히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자 또는 기호가 상면에 프린트 또는 음각되거나 점자가 양각될 수 있다. 주변부(220)는 누름부(210) 둘레에서 하방경사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처마형상을 이루며 누름부(210) 둘레에 형성된다.
레그(300)는 발광 키보드에 끼워져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캡(200)의 하면에 고정되며, 키(100)의 하부에서 키(10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키(100)가 눌림되었을 때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0)로부터 지지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레그(300)는 가이드 벽(310)과, 지지부(320)를 구비한다.
가이드 벽(310)은 키(100)의 누름부(210) 하면 둘레에서 하방향으로 벽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벽(310)은 키(100)의 누름부(210) 하면에 초음파 접착(U)을 통해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 벽(310)은 누름부(210)와 이중 사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벽(310)은 키(100)의 상면으로 발광소자(600)를 통해 발하는 빛이 다량 통과되고, 가이드 벽(310)에 의해 생기는 음영을 방지하도록 키(100)의 누름부(210) 하면 둘레단(21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벽(310)은 발광 키보드에 끼워진 상태에서 발광 키보드에 걸림되도록 형성된 체결 후크(311)를 지니는데, 발광 키보드에 끼움 및 빠짐되도록 체결 후크(311) 양측과 가이드 벽(310) 사이에 슬릿(S)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지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320)는 가이드 벽(310) 내측 하부에서 가이드 벽(310)의 대응하는 내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탄성부재(500)로부터 지지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소자(600)에 의해 발하는 빛에 의하여 키(100)의 누름부(210)에 생기는 음영이 생기지 않도록 가이드 벽(310)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부재(500)로부터 힘을 잘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축이 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형상의 긴축양단은 가이드 벽(310) 내면에 고정된다. 이때, 지지부(320)는 가이드 벽(310)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때, 지지부(320)는 키(100)의 상면을 이루는 누름부(210)에 음영이 생기지 않고, 탄성부재(500)로부터 힘을 잘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상의 교차축에서 수직방향으로 두께(T)를 지니되, 그 두께(T)는 가이드 벽(310)의 하부로 한정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키보드용 키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발광소자(600)에서 발한 빛은 키(100)를 투과해 외부로 방사되는데, 레그(300)가 지니는 가이드 벽(310)이 키(100)의 상면을 이루는 누름부(210)의 최외각 둘레에 고정되고, 지지부(320)가 가이드 벽(310)의 하단에 형성됨에 따라 누름부(210)에 음영이 생기지 않고, 키(100)가 깨끗한 발광 표면을 지니며 문자 또는 기호가 외부로 조명된다. 또한, 지지부(320)가 탄성부재(500)로부터 힘을 전달받음에 따라 가이드 벽(310)이 누름부(210)의 최외각 둘레에 고정되더라도 키(100)가 적은 힘으로도 잘 눌려지게 되며, 키(100)를 누르는 감각이 반감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가 탄성부재로부터 힘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받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키보드용 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키의 평면, 측단면(C-C'), 저면을 나타낸다.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부(350)는 가이드 벽(310) 내측 하부에서 가이드 벽(310)의 대응하는 내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탄성부재(500)로부터 지지되는데, 발광소자(600)에 의해 발하는 빛에 의하여 키(100)의 누름부(210)에 생기는 음영이 생기지 않도록 가이드 벽(310)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부재(500)로부터 힘을 잘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형상의 상하좌우단은 가이드 벽(310) 내면에 고정되며, 가이드 벽(310)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때, 지지부(350)는 키(100)의 상면을 이루는 누름부(210)에 음영이 생기지 않고, 탄성부재(500)로부터 힘을 잘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상의 교차축에서 수직방향으로 얇은 두께(T)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은 그 범위가 전술된 바에 한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고, 그 균등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음영이 생기지 않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 또는 기호의 식별력이 향상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깨끗한 발광표면을 지니되, 적은 힘으로 타자할 수 있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자감이 향상되는 발광 키보드용 키를 제공하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키; 키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키 하부에 위치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키보드에 사용되는 발광 키보드용 키에 있어서,
    키의 상면을 이루며, 빛을 투과시키는 캡으로서, 문자 및 기호 중의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영역을 구비하는 캡; 그리고,
    캡의 하면에 위치하며, 탄성부재로 지지되는 레그;로서, 탄성부재와 연동하며 상기 영역에 대응하는 캡의 하면과 간극을 두고 위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
  2. 제 1 항에 있어서,
    레그는 발광소자의 빛을 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벽을 포함하며, 지지부는 가이드 벽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
  3. 제 2 항에 있어서,
    가이드 벽은 캡의 하면에서, 상기 영역의 바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키의 누름시 탄성부재를 가압하도록 십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
  7.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가이드 벽에 맞닿는 2개의 끝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
  8.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4개의 끝단이 가이드 벽에 맞닿는 십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
  9.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가이드 벽 하단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 용 키.
  10. 키; 키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키 하부에 위치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키보드에 사용되는 발광 키보드용 키에 있어서,
    키의 상면을 이루며, 빛을 투과시키는 캡으로서, 문자 및 기호 중의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영역을 구비하는 캡; 그리고,
    캡의 하면에 위치하며, 탄성부재로 지지되는 레그;로서, 캡의 하면에서 상기 영역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
  11. 제 10 항에 있어서,
    레그는 상기 영역의 바깥에 위치하며 발광소자의 빛을 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
  12. 제 11 항에 있어서,
    레그는 가이드 벽 내측에 위치하며, 캡의 하면과 간극을 두고 위치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키보드용 키.
KR1020060054612A 2006-06-17 2006-06-17 발광 키보드용 키 KR100865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612A KR100865896B1 (ko) 2006-06-17 2006-06-17 발광 키보드용 키
PCT/KR2007/002954 WO2007148903A1 (en) 2006-06-17 2007-06-18 Key for a keyboard with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612A KR100865896B1 (ko) 2006-06-17 2006-06-17 발광 키보드용 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975A KR20070119975A (ko) 2007-12-21
KR100865896B1 true KR100865896B1 (ko) 2008-10-29

Family

ID=3883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612A KR100865896B1 (ko) 2006-06-17 2006-06-17 발광 키보드용 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5896B1 (ko)
WO (1) WO2007148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99A2 (ko) * 2010-03-24 2011-09-29 크루셜텍(주)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
TWI486985B (zh) * 2012-07-25 2015-06-01 Wistron Corp 按鍵結構及其電子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568A (ja) * 2001-01-18 2002-08-02 Polymatech Co Ltd キーシート
KR200362675Y1 (ko) 2004-06-25 2004-09-22 권동찬 홀딩기능을 가진 키보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1814A (ja) * 1991-05-29 1992-12-07 Canon Inc 電子機器の入力キー
KR19990044366A (ko) * 1996-07-03 1999-06-25 요트.게.아. 롤페즈 다기능 키를 가진 키보드와 이 키보드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
KR19980018311U (ko) * 1996-09-25 1998-07-06 김광호 자판인식도를 높인 키보드
JP2002289058A (ja) * 2001-03-26 2002-10-04 Nec Eng Ltd キースイッチ
JP2004335175A (ja) * 2003-05-01 2004-11-25 Ricoh Co Ltd 自照キーユニット及び自照キーユニットを有する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568A (ja) * 2001-01-18 2002-08-02 Polymatech Co Ltd キーシート
KR200362675Y1 (ko) 2004-06-25 2004-09-22 권동찬 홀딩기능을 가진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8903A1 (en) 2007-12-27
KR20070119975A (ko)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3922B2 (en) Thin type illuminated keyboard
US8884174B2 (en) Locally illuminated keycap
US20070121311A1 (en) Keyboard equipped with a backlight structure
US20060011459A1 (en) Unevenly illuminated keyboard
US20110089005A1 (en) Lighting Keyboard
JP2009076472A (ja) 照光入力装置
JP2006093062A (ja) 照光式スイッチ
US20180197701A1 (en) Luminous keyboard
CN103281988A (zh) 个人护理器具的隐藏用户界面面板及其制作方法
JP2006190597A (ja) 点灯装置
TW201519270A (zh) 鍵盤
KR100865896B1 (ko) 발광 키보드용 키
JP2011009220A (ja) 導光パッドを用いたキーパッド
JP2007220348A (ja) 照光式スイッチ
TWI604486B (zh) 發光鍵盤
US20180254156A1 (en) Luminous keyboard
KR200466306Y1 (ko) 국부 발광 키보드
JP2006302555A (ja) 押しボタン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話装置
CN201616365U (zh) 低散光按键及键盘
US10497522B2 (en) Luminous keyboard
KR101590145B1 (ko) 도광 필름을 이용하여 폴리 돔 시트를 구성한 리모컨 입력장치
CN108010779B (zh) 发光键盘
KR101076450B1 (ko) 엘리베이터 스위치의 결합구조
KR200441448Y1 (ko) 가압 돌기를 구비한 도광판 시트 및 그 도광판 시트를구비한 키패드 조립체
US20130223093A1 (en) Light-concentrative illuminating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