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305B1 -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305B1
KR100864305B1 KR1020070099235A KR20070099235A KR100864305B1 KR 100864305 B1 KR100864305 B1 KR 100864305B1 KR 1020070099235 A KR1020070099235 A KR 1020070099235A KR 20070099235 A KR20070099235 A KR 20070099235A KR 100864305 B1 KR100864305 B1 KR 100864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case
coating lay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영환
윤태식
Original Assignee
윤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식 filed Critical 윤태식
Priority to KR102007009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30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발광소자를 사용한 고효율의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내부 표면에 발광소자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 코팅층이 형성되고 발광소자가 위치하는 부위에 증폭 렌즈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며, 메탈세라믹 또는 산화알루미늄(Al2O3)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제 1 표면에 발광소자와 회로 패턴이 실장되는 발광소자 패키지, 및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기판의 제 2 표면에 형성되어 발광소자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판을 포함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는 발광소자의 빛이 반사 코팅층, 증폭 렌즈에 의해 휘도가 대폭 향상되며, 발광소자의 열이 방열기판을 통해 외부로 방열되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HYBRID SIGN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발광소자(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고효율로 투광을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저히 향상된 휘도 및 방열효율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수명을 가지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발광소자는 상하에 전극을 부착한 전도물질에 전류가 통과하면, 전자와 정공이라고 명명된 플러스 전하입자가 상기 전극의 중앙에서 결합하여 빛의 광자를 발산하여 발광시키는 광원으로서, 상기 전도물질의 특성에 따라 빛의 색깔이 달라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는 종래의 광원에 비해 소형이고,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전력소모량이 매우 적어서 효율이 탁월하다. 또한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고속의 응답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계기류의 표시소자, 광 통신용 광원, 각종 전자기기의 표시용 램프, 숫자표시 장치, 계산기, 및 카드판독기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발광소자를 광고판, 간판, 계기판 등에 실제 활용하기 위해서는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 상기 발광소자를 지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투광 표시 장치를 형성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투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원인 발광소자(11), 상기 발광소자(11)를 지지하고 복합재료 재질의 기판(13), 및 상기 발광소자(11)와 기판(13)을 포용하여 보호하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 PolyVinyl Chloride)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5)가 포함되며, 상기 복합재료 재질의 기판(13)과 기판(13)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7)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투광 표시 장치는, 그 구조상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의 상당 부분이 케이스의 외부로 지향하지 않고 케이스 내부로 사라져서 낭비된다. 게다가,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을 증폭하는 수단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의 휘도가 더 이상 향상되지 않고, 원거리에서 제대로 시인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투광 표시 장치의 케이스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데,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자체가 인체에 유해하여 기피대상이 되고 있는데다, 재활용이 곤란하고 소각 등의 폐기 과정에서 유해물질이 대거 배출되는 반환경적인 재료이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발광소자를 이용한 투광 표시 장치의 케이스를 제조하는 것은 여러 측면에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게다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는 열전도성이 작기 때문에,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케이스가 발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대로 방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를 지지하는 기판은, 기판에 요구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여러 종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이 때문에 기판의 재활용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그대로 폐기되는 실정이다. 또한 발광소자를 지지하는 기판, 및 상기 발광소자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이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기판과 전선이 납땜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납땜에 사용되는 납으로 인하여, 폐기된 투광 표시 장치가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외에도 기판이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기판과 발광소자, 전선이 별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투광 표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로 인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를 이용한 투광 표시 장치의 이론적인 수명은 무려 8만 시간에 달한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투광 표시 장치는 발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수단이 결여되어 있으며, 투광 표시 장치의 제품 특성 상 발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강제배출하거나, 투광 표시 장치를 냉각시키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발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이 케이스 내부에 그대로 축적되며, 상기 축적된 열이 다시 발광소자나 다른 구성요소에 악영향을 미 치기 때문에, 발광소자를 이용한 투광 표시 장치의 실제적인 수명은 5천 내지 1만 시간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발광소자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07764 호(2006. 02. 03. 공고)에서는 고휘도 LED가 부착된 PCB 기판을 집광형으로 제작하여 구성되는 고휘도 엘이디 집광조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집광형 기판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고휘도 엘이디 집광조명 장치의 경우, 엘이디에서 발광되는 빛을 증폭하는 수단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상기 엘이디에서 발광되는 빛의 휘도가 더 이상 향상되지 않고, 원거리에서 제대로 시인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이 반사 코팅층, 증폭 렌즈 렌즈에 의해 반사 및 증폭되어 휘도가 대폭 향상되며, 발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기판을 통해 원활하게 방열될 뿐만 아니라, 제조가 용이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내부 표면에 알루미늄, 또는 은 재질의 반사 코팅층이 형성되고, 발광소자의 위치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를 수용할 수 있는 증폭 렌즈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며, 메탈세라믹 또는 산화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제 1 표면에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회로 패턴이 실장되어 형성되는 발광소자 패키지; 및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기판의 제 2 표면과 결합되는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재질의 방열기판을 포함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는 일체형의 케이스에 따른 제조공정상의 효율향상, 휘도개선, 방열효율 증대, 및 친환경성이라는 이종적이고, 복합적인(hybrid)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이 함께 구현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발광소자의 빛이 케이스 내부의 반사 코팅층 및 증폭 렌즈에 반사 및 증폭되어 휘도가 대폭 향상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회로 패턴이 실장되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사용하므로, 부품수가 절감되고 구조가 단순화되며,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제조원가가 절감된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한편, 발광소자의 열이 방열기판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발광소자 및 회로 패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수명이 크 게 연장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각 구성요소가 인체에 무해한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성이 탁월하다.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분리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 표면이 알루미늄 또는 은으로 증착 코팅되어 반사 코팅층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발광소자(LED)가 위치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발광소자를 수용할 수 있는 증폭 렌즈가 형성되는 케이스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그 자체로 인체에 유해하고 폐기 과정에서 유해물질이 대거 배출되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고 재활용이 용이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재료를 사용하여 케이스(21)를 제 작한다.
구체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재질의 케이스(21)를 제작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재질,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스(21)는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용도, 사용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21)는 그 내부에 발광소자 패키지(34)가 안착되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4)의 발광소자(31)가 상기 케이스(21)의 상기 비구면렌즈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즉 케이스(21)의 증폭 렌즈는 비구면 렌즈 또는 구면 렌즈가 돔 형태 또는 원추 형태를 이루면 상기 케이스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서, 상기 렌즈 부위에 수용되는 발광소자(31)의 빛의 반사를 증폭하여 촉진하게 된다. 따라서 발광소자 패키지(34)가 케이스(21)의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안착되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4)의 발광소자(31)가 상기 케이스(21)의 상기 증폭 렌즈를 통하여 외부에서 시인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케이스(21)의 내부 표면에 발광소자 패키지(34)의 발광소자(31)에서 발광되는 빛을 반사하여 증폭하는 반사 코팅층(23)이 형성된다.
기존의 기술에 따르면, 발광소자의 빛을 반사 증폭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반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는 반사 코팅층은 시일이 경과됨에 따라서 마모되거나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발광소자의 빛을 반사 증폭하는 효과가 대폭 저하되며, 케이스의 외관에 도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용화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21)의 내부 표면에 발광소자 패키지(34)의 발광소자(31)의 빛을 반사 증폭하는 반사 코팅층(23)을 형성한다. 케이스(21)의 내부 표면의 반사 코팅층(23)은 다음에서 예시하는 방법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케이스(21)의 내부 표면의 전체에 알루미늄, 또는 은이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 PVD) 방식으로 증착되어, 발광소자(31)의 빛을 반사하는 알루미늄 또는 은 재질의 반사 코팅층(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합성수지 필름에 직경이 나노미터 단위인 미세한 은 나노 입자를 예를 들면, PVD 방식으로 증착코팅하여 반사필름을 제작하고 이를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표면에 부착하여 발광소자(31)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 코팅층(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사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기재로서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강성, 전기적 성질, 내후성, 및 내열성이 탁월하고, 장기간 사용해도 인장강도의 저하가 작다는 특성을 지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thalate : PET) 필름을 사용하여 반사필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반사필름 상에 형성된 은 나노 코팅층의 표면에 변색 및 산화 방지를 위하여 산화규소(SiO2)를 추가적으로 더 코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반사필름이 케이스(21)의 내부 표면의 전체에 부착하여, 발광소자 패키 지(34)의 발광소자(31)의 빛을 반사 증폭하는 반사 코팅층(2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반사 코팅층(23)을 이루는 알루미늄 또는 은 나노 코팅층의 두께는 500 내지 1000 Å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코팅층(23)을 이루는 알루미늄 또는 은 나노 코팅층의 두께가 500 Å 미만이면 상기 반사 코팅층(23)의 반사 효과가 저하되며, 반사 코팅층(23)을 이루는 알루미늄 또는 은 나노 코팅층의 두께가 1000 Å을 초가하면 상기 반사 코팅층(23)을 제조하는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PVD 방식으로 해당 두께를 증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21)의 내부 표면에 알루미늄, 또는 은이 진공 증착되어 형성되는 반사 코팅층(23), 또는 케이스(21)의 내부 표면에 반사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되는 반사 코팅층(23)은 빛의 반사율이 97 내지 98 %에 달한다. 따라서, 케이스(21)의 내부 표면에 반사 코팅층(23)이 형성된다면, 이러한 반사 코팅층(23)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발광소자 패키지(34)의 발광소자(31)에서 발광하는 빛의 휘도를 월등히 향상시킬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21)에서 발광소자(31)가 위치하는 부위인 상기 케이스(21)의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31)의 빛의 직선성 또는 지향성을 향상시키도록 증폭 렌즈(25)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21)에서 발광소자(31)가 노출되는 일 표면이 평면 형태인 증폭 렌즈(25)가 상기 케이스(21)와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재질인 케이스(21)와 일체형으로 성형된 증폭 렌즈(25)가 발광소자(31)에서 발광되는 빛을 상기 케이스(21)의 외부로 집광 하여 지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증폭 렌즈(25)에서 집광되는 빛이 발광소자(31)의 빛과 합쳐져서 상기 발광소자(31)의 빛의 휘도가 크게 증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21) 내부에 형성된 반사 코팅층(23)이 발광소자(31)의 빛을 반사하여 휘도를 향상시키며, 케이스(21)의 발광소자(31)가 노출되는 부위에 형성된 증폭 렌즈(25)가 발광소자(31)의 빛을 집광하여 지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발광소자(31)에서 발광되는 빛의 휘도가 대폭 향상되며,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시인된다는 특성을 지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며, 메탈세라믹(metal ceramic) 또는 산화알루미늄(Al2O3)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제 1 표면에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회로 패턴이 실장되어 형성되는 발광소자 패키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 종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합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메탈세라믹 또는 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단일 재질의 기판(35)을 베이스로 사용하여, 발광소자 패키지(34)가 형성된다.
즉, 발광소자 패키지(34)의 베이스인 기판(35)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금속 분말과 비금속 무기재료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분말을 압착성형한 후에, 소성하여 형성되는 일반적인 전기재료로 사용 가능한 메탈세라믹을 사용하여 기판(35)을 형성하거나, 또는 기판(35)에 요구되는 물성을 제대로 충족하고 가공이 용이하고 재활용성이 탁월한 산화알루미늄을 재료로 사용하여 기판(35)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닌 메탈세라믹 또는 산화알루미늄을 재질로 사용하여, 케이스(21)의 개구부에 수납되어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일치되는 형상의 기판(35)이 형성된다.
상기 메탈세라믹 또는 산화알루미늄 재질의 기판(35)의 제 1 표면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31)와, 상기 발광소자(31)에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하는 회로 패턴(33)이 직접 실장되어 발광소자 패키지(3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기판을 연결하여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전선, 및 상기 전선과 기판을 연결하는 납땜이 사용되지 않는 대신, 기판(35)의 표면에 발광소자(31)와, 상기 발광소자(31)를 구동하는 회로 패턴(33)이 직접 실장되어, 상기 회로 패턴(33)을 통해 발광소자(31)로 전원이 공급되는 단순한 구조의 발광소자 패키지(3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산화알루미늄 재질의 기판(35)의 제 1 표면에 발광소자(31), 회로 패턴(33)이 COB(Chip On Board) 방식으로 직접 실장되어 형성되는 발광소자 패키지(34)가 케이스(21)의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4)의 발광소자(31)가 상기 케이스(21)의 구멍에서 노출되어,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발광소자 패키지(34)가 장착된다.
산화알루미늄의 단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판(35)의 제 1 표면에 발광소자(31), 및 상기 발광소자(31)를 구동하는 회로 패턴(33)이 COB 방식으로 직접 실장되는 발광소자 패키지(34)를 사용하므로, 부품수가 절감되고 구조가 단순화되며, 발광소자 패키지(34) 및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34)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표시 장 치의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수명이 종료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를 폐기할 때, 발광소자 패키지(34)로부터 발광소자(31), 회로 패턴(33)을 제거하고 남아있는 산화알루미늄 재질의 기판(35)을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 패키지(34)의 제 1 표면에 회로 패턴(33)을 절연처리하는 동시에 습기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코팅층(39)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 패키지(34)의 제 1 표면의 회로 패턴(33)을 커버하는 보호 코팅층(39)은 절연 기능, 내습성, 및 내식성이 탁월한 예를 들면 나일론 같은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코팅층(39)은 발광소자 패키지(34)의 제 1 표면의 회로 패턴(33)을 커버하고 발광소자(31)는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보호 코팅층(39)은 발광소자 패키지(34)의 제 1 표면의 회로 패턴(33), 및 발광소자(31)를 모두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는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기판의 제 2 표면에 형성되는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재질의 방열기판이 포함된다.
발광소자(31)의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제품 특성상, 발광소자(3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강제 배출하거나,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를 냉각시키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발광소자 패키지(34)의 기판(35)의 제 2 표면에 일정한 두께의 방열기판(37)이 부착 형성되어, 상기 방열기판(37)이 발광소자(31)에서 발생하는 열을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외부로 방출한다.
이를 위하여, 발광소자(31)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판(37)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을 재료로 사용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방열기판(37)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판이나 마그네슘판을 유압 프레스 공정으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분말 형태의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을 미리 제작된 금형에 투입하고 500 내지 600℃의 고온에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열기판(37)은 발광소자(31)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고, 흡수된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또한 케이스(21)의 개구부에 방열기판(37)이 일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방열기판(37)이 케이스(21)의 상기 증폭 렌즈에 수용되는 발광소자(31)의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외관, 방수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발광소자 패키지(34)의 기판(35)의 제 2 표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재질의 방열기판(37)은 발광소자(3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발광소자(31)의 열이 방열기판(37)을 통해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발광소자(31) 및 회로 패턴(33)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발광소자(31)의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수명이 크게 연장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 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발광소자를 이용한 투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분리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발광소자 13 : 기판
15 : 케이스 17 : 전선
21 : 케이스 23 : 반사 코팅층
25 : 증폭 렌즈 31 : 발광소자
33 : 회로 패턴 34 : 발광소자 패키지
35 : 기판 37 : 방열기판
39 : 보호 코팅층

Claims (7)

  1. 내부 표면에 알루미늄, 또는 은(銀) 재질의 반사 코팅층이 형성되고, 증폭 렌즈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며, 메탈세라믹 또는 산화알루미늄(Al2O3) 재질로 이루어지는 기판의 상기 증폭 렌즈와 대응하는 위치의 제 1 표면에 형성되는 발광소자(LED)와,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회로 패턴이 실장되어 형성되는 발광소자 패키지;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제 1 표면에 회로 패턴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보호 코팅층; 및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의 기판의 제 2 표면과 결합되는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재질의 방열기판을 포함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반사 코팅층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 표면에 알루미늄, 또는 은을 PVD 방식으로 증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반사 코팅층은 합성수지 필름의 일 표면에 은 나노 입자를 PVD 방식으로 증착하여 형성된 반사필름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 표면에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반사 코팅층의 두께가 500 내지 1000 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렌즈는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7. 삭제
KR1020070099235A 2007-10-02 2007-10-02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KR100864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235A KR100864305B1 (ko) 2007-10-02 2007-10-02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235A KR100864305B1 (ko) 2007-10-02 2007-10-02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305B1 true KR100864305B1 (ko) 2008-10-20

Family

ID=4017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235A KR100864305B1 (ko) 2007-10-02 2007-10-02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3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20Y1 (ko) * 2009-05-18 2011-06-10 (주)지란지교소프트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케이스
KR20120020600A (ko) * 2010-08-30 2012-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60074802A (ko) * 2014-12-18 2016-06-29 ㈜미래큐브 저발열 초고휘도 led 백라이트 및 액정 디스플레이
CN107654951A (zh) * 2017-10-31 2018-02-02 顾哲锴 一种节能型台灯
WO2020181941A1 (zh) * 2019-03-12 2020-09-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源及制备方法、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437Y1 (ko) 2006-03-28 2006-09-06 박동홍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437Y1 (ko) 2006-03-28 2006-09-06 박동홍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20Y1 (ko) * 2009-05-18 2011-06-10 (주)지란지교소프트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케이스
KR20120020600A (ko) * 2010-08-30 2012-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704035B1 (ko) * 2010-08-30 2017-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60074802A (ko) * 2014-12-18 2016-06-29 ㈜미래큐브 저발열 초고휘도 led 백라이트 및 액정 디스플레이
KR101652805B1 (ko) * 2014-12-18 2016-09-01 ㈜미래큐브 저발열 초고휘도 led 백라이트 및 액정 디스플레이
CN107654951A (zh) * 2017-10-31 2018-02-02 顾哲锴 一种节能型台灯
WO2020181941A1 (zh) * 2019-03-12 2020-09-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源及制备方法、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8266B1 (en) Light emitting diode (LED) lamp
JP5070532B2 (ja) 半導体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98721B2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12195404A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20130009183A1 (en) Reflective circuit board for led backlight
JP2006237264A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0864305B1 (ko) 발광소자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KR101367360B1 (ko) 엘이디 조명 모듈용 플렉서블 방열기판 및 이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 모듈
JP2010263242A (ja) 照明装置
JP2006210627A (ja)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ならびに照明装置
JP2005210042A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TWI469387B (zh) 發光模組
JP2006295230A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04342791A (ja) Ledランプおよびled照明具
JP2006100441A (ja)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ならびに照明装置
JP4511238B2 (ja)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ならびに照明装置
US20100320490A1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ing structure
JP2005310911A (ja)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ならびに照明装置
JP4868960B2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85851B2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1046750B1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발광 다이오드모듈을 구비하는 등기구
US20090016066A1 (en) Package Structure for a High-Luminance Light Source
JP2005285871A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照明装置
JP4637623B2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05183897A (ja)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ならびに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