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277B1 -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277B1
KR100864277B1 KR1020080034842A KR20080034842A KR100864277B1 KR 100864277 B1 KR100864277 B1 KR 100864277B1 KR 1020080034842 A KR1020080034842 A KR 1020080034842A KR 20080034842 A KR20080034842 A KR 20080034842A KR 100864277 B1 KR100864277 B1 KR 100864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ed motor
motor box
toy
bracket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517A (ko
Inventor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제일과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과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과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27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made of parts to be assemb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2Chassis; Wheel mountings; Wheels; Axles; Suspensions; Fitting body portions to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Landscapes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여러가지 부품을 조립하여 작동시키는 완구에 사용하는 기어드모터가 브라켓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형태를 구성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된 기어드모터의 구동축(150)이 일측면에 돌출되는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각 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돌기(110)가 1열 또는 복수열로 배열 형성된 기어드모터박스(100)와; 기어드모터박스(100)의 대향된 양면에 각각 밀착 조립되며, 기어드모터박스(100)의 한쪽 면 결합돌기(110) 전부 또는 일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공(221)이 동일 간격의 격자형으로 형성된 지지부(220)가 구비되고, 지지부(220) 하단에는 다수의 볼트홀(231)이 있는 플랜지부(230)가 구비된 브라켓(2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브라켓(200)의 플랜지부(230)에 형성된 볼트홀(231)은 상부에 볼트(300)의 사각 또는 원형의 머리부(310)를 수용하는 머리수납부(25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어드모터박스, 브라켓, 지지부, 플랜지부, 리브(rib)

Description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a mounting structure of geared motor box for toy}
본 발명은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조립식 완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기어드모터를 다른 부품에 장착할 때, 기어드박스와 브라켓을 분리하고 기어드모터박스의 각 면에는 결합돌기를 만들고 브라켓에는 기어드모터박스의 결합돌기에 끼워지는 결합공을 만들어 기어드모터박스의 모든 면에 브라켓이 결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조립식 완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완구는 각종 기계 부품을 모방한 조립용 부품으로 여러 가지 부품을 활용하여 단순한 구조물부터 흥미로운 기계 장치, 장비 등 다양한 모델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기구, 기계의 구조에 대한 이해와 작동원리를 체험할 수 있도록 제작된 완구이다.
또한 이러한 조립식완구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립한 후 각각의 부품으로 다시 분해하여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재조립할 수 있도록 부품들이 모 듈(module)화 되어 있다.
특히 조립식완구 중 여러가지 부품으로 형태를 만들고 작동시킬 수 있는 조립식작동완구는 기어드모터와 배터리 등이 사용된다.
하지만 기어드모터와 배터리 등과 같이 일반적인 구동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들은 조립식완구의 부품들과 같이 모듈화 되어있지 않아서 조립식완구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기어드모터박스는 기어드모터박스에 구비되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다른 부품에 결합되며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모터박스몸체를 다른 부품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이 기어드모터박스의 양 측면에 움직일 수 없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기어드모터박스를 다른 부품에 결합할 때 브라켓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홀 위치에 다른 부품의 볼트홀도 형성되어있을 경우에만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이 가능함으로 기어드모터박스를 장착하는 위치와 방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어드모터박스를 다른 부품에 장착하기 위해서 브라켓에 형성되는 볼트홀과 다른 부품의 볼트홀을 관통하여 볼트를 끼우고 드라이버로 볼트를 돌려 너 트와 결합시킬 때, 기어드모터박스의 구조가 복잡한 경우 드라이버가 볼트에 닿지 않아 장착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드모터박스와 양쪽 브라켓을 따로 분리시켜 형성하되 기어드모터박스의 6면 중 대향된 양쪽면 어디에나 양쪽 브라켓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다 다양한 위치와 방향으로 기어드모터박스를 장착할 수 있는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어드모터박스를 지지하는 양쪽 브라켓을 볼트와 너트에 의해 다른 부품에 장착하고자 할 때 볼트의 머리부를 잡아주지 않고서도 너트만을 회전시켜 장착할 수 있는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된 기어드모터의 구동축이 일측면에 돌출되는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각 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돌기가 1열 또는 복수열로 배열 형성된 기어드모터박스와; 기어드모터박스의 대향된 양면에 각각 밀착 조립되며, 기어드모터박스의 한쪽 면 결합돌기 전부 또는 일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공이 동일 간격의 격자형으로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되고, 지지부 하단에는 다수의 볼트홀이 있는 플랜지부가 구비된 브라켓;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브라켓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볼트홀은 상부에 볼트의 사각 또는 원형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머리수납부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어드모터박스와 브라켓을 따로 구비하고 기어드모터박스에는 육면체 형태의 각 면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브라켓에는 기어드모터박스의 결합돌기에 끼워지는 결합공과 기어드모터박스를 다른 부품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볼트홀이 구비하여 기어드모터박스의 다양한 면에 브라켓을 결합하여 다른 부품에 고정함으로써 위치와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기어드모터박스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식작동완구의 형태를 더욱 다양화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브라켓에는 브라켓과 다른 부품의 결합에 사용되는 볼트의 머리를 잡아주는 머리수납부를 형성하여 드라이버 없이도 너트만으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어드모터박스를 복잡한 구조의 조립식완구에도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구성을 보여주 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창착을 예시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전원이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브라켓이 다른 부품과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a, 8b 는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플랜지부에 볼트가 고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된 기어드모터의 구동축(150)이 일측면에 돌출되는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각 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돌기(110)가 1열 또는 복수열로 배열 형성된 기어드모터박스(100)와; 기어드모터박스(100)의 대향된 양면에 각각 밀착 조립되며, 기어드모터박스(100)의 한쪽 면 결합돌기(110) 전부 또는 일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공(221)이 동일 간격의 격자형으로 형성된 지지부(220)가 구비되고, 지지부(220) 하단에는 다수의 볼트홀(231)이 있는 플랜지부(230)가 구비된 브라켓(2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브라켓(200)은 지지부(220)와 플랜지부(230)를 직각으로 형성하고, 모터박스몸체(120)의 사방 모서리에는 브라켓(200)의 플랜지부(230)가 끼워질 수 있 도록 단턱진 요입부(1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200)의 결합공(221)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리브(24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브라켓(200)의 플랜지부(230)에 형성된 볼트홀(231)은 상부에 볼트(300)의 사각 또는 원형의 머리부(310)를 수용하는 머리수납부(25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00)(500)(550)은 다름 부품, 소켓, 전원커넥터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른 부품에 기어드모터박스(100)를 장착하기 위해 브라켓(200)과 결합할 때 기어드모터박스(100)의 각 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10)에 브라켓(200)의 지지부(220)에 형성되는 결합공(221)을 전부 또는 일부 결합하여 브라켓(200)의 플랜지부(230)에 형성되는 볼트홀(231)과 다른 부품의 볼트홀을 볼트(300)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기어드모터박스(100)의 모든 면에 결합돌기(1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라켓(200)을 기어드모터박스(100) 어느 면에라도 결합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작동완구를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브라켓(200)의 지지부(220)와 플랜지부(230)는 직각으로 형성되고 모터박스몸체(120)의 사방 모서리에 플랜지부(2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단턱진 요입부(130)가 형성되어 있어서 기어드모터박스(100)가 장착되는 위치가 협소할 때 플랜지부(230)가 요입부(130)에 끼워져 별도의 브라켓(200) 공간 없이도 기어드모터 박스(100)를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어드모터박스(100)와 브라켓(200)의 결합시 브라켓(200)에 형성되는 리브(240)로 인해 공간이 확보됨으로 장시간 모터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식혀줄 뿐만 아니라 리브(240)의 형성으로 브라켓(200)의 강성이 높아져 브라켓(2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생산단가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브라켓(200)의 플랜지부(230)에는 사각 또는 원형 볼트의 머리부(310)를 수용하는 머리수납부(250)를 형성하여 고정되므로 별도의 드라이버 없이도 너트(350)만으로 브라켓(200)을 다른 부품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머리수납부(250)로 인해 플랜지부(230)가 모터박스몸체(120)의 요입부(130)에 결합될 때 볼트(300)의 간섭을 받지 않고 기어드모터박스(100)와 브라켓(200)이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창착을 예시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전원이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브라켓이 다른 부품과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a, 8b 는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플랜지부에 볼트가 고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어드모터박스 110 : 결합돌기
120 : 모터박스몸체 130 : 요입부
200 : 브라켓 220 : 지지부
221 : 결합공 230 : 플랜지부
231 : 볼트홀 240 : 리브
300 : 볼트 350 : 너트

Claims (4)

  1. 삭제
  2. 내부에 설치된 기어드모터의 구동축(150)이 일측면에 돌출되는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각 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돌기(110)가 1열 또는 복수열로 배열 형성된 기어드모터박스(100)와;
    기어드모터박스(100)의 대향된 양면에 각각 밀착 조립되며, 기어드모터박스(100)의 한쪽 면 결합돌기(110) 전부 또는 일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공(221)이 동일 간격의 격자형으로 형성된 지지부(220)가 구비되고, 지지부(220) 하단에는 다수의 볼트홀(231)이 있는 플랜지부(230)가 구비된 브라켓(200);
    으로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를 구성하되
    브라켓(200)은 지지부(220)와 플랜지부(230)를 직각으로 형성하고,
    모터박스몸체(120)의 사방 모서리에는 브라켓(200)의 플랜지부(2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단턱진 요입부(1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부(220)의 결합공(221)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리브(24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브라켓(200)의 플랜지부(230)에 형성된 볼트홀(231)은
    상부에 볼트(300)의 사각 또는 원형의 머리부(310)를 수용하는 머리수납부(25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
KR1020080034842A 2008-04-15 2008-04-15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 KR100864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842A KR100864277B1 (ko) 2008-04-15 2008-04-15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842A KR100864277B1 (ko) 2008-04-15 2008-04-15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517A KR20080052517A (ko) 2008-06-11
KR100864277B1 true KR100864277B1 (ko) 2008-10-17

Family

ID=3980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842A KR100864277B1 (ko) 2008-04-15 2008-04-15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559B1 (ko) * 2019-11-07 2021-02-01 박은주 조립식 완구용 모터 홀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1062A (ja) * 1992-09-16 1994-04-05 Sankyo Seiki Mfg Co Ltd ブロック玩具用ブロック・ユニット
JPH0956935A (ja) * 1995-08-30 1997-03-04 Ogawa Seiki Kk 模型用エンジ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1062A (ja) * 1992-09-16 1994-04-05 Sankyo Seiki Mfg Co Ltd ブロック玩具用ブロック・ユニット
JPH0956935A (ja) * 1995-08-30 1997-03-04 Ogawa Seiki Kk 模型用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517A (ko)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7227B2 (ja) 電気的エネルギ貯蔵装置及び電気的エネルギ貯蔵装置の組立て方法
KR101212552B1 (ko)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구조
US10097061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equipped with a terminal box
JP2008022653A (ja) 電動モータの制御装置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30018402A (ko) 만능결합구조를 가진 액츄에이터 모듈
KR100864277B1 (ko) 완구용 기어드모터박스의 장착구조
RU2261750C2 (ru) Конструктор из выполненных в форме полого кубика модулей и вставных соединит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для сборки этих модул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этих модулей конструктора
CN201654608U (zh) 电脑系统
EP3248735B1 (en) Robot joint structure
KR20100123175A (ko) 다축 연결형 액추에이터 모듈
JP6354060B2 (ja) 電子機器
CN111604925A (zh) 抽屉式机柜及本体与机柜一体化协作机器人
CN107191390B (zh) 爬地扇及其装配方法
JP5967415B2 (ja) 蓄電装置
KR101277573B1 (ko) 만능결합구조를 가진 액츄에이터 모듈
WO2018196771A1 (zh) 空调器
KR101852454B1 (ko) 원터치 연결구가 구비되는 조립식 분전반 함체
CN209042605U (zh) 空调室外机和空调器
CN216159196U (zh) 带自清洁功能的中央空调出风口负离子发生器装置
US9075565B2 (en) Hard disc enclosure
CN202907351U (zh) 用于容置电动机械的驱动系统的部件的驱动单元
KR200463666Y1 (ko) 행사용 전광판 유닛
JP2006109626A (ja) 配線用ボックス
CN212116219U (zh) 自行走机器人
CN218100002U (zh) 集成有plc的伺服驱动器和伺服驱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