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151B1 -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 회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151B1
KR100864151B1 KR1020070006868A KR20070006868A KR100864151B1 KR 100864151 B1 KR100864151 B1 KR 100864151B1 KR 1020070006868 A KR1020070006868 A KR 1020070006868A KR 20070006868 A KR20070006868 A KR 20070006868A KR 100864151 B1 KR100864151 B1 KR 100864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input
high voltage
boo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317A (ko
Inventor
김창운
Original Assignee
리디스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디스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리디스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70006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151B1/ko
Publication of KR2008006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압 레벨에 따라 승압 비율을 조절하여 고전압으로 구동되는 회로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 회로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전원 전압 입력부, 입력되는 상기 전원 전압의 값을 검출하는 입력 전압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승압 비율을 결정하고, 이를 승압시켜 패널 구동 회로로 출력하는 승압 회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승압 비율을 조절하여 고전압을 출력함으로써 고전압 구동회로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고 또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시스템에서 종래에 사용되던 전압 안정화 시스템이 없이도 구동이 가능함으로 이동 전자기기의 제조 단자와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 회로{High Voltage Generation Circuit for Display Driving Circuit Chip}
도 1은 종래의 고전압 발생회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고전압 발생회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고전압 발생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검출하여 검출된 전압 레벨에 따라 승압 비율을 조절하여 고전압으로 구동되는 회로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 회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여러 구동 회로들이 동작하는데, 각 구동 회로들은 자신의 필요한 구동전압을 공급받아야 한다. 기본적으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시켜 각 구동회로로 공급한다.
도 1은 종래의 고전압 발생회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고전압 발생회로(10)는 전원 전압 입력부(11)와 승압 회로부(13)로 구성된다. 전원 전압 입력부(11)는 아날로그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이다. 승압 회로부(13)는 상기 전원 전압 입력부(11)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미리 정해진 비율(예를 들어, 2배, 4배 또는 N배 등)만큼 승압시켜 승압된 전압을 고전압 구동회로(30)로 공급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전원 전압(배터리)(5)의 전압이 불안정하므로 상기 전원 전압(5)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구동 칩의 전원 전압 입력부(11)로 안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안정 시스템(7)이 더 구성된다. 상기 전압 안정 시스템(7)은 OP Amp, 안정화 커패시턴스, 저항 등으로 구성되는 별도의 부품이다.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고전압 발생회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고전압 발생회로(20)는 전원 전압 입력부(21), 기준 전압 발생부(23) 및 승압 회로부(25)로 구성된다. 전원 전압 입력부(11)는 아날로그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이다. 기준 전압 발생부(23)는 상기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기준전압(VRN)을 만든다. 승압 회로부(25)는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23)에서 입력되는 기준전압(VRN)을 미리 정해진 비율(예를 들어, 2배, 4배 또는 N배 등)만큼 승압시켜 승압된 전압을 고전압 구동회로(30)로 공급한다.
또한, 도 2에서도 도 1과 같이, 전원 전압(배터리)(5)의 전압이 불안정하므로 상기 전원 전압(5)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구동 칩의 전원 전압 입력부(11)로 안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안정 시스템(7)이 더 구성된다.
위와 같이, 종래에는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고전압 구동회로의 경우 고전압 발생 회로의 입력 전원을 고정된 비율(예를 들어, 2배, 4배 또는 N배 등)로 승압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고전압 구동회로의 입력 전압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런데, 아날로그 전원 전압인 배터리 전압은 디스플레이 구동 칩이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따라 다르고, 배터리를 사용하는 시간에 따라 그 전압 값이 다르기 때문에 고정된 비율로 승압하여 고전압 구동회로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것은 고전압 구동회로의 입력전압을 필요 이상으로 높게 승압하거나 필요 이하로 낮게 승압하여 공급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고전압 발생회로는 고정된 승압 비율을 갖는 것에 단점이 있다. 이는, 필요하지 않은 전압을 만들 수 있어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인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의 고전압 구동회로에 공통적으로 채용하고 있는 전압 안정 시 스템(7)은 칩에 내장되지 않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휴대폰과 같은 이동 기기일 경우 부피 증가 요인으로서 슬림화가 요구되는 이동 기기의 요구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구동되는 고전압 구동회로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 전압 값을 검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승압 회로부의 승압 비율을 조절하여 균일한 승압 레벨을 유지함으로써 승압 효율을 개선하고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회로는 배터리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전원 전압 입력부; 입력되는 상기 전원 전압의 값을 검출하는 입력 전압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승압 비율을 결정하고, 이를 승압시켜 패널 구동 회로로 출력하는 승압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압 회로부는, 상기 입력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승압 비율을 결정하는 승압 비율 결정부; 및 상기 승압 비율에 따라 검출된 전압 값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배터리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전원 전압 입력부; 입력되 는 상기 전원 전압의 값을 검출하는 입력 전압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기준 전압 값을 결정하는 기준 전압 발생부; 및 상기 기준 전압 값에 따라 승압 비율을 결정하고, 이를 승압시켜 패널 구동 회로로 출력하는 승압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회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는 상기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다양한 전압 값의 기준 전압을 결정하는 기준 전압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승압 회로부는,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된 기준 전압 값에 따라 승압 비율을 결정하는 승압 비율 결정부; 및 상기 승압 비율에 따라 검출된 전압 값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발생회로(100)는 배터리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전원 전압 입력부(101), 입력되는 상기 전원 전압의 값을 검출하는 입력 전압 검출부(103) 및 상기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승압 비율을 결정하고, 이를 승압시켜 패널 구동 회로로 출력하는 승압 회로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압 회로부(105)는 상기 입력 전압 검출부(103)에서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몇 배 승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승압 비율 결정부(105-1)와 상기 비율에 따라 검출된 전압 값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부(105-2)를 포함한다.
즉, 최종적으로 공급해야할 고전압과 실제 검출된 전압 값을 가지고 최종 승압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 전원 전압이 3V이고, 고전압 구동 회로에 필요한 고전압은 5V라고 할 때, 종래의 승압 회로는 승압 비율을 5/3로 고정함으로써 5V를 출력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지만, 실제로 배터리의 전원 전압이 정확히 3V가 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검출되는 전압 값이 2.5V라고 할 경우 종래 승압 회로의 경우 2.5*5/3=4.17V가 최종 출력되어 원하는 값이 나오지 않지만, 본 발명의 경우 승압 비율 결정부(105-1)에서 승압 비율을 5/2.5로 결정함으로써 최종 출력되는 고전압이 5V가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고전압 구동회로에 일정한 고전압을 공급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회로를 구동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발생회로(200)는 배터리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전원 전압 입력부(201), 입력되는 상기 전원 전압의 값을 검출하는 입력 전압 검출부(203), 상기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기준 전압 값을 결정하는 기준 전압 발생부(205) 및 상기 기준 전압 값에 따라 승압 비율을 결정하고, 이를 승압시켜 패널 구동 회로로 출력하는 승압 회로부(2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205)는 상기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다양한 전압 값의 기준 전압(VR1~VRN)을 결정하는 기준 전압 결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준 전압 결정부는 전원 전압 값이 1V~1.5V인 경우, 1.5V로 기준 전압으로, 전원 전압 값이 1.5V~2V인 경우, 2V로 기준 전압을 정할 수 있다.
상기 승압 회로부(105)는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203)에서 발생된 기준 전압 값에 따라 몇 배 승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승압 비율 결정부(207-1)와 상기 비율에 따라 검출된 전압 값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부(207-2)를 포함한다.
즉, 최종적으로 공급해야할 고전압과 기준 전압 값을 가지고 최종 승압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다. 상술한 예의 경우, 검출된 배터리 전원 전압이 1.8V이고, 고전압 구동 회로에 필요한 고전압은 5V라고 할 때, 기준 전압 발생부(205)에서 2V의 기준 전압을 출력하고, 이로부터 승압 비율 결정부(105-1)에서 승압 비율을 5/2로 결정함으로써 최종 출력되는 고전압이 5V가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고전압 구동회로에 일정한 고전압을 공급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회로를 구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전원 전압의 사용범위가 넓을 때 적절한 기준전압과 승압비율을 선택하여 소비전력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구동되는 고전압 구동회로에 공급되는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 전원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승압 비율을 조절하여 고전압을 출력함으로써 고전압 구동회로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고 또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채용하고 있는 OP Amp, 안정화 커패시턴스, 저항 등으로 구성되는 전압 안정 시스템이 없이도 안정화된 고전압을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이 출력할 수 있어 휴대폰과 같은 디스플레 시스템의 제조 비용과 부피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배터리 전원 전압이 입력되는 전원 전압 입력부;
    입력되는 상기 전원 전압의 값을 검출하는 입력 전압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기준 전압 값을 결정하는 기준 전압 발생부; 및
    상기 기준 전압 값에 따라 승압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 값을 승압시켜 패널 구동 회로로 출력하는 승압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는 상기 검출된 전압 값에 따라 다양한 전압 값의 기준 전압을 결정하는 기준 전압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회로.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회로부는,
    상기 기준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된 기준 전압 값에 따라 승압 비율을 결정하는 승압 비율 결정부; 및
    상기 승압 비율에 따라 검출된 전압 값을 승압하여 출력하는 승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회로.
KR1020070006868A 2007-01-23 2007-01-23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 회로 KR100864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868A KR100864151B1 (ko) 2007-01-23 2007-01-23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868A KR100864151B1 (ko) 2007-01-23 2007-01-23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317A KR20080069317A (ko) 2008-07-28
KR100864151B1 true KR100864151B1 (ko) 2008-10-16

Family

ID=3982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868A KR100864151B1 (ko) 2007-01-23 2007-01-23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1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936A (ko)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범위 전원용 승압 회로,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압 승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1747A (ja) * 2005-01-25 2006-08-10 Rohm Co Ltd 電源装置および電子装置
KR20060119302A (ko) * 2005-05-19 2006-11-24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차지펌프방식의 디씨/디씨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1747A (ja) * 2005-01-25 2006-08-10 Rohm Co Ltd 電源装置および電子装置
KR20060119302A (ko) * 2005-05-19 2006-11-24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차지펌프방식의 디씨/디씨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317A (ko) 200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6294B2 (ja) 電源装置、該電源装置を用いたled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6819165B2 (en) Voltage regulator with dynamically boosted bias current
US7843179B2 (en) Control circuit for synchronous rectifier-type DC-DC converter, synchronous rectifier-type DC-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61091B1 (ko) 정전류 회로 및 정전류 회로를 사용한 발광 다이오드 구동장치
US7671572B2 (en) Voltage boost circuit and voltage boosting method using voltage boost clock signal with varying frequency
US7795951B2 (en) High-dynamic range low ripple voltage multiplier
JP2007020268A (ja) 電源回路
US7977889B2 (en) Direct-current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device for driving LED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power supply
US7042281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voltage regulation
JP5090202B2 (ja) 電源回路
US8754580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20070262763A1 (en) Power supply circui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JP2008312406A (ja) 負荷駆動回路及びその負荷電流設定方法
WO2009126238A1 (en) Hot swap controller with zero loaded charge pump
KR2006013536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TWI408542B (zh) 用於供應電源的設備
JP2007317239A (ja) 直流電源装置
KR20150074651A (ko) 전하 펌프 회로의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하 펌프 시스템
KR100864151B1 (ko)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칩의 고전압 발생 회로
JP2009277074A (ja) 電源電圧降圧回路、半導体装置および電源電圧回路
KR101477626B1 (ko) Dc-dc 컨버터용 소프트 스타트 장치
US9762225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64206B1 (ko) 내부전압 발생장치
KR100675014B1 (ko) 온도센서를 위한 전력공급장치
JP2007004420A (ja) 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