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494B1 -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 - Google Patents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494B1
KR100862494B1 KR1020070040525A KR20070040525A KR100862494B1 KR 100862494 B1 KR100862494 B1 KR 100862494B1 KR 1020070040525 A KR1020070040525 A KR 1020070040525A KR 20070040525 A KR20070040525 A KR 20070040525A KR 100862494 B1 KR100862494 B1 KR 100862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dge
compensation gain
shading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중
김태응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1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the noise originating only from the lens unit, e.g. flare, shading, vignetting or "cos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Edge-driven scaling; Edge-based sca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192Edge enhancement; Edge pre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라 영상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에지에 상대적으로 더욱 큰 쉐이딩 보상 이득을 주어 에지를 강조함으로써 영상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에지를 더욱 선명하게 보상할 수 있는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은, 영상의 에지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휘도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휘도 차이를 보상하는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에지 강도를 상기 계산된 쉐이딩 보상 이득에 따라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된 에지 강도를 상기 영상에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렌즈, 쉐이딩(shading), 에지(edge), 에지 강도, 보상

Description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METHOD FOR EDGE ENHANCEMENT IN IMAGE ACCORDING TO DISTRIBUTION OF LENS SHADING}
도 1은 에지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2차 미분 필터에 해당하는 윈도우 마스크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에 적용되는 쉐이딩 보상 이득을 구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곡선이다.
본 발명은 영상의 에지를 강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에지에 상대적으로 더욱 큰 쉐이딩 보상 이득을 주어 에지를 강조함으로써 영상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에지를 더욱 선명하게 보상할 수 있는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널리 대중화된 디지털 카메라 또는 휴대폰 내장 카메라 등은, 렌즈를 통해 입력된 빛을 이미지 센서가 검출한 후,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과정을 통해 양호한 품질의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특히, 더욱 선명한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에서 영상의 에지를 더욱 강조하는 에지 강조 기법이 수행된다.
일반적인 에지 강조 기법은 영상으로부터 에지 강도를 검출한 후, 검출된 에지 강도를 원래 영상에 더해주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에지 강도를 검출하는 데에는 도 1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은 2 차 미분 연산자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2 차 미분 연산자는 3×3 크기의 윈도우 미분 필터로 구현된 2 차 미분 연산자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 윈도우 미분 필터를 영상의 각 화소에 적용하면 영상의 에지 강도가 검출된다. 도 1에 도시된 2 차 미분 연산자에 의한 에지 강도 검출 과정을 식으로 나타내면 하기 식 1과 같다.
[식 1]
Figure 112007031371488-pat00001
(x, y: 영상 내 화소의 좌표, L: 에지 강도, f: 화소값)
즉, 상기 식 1에 의해 구한 에지 강도를 원래의 영상에 더하면 에지가 강조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 또는 휴대폰 등에 내장되는 카메라에서는 렌즈가 매우 소형으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렌즈의 중심 부분과 주변 부분 특성이 달라지는 렌즈 쉐이딩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렌즈 쉐이딩 현상에 의해, 영상의 주변부는 중앙부에 비해 휘도가 저하되며, 영상의 주변부에 위치한 에지는 그 크기가 작아져 흐리게 된다.
상기 식 1에 의한 일반적인 종래의 에지 강조 기법은 렌즈 쉐이딩 현상에 의한 영상 주변부의 에지 흐림을 고려하지 않고 영상의 중심부와 주변부에 동일한 수준의 에지 강조를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의 에지 강조 기법에 의하면, 영상에 대한 에지 강조를 수행한 이후에도 영상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에지는 계속 흐린 상태로 유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렌즈의 쉐이딩 현상에 의해 흐리게 나타나는 영상 주변부에 존재하는 에지에 상대적으로 더욱 큰 쉐이딩 보상 이득을 주어 에지를 강조함으로써 영상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에지를 더욱 선명하게 보상할 수 있는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영상의 에지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휘도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휘도 차이를 보상하는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에지 강도를 상기 계산된 쉐이딩 보상 이득에 따라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된 에지 강도를 상기 영상에 합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지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각 화소에 미분 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미분 필터를 적용한 결과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화소에 대해 그 결과값을 에지 강도로서 검출하며, 상기 미분 필터를 적용한 결과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화소는 에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휘도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휘도 분포에서 주변부의 휘도를 중심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보상할 수 있는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식 2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식 2]
Figure 112007031371488-pat00002
(x,y: 화소의 수평, 수직 방향 좌표, G: 쉐이딩 보상 이득, Fx: 수평 방향 보상 이득, Fy: 수직 방향 보상 이득, k: 스케일링 상수).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상하는 단계는, 하기 식 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식 3]
Figure 112007031371488-pat00003
(L': 보상된 에지 강도, K: 스케일링 상수, L: 에지 강도, G: 쉐이딩 보상 이득)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은, 영상의 에지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S21, S22)와, 상기 영상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휘도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휘도 차이를 보상하는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S23)와, 상기 검출된 에지 강도를 상기 계산된 쉐이딩 보상 이득에 따라 보상하는 단계(S24) 및 상기 보상된 에지 강도를 상기 영상에 합산하여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역별 에지 강조를 수행하는 단계(S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에지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S21, S22)는, 영상의 각 화소에 미분 필터를 적용하는 단계(S21) 및 상기 미분 필터를 적용한 결과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화소에 대해 그 결과값을 에지 강도로서 검출하며, 상기 미분 필터를 적용한 결과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화소는 에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S23)는, 상기 영상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휘도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휘도 분포에서 주변부의 휘도를 중심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보상할 수 있는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영상으로부터 에지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S21, S22)로 시작된다. 에지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S21, S22)는 전술한 것과 같이 미분 필터를 영상에 적용하는 단계(S21)를 포함한다. 즉, 에지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에지를 강조하고자 하는 영상의 각 화소에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미분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식 1에 나타난 것과 같은 연산을 통해 각 화소에 대한 미분 필터 적용값(식 1의 L(x,y))을 구한다. 도 1 및 식 1은 미분 필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영상에 미분 필터를 적용하여 각 화소의 미분 필터 적용값을 구한 후, 이 미분 필터 적용값과 사전에 설정해 둔 임계값의 크기를 비교한다(S22). 이 비교 단계(S22)에서, 상기 임계값보다 큰 미분 필터 적용값을 갖는 화소를 에지성분으로 판단하고, 해당 화소의 미분 필터 적용값을 에지 강도로서 검출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추가적인 쉐이딩 보상 과정을 적용한다. 반대로, 상기 임계값보다 큰 미분 필터 적용값을 갖는 화소는 에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추가적인 처리를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하에 설명되는 쉐이딩 보상 단계들은, 임계값보다 큰 미분 필터 적용값을 갖는 화소에 대해 수행되며, 에지 강도라는 용어는 임계값보다 큰 미분 필터 적용값을 갖는 화소의 미분 필터 적용값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에지 강도를 보상하는데 사용될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계산한다(S23). 상기 쉐이딩 보상 이득은 렌즈 쉐이딩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 주변부의 휘도저하를 보상해 주기 위한 이득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쉐이딩 현상으로 인해 영상 주변부의 휘도저하 현상과 영상 주변부의 에지 흐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휘도저하 현상을 보상하기 위한 이득을 계산하여 이를 에지 흐림을 보상하는데 적용한다.
도 3은 렌즈 쉐이딩에 의한 영상 주변부의 휘도 저하 및 이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이득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영상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한 곡선을 도시한 것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모두 동일한 패턴의 곡선이 도시될 수 있다. 도 3에서 점선(L1)으로 도시된 곡선은 렌즈 쉐이딩 현상에 의해 영상 주변부에 휘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도시한 곡선이며, 실선(L2)로 도시된 곡선은 휘도 저하를 보상하기 위한 이득을 도시한 곡선이다.
도 3에 점선(L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쉐이딩 현상에 의해 영상의 중심부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휘도가 저하된다. 즉,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영상의 중심부에서 최대 휘도가 나타나고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휘도가 저하된다. 이러한 주변부 휘도 저하 현상을 보상하기 위한 이득은, 영상 주변부의 휘도를 중심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보상하는 이득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득은, 영상의 중심부에 단위 이득이 적용되고, 주변부로 갈수록 이득이 증가하는 형태를 가져야 한다. 즉, 상기 이득은 영상의 중심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휘도가 저하되는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증가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득 곡선은 단위 이득선을 기준으로 휘도 곡선과 정확하게 대칭되는 형태로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이득은 영상의 수직 방향, 수평 방향에 대해 모두 계산되며, 최종 쉐이딩 보상 이득은 수평 방향의 보상 이득 및 수직 방향의 보상 이득을 모두 합산하여 하기 식 2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식 2]
Figure 112007031371488-pat00004
상기 식 2에서 x, y는 화소의 수평, 수직 방향 좌표, G는 쉐이딩 보상 이득, Fx는 수평 방향 보상 이득, Fy는 수직 방향 보상 이득을 나타내며, k는 쉐이딩 보상 이득을 적절한 크기로 조정하기 위한 스케일링 상수이다.
다음으로, 단계(S21, S22)에서 검출된 에지 강도를 단계(S23)에서 계산된 쉐이딩 보상 이득에 따라 보상한다. 이 에지 강도의 보상은 단순하게 단계(S21, S22)에서 검출된 에지 강도에 단계(S23)에서 계산된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곱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에지 강도의 보상은 하기 식 3과 같이 수식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식 3]
Figure 112007031371488-pat00005
상기 식 3에서 L'는 보상된 에지 강도, K는 스케일링 상수, L은 에지 강도, G는 쉐이딩 보상 이득을 나타낸다.
상기 식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쉐이딩 보상 이득(G)은 영상의 주변부에 대해서 더 큰 값을 가지기 때문에, 보상된 에지 강도(L')도 마찬가지로 영상의 주변부에 대해서는 더욱 큰 값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 3에 나타난 보상된 에지 강도를 이용하여 에지 강조를 수행하는 경우 영상의 주변부에 위치한 에지에 대해서는 더욱 큰 에지 강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최종적으로, 상기 보상된 에지 강도를 상기 영상에 합산하여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역별 에지 강조를 수행한다(S25). 이 단계(S25)는 하기 식 4와 같이 수식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식 4]
Figure 112007031371488-pat00006
상기 식 4에서 E는 에지 강조가 수행된 영상, I는 에지 강조가 수행되기 전 원래 영상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상된 에지 강도(식 3의 L')는 영상의 주변부에 대해서는 더욱 큰 값을 나타내게 되므로, 상기 식 4와 같이 수행되는 에지 강조를 통해 영상의 주변부에 위치한 에지에 대해서는 더욱 큰 에지 강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쉐이딩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영상의 주변부 휘도 저하를 보상하기 위한 이득을 이용하여 에지 강도를 보상한 후 보상된 에지 강도를 영상의 에지 강조에 적용함으로써 렌즈 쉐이딩 현상에 의한 영상 주변부에 존재하는 에지에 대해 더욱 큰 강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영상의 주변부 에지의 흐림 현상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영상의 각 화소에 미분 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미분 필터를 적용한 결과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화소에 대해 그 결과값을 에지 강도로서 검출하며, 상기 미분 필터를 적용한 결과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화소는 에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영상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휘도 차이를 검출하고, 상기 휘도 차이를 보상하는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에지 강도를 상기 계산된 쉐이딩 보상 이득에 따라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된 에지 강도를 상기 영상에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
  3. 영상의 에지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휘도 분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휘도 분포에서 주변부의 휘도를 중심부의 휘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보상할 수 있는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에지 강도를 상기 계산된 쉐이딩 보상 이득에 따라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된 에지 강도를 상기 영상에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딩 보상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는,
    하기 식 2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
    [식 2]
    Figure 112008037847742-pat00007
    (x,y: 화소의 수평, 수직 방향 좌표, G: 쉐이딩 보상 이득, Fx: 수평 방향 보상 이득, Fy: 수직 방향 보상 이득, k: 스케일링 상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하는 단계는,
    하기 식 3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
    [식 3]
    Figure 112008037847742-pat00008
    (L': 보상된 에지 강도, K: 스케일링 상수, L: 에지 강도, G: 쉐이딩 보상 이득)
KR1020070040525A 2007-04-25 2007-04-25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 KR100862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525A KR100862494B1 (ko) 2007-04-25 2007-04-25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525A KR100862494B1 (ko) 2007-04-25 2007-04-25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494B1 true KR100862494B1 (ko) 2008-10-08

Family

ID=4015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525A KR100862494B1 (ko) 2007-04-25 2007-04-25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4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146B1 (ko) * 2013-06-18 2014-12-22 (주) 넥스트칩 영역에 따라 에지 강도를 제어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1510567A (zh) * 2019-01-29 2020-08-07 奥多比公司 使用多个图像的图像阴影检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9736A (ja) 2000-05-29 2001-12-07 Toshiba Corp シェーディング補正装置
JP2003338949A (ja) * 2002-05-20 2003-11-28 Nec Corp エッジ補正回路及びエッジ補正方法
KR20060098226A (ko) * 2005-03-11 2006-09-1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 센서의 렌즈 세이딩 커렉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9736A (ja) 2000-05-29 2001-12-07 Toshiba Corp シェーディング補正装置
JP2003338949A (ja) * 2002-05-20 2003-11-28 Nec Corp エッジ補正回路及びエッジ補正方法
KR20060098226A (ko) * 2005-03-11 2006-09-1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 센서의 렌즈 세이딩 커렉션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146B1 (ko) * 2013-06-18 2014-12-22 (주) 넥스트칩 영역에 따라 에지 강도를 제어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4204086A1 (ko) * 2013-06-18 2014-12-24 (주)넥스트칩 영역에 따라 에지 강도를 제어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1510567A (zh) * 2019-01-29 2020-08-07 奥多比公司 使用多个图像的图像阴影检测
CN111510567B (zh) * 2019-01-29 2023-05-26 奥多比公司 使用多个图像的图像阴影检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6348B2 (en) Techniques for adjusting the effect of applying kernels to signals to achieve desired effect on signal
KR10108642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7444035B2 (en) Better picture for inexpensive cameras
JP559558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KR100901353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609758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20136813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9830690B2 (en) Wide dynamic range imaging method
JP2009510587A (ja) 画像ディテール強調
JP702047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US2014011960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8148316A (ja) 映像の鮮明度向上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4895839B2 (ja) 画像補正装置および方法
US970422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267200B2 (ja) 画像処理装置
CN107977941B (zh) 一种明亮区域色彩保真及对比度增强的图像去雾方法
JP201210889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KR100685568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출력 장치
JP4550016B2 (ja) 輝度変換装置
CN107025641A (zh) 基于对比度分析的图像融合方法
KR100862494B1 (ko) 렌즈 쉐이딩 분포에 따른 영상의 에지 강조 방법
KR20100064808A (ko) 픽셀의 휘도 정보에 기초한 영상 향상 장치 및 방법
KR102270230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US20100091195A1 (en) De-ringing Device and Method
KR101451136B1 (ko) 비네팅 보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