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428B1 -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428B1
KR100862428B1 KR1020070070307A KR20070070307A KR100862428B1 KR 100862428 B1 KR100862428 B1 KR 100862428B1 KR 1020070070307 A KR1020070070307 A KR 1020070070307A KR 20070070307 A KR20070070307 A KR 20070070307A KR 100862428 B1 KR100862428 B1 KR 100862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pper bolt
bolt
camber angle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 motion involving steering operation, e.g. cornering,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1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2Steering torque

Abstract

본 발명은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주행 중에 캠버각을 순간적으로 조정해주어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하는 차량 쏠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쏠림 방지 장치는, 차량 주행 중 노면 구배에 따른 조타력 발생 정도에 따라, 특히 차량 조타각이 설정각 미만으로 미소하면서도 설정치를 초과하는 과도한 조타력이 발생한 경우, 캠버각 조정이 필요한 차량 쏠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트럿 체결부재와 너클 캐리어를 체결하고 있는 상측 볼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차량의 전륜 캠버각을 자동으로 조정시켜줌으로써, 캠버각이 고정된 종래에 비해 차량 쏠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고, 주행 도로의 다양한 노면 구배 변화에 대해 차량 쏠림 현상을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시켜주게 된다.
현가장치, 스트럿, 캠버, 차량 쏠림

Description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Vehicle inclination preventing system using camber adjustment}
본 발명은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중에 캠버각을 순간적으로 조정해주어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하는 차량 쏠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로서, 전방현가장치는 앞차축의 형식에 따라 차축현가식과 독립현가식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독립현가식의 전방현가장치는 차축을 분할하여 양쪽 바퀴가 서로 관계없이 움직이게 하여 좌우 어느 쪽이든 바퀴에 장애물이 걸리거나 부딪쳐도 그 바퀴만 상하로 운동하게 되어 차체는 기울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종류로 는 위시본형, 리프 스프링을 가로로 설치하여 어퍼암 또는 로어서스펜션암의 작용을 스프링이 겸하도록 한 리프 스프링형, 후방으로 향한 1개 또는 2개의 암에 의해 바퀴를 지지하도록 한 트레일링암형,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스트럿을 이용하는 맥퍼슨형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맥퍼슨 현가장치는 쇽업소버가 내장된 스트럿과 코일 스프링 등을 일체로 결합한 것으로서, 차체에 장착되는 쇽업소버의 장착점이 높아 얼라인먼트(alignment)가 정확히 설정되면서 그의 변화도 적어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광범위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첨부한 도 1은 차량 전방현가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스트럿(10), 너클(20), 로워암(30) 등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스트럿(쇽업소버)(10)는 그의 상단부가 인슐레이터(40)와 결합되어 차체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체결부재(11)를 매개로 너클(20)에 체결된다.
전방현가장치는 조향조작을 위해 조향너클과 함께 킹핀 또는 볼조인트를 중심으로 좌우로 방향을 바꾸도록 되어 있어 캠버(camber), 토우인, 캐스터각 및 킹핀경사각의 4대 요소를 갖추게 된다.
이 중에서 캠버각은 차량의 선회 안정성을 좌우하는 요소로서, 첨부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휠(1)의 중심선과 노면에 대한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말하며, 캠버는 휠 중심선의 위쪽이 차체 외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인 정(+) 캠버와 횔 중심선의 위쪽이 차체 내쪽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인 부(-) 캠버로 구분하게 된다.
종래 차량의 경우 캠버각은 차량 설계 및 양산단계에서 고정되어 이후에는 수정이 불가하다.
한편, 주행 중 차량 쏠림에 있어서 쏠림의 민감도를 해석한 결과에 따르면 '도로구배 > 타이어 > 휠얼라인먼트'의 순으로 그 영향도가 크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노면에 좌우 구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구배에 의해 차량을 옆으로 밀어내는 횡력이 발생하여 차량이 경사면을 따라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국내 지역의 경우에 국도나 고속도로에서의 노면 구배가 일정하지 않으며, 주행하는 차속도 다양하여 동일 차량에서도 쏠림 정도의 차이가 자주 변하게 된다.
또한 유럽에서 프랑스-영국 사이를 차량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한데, 프랑스는 우경사 노면이고, 영국은 좌경사 노면으로, 이와 같이 나라 간 이동시에 쏠림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또한 일본이나 싱가폴, 아일랜드, 호주 등에서는 국내와는 반대로 차량의 운전석이 우측에 있으며, 노면의 구배도 좌경사면을 가짐으로 해서 구배에 따른 차량의 쏠림 방향이 반대이다.
특히, 첨부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본이나 싱가폴, 아일랜드, 호주 등과 같이 중앙선을 우측에 두고 주행하는 도로 구조의 지역(RHD 지역)에서는 도로의 좌우 구배가 클 때 차량 쏠림이 과도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차량 쏠림에 대해 신차 개발시에 우리나라나 미국과 같은 도로 구조에서 중앙선을 좌측에 두고 주행하는 차량(LHD 차량)의 위주로 평가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구배를 가진 도로, 즉 구배로를 주행하는 중 에 발생하는 차량 쏠림을 줄여주는 방법으로 전륜 캠버각을 조정하여 차량 좌우 횡력차로 쏠림을 보완하는 방법이 있으며, 국내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싱가폴 등 좌경사면 국가에서의 쏠림 방지를 위해 전륜 캠버각을 이원화하여 관리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륜 캠버각을 이원화하는 경우에는 차량 출고시 전륜각이 고정되기 때문에 공장에서 LHD, RHD 지역에 따라 휠얼라인먼트를 이원화하여 관리하여야 하고, 전륜 캠버각 조정 작업이 가능하도록 휠얼라인먼트 공정 변경 및 생산 관리가 필요하며, 스트럿 사양의 이원화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지역에 따라 휠얼라인먼트가 이원화되어 양산 중이지만, 차량 출고시 좌구배 혹은 우구배 노면을 대상으로 휠얼라인먼트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노면 구배 정도가 달라지면 차량 쏠림 정도가 달라져서 쏠림에 대한 대응이 불가해진다.
이에 따라 다양한 구배 노면(좌경사 구배 및 우경사 구배)에 대해 차량 쏠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캠버각이 고정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과도한 차량 쏠림 발생 조건을 감지하면 스트럿 체결부재와 너클 캐리어를 체결하고 있는 상측 볼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차량의 전륜 캠버각을 자동으로 조정시켜줌으로써, 캠버각이 고정된 종래에 비해 차량 쏠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고, 주행 도로의 다양한 노면 구배 변화에 대해 차량 쏠림 현상을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시켜주는 차량 쏠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현가장치의 스트럿과 너클의 결합을 위해 스트럿 하단의 체결부재와 너클 일체의 너클 캐리어 간 결합부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브라켓부에 형성되어 상측 볼트가 관통 체결되는 체결홀을 좌우 수평으로 길게 가공된 슬롯홀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상측 볼트가 관통 체결되는 너클 캐리어의 체결홀을 정원 구조로 형성하며,
회전과 동시에 상기 상측 볼트를 상기 슬롯홀 구조의 체결홀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캠수단과;
차량의 조타각을 검출하는 조타각 센서 및 조타력을 검출하는 조타력 센서와;
상기 두 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차량 쏠림 발생 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캠수단을 통해 상기 상측 볼트를 상기 슬롯홀 구조의 체결홀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캠수단을 통해 상기 상측 볼트와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캠수단을 회전시켜주는 동시에 상기 상측 볼트를 상기 슬롯홀 구조의 체결홀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차륜의 캠버각을 조정하는 볼트위치조정수단;
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캠수단은 상기 상측 볼트의 헤드를 측방으로 돌출시켜 노우즈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한 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캠수단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너클에 고정된 가이드를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직선 이동시에 상기 캠수단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측 볼트를 이동시키는 랙과;
회전축의 구동기어 및 이에 치합된 감속기어를 매개로 상기 랙과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할 시에 상기 기어를 매개로 랙 이동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되는 전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조타각 센서와 조타력 센서의 신호로부터 조타각이 설정 각 미만인 상태에서 설정치를 초과하는 조타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 쏠림 발생 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 쏠림 발생 조건 판단시에 상기 상측 볼트가 체결부재의 체결홀에서 조타력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쏠림 방지 장치에 의하면, 차량 조타각이 설정각 미만으로 미소하면서도 설정치를 초과하는 과도한 조타력이 발생한 경우, 캠버각 조정이 필요한 차량 쏠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트럿 체결부재와 너클 캐리어를 체결하고 있는 상측 볼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볼트위치조정수단을 이용해 차량의 전륜 캠버각을 자동으로 조정시켜줌으로써, 캠버각이 고정된 종래에 비해 차량 쏠림 발생을 저감시키고, 주행 도로의 다양한 노면 구배 변화에 대해 차량 쏠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시켜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쏠림 방지 장치는 차량 주행 중에 다양하게 변화하는 노면 구배에 따른 과도한 차량 쏠림 발생 조건을 감지하여 캠버각을 차량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실시간 제어하는 바, 주행하는 도로의 노면 구배에 따라 발생하는 과도한 차량 쏠림에 대해 보다 능동적인 대응을 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에 캠버각을 순간적으로 조정해주어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하는 차량 쏠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주행 중 노면 구배에 따른 조타력 발생 정도에 따라, 특히 차량 조타각이 설정각 미만으로 미소하면서도 설정치를 초과하는 과도한 조타력이 발생한 경우, 캠버각 조정이 필요한 차량 쏠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트럿 체결부재와 너클 캐리어를 체결하고 있는 상측 볼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차량의 전륜 캠버각을 자동으로 조정시켜줌으로써, 캠버각이 고정된 종래에 비해 차량 쏠림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고, 주행 도로의 다양한 노면 구배 변화에 대해 차량 쏠림 현상을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쏠림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쏠림 방지 장치에서 볼트위치조정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쏠림 방지 장치에 의해 캠버각이 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쏠림 방지 장치에서 캠버가 조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는 차량 주행 중에 다양하게 변화하는 노면 구배에 따른 과도한 차량 쏠림 발생 조건을 감지하여 차량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캠버각을 변경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 2에서 우측의 확대도는 스트럿(쇽업소버)(10)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 결합된 원통형의 체결부재(11)와 너클 캐리어(21) 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측으로 스트럿(10) 하단부가 결합된 체결부재(11)의 브라켓부(12) 안쪽에 너클 캐리어(21)가 삽입된 상태에서 위, 아래 두 개의 볼트(13,14) 및 너트(미도시)가 체결됨으로써 체결부재(11)와 너클 캐리어(21)가 일체로 결합되어지며, 이와 같이 상호 체결된 체결부재(11)와 너클 캐리어(21)를 매개로 스트럿(10) 하단부와 너클(20)이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차량 주행 중 전륜 캠버각이 조정될 수 없는 고정식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결합구조에서 하측에 체결된 볼트(14)를 힌지점(고정점)으로 하고 상측에 체결된 볼트(13)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점으로 구성하여, 상기 힌지점 볼트(14)를 중심으로 상기 이동점 볼트(13)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면, 너클 캐리어(21)가 힌지점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바, 너클 캐리어(21), 너클(20), 림, 휠 등이 모두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너클 캐리어(21)의 회전과 동시에 이에 일체로 된 휠(1)이 스트럿(10)의 상하 길이방향에 대해 상대 회전되면서 캠버각이 조정될 수 있다.
이 점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클 캐리어(21)의 체결상태가 스트럿(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조정(도 2에서 우측 확대도의 화살표 참조)되면서 차량 주행 중에 캠버각이 조정될 수 있도록 상측에 체결된 볼트(13)가 체결부재(11)에서 좌우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의 볼트(13)가 관통하 는 체결부재(11)의 체결홀(12a)을 수평의 슬롯홀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볼트(13)가 후술하는 볼트위치조정수단(140)에 의해 슬롯홀 구조의 체결홀(12a)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캠버각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의 체결부재(11)에서 너클 캐리어(21)가 체결되는 브라켓부(12)에 상측의 볼트(13)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홀(12a)을 좌우 수평으로 길게 가공하여 슬롯홀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너클 캐리어(21)에서는 상기 상측의 볼트(13)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홀(21a)을 정원(正員) 구조로 형성한다.
그리고, 하측의 볼트(힌지점 볼트가 됨)는 종래와 같은 구조로 하며, 결국 상기 상측의 볼트(13) 및 그 끝단에 체결된 너트(미도시)가 체결부재(11)와 너클 캐리어(21)를 체결한 상태에서 슬롯홀 구조의 체결홀(12a)을 따라 상측의 볼트(13)가 좌우 이동하는 경우에 정원의 체결홀(21a)에 의해 체결된 너클 캐리어(21)가 힌지점(고정점) 볼트(하측의 볼트, 도 2에서 도면부호 14임)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상기 너클 캐리어(21)가 하측의 볼트를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할 경우에 일체로 된 너클 및 림, 휠 등이 회전되면서 차량의 전륜 캠버각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과 동시에 상기 상측 볼트(13)를 체결부재(11)의 체결홀(12a)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캠수단과 볼트위치조정수단(140)이 구비되는데, 상기 캠수단으로서, 상기 상측 볼트(13)는 헤드(13a)가 측방으로 돌출된 노우즈(nose)(13a-1)를 가지는 캠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하 이러한 상측 볼트의 헤드(13a)를 캠부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 볼트(13)의 캠부(13a)는 노우즈(13a-1) 선단이 랙(14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랙(142)은 너클(미도시)에 브라켓(22)으로 고정된 가이드(141a)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랙(142)은 전동모터(14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하는 부재로서, 상기 랙(142)의 타측에는 감속기어(145)가 치합되고, 이 감속기어(145)에는 전동모터(143)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144)가 치합된다.
상기 전동모터(143)는 브라켓(144)에 의해 너클에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감속기어(145) 역시 너클측의 브라켓(2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결국, 전동모터(143)가 구동하여 회전할 경우에 구동기어(144)와 감속기어(145)가 회전되면서 랙(142)이 도면상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위치조정수단(1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를 포함하며, 이 제어부(130)는 차량에 설치된 조타각 센서(110) 및 조타력 센서(120)의 신호를 토대로 볼트위치조정수단(140)의 전동모터(143)를 구동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타각 센서(110) 및 조타력 센서(120)의 신호를 토대로 조타각이 설정각(예, 5°) 미만으로 거의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설정치(예, 0.2Nm)를 초과하는 과도한 조타력이 걸리는 경우 차량 쏠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전동모터(143)를 구동시키며, 이때 상측 볼트(13)를 체결부재(11)의 체결홀(12a)에서 조타력 방향으로 이동시켜 캠버각이 수정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배 노면에 의한 횡력 발생으로 우측으로 차량 쏠림(우쏠림)(화살표 A 방향)이 발생할 경우에 운전자가 직진 유지를 위해 조타각을 0으로 하면 조타력은 반시계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걸리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30)는 조타각이 설정각 미만이고 조타력이 설정치 초과상태임을 판단하여 좌우측 차륜에서 각각의 전동모터(143)를 구동시켜 차량 쏠림이 방지되도록 캠버를 수정하게 된다.
즉, 좌륜에서는 랙(142)이 하강하도록 전동모터(143)를 구동시키며, 이에 랙(142)에 치합된 상측 볼트(13)의 캠부(13a)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체결부재(11)의 체결홀(12a)에서 상측의 볼트(13)가 조타력 방향(화살표 C 방향), 즉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너클 캐리어(도 2에서 도면부호 21임)가 하측의 힌지점 볼트를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차량의 쏠림이 방지되도록 좌륜의 캠버각이 조정된다.
이와 동시에 우륜에서는 랙(142)이 상방으로 전진하도록 전동모터(143)를 구동시키며, 이에 랙(142)에 치합된 상측 볼트(13)의 캠부(13a)가 도면상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체결부재(11)의 체결홀(12a)에서 상측의 볼트(13)가 조타력 방향(화살표 C 방향), 즉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너클 캐리어(도 2에서 도면부호 21임)가 하측의 힌지점 볼트를 힌지점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차량의 쏠림이 방지되도록 우륜의 캠버각이 조정된다.
구배 노면에 의한 횡력 발생으로 차량 쏠림이 발생하려고 할 때 쏠림 방지를 위한 캠버 변화상태가 도 6에 표시되어 있는 바, 조타력이 반시계방향으로 걸리면서 차량의 우쏠림이 발생하려 할 때의 예가 표시되어 있다.
만약, 차량의 좌쏠림이 발생하려 할 때 랙 이동방향 및 각 기어 회전방향, 캠부의 회전방향은 반대가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우쏠림이 발생하려 할 때에는 체결부재(11)의 체결홀(12a)에서 상측 볼트(13)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반대로 차량의 좌쏠림이 발생하려 할 때에는 상측 볼트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전동모터(143)를 구동시킨다.
결국, 전동모터(143) 구동 → 랙(142) 이동 → 상측 볼트(13) 회전 및 이동 → 캠버각 수정 → 차량 쏠림 저감의 상태가 되며, 스트럿(10)의 체결부재(11)에서 상측 볼트(13)의 이동과 동시에 너클 캐리어(21)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조정되면서 캠버각이 수정되어진다.
만약, 전동모터(143)가 구동되고 난 뒤 조타력 센서(120)의 신호로부터 조타력이 설정치 이하가 됨을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부(130)가 전동모터(143)의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직진상태에서의 조타력 상한치를 설정하여, 조타각과 조타력으로부터 차량의 쏠림 정도를 판단하되, 조타각이 미소한데도 조타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과도하게 걸리게 되면 캠버각 조정이 필요한 차량 쏠림 상태로 판단하고, 이러한 조건에서 제어부(130)가 전동모터(143)를 구동시켜 구동기어(144) 및 감속기어(145), 랙(142)을 통해 스트럿(10)의 체결부재(11)와 너클 캐 리어(21) 사이에 체결되어 있는 상측 볼트(13)를 회전 및 이동시켜 차량의 전륜 캠버각을 차량 쏠림이 완화되는 방향으로 조정시켜줌으로써, 주행 중 노면 구배에 따른 차량 쏠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방지시켜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차량 전방현가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차량에서 캠버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쏠림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쏠림 방지 장치에서 볼트위치조정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쏠림 방지 장치에 의해 캠버각이 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쏠림 방지 장치에서 캠버 조정 과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트럿 11 : 체결부재
12a : 체결홀 13 : 상측 볼트
13a : 캠부 13a-1 : 노우즈
20 : 너클 21 : 너클 캐리어
110 : 조타각 센서 120 : 조타력 센서
130 : 제어부 140 : 볼트위치조정수단
141 : 가이드 142 : 랙
143 : 전동모터 144 : 구동기어
145 : 감속기어

Claims (5)

  1. 차량 현가장치의 스트럿과 너클의 결합을 위해 스트럿 하단의 체결부재와 너클 일체의 너클 캐리어 간 결합부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브라켓부에 형성되어 상측 볼트가 관통 체결되는 체결홀을 좌우 수평으로 길게 가공된 슬롯홀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상측 볼트가 관통 체결되는 너클 캐리어의 체결홀을 정원 구조로 형성하며,
    회전과 동시에 상기 상측 볼트를 상기 슬롯홀 구조의 체결홀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캠수단과;
    차량의 조타각을 검출하는 조타각 센서 및 조타력을 검출하는 조타력 센서와;
    상기 두 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차량 쏠림 발생 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캠수단을 통해 상기 상측 볼트를 상기 슬롯홀 구조의 체결홀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캠수단을 통해 상기 상측 볼트와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캠수단을 회전시켜주는 동시에 상기 상측 볼트를 상기 슬롯홀 구조의 체결홀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차륜의 캠버각을 조정하는 볼트위치조정수단;
    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은 상기 상측 볼트의 헤드를 측방으로 돌출시켜 노우즈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한 볼트 일체형의 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캠수단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너클에 고정된 가이드를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직선 이동시에 상기 캠수단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측 볼트를 이동시키는 랙과;
    회전축의 구동기어 및 이에 치합된 감속기어를 매개로 상기 랙과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할 시에 상기 기어를 매개로 랙 이동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되는 전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타각 센서와 조타력 센서의 신호로부터 조타각이 설정각 미만인 상태에서 설정치를 초과하는 조타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 쏠림 발생 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량 쏠림 발생 조건 판단시에 상기 상측 볼트가 체결부재의 체결홀에서 조타력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방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
KR1020070070307A 2007-07-12 2007-07-12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 KR10086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307A KR100862428B1 (ko) 2007-07-12 2007-07-12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307A KR100862428B1 (ko) 2007-07-12 2007-07-12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428B1 true KR100862428B1 (ko) 2008-10-08

Family

ID=4015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307A KR100862428B1 (ko) 2007-07-12 2007-07-12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4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3601A (ja) * 2003-09-16 2005-04-07 Stanley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装置
JP2007000986A (ja) * 2005-06-24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イクロ構造体
JP2007051486A (ja) * 2005-08-19 2007-03-01 Railway Technical Res Inst 矢板併用型直接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3601A (ja) * 2003-09-16 2005-04-07 Stanley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装置
JP2007000986A (ja) * 2005-06-24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イクロ構造体
JP2007051486A (ja) * 2005-08-19 2007-03-01 Railway Technical Res Inst 矢板併用型直接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998-61142호
공개특허공보 제2005-93601호
공개특허공보 제2007-51486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9193B2 (en) Vehicle, and method for steering control of same
US6279920B1 (en) Variable camber suspension system
EP3218211B1 (en) Wheel suspension with centrally pivoted transverse leaf spring
US10675937B2 (en) Spring force acting axis controllable active suspension system
JP2003521411A (ja) マクファーソンサスペンションを備えた車両のサイドプルを補償する方法
US10899383B2 (en) Control unit that adjusts a tilt angle of a tilting vehicle
KR100862428B1 (ko) 캠버각 조정을 통한 구배로에서의 차량 쏠림 방지 장치
US11279430B1 (en) Three-wheel motor vehicle and control system
JP4868133B2 (ja) トウ角・キャンバー角可変装置
KR100748762B1 (ko) 자동차용 로워 암과 스티어링 너클간의 볼 조인트 구조
JP2005506922A (ja) 車両のホイール・アッセンブリを懸架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4140869A1 (en) Three-wheel motor vehicle and control system
KR100394631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WO2018015942A1 (en) Vehicle wheel knuckle configuration
KR20060057316A (ko) 자동차의 액티브 롤 컨트롤 시스템
CN112020447B (zh) 用于机动车的车轮悬架设备以及相应的机动车
KR102417364B1 (ko) 차량의 스트럿형 현가장치
KR100774721B1 (ko) 자동차용 토우특성 가변장치
KR20070102133A (ko) 차량용 위시본식 현가장치
KR100610096B1 (ko) 자동차 후륜의 토 조정장치
KR100559552B1 (ko) 차량 전륜의 캐스터각 조정 기구
JP2580851B2 (ja) 車両用キャスタ角制御装置
KR910007985Y1 (ko) 토우 콘트롤(Toe Control)에 의한 리어(Rear)서스펜션 메카니즘
KR100589182B1 (ko) 더블 위시본 현가 장치의 캐스터 조정 기구
KR19990023379U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