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326B1 -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326B1
KR100862326B1 KR1020070012519A KR20070012519A KR100862326B1 KR 100862326 B1 KR100862326 B1 KR 100862326B1 KR 1020070012519 A KR1020070012519 A KR 1020070012519A KR 20070012519 A KR20070012519 A KR 20070012519A KR 100862326 B1 KR100862326 B1 KR 100862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passage
frequency
sorting
co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2836A (ko
Inventor
정용덕
Original Assignee
정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덕 filed Critical 정용덕
Priority to KR1020070012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326B1/ko
Publication of KR2007002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836A/ko
Priority to PCT/KR2008/000686 priority patent/WO200809700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4Apparatus driven under control of coin-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4Testing the weigh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8Testing the magnetic or electric proper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5/00Coin tes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질, 직경 및 두께가 유사한 주화의 선별이 가능하고, 환경변화에 따라 주화를 선별하며, 설정정보를 자유롭게, 원격으로 변경이 가능하여 각종 주화나 새로 발행된 주화도 선별할 수 있는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에 있어서, 이동통로 상에 소정 주기의 제1 주파수를 발진시키고, 주화의 통과에 따라 주화의 재질에 의해 변화되는 제1 주파수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재질검출센서와; 이동통로 상에 제1 주파수와 다른 주기의 제2 주파수를 발진시키며, 주화의 직경에 의해 변화되는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직경검출센서와; 제1 및 제2 주파수 변화량의 검출주기 및 검출시간이 설정되며, 재질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1 주파수의 변화시작점과 직경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2 주파수의 변화끝점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여 주화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통과시간데이터를 검출하는 타이머; 및 제1 및 제2 주파수 변화량과 통과시간데이터를 기저장된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와 주화의 가치 및 투입된 주화의 개수를 판단하고, 주화가 정상일 경우 주화의 가치와 개수에 따라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주화, 주화선별장치, 주화수납장치, 발진기, 주파수, 온도, 습도, 통신채널

Description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APPARATUS FOR SORTING AND STORING ACCUMULATION OF COIN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개방한 상태에서 후면부의 정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중 검출부와 주화대기부 및 주화출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경사부에 의해 이동통로가 경사를 갖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구조도이다.
삭제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개방한 상태에서 후면부의 정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이용하여 불량 주화가 반환되는 동작을 나타낸 주화반환 동작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이용하여 정상 주화가 수납되는 동작을 나타낸 주화수납 동작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에 투입된 정상 주화가 수납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주화투입구 12: 주화투입감지센서
20: 이동통로 20a: 제1 통로
20b: 제2 통로 22: 주화유동방지구
30: 경사부 100: 본체
110: 전면부 120: 후면부
200: 검출부 210: 재질검출센서
220: 직경검출센서 230: 타이머
240: 투입구개폐센서 300: 주화대기부
310: 몸체
320: 축 330: 주화대기판
340: 흡착부재 400: 주화출납부
410: 수납통로 420: 반환통로
500: 계수기 600: 주화방향결정부
700: 온도측정부 800: 습도측정부
900: 제어부 910: 유무선 통신채널
T1~T6: 외부통신장치 A: 서비스제공장치
C, C2: 주화
본 발명은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질과 직경 및 두께가 유사한 주화를 선별할 수 있고, 장소의 환경변화, 즉 온도나 습도 등의 변화에 따라 주화를 선별함으로써 선별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설정정보를 자유롭게, 원격으로 변경이 가능하므로 여러 국가에서 발행되는 각종 주화나 새로 발행된 주화도 쉽게 선별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화의 투입에 따라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판단하여 주화가 정상일 경우 투입된 정상 주화의 가치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 즉 공중전화기나 자동판매기, 동전교환기, 게임기 등에는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선별할 수 있도록 주화선별장치와 주화수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주화선별장치는 기계적인 방법으로서 주화를 이동통로를 통과시켜 주화 중량의 균형 및 통로의 크기로 주화의 직경 및 두께를 선별하였으나, 정상적인 주화와 직경 및 두께만 같은 금속 원판이면 이를 구별할 수 없어서 주화선별장치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주화선별장치가 개발되었는데, 대한민국 특허 제145104호 "주화선별장치 및 그 방법"에서는 단일칩 마이콤에 내장된 프로그래머블 스케일러와 프로그램 기법으로 주화의 재질과 직경 및 두께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시간데이타로 변환하여 검출한 데이타를 미리 저장시켜 놓은 기준데이타와 비교하여 주화를 선별함으로써 선별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화선별장치 및 그 방법"은 재질과 직경 및 두께가 유사한 주화가 투입되었을 경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나 주화의 가치를 제대로 선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화선별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변화에 대처하지 못하여 선별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질과 직경 및 두께가 유사한 주화가 투입되더라도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나 주화의 가치를 선별할 수 있는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변화, 즉 온도나 습도 등의 변화에 따라 이를 보정하여 주화를 선별함으로써 선별률을 높일 수 있는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설정정보를 자유롭게 변 경할 수 있으므로 여러 국가에서 발행되는 각종 주화나 새로 발행된 주화도 쉽게 선별할 수 있는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급히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내부의 설정정보를 변경해야 하거나, 다수의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설정정보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간편하게 원거리에서 설정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구성부품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화의 선별뿐만 아니라 주화의 수납, 집금을 모두 처리할 수 있는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전화기나 자판기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장치에 장착되며, 본체에 형성된 주화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주화가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을 판정하여 수납 또는 반환하는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 상에 소정 주기의 제1 주파수를 발진시키고, 상기 주화의 통과에 따라 상기 주화의 재질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제1 주파수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재질검출센서와; 상기 이동통로 상에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주기의 제2 주파수를 발진시키며, 상기 주화의 직경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직경검출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변화량의 검출주기 및 검출시간이 설정되며, 상기 재질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1 주파수의 변화시작점과 상기 직경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주파수의 변화끝점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주화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통과시간데이터를 검출하는 타이머; 및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변화량과 상기 통과시간데이터를 기저장된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와 상기 주화의 가치 및 투입된 상기 주화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주화가 정상일 경우 상기 주화의 가치와 개수에 따라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온도측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의 각종 온도에 따른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현재 온도에 해당하는 보정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주파수의 변화량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을 상기 현재 온도에 해당하는 보정데이터를 적용하여 연산하며, 연산된 결과를 상기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습도측정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의 각종 온도 및 습도에 따른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측정부 및 습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현재 온도 및 습도에 해당하는 보정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주파수의 변화량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을 상기 현재 온도 및 습도에 해당하는 보정데이터를 적용하여 연산하며, 연산된 결과를 상기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정보는, 각종 주화의 재질, 직경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이 미리 측정되어 있는 기준 주파수변화량데이터와, 각종 주화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기준 통과시간데이터,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의 각종 온도, 습도에 따른 보정데이터 및 각종 주화의 가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로의 말단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 판정에 따라 출몰되어 상기 주화를 상기 이동통로로부터 분기된 수납통로 또는 반환통로로 이동되도록 하는 주화출납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로와 상기 수납통로가 접하는 위치에는, 상기 수납통로로 이동되는 상기 주화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계수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로의 한쪽 내벽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주화유동방지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경사부가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서비스제공장치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본체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주화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주화가 상기 주화유동방지구에 접하여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로의 한쪽 내벽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주화유동방지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주화가 상기 주화유동방지구에 접하여 이동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질 또는 직경검출센서와 상기 주화출납부 사이의 상기 이동통로 상에는,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여부에 따라 출몰되어 상기 주화가 정상일 경우 설 정된 서비스요금에 이르기까지 상기 주화를 상기 이동통로 상에 대기시키고, 상기 주화가 불량일 경우 상기 주화출납부와 함께 동작되어 상기 주화를 상기 반환통로로 이동시키는 주화대기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질 또는 직경검출센서와 상기 주화출납부 사이의 상기 이동통로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보다 통로의 폭이 좁은 제2 통로로 분기되고,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이동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주화의 가치에 따라 출몰되어 상기 주화를 상기 제1 통로 또는 제2 통로로 이동되도록 하는 주화방향결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 상에는,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여부에 따라 출몰되어 상기 주화가 정상일 경우 설정된 서비스요금에 이르기까지 상기 주화를 상기 이동통로 상에 대기시키고, 상기 주화가 불량일 경우 상기 주화출납부와 함께 동작되어 상기 주화를 상기 반환통로로 이동시키는 주화대기부가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휴대폰, 피디에이(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노트북 등의 컴퓨터와 같은 별도의 외부통신장치와 연결 가능한 유무선 통신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유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통신장치로부터 설정정보를 자유롭게 전송받아 상기 제어부에 저장 및 삭제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내부정보를 상기 외부통신장치에 전송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정보는, 상기 서비스제공장치에 수납된 총 주화의 개수정보와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정보, 상기 습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습도정보,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어 사용되고 있는 설정정보, 상기 서비스제공장치 또는 상기 주 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에러 유무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화투입구 또는 상기 주화투입구의 내측에는 상기 주화의 투입을 감지하는 주화투입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주화투입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주화의 투입이 감지되면, 슬립(Sleep) 상태에 있던 상기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웨이크 업(Wake-up)되어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선별하고 상기 주화를 수납 또는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센서, 특히 재질검출센서와 직경검출센서는 내부에 발진코일이 감겨있는 센서가 사용되나 코일을 사용하지 않는 센서, 예를 들어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등과 같은 센서를 사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해 주화의 재질이나 직경 등을 검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3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개방한 상태에서 후면부의 정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중 검출부와 주화대기부 및 주화출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경사부에 의해 이동통로가 경사를 갖는 것을 나타낸 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본체(100)는 한쪽에 힌지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는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로 구성되며, 주화투입구(10)와 이동통로(20), 검출부(200), 주화대기부(300), 주화출납부(400) 및 제어부(900)를 갖는다.
주화투입구(10)는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가 장착된 서비스제공장치(도 5의 A), 즉 공중전화기나 자동판매기, 동전교환기, 게임기 등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주화(C)를 투입하는 곳으로서, 하기에 서술하는 이동통로(20)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는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주화(C)가 투입되기 전에는 슬립(Sleep)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주화(C)가 투입되면 웨이크 업(Wake-up)되어 주화(C)를 선별하고 수납 또는 반환하게 되며, 이를 위해 주화(C)의 투입을 감지할 수 있도록 주화투입구(10)의 내측, 즉 이동통로(20) 상에 주화투입감지센서(12)가 설치된다.
이때, 본체(100) 내에 투입된 주화(C)가 일정 개수 이상 투입되어 더 이상 투입되지 못하는 경우나,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가 고장나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등을 위해 일부가 주화투입구(10) 상에 출몰되어 주화투입구(10)를 개폐하는 투입구개폐센서(24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통로(20)는 전술한 주화투입구(10)를 통해 투입된 주화(C)가 이동되는 통로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로(20)의 한쪽 내벽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한 쌍의 주화유동방지구(22)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의 후면부(120) 외면에는 소정 각도의 경 사를 갖는 경사부(30)가 배치되어, 본체(100)를 서비스제공장치(도 5의 A)에 설치하는 경우 경사부(30)에 의해 본체(100)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주화투입구(10)를 통해 투입된 주화(C)가 주화유동방지구(22)에 접하여 이동되게 된다. 종래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화(C)가 이동하면서 이동통로(20) 상에서 유동되어 실질적인 주파수 변화량을 측정하기 어려웠으며, 이에 주화(C)의 유동의 방지 및 정확한 주파수 변화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주화(C)의 재질, 직경 등을 검출하는 센서를 각각 본체(100)의 전면부(110)와 후면부(120)에 각각 하나씩, 즉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주화(C)가 주화유동방지구(22)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센서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주화유동방지구(22)에 의해 주화(C)가 이동통로(20)와 닿는 면적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주화(C)에 물 등이 묻어있을 경우에도 주화(C)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사부(30)를 두어 이동통로(20)가 경사지게 하는 것과는 달리 이동통로(20) 자체를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주화(C)가 주화유동방지구(22)에 접하여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부(200)는 본체(100)의 외면, 특히 후면부(120)의 전술한 경사부(30) 사이에 배치되는데, 본체(100) 내부의 이동통로(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주화투입구(10)를 통해 투입되어 이동통로(20)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C)의 물리적인 특성을 검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주화(C)의 물리적인 특성 중에서도 재질을 검출하는 재질검출센서(210)와 직경을 검출하는 직경검출센서(220) 그리고 주화(C)의 무게를 검출하기 위한 타이머(230)로 구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센서를 한 쌍으로 구성할 필요없이 각각 하나씩 나란하게 배치된다. 특히, 타이머(230)는 하기에 서술하는 제어부(90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5에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며, 도 6과 같은 구조도에서는 나타나게 된다.
재질검출센서(210)는 전술한 이동통로(20) 상에 소정 주기의 제1 주파수를 발진시키고, 이동통로(20)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C)가 통과함에 따라 주화(C)의 재질에 의해 변화되는 제1 주파수의 변화량을 검출하게 된다.
직경검출센서(220)는 재질검출센서(2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 주파수와 다른 주기의 제2 주파수를 발진시키며, 주화(C)의 직경에 의해 변화되는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을 검출하게 되는데, 다양한 직경을 검출할 수 있도록 재질검출센서(210)가 위치한 높이보다 더 높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전술한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는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제작시 발진기(미도시)에서 발진되는 주파수의 주기를 서로 다르게 설정된 상태로 제작되나, 설정되어 있는 제1 주파수나 제2 주파수의 주기가 서비스제공장치(도 5의 A)가 설치된 장소의 주위환경,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주기나 제2 주파수 주기와 동일한 주기의 별도의 발진기(미도시)가 존재하는 장소에 설치된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서비스제공장치(도 5의 A) 운영자가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머(230)는 직경검출센서(220)와 재질검출센서(210)의 검출시간 또는 검출주기가 설정되며, 재질검출센서(210)에 의해 검출된 제1 주파수의 변화시작점과 직경검출센서(220)에 의해 검출된 제2 주파수의 변화끝점 사이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주화(C)의 무게에 따라 직경검출센서(220)로부터 재질검출센서(210)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통과시간데이터를 검출하게 된다.
한편, 이동통로(20) 상에는 검출부(200) 다음에 본체(100)의 후면부(120)의 외면에 주화대기부(300)가 설치된다. 주화대기부(300)는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여부에 따라 이동통로(20) 상에 출몰, 즉 개폐되어 주화(C)가 정상일 경우 설정된 서비스요금에 이르기까지 주화(C)를 이동통로(20) 상에 대기시키고, 주화(C)가 불량일 경우 하기에 서술하는 주화출납부(400)와 함께 동작되어 주화(C)를 반환통로(420)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주화대기부(300)는, 바아 형상의 몸체(310)와, 몸체(310)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축(320), 몸체(310)의 한쪽에 형성되고 주화(C)가 정상일 경우 축(320)을 중심으로 이동통로(20) 상에 돌출되도록 동작되어 주화(C)를 대기시키는 주화대기판(330) 및 몸체(310)의 다른 쪽에 마련되고, 축(320)을 중심으로 주화대기판(330)과 교대로 이동통로(20)상에 돌출되도록 동작되는 흡착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이동통로(20)와 수납통로(410)가 접하는 위치, 특히 본체(100)의 후면부(120)의 배면에는, 수납통로(410)로 이동되는 주화(C)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계수기(5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계수기(500)는 통상의 감지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전술한 검출부(200)의 재질검출센서(210)나 직경검출센서(220)와 같이 이동통로(20) 상에 일정 주기의 주파수를 발진시키는 발진기(미도시)가 내부에 마련되어 주화(C)의 통과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되면 주화(C)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센 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화출납부(400)는 주화(C)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에 따라 이동통로(20)의 말단 상에 출몰, 즉 개폐되어 주화(C)를 이동통로(20)로부터 분기된 수납통로(410) 또는 반환통로(420)로 이동되도록 한다.
제어부(900)는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특히 검출부(200)의 재질검출센서(210)와 직경검출센서(220)에서 검출된 제1 및 제2 주파수 변화량과, 타이머(230)에 의해 측정된 통과시간데이터를 기저장된 설정정보, 즉 각종 주화(C)의 재질, 직경에 따라 변화되는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이 미리 측정되어 있는 기준 주파수변화량데이터와 각종 주화(C)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기준 통과시간데이터 및 각종 주화(C)의 가치 데이터와 비교하여 주화(C)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 및 주화(C)의 가치를 판단하고, 주화(C)가 정상일 경우 주화(C)의 가치와 개수에 따라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에는 유선이나 무선 모두 사용 가능한 유무선 통신채널(910), 예를 들어 RS-232와 같은 통신채널이 형성되어 별도의 외부통신장치(T1~T6), 예를 들어 휴대폰이나 피디에이(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노트북 등과 같은 컴퓨터가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선별하고자 하는 주화(C)가 세계 각국 중 어느 나라의 주화이든지, 새로 발행된 주화(C)이든지 간에 선별하고자 하는 주화(C)에 따라 그 주화(C)의 설정정보를 제어부(900)에 자유롭게 저장 및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설정정보 를 변경하기 위하여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분리하여 제조공장 등에 가져갈 필요없이 운영자가 서비스제공장치(도 5의 A)가 설치된 장소에서 직접 재설정하거나 인터넷이나 휴대폰, PDA 등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설정정보를 재설정하여 간단하게 주화(C)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기능은 새로운 주화(C)의 발행과 같이 급히 설정정보를 수정 또는 추가해야 하거나 다수의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설정정보를 변경해야 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제어부(900)에 저장된 내부정보,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장치(도 5의 A)에 수납된 총 주화(C)의 개수정보나 하기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온도측정부(700)에 의해 측정된 온도정보, 습도측정부(800)에 의해 측정된 습도정보, 제어부(900)에 저장되어 사용되고 있는 설정정보, 서비스제공장치(도 5의 A) 또는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에러 유무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외부통신장치(T1~T6)에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나, 본체(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어부(900)와 연결되는 온도측정부(700)가 더 설치된다.
발진기(미도시) 내부의 발진코일(미도시)은 주위 온도의 변화에 따라 내부 인덕턴스값이 변화되고, 이는 발진기(미도시)에서 발진되는 주파수를 변화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발진 주파수를 보상할 수 있도록 제어부(900)의 설정정보에 재질검출센서(210)와 직경검출 센서(220)에서 검출되는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각종 온도에 따른 보정데이터가 포함된다. 따라서, 주화 투입에 따라 검출된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의 변화량에 현재 온도에 따른 보정데이터를 적용하여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를 설정정보에 기저장되어 있는 기준 주파수변화량데이터와 기준 통과시간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주화선별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구조도로서, 도 7에서 포함된 온도 보상을 하기 위한 장치 외에 습도에 따른 보상을 하기 위한 장치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본체(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어부(900)와 연결되는 습도측정부(800)가 더 배치되며, 제어부(900)는 설정정보에 포함된 제1 및 제2 주파수의 각종 온도 및 습도에 따른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온도측정부(700) 및 습도측정부(800)에 의해 측정된 현재 온도 및 습도에 해당하는 보정데이터를 추출하고, 제1 주파수의 변화량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을 현재 온도 및 습도에 해당하는 보정데이터를 적용하여 연산하며, 연산된 결과를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여부를 판정하여 주화선별률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개방한 상태에서 후면부의 정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되나, 직경검출센서(220:도 3 및 도 4 참조)와 주화출납부(400) 사이의 이동통로(20)가 제1 통로(20a)와 제2 통로(20b)로 분기되고, 제1 통로(20a)와 제2 통로(20b) 사이에는 주화방향결정부(600)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화(C)가 제1 통로(20a)로 이동되도록 할 것인지, 제2 통로(20b)로 이동되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제2 통로(20b)는 제1 통로(20a)보다 통로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이동통로(20)가 제1 통로(20a) 및 제2 통로(20b)로 분기되고, 제2 통로(20b)의 통로 폭이 좁게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이동통로(20)에 두께가 두꺼운 주화(도 13의 C2)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투입된 모든 주화(C)의 가치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세계 여러 나라의 주화 중 인도의 주화를 예로 들어보면, 인도에서 통용되고 있는 주화 중 1루피 또는 2루피 주화와 5루피 주화는 그 두께(거의 약 2배)에서 크게 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인도에서 사용할 경우 1루피나 2루피 주화의 두께에 맞도록 이동통로(20)의 폭을 형성할 경우 5루피 주화의 투입이 어렵고, 투입되더라도 이동통로(20)에서 걸릴 우려가 크다. 반대로, 5루피 주화의 두께에 맞도록 이동통로(20)의 폭을 형성하게 되면 다수의 1루피 또는 2루피 주화를 투입했을 경우 이동통로(20) 내에서 1루피 또는 2루피 주화들이 서로 겹치게 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투입된 주화의 가치, 즉 1 또는 2루피의 가치를 갖는 주화와 5루피의 가치를 갖는 주화의 두께가 다른 것을 이용하여, 제어부(900)에서 판단된 주화의 가치가 1 또는 2루피(도 13의 C)일 경우 주화방향결정부(600)가 돌출, 즉 폐쇄되어 주화(도 13의 C)가 폭(본체(100)의 전면부(110)와 후면부(120) 사이의 거리)이 좁은 제2 통로(20b)를 통해 이동하도록 하고, 5루피(도 13의 C2)일 경우 주화방향결정부(600)가 함몰, 즉 개방되어 폭(본체(100)의 전면부(110)와 후면부(120) 사이의 거리)이 넓은 제1 통로(20a)를 통해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결국, 이동통로(20)의 전체적인 폭에 비해 제2 통로(20b)의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또 다르게 구성되는 점이 주화투입구(10)의 위치와 검출부, 즉 재질 및 직경검출센서의 위치, 그리고 이동통로(20) 상단의 형상이다. 우선, 제1 실시예의 구조에 제1 통로(20a) 및 제2 통로(20b)가 형성될 경우 주화(C)의 재질, 직경, 무게, 가치가 검출되기 전에 주화(C)가 제1 통로(20a)를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제4 실시예에서는 검출부의 위치를 상측으로 옮겨 주화(C)의 특성을 검출한 후 주화방향결정부(600)에 의해 제1 통로(20a) 또는 제2 통로(20b)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의 이동통로(20) 상단 형상으로는 주화투입구(10)와 재질 및 직경검출센서가 너무 가까워 투입된 주화(C)의 정확한 특성을 검출하기가 어려우므로 주화투입구(10)의 위치를 제1 실시예보다 본체(100) 측면쪽으로 이동시키고, 이동통로(20)의 형상 또한 더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재질 및 직경검출센서로 하여금 정확한 주화(C)의 특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이동통로(20) 상에 주화대기부(300)가 마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1 통로(20a) 및 제2 통로(20b) 각각에 주화대기부의 주화대기판(330)과 흡착부재(340)가 설치되어 주화(C)가 정상일 경우 설정된 서비스요금에 이르기까지 주화(C)를 이동통로(20) 상에 대기시키고, 주화(C)가 불량일 경우 주화출납부(400)와 함께 동작되어 주화(C)를 반환통로(420)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제2 통로(20b)에 설치되는 주화대기부는 제1 통로(20a)를 통해 이동되는 주화(C2)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1 통로(20a)의 말단부 앞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인도의 주화 중 1루피, 2루피 및 5루피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인도의 또 다른 주화들이나 다른 나라의 주화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우리나라와 같이 주화 종류별로 서로 두께가 크게 차이 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통로(20a)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주화방향결정부(600)를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고, 제2 통로(20b)에 배치된 주화대기부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은 위치로 변경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주화대기부의 주화대기판(330)과 흡착부재(340)가 돌출될 수 있는 통공을 제1 실시예와 같은 위치에도 형성하고 제4 실시예와 같이 제1 통로(20a)의 말단부 앞에도 형성하여 사용환경에 따라 주화대기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에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동작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일정 주기를 갖는 주파수를 발진시켜 주화의 재질이나 직경 등을 검출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이용하여 불량 주화가 반환되는 동작을 나타낸 주화반환 동작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를 이용하여 정상 주화가 수납되는 동작을 나타낸 주화수납 동작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서비스제공장치(도 5의 A), 즉 공중전화기나 자동판매기, 동전교환기, 게임기 등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주화투입구(10)를 통해 주화(C)를 투입하게 된다.
전력 절감을 위해 슬립(Sleep) 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는 주화투입감지센서(12)에 의해 주화(C)의 투입이 감지되면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검출부(200)를 비롯한 주화(C)를 선별하고 수납 또는 반환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웨이크업(Wake-up)되어 동작을 시작하며, 이동통로(20)에 안착된 주화(C)는 서비스제공장치(도 5의 A)에 경사지게 장착된 본체(100)의 경사에 의해 주화유동방지구(22)에 접하여 본체(100)의 내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주화유동방지구(22)에 접한 상태로 이동하던 주화(C)는 제일 먼저 이동통로(20) 상에 제1 주파수를 발진시키고 있는 재질검출센서(210)를 통과하게 되며, 재질검출센서(210)는 주화(C)가 통과함과 동시에 직경검출센서(220)에서 직경을 검출할 수 있도록 제1 주파수의 발진을 중지하게 되고, 직경검출센서(220)에서는 제2 주파수를 발진시켜 투입된 주화(C)의 직경을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화(C)가 통과함에 따라 발진기(미도시) 내부의 발진코일(미도시)의 인덕턴스값에 변화가 생기게 되어 재질검출센서(210)와 직경검출센서(220)에 서 발진되고 있는 제1 주파수, 제2 주파수에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제1 주파수,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을 제어부(900)에서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도록 하나의 파형정형회로(Schmitter Buffer)를 거쳐 비교적 깨끗한 파형으로 필터링하게 되며, 제어부(900)의 ATIC(Auto Reload Timer Input Capture) 단자로 입력시켜 내부의 레지스터(Input Capture Register)에 측정, 즉 카운트되도록 하여 일정시간 동안 캡쳐(Capture)된 제1 및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을 제어부(900)에 저장시킨다. 또한, 타이머(230)는 재질검출센서(210)에 의해 검출된 제1 주파수의 변화시작점과 직경검출센서(220)에 의해 검출된 제2 주파수의 변화끝점 사이의 시간을 측정, 즉 카운트함으로써 주화(C)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통과시간데이터를 검출하게 된다.
즉, 주화가 재질검출센서(210)를 통과함에 따라 주화(C)의 재질에 따른 주파수 변화량에 대한 카운트와 주화(C)의 무게에 따른 통과시간 카운트가 동시에 시작되고, 주화(C)가 재질검출센서(210)를 완전히 통과하면 재질에 대한 주파수 변화량이 저장되면서 재질에 따른 카운트가 정지되고 무게에 따른 카운트는 계속 동작되며, 주화가 직경검출센서(220)를 통과하면서 직경에 따른 주파수 변화량에 대한 카운트가 동작된 후 주화(C)가 직경검출센서(220)를 완전히 통과하면 직경에 따른 카운트와 무게에 따른 카운트가 정지되면서 직경에 대한 주파수 변화량과 무게에 따른 통과시간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주파수는 “F=1/T(F는 주파수, T는 시간)”로 구해질 수 있으므로 주화의 무게에 따른 통과시간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화(C)의 무게에 따른 주파수를 산출해낼 수 있다.
한편, 본체(100) 내에 위치한 온도측정부(700)에 의해 측정된 현재 온도에 따라 제어부에서는 설정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온도데이터와 주파수 변화량의 상관관계에 다른 테이블 데이터, 즉 제1 및 제2 주파수의 각종 온도에 따른 보정데이터를 추출한다.
이후, 추출된 온도보정데이터를 제어부(900)에 저장되어 있는 주화의 재질에 따른 주파수 변화량, 즉 제1 주파수 변화량과 주화의 직경에 따른 주파수 변화량, 즉 제2 주파수 변화량 각각의 상한값과 하한값에 더한 후 일반적으로 알려진 표준주파수 산출공식(F= 1/2π√(L*C))을 이용하여 연산한다.
표 1은 본 발명자가 직접 실험한 결과치를 정리한 것으로,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발진코일(미도시)의 인덕턴스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샘플링하기 위한 기본 발진주파수의 저항값(R)은 10K, 발진기(미도시)의 캐패시턴스(C)는 680PF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시료 #1~#10은 각각의 발진코일 10개의 서로 다른 시료를 가지고 실험한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07011349874-pat00001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종 온도(-20~75℃)에 따라 발진코일의 인덕턴스값이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온도보정데이터는 이와 같은 실험결과치를 토대로 구성되며, 이렇게 얻은 온도보정데이터를 제1 및 제2 주파수 변화량 각각의 상한값과 하한값에 더한 후 표준주파수 산출공식(F= 1/2π√(L*C))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최종적인 제1 주파수 변화량과 제2 주파수 변화량을 얻게 되면, 이를 제어부(900)에 기저장되어 있는 설정정보 중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의 기준 주파수변화량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1차적으로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재질과 직경만 가지고 판정이 불가할 경우에는 주화(C)의 무게에 따른 통과시간데이터를 제어부(900)의 설정정보에 포함된 각종 주화(C)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기준 통과시간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2차로 주화(C)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준 통과시간데이터는 표 1의 각종 온도에 따른 실험치를 이용하여 온도보정데이터를 얻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종 주화(C)의 무게에 따라 실험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언급된 습도측정부(800)와 이를 통해 측정된 습도를 이용한 보정데이터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한편, 판정에 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주화(C)는 도 11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통로(20)를 따라 이동하다가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반환통로(420)의 상부에 위치한 주화출납부(400)가 함몰되도록, 즉 열리도록 동작됨으로써 반환통로(420)로 이동되며, 결국 반환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정상으로 판정된 주화(C)는 제어부(900)에서 설정정보의 각종 주화(C)의 가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액면가를 판단하고, 판단된 액면가를 표시부(미도시)에 나타내게 되며 도 12의 (b)와 같이 주화대기부(300)의 주화대기판(330)이 이동통로(20) 상에 돌출되도록 제어하여 정상 주화(C)가 이동통로(20) 상에 대기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제공장치(도 5의 A)에서 제공되는 단위서비스의 종류는 하나 일 수도 있고, 다수 개일 수도 있으며, 각각의 단위서비스마다 서비스요금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제공장치(도 5의 A)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투입한 주화(C)의 가치가 선택한 서비스요금에 도달할 때까지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주화(C)를 전술한 바와 같이 검출부(200)를 통해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판정하고, 정상 주화일 경우 이동통로(20) 상에 주화대기부(300)의 주화대기판(330)에 의해 먼저 대기되어 있는 주화의 다음 위치에 순차적으로 대기시키는 방법으로 투입된 주화(C)의 가치가 서비스요금에 이르기까지 대기시키게 된다.
즉, 서비스요금이 800원일 경우 사용자가 투입한 금액이 서비스요금인 800원을 만족할 때까지 투입되는 주화(C)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판정하고, 정상일 경우 투입된 주화(C)의 총가치를 증액하여 증액된 총가치가 800원에 이를 때까지 대기시키는 것이다.
만약, 700원까지는 정상으로 판정된 주화(C)가 투입되어 주화대기부(300)에 의해 대기되고 있는 상태에서, 다음으로 투입된 주화(C)가 불량으로 판정될 경우에는 도 11의 (c)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주화대기부(300)의 주화대기판(330)이 이동통로(20) 상에서 함몰, 즉 열리게 되어 대기되어 있던 700원이라는 가치를 가지고 있던 정상 주화(C)와 다음에 투입된 불량 주화(C)가 모두 주화출납부(400)의 함몰, 즉 열림동작에 의해 반환통로(420)로 이동되어 반환된다.
그리고, 서비스요금에 이르기까지 정상 주화(C)가 투입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계수기(500)를 이용하여 주화(C)의 집금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서비스요금이 800원이고 주화대기판(330)에 의해 대기된 정상 주화(C)가 100원짜리 7개라고 할 경우, 먼저 주화대기판(330)이 이동통로(20) 상에서 함몰, 즉 열리도록 동작되면서 축(320)을 중심으로 흡착부재(340)가 이동통로(20) 상에 돌출되어 두 번째 동전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주화출납부(400)는 반환통로(420) 상부에서 돌출, 즉 폐쇄되도록 동작되어 주화대기판(330)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첫 번째 주화(C)가 이동통로(20)를 따라 이동하여 반환통로(420)의 상부를 지나 수납통로(410)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주화(C)의 이동에 따라 계수기(500)에서 발진되는 주파수가 변화되어 검출됨으로써 주화(C)의 개수가 카운트되어 제어부(900)에 저장된다. 이렇게 첫 번째 주화가 이동됨에 따라 흡착부재(340)가 이동통로(20) 상에서 함몰, 즉 열리면서 두 번째 주화(C)의 고정이 풀리게 되나 이번에는 주화대기판(330)이 돌출되어 두 번째 주화를 대기시키게 된다. 이후 주화대기판(330)이 재차 함몰, 즉 열리면 두 번째 주화(C)가 이동됨으로써 주파수가 변화되어 검출되면 계수기(500)가 재차 카운트하여 제어부(900)에 저장함과 동시에 흡착부재(340)가 세 번째 주화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첫 번째 주화(C)부터 일곱번째 주화(C)까지 모두 주화대기부(300)와 주화출납부(400)를 거쳐 수납통로(410)로 이동하여 계수기(500)에 의해 카운트되면 제어부(900)에 카운트된 총 주화(C)의 개수가 저장되고, 계수기(500)는 초기화되어 새로운 정상 주화(C)의 개수를 카운트할 수 있도록 준비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900)에 저장된 정상 주화(C)의 총 개수는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내부정보로서 유무선 통신채널(910)을 통해 별도의 외부통신장치(T1~T6)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내부정보는 온도측정부(700)에 의해 측정된 온도데이터나 습도측정부(800)에 측정된 습도데이터, 현재 제어부(900)에 저장되어 사용되고 있는 설정정보, 서비스제공장치(도 5의 A)나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에러 유무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에 투입된 정상 주화가 수납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은 전술한 제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간략히 언급만 하기로 한다.
주화투입구(10)를 통해 투입된 주화(C)는 검출부(200)를 통해 재질과 직경, 무게가 검출되며, 이에 의해 제어부(900)에서 주화(C)의 가치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판단된 주화(C)의 가치에 따라 두께가 두꺼운 주화(C2)가 투입되었음이 감지되면 제어부(900)에서는 주화방향결정부(600)를 함몰, 즉 개방하여 주화(C)가 제1 통로(20a)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며, 두께가 두꺼운 주화가 아닐 경우 주화방향결정부(600)를 폐쇄하여 주화(C)가 제2 통로(20b)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통로(20a)와 제2 통로(20b)에 두꺼운 주화(C2)와 그에 비해 얇은 주화(C)가 각각의 주화대기부(300)에 의해 순차적으로 대기하여 위치하게 되며, 투입한 주화(C)의 가치가 선택한 서비스요금에 도달하게 되거나 불량 주화가 투입된 것이 감지되면 각각의 주화대기부(300)를 동작시킴으로써 주화(C)가 이동되도록 하여 주화출납부(400)로 하여금 주화(C)를 수납하거나 반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에 의하면, 재질과 직경 및 두께가 유사한 주화가 투입되더라도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나 주화의 가치를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변화, 즉 온도나 습도 등의 변화에 따라 이를 보정하여 주화를 선별함으로써 선별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내부의 설정정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여러 국가에서 발행되는 각종 주화나 새로 발행된 주화도 쉽게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히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내부의 설정정보를 변경해야 하거나, 다수의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설정정보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간편하게 원거리에서 설정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구성부품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작이 쉽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화의 선별뿐만 아니라 주화의 수납, 집금을 모두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투입된 주화의 가치에 따라 작동하는 서비스제공장치에 장착되며, 본체에 형성된 주화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주화가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을 판정하여 수납 또는 반환하는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 상에 제1 주파수를 발진시키고, 상기 주화의 통과에 따라 상기 주화의 재질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제1 주파수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재질검출센서와;
    상기 이동통로 상에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주기의 제2 주파수를 발진시키며, 상기 주화의 직경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직경검출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변화량의 검출주기 및 검출시간이 설정되며, 상기 재질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1 주파수의 변화시작점과 상기 직경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주파수의 변화끝점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주화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통과시간데이터를 검출하는 타이머; 및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 변화량과 상기 통과시간데이터를 기저장된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와 상기 주화의 가치 및 투입된 상기 주화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주화가 정상일 경우 상기 주화의 가치와 개수에 따라 서비스의 제공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온도측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의 각종 온도에 따른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현재 온도에 해당하는 보정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주파수의 변화량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을 상기 현재 온도에 해당하는 보정데이터를 적용하여 연산하며, 연산된 결과를 상기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습도측정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의 각종 온도 및 습도에 따른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측정부 및 습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현재 온도 및 습도에 해당하는 보정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1 주파수의 변화량 및 상기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을 상기 현재 온도 및 습도에 해당하는 보정데이터를 적용하여 연산하며, 연산된 결과를 상기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각종 주화의 재질, 직경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제1 주파수와 상기 제2 주파수의 변화량이 미리 측정되어 있는 기준 주파수변화량데이터와, 각종 주화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기준 통과시간데이터, 상기 제1 및 제2 주파수의 각종 온도, 습도에 따른 보정데이터 및 각종 주화의 가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의 말단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 판정에 따라 출몰되어 상기 주화를 상기 이동통로로부터 분기된 수납통로 또는 반환통로로 이동되도록 하는 주화출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와 상기 수납통로가 접하는 위치에는,
    상기 수납통로로 이동되는 상기 주화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계수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의 한쪽 내벽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주화유동방지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경사를 갖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경사부가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서비스제공장치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본체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주화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주화가 상기 주화유동방지구에 접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의 한쪽 내벽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주화유동방지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주화가 상기 주화유동방지구에 접하여 이동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질검출센서 또는 직경검출센서와 상기 주화출납부 사이의 상기 이동통로 상에는,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여부에 따라 출몰되어 상기 주화가 정상일 경우 설정된 서비스요금에 이르기까지 상기 주화를 상기 이동통로 상에 대기시키고, 상기 주화가 불량일 경우 상기 주화출납부와 함께 동작되어 상기 주화를 상기 반환통로로 이동시키는 주화대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질검출센서 또는 직경검출센서와 상기 주화출납부 사이의 상기 이동통로는 제1 통로와, 상기 제1 통로보다 통로의 폭이 좁은 제2 통로로 분기되고,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 사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이동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주화의 가치에 따라 출몰되어 상기 주화를 상기 제1 통로 또는 제2 통로로 이동되도록 하는 주화방향결정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 상에는,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여부에 따라 출몰되어 상기 주화가 정상일 경우 설정된 서비스요금에 이르기까지 상기 주화를 상기 이동통로 상에 대기시키고, 상기 주화가 불량일 경우 상기 주화출납부와 함께 동작되어 상기 주화를 상기 반환통로로 이동시키는 주화대기부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휴대폰, 피디에이(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별도의 외부통신장치와 연결 가능한 유무선 통신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유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외부통신장치로부터 설정정보를 자유롭게 전송받아 상기 제어부에 저장 및 삭제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내부정보를 상기 외부통신장치에 전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정보는,
    상기 서비스제공장치에 수납된 총 주화의 개수정보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어 사용되고 있는 설정정보, 상기 서비스제공장치 또는 상기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의 에러 유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투입구 또는 상기 주화투입구의 내측에는 상기 주화의 투입을 감지하는 주화투입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주화투입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주화의 투입이 감지되면, 슬립(Sleep) 상태에 있던 상기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웨이크 업(Wake-up)되어 상기 주화의 정상 또는 불량 여부를 선별하고 상기 주화를 수납 또는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KR1020070012519A 2007-02-07 2007-02-07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KR100862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519A KR100862326B1 (ko) 2007-02-07 2007-02-07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PCT/KR2008/000686 WO2008097005A1 (en) 2007-02-07 2008-02-04 Apparatus for sorting and storing accumulation of coin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519A KR100862326B1 (ko) 2007-02-07 2007-02-07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836A KR20070022836A (ko) 2007-02-27
KR100862326B1 true KR100862326B1 (ko) 2008-10-13

Family

ID=3968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519A KR100862326B1 (ko) 2007-02-07 2007-02-07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2326B1 (ko)
WO (1) WO2008097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9607B2 (en) 2015-06-05 2021-02-02 Boveda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humidity in a closed environment with automatic and predictive identification, purchase and replacement of optimal humidity controller
US10055781B2 (en) 2015-06-05 2018-08-21 Boveda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humidity in a closed environment with automatic and predictive identification, purchase and replacement of optimal humidity controll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4675A (ja) * 1996-04-03 1997-10-21 Iwatsu Electric Co Ltd 貨幣判別装置
KR0125052Y1 (ko) * 1994-03-17 1998-12-01 안준철 주화선별장치
KR100279141B1 (ko) 1998-04-16 2001-01-15 이성주 부정사용 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식 주화선별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1291138A (ja) 2000-04-06 2001-10-19 Sanyo Electric Co Ltd 硬貨識別装置
KR100524276B1 (ko) 2003-12-05 2005-10-31 한국사무자동화 주식회사 주화 선별 계수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3566A (en) * 1991-04-10 1993-1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WO1997004424A1 (en) * 1995-07-14 1997-02-06 Coin Controls Ltd. Coin validator
KR0145104B1 (ko) * 1996-02-09 1998-08-17 최종언 주화선별장치 및 그 방법
US6196371B1 (en) * 1996-06-28 2001-03-06 Coinstar, Inc. Coin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026946A (en) * 1997-03-10 2000-02-22 Pom, Inc. Enhanced coin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052Y1 (ko) * 1994-03-17 1998-12-01 안준철 주화선별장치
JPH09274675A (ja) * 1996-04-03 1997-10-21 Iwatsu Electric Co Ltd 貨幣判別装置
KR100279141B1 (ko) 1998-04-16 2001-01-15 이성주 부정사용 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식 주화선별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1291138A (ja) 2000-04-06 2001-10-19 Sanyo Electric Co Ltd 硬貨識別装置
KR100524276B1 (ko) 2003-12-05 2005-10-31 한국사무자동화 주식회사 주화 선별 계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7005A1 (en) 2008-08-14
KR20070022836A (ko)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92457A (zh) 自动售货装置及方法
EP1598791A3 (en) Self-service terminal
KR100862326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화 선별 및 수납장치
CN104035321B (zh) 智能手表的屏幕控制方法和智能手表
EP0308997B1 (en) Coin validators
CN104846593B (zh) 洗衣机
CN103685837B (zh) 图像处理装置及图像处理方法
CN109407184A (zh) 基于斗参数和雨强的翻斗式雨量传感器修正方法
CN207909242U (zh) 一种智能网络投币器
JP2004227133A (ja) 硬貨受け取り器の検出装置
CN110335409A (zh) 零售设备及其控制方法以及机器可读存储介质
JP5260383B2 (ja) 自動取引装置
JP2688741B2 (ja) データ集計装置
JP2012212421A (ja) シャッタ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EP1513111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in/token signature data between coin/token acceptor devices
RU2000126392A (ru) Устройство возврата монет торгового автомата
KR101326683B1 (ko) 매체지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체 지급 방법
JP2019000361A (ja) 遊技機
JP7442843B2 (ja) 寄付受け取り装置に接続されたハンドヘルドモバイル通信装置
JP6902407B2 (ja) 遊技機
JPH0954845A (ja) 媒体識別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KR101006776B1 (ko) 자동판매기의 동전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8965Y1 (ko) 주화식별구조
CN207457715U (zh) 具有体温检测功能的智能手表
KR20060010536A (ko) 개폐계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