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376B1 -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시키기 위한시스템 및 관련 단말,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시키기 위한시스템 및 관련 단말,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376B1
KR100860376B1 KR1020067021069A KR20067021069A KR100860376B1 KR 100860376 B1 KR100860376 B1 KR 100860376B1 KR 1020067021069 A KR1020067021069 A KR 1020067021069A KR 20067021069 A KR20067021069 A KR 20067021069A KR 100860376 B1 KR100860376 B1 KR 10086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multimedia objec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973A (ko
Inventor
마크 알. 애들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3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04L65/4015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where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parallel sessions is real time or time sensitive, e.g. white board sharing, collaboration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분산되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 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기초 통신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는 프로세싱 요소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요소는 오디오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로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고, 이때 오디오는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포함한다. 부호화된 톤(들)은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낸다. 이와 관련해, 프로세싱 요소는 오디오를 전송함으로써, 오디오가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포함할 때 모바일 단말이 그 부호화된 톤(들)을 디코딩하여 그 부호화된 톤(들)로서 표현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모바일 단말이 그 식별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시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관련 단말,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System and associated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ynchronizing distributively presented multimedia object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영상을 동기시키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말하면,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관련 단말, 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전화기들이 처음에 시장에 소개되었을 때 이들은 다수에게 럭셔리 하게 비춰졌으나,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이들은 매우 중요하면서도 편리하고 유용한 도구들로서 보여지고 있다. 많은 수의 사람들이 이제 어디를 가든 자신들의 모바일 기기들을 지니고 다닌다. 이러한 무선 통신의 대중화가 수많은 새로운 무선 시스템들, 기기들, 시스템들 등을 낳고 있다. 고급화된 무선 기능 및 사양들에 대한 소비자 요구 역시 무선 기기들의 이용성과 사양들에 있어서의 광범한 기술적 발전을 자극하고 있다. 무선/모바일 기기들은 오디오 통신만을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메시징, 멀티미디어 통신, 이메일, 인터넷 브라우징, 및 광범위한 무선 어플리케이션들 및 서비스들로의 액세스 역시 수월케 한다.
엄청난 양의 콘텐츠, 어플리케이션들, 서비스들 등이 이미 무선 기기들 상에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들에 액세스될 정보의 양과 타입은, 추가적 기술 발전으로 데스크 탑과 무선 시스템들 간 간극이 계속해서 줄어들 것이므로 앞으로 더 크게 증가할 것이다. 데스크 탑 시스템들 간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 중 하나인 비디오 화상 회의는, 이미지들 같은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 뿐 아니라 음성 통신까지 동시에 공유하는 것으로 이뤄진다. 특정하면, 비디오 화상 회의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생성하거나 서비스하는 기초 시스템을 포함하며, 그 오브젝트들은 한 개 이상의 분산 시스템들에 의해 수신되거나 아니면 제공될 수 있다. 더 특정할 때, 그러한 기술들에 따르면, 기초 및 분산 시스템들의 사용자들이 공공 교환 전화망 등을 통해 서로와의 동시적 음성 통신에 개입할 수 있다. 기초 및 분산 시스템들의 사용자들이 음성 통신을 교환하므로, 기본 분산 데스크 탑 시스템들은 프레젠테이션에서와 같은 한 개 이상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의 디스플레이를 오디오 통신과 동시에 제공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러한 비디오 화상 회의 기술들에 따르면, 기초 및 분산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이 수많은 다양한 방식들을 통해 동기 될 수 있다. 전형적인 한 기술에서, 기초 시스템의 한 사용자가 분산 시스템들의 사용자들에게 음성 통신 등을 통해 분산 시스템들의 이미지들을 동기 시키라고 명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 시스템의 사용자는, 그러한 분산된 사용자들에게 나타낼 정확한 이미지를 알려 줌으로써 (가령, "다음 이미지로 가시오") 분산 시스템들의 사용자 들에게 이미지들을 동기시키도록 명령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기술은 기초 및 분산 시스템들의 사용자들에 바람직하지 못한 부담을 부과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기초 시스템의 사용자는 분산 시스템들의 사용자들에게 이미지들을 동기 시키라고 명령할 것을 기억해야 하고, 그 다음, 분산 시스템들의 사용자들은 그렇게 하라고 지시되었던 이미지들을 동기 시키는데 충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때, 더 진보한 다른 기술에서, 기초 시스템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 시스템들과 통신하여 기초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들을 가리키거나 그 이미지들을 분산 시스템들로 전송하고, 분산 시스템들에 명령해 그와 동일한 이미지들을 나타내도록 명령한다.
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비디오 화상 회의 기술들이 데스크 탑 시스템들에는 알맞은 반면, 한 개 이상의 시스템들이 모바일 시스템을 이룰 때 이러한 기술들은 결점들이 있게 된다. 이 문제와 관련해, 기초 시스템의 사용자가 이미지들을 동기할 분산 시스템들의 사용자들과 통신하는 경우, 모바일 분산 시스템들의 사용자들은 여전히 이미지들을 동기 해야 하는 원치않은 부담에 직면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모바일 기술이 모바일 시스템들의 오디오 및 데이터 채널들의 동시적 사용을 지원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비디오 화상 회의 기술들은 기초 시스템과 분산 시스템들의 사용자들간 동시적 오디오 통신 및, 기초 및 분산 시스템들간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다. 데이터 네트워크에 걸쳐 기초 시스템이 분산 시스템들과 통신하여 분산 시스템들로 하여금 기초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이미지들을 제공하라고 명령하는 경우, 종래의 모바일 기술은 그러한 기술들에서는 일반적 이듯이 오디오 통신의 동시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
상기 발명의 배경으로부터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시키기 위한 시스템과 관련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시스템 및 관련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초 통신 시스템 및, 분산 통신 시스템으로 작동하는 단말 사이에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초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요구하여 음성 통신을 통해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의 제공을 동기시키라고 단말 사용자에게 명하지 않고,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의 제공을 동기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초 통신 시스템 및 단말이, 동기 정보가 통과하는 오디오 채널을 통해 오디오 통신을 교환하는 경우들에서, 다른 경우라면 기초 통신 시스템이 단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시키라고 명하는 데이터 채널 사용을 필요로 함이 없이,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의 제시를 동기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분산되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 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기초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일 수 있는 프로세싱 요소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요소는 오디오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로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는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tone)을 포함하고, 여기에 부가하여 음성 통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된 톤(들)은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싱 요소는 오디오가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구비할 때 모바일 단말이 그 부호화된 톤(들)을 디코딩하여 부호화된 톤(들)로 표현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식별할 수 있도록,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모바일 단말이 그 식별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표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싱 요소는, 오디오 채널을 통한 프로세싱 요소와 모바일 단말 간 오디오 통신정보의 교환 중에, 모바일 단말로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싱 요소는, 오디오 통신 정보가 모바일 단말과 교환될 때, 적어도 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 시스템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싱 요소는 프로세싱 요소에서 제시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나타내는 부호화된 톤(들)을 모바일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더 상세히 말하면, 프로세싱 요소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세싱 요소에 의해 제시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나타내는 부호화된 톤(들)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싱 요소는, 오디오가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구비할 때 모바일 단말이 식별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표현하기 전에 그 식별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메모리로부터 검색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로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싱 요소는 오디오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로 오디오를 전송하기 앞서 데이터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전송할 수 있다. 그 경우, 수신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에는 식별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 따르면,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시키기 위한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시키기 위한 개선된 시스템 및 관련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관련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하는 시스템들의 사용자들로 하여금 음성 통신을 통해 동기화에 대해 통지토록 할 필요가 없이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의 동기화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초 통신 시스템이 단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시키라고 명령할 수 있는 데이터 채널을 사용토록 할 필요 없이,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의 동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관련 단말,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선행 기술들에서 확인된 문제들을 해결할 뿐 아니라 부가적 이점들마저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일반적인 용어들로서 기술하면서, 반드시 일정 비율일 필요는 없는 이하의 첨부된 도면들을 이제부터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셀룰라 네트워크, 공공 교환 전화 네트워크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단말로서 동작할 수 있는 모바일 스테이션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 을 동기 시키는 방법에서의 다양한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 시키는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전형적 시나리오에 대한 기능적 블록도이다.
이제부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그려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들로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 설명된 실시예들로 국한되어서는 안된다; 그보다, 이 실시예들은 이 명세서가 철저하면서도 완전하고,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 명세서에 걸쳐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으로부터 이익을 볼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의 한 타입이 도시된다. 그러나, 도시되어 지금부터 설명될 단말들은 단지 본 발명으로부터 이익을 볼 수 있는 두 가지 타입의 단말들을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주로 모바일 통신 어플리케이션들과 연계하여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이 모바일 통신 산업계 안팎 모두에서의 각종 다른 어플리케이션들과 함께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모바일 단말(10)은 베이스 사이트 또는 베이스 스테이션 (BS)(12)으로/으로부터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은, 모바일 교환 센터 (MSC)(14), 음성 코더/디코더들 (vocoders)(VC)(16), 데이터 모뎀들 (DM)(18), 및 기타 셀룰라 네트워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로 되는 다른 유닛들을 포함하는 셀룰라 네트워크의 한 부분이다. MSC는, 모바일 단말이 콜(call)들을 발신 및 수신할 때 모바일 단말로/로부터 콜들 및 메시지들을 라우팅할 수 있다. 또한 MSC는 모바일 단말이 셀룰라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을 때 그 단말로/로부터 메시지들의 발송을 제어하고, 메시지 센터(미도시)로/로부터 모바일 단말을 위한 메시지들의 발송을 제어한다.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시피, 셀룰라 네트워크는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20)로도 불릴 수 있다.
PLMN(20)은 여러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오디오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PLMN은 제1세대(1G), 제2세대(2G), 2.5G 및/또는 제3세대(3G) 통신 기술들 중 어느 하나, 및/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다른 수많은 통신 기술들 중 하나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LMN은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IS-136 (Time Domain Multiple Access - TDMA), IS-95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 또는 EDGE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통신 기술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PLMN 내에서, 시그날링 통신은 수많은 서로 다른 기술들에 의해 지원될 수 있으나, 시그날링 통신은 보통 시그날링 시스템 7 (SS7) 규격에 따라 지원된다.
MSC(14), 즉 그로 인한 PLMN(20)은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22)과 연결될 수 있고, 다시 PSTN은 보통 유무선 전화들 같이 한 개 이상 의 복수의 고정 단말들(24)에 연결된다. PLMN과 같이, PSTN은, SS7을 포함해 수많은 상이한 기술들 중 하나에 따라 시그날링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STN이 64 Kbps (CCIT) 같은 시분할 다중화 (TDM) 기술들, 및/또는 56 Kbps (ANSI) 같은 펄스 코드 변조 (PCM) 기술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PLMN(20) (MSC(14)) 경유) 및 PSTN(22)은 LAN (local area network),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및/또는 WAN (wide area network)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PLMN 및 PSTN은 데이터 네트워크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전형적인 한 실시예에서는 그러나, PLMN 및 PSTN 각각이 GTW(26)에 연결되어 있으며, GTW는 인터넷(28)과 같은 WAN과 연결된다. 그에 따라, 프로세싱 요소들 (가령, 퍼스널 컴퓨터들, 서버 컴퓨터들 등) 같은 기기들이 인터넷을 통해 모바일 단말(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테면, 프로세싱 요소들에는 도 1에 도시된 것 같이, 원천(origin) 서버(22)와 연결된 한 개 이상의 처리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BS(12) 및 MSC(14) 이외에, PLMN(20)은 시그날링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지원 노드 (SGSN)(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는 것처럼, SGSN은 일반적으로 패킷 교환형 서비스들을 위해 MSC와 유사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SGSN은 MSC처럼, 인터넷(28)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는 그러나 SGSN이 GPRS 코어 네트워크(34) 같은 패킷 교환형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이때 패킷 교환형 코어 네트워크는 GTW GPRS 지원 노드 (GGSN)(36) 같은 GTW에 연결되고, GGSN은 인터넷에 연결된다.
SGSN(32)을 GPRS 코어 네트워크(34) 및 GGSN(36)에 연결함으로써, 원천 서버(30) 같은 기기들이 인터넷(28), SGSN 및GGSN을 통해 모바일 단말(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원천 서버들은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등에 따라, 단말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테면, 한 개 이상의 원천 서버들이,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VoIP (voice over IP, IP를 통한 음성통신) 등에 의해, 단말과의 오디오 통신에 개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천 서버(들)은 고정 단말(30)과 똑같은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단말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단말(10)로서 동작할 수 있는 모바일 스테이션의 기능상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되어 이제부터 설명할 모바일 스테이션은 본 발명으로부터 이익을 볼 수 있는 단말의 한 타입을 나타낸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모바일 스테이션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예로 들 목적으로 이제부터 설명될 것이지만, 랩 탑 컴퓨터들과 다른 타입의 음성 및 텍스트 통신 시스템들 역시 본 발명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송신기(38), 수신기(40), 그리고 송신기로, 그리고 수신기로부터 각각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제어기(42)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신호에는 적용할 수 있는 셀룰라 시스템의 대기전파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른 시그날링 정보, 그리고 사용자 스피치 및/또는 사용자 생성 데이터가 포함된다. 이와 관련해, 모바일 스테이션은 한 개 이상의 대기전파 인터페이스 규격들, 통신 프로 토콜들, 변조 타입들, 및 액세스 타입들과 함께 작동할 수 있다. 더 자세히 말하면, 모바일 스테이션은 다수의 1G, 2G, 2.5G 및/또는 3G 통신 프로토콜들 등 중 하나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스테이션은 2G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IS-136 (TDMA), GSM, 및 IS-95 (CDMA)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일부 협대역 AMPS (NAMPS)만이 아닌 TACS 모바일 스테이션들 역시, 듀얼 혹은 그 이상의 모드의 모바일 스테이션들 (가령, 디지털/아날로그 또는 TDMA/CDMA/아날로그 전화들)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이득을 볼 수 있다.
제어기(42)가 모바일 스테이션의 오디오 및 로직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요구되는 회로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 및 다양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들, 및/또는 기타 지원 회로들로 이뤄질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의 제어 및 신호 처리 기능들이 이들 각자의 사양에 따라 그러한 장치들 사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제어기는 변조 및 전송에 앞서 메시지들을 컨벌루션 부호화하고 인터리브하는 기능 또한 포함한다. 제어기는 부가적으로 내부 음성 코더 (VC)(42A)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 데이터 모뎀 (DM)(42B)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제어기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을 작동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또한 통상적 이어폰 또는 스피커(44), 경보기(ringer)(46), 마이크로폰(48), 디스플레이(50), 및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이들 모두가 제어기(42)와 연결된다.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데이 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키패드(52), 터치 디스플레이(미도시), 또는 다른 입력 장치와 같이,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여러 장치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키패드는 통상의 숫자(0-9) 및 관련 키들(#, *), 및 기타 모바일 스테이션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키들을 포함한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모바일 사용자, 특히 모바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모바일 사용자의 통제하에서 동작되는 모바일 스테이션의 주변 조건을 감지하는 한 개 이상의 센서들(54) 역시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하 말하면, 모바일 스테이션은 이를테면 오디오 센서 같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센서는 가령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환으로서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오디오 센서는 스피커(44)등과 같이 모바일 스테이션에서 발생된 음성이나 주변 소리들을 포함하는 스피치나 주변 소리들, 오디오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휘발성 메모리(56) 같은 메모리 역시 포함할 수 있다. 또, 모바일 스테이션은 탑재 및/또는 탈부착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4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들은 모바일 스테이션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모바일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여러 정보 및 데이터 중 어느 것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테면, 메모리들은 콘텐츠,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메모리들은 통상적 웹 브라우저, 이미지 및/또는 프레젠테이션 뷰어(viewer), 이미지 및/또는 프레젠테이션 브라우저 등등과 같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어, 메모리들은 밑에서 더 설명하겠지만 분산되어 제공 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 시킬 수 있는 동기 에이전트 (싱크 에이전트)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은 보통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되지만, 이해할 수 있다시피, 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은 그와 달리 펌웨어, 하드웨어 등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바일 스테이션은 여러 상이한 유무선 기술들 중 어느 것에 따라, 다른 단말(10), 원천 서버(22), 데스크 탑 컴퓨터 시스템, 랩 탑 컴퓨터 시스템 등과 같은 전자 기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얻고/거나 공유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스테이션은 무선 주파수 (RF) 트랜시버 및/또는 적외선(IR) 트랜시버를 포함하여, 무선 주파수 및/또는 적외선 기술들에 따라 데이터를 획득 및/또는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령, 모바일 스테이션은 블루투스(BT)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어, 블루투스 전송 기술들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 및/또는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 스테이션은 그에 더해, 또는 그 대안으로서, LAN 및/또는 WLAN 기술들을 포함해 수많은 상이한 유무선 네트워킹 기술들에 따라 전자 기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할 수 있다.
배경 기술 부분에서 설명했다시피, 종래의 비디오 화상회의 기술들은 한 개 이상의 참여 시스템들이 모바일 시스템들을 구비할 때 문제를 가진다. 이와 관련해, 기초(primary) 시스템 사용자가 분산(distributed) 시스템들과 통신하여 이미지들을 동기 시키고자 하는 경우, 기초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들을 나타내거나 기초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들을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분산 시스템들의 사용자들이 계속 이미지들을 동기 시키는 원치않는 부담과 마주하게 된다. 종래의 모바일 기술이 모바일 시스템들의 오디오 및 데이터 채널들의 동시 사용을 지원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비디오 화상 회의 기술들은,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의 동기를 위해 통상적으로 요망될 수 있는, 기초 시스템 및 분산 시스템들의 사용자들 간 동시적 오디오 통신, 및 기초 및 분산 시스템들 간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때 단말(10)은, 기초 통신 시스템 및, 각자가 기초 통시 시스템과 오디오 통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분산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안에서 한 분산 통신 시스템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기초 시스템은 텍스트, 그래픽,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오브젝트들 같은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할 수 있는, 원천 서버(30), 랩 탑 컴퓨터 시스템, 데스크 탑 컴퓨터 시스템, PDA 등과 같은 여러 프로세싱 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요소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한 프레젠테이션으로부터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싱 요소에 더하여, 기초 시스템은, 분산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단말과 오디오 통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고정 단말(24), 모바일 단말 등등과 같은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초 시스템이 오디오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세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화상 회의 시스템에서 분산 시스템으로서 동작할 때, 단말(10) 역시 마찬가지로 기초 시스템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 같은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수신 및 표시할 수 있다. 단말은 여러 상이한 방식들 가운데 하나를 통해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RF, 블루투스, 적외선, 또는 랜 (LAN)이나 무선 LAN (WLAN) 기술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각종 유무선 네트워킹 가운데 하나를 통해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어떻게 수신하는지와 무관하게, 단말은 단말의 메모리 (가령, 비휘발성 메모리(58)) 등에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저장하고, 그런 다음 그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가령 기초 통신 시스템과의 비디오 화상 회의 중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초 및 분산 통신 시스템들은 PLMN(20)에 걸친 오디오 채널 등을 통해, 오디오 통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 및 분산 통신 시스템들은 가령 한 개 이상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검토하기 위해 음성 통신을 교환할 수 있다. 오디오 통신 중에 기초 통신 시스템은 프레젠테이션 내 이미지들 같은 한 개 이상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분산 통신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단말(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 통신 시스템과 동기되는 방식으로서 기초 시스템과 동일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오브제트들을 알맞게 제공하기 위해, 단말,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의 동기 에이전트(60)는 단말에 의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기초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과 동기 시킬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다시피, 동기 에이전트(60)는 수많은 상이한 방식들로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히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의 프레젠테이션 및 기초 및 분산 통신 시스템들간 오 디오 통신 중에, 기초 통신 시스템은 오디오 채널을 거쳐 분산 시스템들로 부호화된 오디오 톤들을 전송할 수 있다. 부호화된 오디오 톤들은, 기초 및 분산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나타낸다. 더 특정하면, 부호화된 오디오 톤들은 기초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나타내며, 기초 통신 시스템이 각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할 때 기초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부호화된 톤들은 수많은 다양한 방식들 가운데 하나를 통해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딩된 톤들은 절대적이거나 상대적인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기초 통신 시스템이 복수의 순차적 슬라이드들을 포함하는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부호화된 톤들로 된 집합을 저장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슬라이드는 한 개 이상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톤은 상대적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 집합에는 최초의 슬라이드,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마지막 슬라이드 등을 나타내는 부호화된 톤들이 포함된다. 이에 더하여, 혹은 대안으로서, 각 톤이 각개의 절대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부호화된 톤들 역시 수많은 다양한 방식들 가운데 어느 하나를 통해, 수많은 다양한 시간대 중 어느 한 시간대에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된 톤들은, 기초 통신 시스템이 기초 시스템으로 하여금 각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하도록 명하는 기초 시스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반하여 각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하기 전에,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실시예에 서, 기초 통신 시스템은 톤들의 라이브러리 등에 복수의 톤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한 개 이상의 톤들의 상이한 조합들은 그에 결부된 의미들 (가령, 최초의 슬라이드,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마지막 슬라이드 등등)을 가진다. 그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기초 통신 시스템이 라이브러리로부터 한 개 이상의 톤들을 선택함으로써, 부호화된 톤들을, 선택된 톤(들)과 결부된 의미에 기반하여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나타내는 부호화된 톤들로서 생성할 수 있다. 어떻게, 그리고 언제 부호화된 톤들이 생성되는지와는 무관하나, 기초 통신 시스템이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할 때, 기초 통신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나타내는 부호화된 톤들을 생성하고 그런 다음 이들을 출력할 수 있다. 부호화된 톤들은 이제, 가령 오디오 채널을 통한 기초 및 분산 통신 시스템들의 사용자들간 오디오 통신 도중에 그 오디오 채널을 거쳐 분산 통신 시스템들로 보내질 수 있다.
분산 통신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단말(10)은 기초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음성 통신 정보에 더하여 부호화된 톤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 보다 상세히는 단말의 동기 에이전트(60)가 이제 그 부호화된 톤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 통신 시스템처럼, 단말은 톤들로 된 라이브러리를 저장할 수 있고, 톤들의 조합들은 결부된 의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동기 에이전트가, 부호화된 톤들을 톤들의 라이브러리에 있는 톤들과 매치시켜, 부호화된 톤들의 의미를 판단함으로써 부호화된 톤들을 디코딩할 수 있다. 동기 에이전트가 부호화된 톤들을 어떻게 디코딩하는지와 무관하게, 그 후 동기 에이전트는 그 후에 단말로 하여금 톤들로 나타낸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기초 통신 시 스템으로부터 부호화된 톤들을 수신한 후 (기초 통신 시스템이 동일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한다는데 응하여 부호화된 톤들을 전송함) 부호화된 톤들로 표현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함으로써, 동기 에이전트는 단말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기초 통신 시스템에 의해 디스프레이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과 동기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분산되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 시키는 방법의 여러 단계들을 예시하는 도 3을 참조할 것이다. 블록 61에서 보다시피,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 시키는 방법은 기초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분산 통신 시스템으로서 동작되는 단말(10)로 한 개 이상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다운로드하거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블록 6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초 통신 시스템과 단말은, 기초 통신 시스템과 단말(10) 사이의 오디오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더 특정하면, 이 방법은 PLMN(20)에 걸친 오디오 채널을 통해 기초 통신 시스템과 단말 사이의 오디오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오디오 통신 중에, 기초 통신 시스템은 블록 64에 도시된 것처럼 오디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은 기초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통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디오 입력은 부가적으로, 혹은 대안으로서, 한 개 이상의 다운로드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로 표현된 한 개 이상의 부호화된 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입력은, 기초 통신 시스템이 각자의 부호화된 톤들로서 나타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때의 부호화된 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초 통신 시스템이 오디오 입력을 수신할 때, 기초 통신 시스템은 블록 66에 도시된 것처럼,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10)로 오디오를 전송할 수 dT다 오디오를 수신한 후, 단말은 블록 68에 도시된 것처럼, 스피커 (가령, 스피커(44)) 등을 통해 그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이 오디오를 출력할 때, 블록 70에 보인 것처럼, 동기 에이전트(60)는 오디오에 부호화된 톤들이 포함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동기 에이전트는 수많은 상이한 방법들 가운데 어느 하나를 통해 부호화된 톤들을 검출할 수 있다. 전형적인 일실시예에서, 단말이 오디오를 출력할 때, 단말의 오디오 센서 (가령, 센서(54))가 그 오디오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동기 에이전트는 부호화된 톤들을 포함해 오디오를 수신하도록 오디오 센서와 통신할 수 있다.
동기 에이전트(60)가 부호화된 톤들을 어떻게 검출하는지와 무관하게, 동기 에이전트가 단말(10)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에서 부호화된 톤들을 검출하는 경우, 블록 7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기 에이전트는 그 부호화된 톤들을 디코딩하여 그 부호화된 톤들로 표현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동기 에이전트는 단말로 하여금 단말의 디스플레이 (가령, 디스플레이(50)) 등을 통해, 그 부호화된 톤들로 표현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나타내게 할 수 있다. 더 특정하자면, 한 전형적 시나리오상에서, 동기 에이전트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해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같은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단말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동기 에이전트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 (가령, 비휘발성 메모리(58))로부터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수신하고, 그런 다음 단말을 구동해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동기 에이전트(60)가 부호화된 톤들로 표현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의 프레젠테이션을 어떻게 진행시키는지와 무관하게, 블록 7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초 통신 시스템 및 단말(10) 사이의 오디오 통신은 계속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다시피, 오디오 통신은 가령 기초 통신 시스템이나 단말이 통신을 중지할 때까지 임의의 시간 동안 계속될 수 있다. 오디오 통신 세션 중에 이 방법은 기초 통신 시스템이 단말로 오디오를 전송하고 단말이 그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방법은, 동기 에이전트(60)가 부호화된 톤들을 검출하고 그에 따라 단말을 구동시키는 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이제부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분산되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 시키는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전형적 시나리오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할 것이다. 도시한 것처럼, 이 시스템은 분산 통신 시스템으로서 동작하는 단말(10)과 통신할 수 있는 기초 통신 시스템(76)을 포함하며, 상기 기초 통신 시스템과 단말은 PLMN(20)과 PSTN(22)에 걸친 오디오 채널을 통해 통신한다. 그러나, 기초 통신 시스템 및 단말은, VoIP 기술들 등에 따라, PLMN 및 데이터 네트워크 (가령, 인터넷(28))에 걸친 오디오 채널을 통해서도 마찬가지로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기초 통신 시스템(76)은, 중앙 처리부 (CPU)(78), 디스플레이(80) 및 한 개 이상의 스피커들(82) 같은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 시스템 등의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기초 통신 시스템은, 기초 통신 시스템 사용자와 단말 사용자 간 오디오 통신을 돕기기 위해, 유무선 전화(84) 같은 고정 단말을 포함한다.
도 4에 예시된 시나리오에서, 기초 통신 시스템 사용자의 가시 영역 안에 위치한 복수의 참가자들에게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있는 기초 통신 시스템(76) 사용자를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프로세싱 요소는,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 (Microsoft® PowerPoint®)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각각이 한 개 이상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한 개 이상의 슬라이드들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8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 프로세싱 요소는, 가령 복수의 참가자들에게 보일 수 있도록 확대된 포맷 등으로, 프레젠테이션의 슬라이드들로 된 그래픽 오브젝트들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젝터 등에 연결될 수 있다.
기초 통신 시스템(76) 사용자의 가시 영역 안에 위치한 참가자들에게 그러한 동시적 프레젠테이션을 한다는 것을 생각할 때, 그러한 프레젠테이션은 적어도 그 중 하나가 모바일 단말(10)의 사용자인 분산된 통신 시스템들의 여러 사용자들에게 동시에 제공된다. 그에 따라 단말 사용자는 오디오 채널을 통해 기초 통신 시스템, 혹은 더 특정하자면 기초 통신 시스템의 유무선 전화(84)와 오디오 통신을 시작함으로써 기초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가 행하는 프레젠테이션에 귀를 기울일 수 있다. 단말 사용자는 단말의 디스플레이 (가령, 디스플레이(50)) 상으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프레젠테이션 뷰어(viewer)를 실행하고 메모리(가령, 비휘발성 메모리(58))로부터 프레젠테이션의 각 슬라이드(들)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불러내어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보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단말은 오디오 채널을 통한 기초 통신 시스템과의 오디오 통신에 착수하기 전에 가령 데이터 채널을 통해 기초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10)이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어떻게 수신하고 저장하는지와 무관하게, 기초 통신 시스템(76) 사용자가 프레젠테이션을 행할 때, 단말 사용자는 단말 디스플레이 상으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볼 수 있다. 동시에, 단말 사용자는 고정 단말(84)과 단말 사이의 오디오 채널을 통해 기초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에 귀를 기울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레젠테이션 도중에, 기초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는 음성 통신 정보(88)를 출력한다. 그런 다음 그 음성 통신 정보가 기초 통신 시스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단말에 의해 입력 오디오(90)로서 수신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단말은 오디오 채널을 통해 그 오디오를 단말로 보낼 수 있으며, 그러면 단말, 더 상세히 말하면 스피커 (가령 스피커(44))로부터 오디오(90)가 출력될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시점들에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의 슬라이드들이 기초 통신 시스템(76)에 의해 제공될 때, 기초 통신 시스템은 개개의 슬라이드들, 더 상세하게는 개개의 슬라이드들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나타내는 부호화된 톤들(92)을 생성한 후 그것을 출력할 수 있다. 음성 통신 정보처럼, 부호화된 톤들은 기초 통신 시스템의 고정 단말(84)에 의해 입력 오디오(90)로서, 음성 통신 정 보와 함께 수신될 수 있다. 그러면 고정 단말이 오디오 채널을 거쳐 단말(10)로 부호화된 톤들과 음성 통신 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를 보낼 수 있다. 이어서 단말은 그 오디오를 스피커 (가령, 스피커(44))에서 출력할 수 있고, 이것은 오디오 센서 (가령, 센서(54)) 등을 통해 동기 에이전트(6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런 후 동기 에이전트는 그 톤들을 복호화하여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의 이미지(들)을 식별하게 될 수 있고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구동해 각각의 이미지(들)을 나타낼 수 있다. 더 상세히 말하면, 동기 에이전트가 프레젠테이션 뷰어를 구동하고, 이어서, 프레젠테이션 뷰어가 디스플레이를 구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동기 에이전트는 단말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을 프레젠테이션 중에 기초 통신 시스템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과 동기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단말(10) 전체 또는 일부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 전체 혹은 일부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가령, 동기 에이전트(60))의 제어하에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서 구현되는 일련의 컴퓨터 명령어들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부분들이 포함된다.
이와 관련해, 도 3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들의 흐름도이다. 흐름도의 각 블록이나 단계, 그리고 흐름도 내 블록들의 조합들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컴퓨터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상으로 로드되어 기 계어(machine)를 생성함으로써, 컴퓨터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 위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이 흐름도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로 특정되는 기능들을 이행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컴퓨터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에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지시할 수 있어,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이 흐름도의 블록(들)이나 단계(들)에 명시된 기능을 구현하는 명령 수단을 포함하는 제조품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또한 컴퓨터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로 로드되어, 컴퓨터나 다른 프로그램 장치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상기 흐름도의 블록(들)이나 단계(들)로서 명시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컴퓨터 이행 프로세스를 만들어 내기 위해 컴퓨터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흐름도의 블록들이나 단계들은,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들의 조합,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들의 조합, 및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 수단들을 지원한다. 상기 흐름도의 각 블록이나 단계, 상기 흐름도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의 조합이, 지정된 동작들이나 단계들을 수행하는 특별 용도의 하드웨어 기반 컴퓨터 시스템들, 또는 특별 용도의 하드웨어 및 컴퓨터 명령어들의 조합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설명과 관련 도면들에서 제시된 개념들로부터 혜택을 받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여러 변경과 기타 실시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여기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변형 및 기타 실시예들 역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안에 포함되도록 의도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여기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포괄적이고 기술적인 의미로서만 사용된 것일 뿐 제한의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Claims (24)

  1.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로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세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는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tone)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저장된 적어도 한 개의 개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내고,
    상기 프로세싱 요소가 상기 오디오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오디오가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포함할 때, 모바일 단말이 그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디코딩함으로써 그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으로 표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게 되고, 그런 다음 그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제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상기 오디오 채널을 통한 프로세싱 요소와 모바일 단말 간 오디오 통신 교환 중에, 상기 모바일 단말로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모바일 단말과의 오디오 통신이 교환될 때,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 시스템을 오디오로서 더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프로세싱 요소에서 제공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제시한 데 대한 반응으로서 프로세싱 요소에 의해 제시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전송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모바일 단말로 오디오를 전송함으로써, 그 오디오가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포함할 때 모바일 단말이 식별된 그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전에 그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메모리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요소는 오디오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로 오디오를 전송하기 전에 데이터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장치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과 같이 동작가능하고 오디오 채널을 통해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는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tone)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은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저장된 적어도 한 개의 개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내고,
    상기 제어기는 동기 에이전트 (synchronization agent)와 통신하여, 상기 오디오가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포함할 때, 동기 에이전트가 그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디코딩함으로써 그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으로 표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게 되고, 그런 다음 상기 모바일 단말을 구동해 그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제시하도록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오디오 채널을 통한 기초 통신 시스템과 모바일 단말 간 오디오 통신 교환 중에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오디오 채널을 통한 기초 통신 시스템과 모바일 단말 간 오디오 통신 교환 중에, 상기 기초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시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포함한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초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기초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제공한 데 대한 반응으로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제시하기 전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식별도니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검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오디오 단말에서 오디오를 수신하기 전에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를 수신하고 그런 다음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분산되어 제공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동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저장된 적어도 한 개의 개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가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포함할 때, 그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디코딩함으로써 그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으로 표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을 구동하여 그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를 수신하는 단계는, 오디오 채널을 통한 기초 통신 시스템과 모바일 단말 간 오디오 통신 교환 중에 오디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기초 통신 시스템과 모바일 단말 간 오디오 통신 교환 도중에, 기초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오디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 통신 시스템에서 제시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낸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통신 시스템에서 제시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낸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수신하는 단계는, 기초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제시한 데 반응하여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보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로부터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에서 오디오를 수신하기 전에, 모바일 단말에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부분들이 저장된 적어도 한 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부분들은,
    오디오 채널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의해 저장된 적어도 한 개의 개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포함하는 오디오를 수신하도록 하는 제1실행 코드 부분;
    상기 오디오가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포함할 때, 그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디코딩함으로써 그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으로 표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식별하게 하는 제2실행 코드 부분; 및
    상기 오디오가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포함할 때 모바일 단말을 구동하여 그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3실행 코드 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행 코드 부분은, 오디오 채널을 통한 기초 통신 시스템과 모바일 단말 간 오디오 통신 교환 중에 오디오를 수신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부분들은,
    기초 통신 시스템과 모바일 단말 간 오디오 통신 교환 도중에, 기초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제시하도록 하는 제4실행 코드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실행 코드 부분은, 상기 기초 통신 시스템에서 제시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나타낸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수신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행 코드 부분은, 기초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수신하도록 되고,
    상기 기초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4실행 코드 부분이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제시한 데 반응하여 적어도 한 개의 부호화된 톤을 보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부분들은,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로부터 검색하도록 하는 제4실행 코드 부분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부분들은,
    모바일 단말에서 오디오를 수신하기 전에, 모바일 단말에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수신하도록 하는 제5실행 코드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한 개의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067021069A 2004-03-10 2005-03-02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시키기 위한시스템 및 관련 단말,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0860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97,210 US20050201419A1 (en) 2004-03-10 2004-03-10 System and associated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ynchronizing distributively presented multimedia objects
US10/797,210 2004-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973A KR20060131973A (ko) 2006-12-20
KR100860376B1 true KR100860376B1 (ko) 2008-09-25

Family

ID=3491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069A KR100860376B1 (ko) 2004-03-10 2005-03-02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시키기 위한시스템 및 관련 단말,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01419A1 (ko)
EP (1) EP1723820A1 (ko)
KR (1) KR100860376B1 (ko)
CN (1) CN1947452A (ko)
WO (1) WO2005091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4320B2 (en) * 2007-09-17 2014-04-01 Inflight Investments Inc. Support bracket for mounting wires to floor beams of an aircraft
US9444564B2 (en) 2012-05-10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directing media feeds to a set of target user equipments
US20130300821A1 (en) * 2012-05-10 2013-11-14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combining a plurality of video feeds for a group communication ses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658A (en) * 1987-08-17 1989-02-21 Akira Matsushita Current detector using compound magnetic substance
US20020078220A1 (en) * 2000-12-14 2002-06-20 Rhys Rya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synchronization over a network
KR20020093854A (ko) * 2000-03-21 2002-12-16 에어비퀴티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한 데이터 통신들을 위한음성대역 모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1564B2 (en) * 1995-07-27 2010-05-04 Digimarc Corporation Connected audio and other media objects
US6381472B1 (en) * 1998-12-21 2002-04-30 Bell Atlantic Mobile, Inc. TDD/TTY-digital access
US6377822B1 (en) * 1999-04-28 2002-04-23 Avaya Technology Corp. Wireless telephone for visually displaying progress messages
US6392999B1 (en) * 1999-08-10 2002-05-21 Lucent Technologies Inc. Conferencing and announcement generation for wireless VoIP and VoATM calls
AU2001287190A1 (en) * 2000-08-18 2002-03-04 Sensys Instruments Corporation Small-spot spectrometry instrument with reduced polarization
US20030155413A1 (en) * 2001-07-18 2003-08-21 Rozsa Kovesdi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evant to a physical world
US6975994B2 (en) * 2001-09-12 2005-12-13 Technology Innovations, Llc Device for providing speech driven control of a media presentation
US20030202004A1 (en) * 2002-04-30 2003-10-30 I-Jong Li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ow-bit rate distributed slide show presentation
US7233658B2 (en) * 2002-08-13 2007-06-19 At&T Knowledge Ventures, L.P. Flexible ring-tone service
US7046999B2 (en) * 2003-05-30 2006-05-16 Nasaco Electronics (Hong Kong) Ltd. Half-duplex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658A (en) * 1987-08-17 1989-02-21 Akira Matsushita Current detector using compound magnetic substance
KR20020093854A (ko) * 2000-03-21 2002-12-16 에어비퀴티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한 데이터 통신들을 위한음성대역 모뎀
US20020078220A1 (en) * 2000-12-14 2002-06-20 Rhys Rya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synchronization over a network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 5596696A
한국특허등록번호 특014665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3820A1 (en) 2006-11-22
KR20060131973A (ko) 2006-12-20
WO2005091664A1 (en) 2005-09-29
CN1947452A (zh) 2007-04-11
US20050201419A1 (en)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6322C (zh) 具有文本到语音和语音到文本翻译的聊天与远程会议系统
US200701276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conference call
US7508413B2 (en) Video conference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adapted for small display of mobile terminals
US8594290B2 (en) Descriptive audio channel for use with multimedia conferencing
US20080096603A1 (en)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And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Therefore
US200801517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audio-visual communication
CN101297541A (zh) 在具有不同通信模式的设备之间的通信
JP2008529403A (ja) 移動通信網における3dキャラクターを利用したニュース情報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740084A (zh) 多媒体片段的剪辑方法及移动终端
JP200733659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60058013A (ko) 다지점 회의에서의 통신 단말기의 용이한 음량 조절
KR100860376B1 (ko) 분산되어 제공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동기시키기 위한시스템 및 관련 단말,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N112099750A (zh) 一种屏幕共享方法、终端、计算机存储介质以及系统
CN101641941B (zh) 用于单向禁用音频-视频同步的技术
US83406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data transmission over a voice channel of a telephone network
JP2007135108A (ja) ネットワーク会議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会議支援サーバ
US20080293442A1 (en) Broadcast message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849089B2 (en) Motion picture creation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related transmission method
JP2006504295A (ja) 情報符号化および復号化方法
JP2003283672A (ja) 電話会議装置
KR20000052141A (ko)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
US8432429B2 (en) Multimedia effect processing device for videophone and related method
JP5136823B2 (ja) 定型メッセージ機能付きPoCシステム、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端末、PoCサーバ
KR20040039603A (ko) 링백톤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0391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스마일문서 작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