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953B1 -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 - Google Patents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953B1
KR100859953B1 KR1020070116850A KR20070116850A KR100859953B1 KR 100859953 B1 KR100859953 B1 KR 100859953B1 KR 1020070116850 A KR1020070116850 A KR 1020070116850A KR 20070116850 A KR20070116850 A KR 20070116850A KR 100859953 B1 KR100859953 B1 KR 100859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wire
fixed
hook
pla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우 filed Critical 박진우
Priority to KR1020070116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는, 현수막 설치를 위한 하나의 기둥 또는 벽의 상부에 고정되고, 일측에 회전축을 갖는 도르래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브라켓이 설치되어 있는 도르래고정장치와; 하나의 기둥 또는 벽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걸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걸고리고정장치와; 회전브라켓에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걸이부재삽입관과; 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타측에 비해 입구가 좁게 형성된 와이어걸림구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현수막의 일측면이 고정되는 현수막걸이부재와; 일측이 현수막걸이부재에 삽입되되 끝단이 와이어걸림구에 걸려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와이어걸림구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도르래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 체인이 설치되어 걸고리에 체인이 걸리도록 구성된 메인와이어와; 일측이 현수막걸이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체인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와이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현수막을 설치할 때는 현수막걸이부재에 현수막을 건 다음 메인와이어를 당겨 고정함으로써 손쉽게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으며, 현수막을 교체할 때 걸고리에 고정된 체인을 푼 다음 보조와이어를 당기기만 하면 현수막걸이부재가 작업자 눈높이로 내려옴으로써 손쉽게 현수막을 교체할 수 있어, 메인와이어와 보조와이어를 이용하여 기둥에 설치된 현수막걸이부재를 기둥과 수직으로 고 정시키거나 지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고, 이를 위한 단순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장치 설치가 간편한 현수막 게시장치가 제공된다.
현수막, 게시, 도르래, 와이어

Description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PLACARD HANGER INSTALLED ONE POLE}
현수막은 선전문이나 구호문 등을 적어 드리운 막을 말한다.
이러한 현수막은 상업광고나 공익광고를 비롯한 다양한 홍보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작하기 위해 천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현수막은 종류에 따라 두 개의 기둥이나 벽에 양측이 팽팽하게 고정되는 종류의 현수막과, 깃발 형태처럼 펄럭이도록 하나의 기둥에 고정되는 현수막으로 구분된다.
그 중 하나의 기둥에 고정되는 현수막은 고정 부위에 따라 측면이 기둥에 고정되는 현수막과, 기둥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보조기둥 등에 상부가 고정되어 하부가 바람에 펄럭이는 현수막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은 여러 현수막 중 상부가 고정되고, 설치 및 분리가 간편한,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수막 게시장치와 관련된 기술로, 도르래와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지면에서 쉽게 현수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현수막 걸이 장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7756호)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바 있다.
또, 도르래와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현수막 길이에 제한받지 않고 지면에서 손쉽게 현수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현수막게시장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2057호)가 출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현수막 게시장치들은 모두 현수막의 양측을 팽팽하게 당겨 고정하도록 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수막 상부를 고정하여 설치하도록 된 현수막 게시장치는 안출된 바가 없었다.
단지, 가로등과 유사하게 형성된 기둥에 상부로 보조기둥을 설치하여 보조기둥에 현수막의 상부를 고정시켜 사용하는 정도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는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와이어와 보조와이어를 이용하여 기둥에 설치된 현수막걸이부재를 기둥과 수직으로 고정시키거나 지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설치가 간편한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수막을 설치할 때는 현수막걸이부재에 현수막을 건 다음 메인와이어를 당겨 고정함으로써 손쉽게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현수막을 교체할 때 걸고리에 고정된 체인을 푼 다음 보조와이어를 당기기만 하면 현수막걸이부재가 작업자 눈높이로 내려옴으로써 손쉽게 현수막을 교체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욱이, 이를 위한 구성요소로 도르래고정장치와, 걸고리고정장치 및 메인와이어, 보조와이어 등 단순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장치 설치가 간편한 현수막 게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는, 현수막 설치를 위한 하나의 기둥 또는 벽의 상부에 고정되고, 일측에 회전축을 갖는 도르래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브라켓이 설치되어 있는 도르래고정장치와; 하나의 기둥 또는 벽의 하부에 고정되 고,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걸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걸고리고정장치와; 회전브라켓에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걸이부재삽입관과; 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타측에 비해 입구가 좁게 형성된 와이어걸림구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현수막의 일측면이 고정되는 현수막걸이부재와; 일측이 현수막걸이부재에 삽입되되 끝단이 와이어걸림구에 걸려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와이어걸림구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도르래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 체인이 설치되어 걸고리에 체인이 걸리도록 구성된 메인와이어와; 일측이 현수막걸이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체인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와이어;로 구성된다.
아울러, 현수막의 일측면을 기둥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조와이어에 다수 개의 너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메인와이어와 보조와이어를 이용하여 기둥에 설치된 현수막걸이부재를 기둥과 수직으로 고정시키거나 지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설치가 간편한 현수막 게시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수막을 설치할 때는 현수막걸이부재에 현수막을 건 다음 메인와이어를 당겨 고정함으로써 손쉽게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게 된다.
또, 현수막을 교체할 걸고리에 고정된 체인을 푼 다음 보조와이어를 당기기만 하면 현수막걸이부재가 작업자 눈높이로 내려옴으로써 손쉽게 현수막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를 위한 구성요소로 도르래고정장치와, 걸고리고정장치 및 메인와이어, 보조와이어 등 단순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장치 설치가 간편한 현수막 게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르래고정장치(100), 걸고리고정장치(200), 걸이부재삽입관(300), 현수막걸이부재(400), 메인와이어(500), 보조와이어(60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측에 회전축(110)을 갖는 도르래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110)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브라켓(120)이 설치된 도르래고정장치(100)가 현수막(700) 설치를 위한 기둥(800) 또는 벽 상부에 설치되고, 기둥(800) 또는 벽 하부에 걸고리(210)를 갖는 걸고리고정장치(200)가 설치되며,
일측에 걸림홈(310)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걸이부재삽입관(300)이 회전브라켓(120)에 고정되고, 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타측에 비해 입구가 좁게 형성된 와이어걸림구(41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현수막걸이부재(400)의 와이어걸림구(410)에 메인와이어(500) 일측이 걸리고, 타측은 도르래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으며, 타측 끝단에 체인(510)이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와이어(600)는 일측이 현수막걸이부재(40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체인(510)에 연결되어 메인와이어(500)가 당겨짐에 따라 현수막걸이부재(400)가 걸이부재삽입관(300)에 삽입된 채 메인와이어(500)가 팽팽해지면서 현수막(700)이 현수막걸이부재(400)에 고정된 채 기둥(800)과 직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보조와이어(600)를 당기게 되면 현수막걸이부재(400)가 걸이부재삽입관(300)에서 빠져나와 작업자의 눈높이로 내려오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보조와이어(600)에 다수 개의 너클을 설치하고, 현수막(700)의 일측면에는 너클을 낄 수 있는 다수 개의 너클삽입홀을 형성하게 되면 현수막(700)의 상부 뿐만 아니라 일측면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기둥(800)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도르래고정장치(100)는 현수막(700) 설치를 위한 하나의 기둥(800) 또는 벽의 상부에 고정되고, 일측에 회전축(110)을 갖는 도르래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110)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브라켓(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르래고정장치(100)의 구성 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기둥(800)을 감싸 고정되는 클램프(101)의 일측에 도르래브라켓(102)을 용접 고정하고, 도르래브라켓(102)의 양측에 홀을 천공한 다음 회전축(110)을 양측의 홀에 끼워 구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회전축(110) 양측 끝단을 홀 밖으로 돌출시켜 돌출된 양측의 회전 축(110)에 회전브라켓(120)을 설치하여 회전축(110)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였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클램프(101) 대신 볼트구멍을 갖는 플레이트판을 포함하여 도르래고정장치(100)를 구성하게 되면 기둥(800) 뿐만 아니라 벽면에 현수막(70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걸고리고정장치(200)는 도르래고정장치(100)가 상부에 설치된 기둥(800) 또는 벽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걸고리(21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걸고리고정장치(200)의 구성 예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기둥(800)을 감싸는 클램프 형으로 형성된 예가 있다.
도면에서 보면 클팸프의 외주면에 걸고리(21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걸고리(210)는 필요에 따라 2 ~ 4 개 정도 설치할 수도 있으며, 그 간격을 일정하게 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벽면에 현수막(700)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플레이트판에 볼트구멍을 형성하여 볼트를 통해 벽에 고정하고, 플레이트판의 밖에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걸고리(210)를 다수 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걸이부재삽입관(3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브라켓(120)에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에 걸림홈(310)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브라켓(120)과의 결합 방식은 볼팅, 용접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걸이부재삽입관(300)은 현수막(700)이 고정되는 현수막걸이부재(400)가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현수막걸이부재(400)에 고정된 보조와이어(600)가 걸림홈(310)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홈(310)을 형성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와이어(5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수막(700)이 설치된 상태에서 기둥(800)측에 근접 설치되어 외부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되어 있다.
이때, 보조와이어(600)는 필요에 따라 현수막걸이부재(400)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보조와이어(600)가 설치된 상태가 현수막(700)을 가로지르게 되면 미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보조와이어(600) 역시 기둥(800)에 근접하여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현수막걸이부재(400)의 끝단에 최대한 가까이 밀착시켜야 한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걸이부재삽입관(300)에 현수막걸이부재(400) 일측이 삽입되므로 삽입되는 구간만큼 보조와이어(600)가 끼여지게 될 수 있다.
즉, 최대한 보조와이어(600)를 기둥(800)에 근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걸림홈(310)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현수막걸이부재(400)는 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타측에 비해 입구가 좁게 형성된 와이어걸림구(41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현수막(700)의 일측면이 고정된다.
이처럼 일측에 와이어걸림구(410)를 형성한 것은 메인와이어(500) 일측 끝단이 현수막걸이부재(400) 내부에 설치된 채 와이어걸림구(410)에 걸려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여 메인와이어(500)가 당겨짐에 따라 현수막걸이부재(400)가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와이어걸림구(410)가 형성된 부분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진 원뿔 형태로 형성하여 와이어가 부드럽게 이동하면서 걸리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현수막걸이부재(400)의 일측과 타측에는 고리(420)를 설치하고, 고리에 현수막(700) 고정을 위한 현수막고정너클(430)을 설치하여 현수막(700)을 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현수막걸이부재(400)와 현수막(700)을 고정시키는 장치는 도시한 고리(420) 및 현수막고정너클(430)에 의해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간단한 구조의 현수막고정핀(440)에 현수막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메인와이어(500)는 일측이 현수막걸이부재(400)에 삽 입되되 끝단이 와이어걸림구(410)에 걸려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끝단이 와이어걸림구(410)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도르래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 체인(510)이 설치되어 걸고리(210)에 체인(510)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는 메인와이어(500)의 일측이 현수막걸이부재(400)의 와이어걸림구(410)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부분은 내측에 매듭 등의 방법으로 와이어걸림구(410)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와이어걸림구(410)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한편, 메인와이어(500)의 타측은 도 2, 도 3 등에 도시된 것처럼 체인(510)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체인(510)은 도 7에 도시된 걸고리고정장치(200)의 걸고리(2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보조와이어(6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이 현수막걸이부재(40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체인(510)에 연결되어 있다.
보조와이어(600)와 현수막걸이부재(400) 간의 고정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수막걸이부재(400)에 고리를 형성하고, 보조와이어(600)의 끝단에 너클을 설치하여 너클을 현수막걸이부재(400)의 고리에 끼워 고정하면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더불어 보조와이어(600)에 다수 개의 현수막(700) 측면을 고정하기 위한 측면고정너클(610)을 설치하고, 현수막(700)의 일측면에 측면고정너 클(610)을 끼울 수 있도록 너클설치홀을 형성하게 되면 현수막(700)의 상부 뿐만 아니라 측면도 고정할 수 있어 현수막(700)의 펄럭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현수막(700)을 현수막걸이부재(400)에 설치하기 위해 현수막걸이부재(400)를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수막걸이부재(400)를 하강시키는 방법은 보조와이어(600)를 하부로 당김으로써 가능해진다.
또한, 도 3은 현수막(700)의 설치가 끝난 현수막걸이부재(400)를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메인와이어(500)를 당김으로써 현수막걸이부재(40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현수막걸이부재(400) 일측이 걸이부재삽입관(300)에 삽입된 채 메인와이어(500)가 팽팽하게 당겨져 메인와이어(500)의 끝단이 현수막걸이부재(400)의 와이어걸림구(410)에 걸린 채 최대한 기둥(800) 측으로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메인와이어(500)와 보조와이어(600)를 모두 팽팽하게 유지한 채 걸고리(210)에 고정시키게 되면 현수막걸이부재(400)와 기둥(800)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채 현수막(70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메인와이어(500)만으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도르래브라켓(102)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102a)를 형성하고, 걸이부재삽입 관(300) 일측이 도르래브라켓(102)에 걸려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전브라켓(12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둥(800)이나 벽의 하부에 라쳇버클을 설치하고, 라쳇버클의 상부에 고리를 설치하여 체인(510)을 고리에 걸어둔 채 라쳇버클을 통해 체인(510)을 당겨 메인와이어(500)를 팽팽하게 당기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는 기둥이나 벽에 설치되는 현수막 뿐만 아니라 하나의 고정 지점을 갖는 다양한 환경에서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현수막 설치를 위해 현수막걸이부재를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현수막걸이부재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도르래고정장치와 회전브라켓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르래고정장치에 연결된 회전브라켓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현수막걸이부재의 와이어걸림구에 메인와이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걸고리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도르래고정장치의 도르래브라켓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 : 도르래고정장치 101 : 클램프
102 : 도르래브라켓 102a : 돌출부
110 : 회전축 120 : 회전브라켓
200 : 걸고리고정장치 210 : 걸고리
300 : 걸이부재삽입관 310 : 걸림홈
400 : 현수막걸이부재 410 : 와이어걸림구
420 : 고리 430 : 현수막고정너클
440 : 현수막고정핀 500 : 메인와이어
510 : 체인 600 : 보조와이어
610 : 측면고정너클 700 : 현수막
800 : 기둥

Claims (2)

  1.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현수막 설치를 위한 하나의 기둥(800) 또는 벽의 상부에 고정되고, 일측에 회전축(110)을 갖는 도르래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110)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브라켓(120)이 설치되어 있는 도르래고정장치(100)와;
    상기 하나의 기둥(800) 또는 벽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걸고리(210)가 설치되어 있는 걸고리고정장치(200)와;
    상기 회전브라켓(120)에 고정되어 있으며, 일측에 걸림홈(310)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걸이부재삽입관(300)과;
    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타측에 비해 입구가 좁게 형성된 와이어걸림구(410)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현수막의 일측면이 고정되는 현수막걸이부재(400)와;
    일측이 상기 현수막걸이부재(400)에 삽입되되 끝단이 와이어걸림구(410)에 걸려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와이어걸림구(410)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도르래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타측 끝단에 체인(510)이 설치되어 걸고리(210)에 체인(510)이 걸리도록 구성된 메인와이어(500)와;
    일측이 상기 현수막걸이부재(40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체인(510)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와이어(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와이어(600)에 다수 개의 너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
KR1020070116850A 2007-11-15 2007-11-15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 KR100859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850A KR100859953B1 (ko) 2007-11-15 2007-11-15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850A KR100859953B1 (ko) 2007-11-15 2007-11-15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953B1 true KR100859953B1 (ko) 2008-09-25

Family

ID=4002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850A KR100859953B1 (ko) 2007-11-15 2007-11-15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9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052Y1 (ko) 1999-07-28 2000-02-15 이유선 승하강식현수막걸이구
KR200299943Y1 (ko) 2002-09-19 2003-01-06 신정훈 가로등 승하강 장치
KR200331901Y1 (ko) 2003-07-28 2003-10-30 임태향 세로형 현수막 설치대
KR200382057Y1 (ko) 2004-12-07 2005-04-19 박진우 현수막게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052Y1 (ko) 1999-07-28 2000-02-15 이유선 승하강식현수막걸이구
KR200299943Y1 (ko) 2002-09-19 2003-01-06 신정훈 가로등 승하강 장치
KR200331901Y1 (ko) 2003-07-28 2003-10-30 임태향 세로형 현수막 설치대
KR200382057Y1 (ko) 2004-12-07 2005-04-19 박진우 현수막게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480Y1 (ko) 현수막 걸이대
KR20130033628A (ko) 승강형 지주대
JP5264138B2 (ja) 幟旗掲揚装置
KR100859953B1 (ko) 하나의 기둥에 설치되는 현수막 게시장치
KR200438975Y1 (ko) 배너광고용 클램프 장치
KR200359836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1017635B1 (ko) 현수막 걸이대
KR100848007B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720888B1 (ko) 자중 낙하식 현수막 게시대
KR100934638B1 (ko)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
KR100862212B1 (ko) 상부 고정 방식의 현수막 게시장치
KR100709089B1 (ko) 가로등의 깃대장치
KR200362649Y1 (ko) 육교 현수막 게시장치
KR100799726B1 (ko) 현수막 게시대
KR101350848B1 (ko) 건물용 현수막게시대의 소음방지구조
KR200170732Y1 (ko) 현수막 게시장치
CN211207855U (zh) 一种led透明屏展示装置
JP4187628B2 (ja) 渦巻きバネ式バランサ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障子の建込み方法
KR200313848Y1 (ko) 현수막 게시대
KR200237895Y1 (ko) 국기 말림 방지장치
CA26750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ocating and supporting an object
CN204570296U (zh) 组合式晾衣架
KR200237756Y1 (ko) 현수막 걸이 장치
JP3151103U (ja) 旗支持具
KR200190982Y1 (ko) 회전식 현수막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