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544B1 -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544B1
KR100859544B1 KR1020070132201A KR20070132201A KR100859544B1 KR 100859544 B1 KR100859544 B1 KR 100859544B1 KR 1020070132201 A KR1020070132201 A KR 1020070132201A KR 20070132201 A KR20070132201 A KR 20070132201A KR 100859544 B1 KR100859544 B1 KR 100859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vertical
plate
ceiling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석
Original Assignee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2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식으로 건축물의 천정 하부에 설치됨은 물론 시공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정(10) 하면에 매설된 다수개의 매설 너트(12)에 수직하게 볼트체결되되, 길이 양측과 길이 중간 위치에 인접하여 볼트부(21)가 성형된 수직 강봉체(20);
수직 강봉체(20)가 수직홀(41)을 관통하여 너트(N)로 체결고정되되, 사각판체로, 폭 및 길이를 따라 다수개의 수직홀(41)과 사각홀(42)이 관통형성된 트레이판(40);
트레이판(40)의 사각홀(42)에 다수개가 수직하게 입설되되, 평판부(51)의 사이에 다수개의 원형관부(53)가 일체 형성된 부재로, 평판부(51)의 길이 양측에 수평홀(52)이 관통되고 원형관부(53)의 중앙은 관통되어 형성되어 고전압 케이블, 통신선, 전화선 등의 라인이 내부에 삽입정렬되는 전선 분기대(50);
전선 분기대(50)의 길이 양측에 체결되어 유동을 방지하되, 길이 양측에 볼트부(31)가 성형되어 너트(N)로 체결고정되는 수평 강봉체(30);를 포함하되,
전선 분기대(50)에는 상,하부에 각각 트레이판(40)이 체결되는 형태로 천정(10) 하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가 제시된다.
천정, 전기, 트레이, 전선 분기대, 강봉체

Description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ELECTRIC TRAY STRUCTURE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식으로 건축물의 천정 하부에 설치됨은 물론 시공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고전압의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등 다양한 라인을 각 세대로 분배하기 위해 케이블 트레이가 건축물의 지하 주차장 천정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 케이블 트레이는 다양한 형태로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등의 라인을 분배하는 경우에 이용되고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현재는 다양한 형태로 케이블 트레이가 연구되고 개발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정 하부에 조립식 형태로 설치되어 시공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천정 하면에 매설된 다수개의 매설 너트에 수직하게 볼트체결되는 수직 강봉체;
수직 강봉체가 수직홀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고정되는 사각판체로, 폭 및 길이를 따라 다수개의 수직홀과 사각홀이 관통형성된 트레이판;
트레이판의 사각홀에 다수개가 수직하게 입설되고 원형관부의 중앙에 고전압 케이블, 통신선, 전화선 등의 라인이 내부에 삽입정렬되는 전선 분기대;
전선 분기대의 길이 양측에 체결되어 유동을 방지하되, 길이 양측에 볼트부가 성형되어 너트로 체결고정되는 수평 강봉체;를 포함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에서 발생되는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에 의하면, 고전압 케이블, 통신선, 전화선 등의 라인을 효과적으로 분배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 전기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전기 트레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전기 트레이의 폭을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전기 트레이의 길이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90)는, 트레이판(40)에 안착된 다수개의 전선 분기대(50)를 체결고정하는 강봉체(20)(30), 전선 분기대(50)가 사각홀(42)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트레이판(40), 고전압 케이블, 통신선, 전화선 등의 라인이 내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전선 분기대(50)로 구성된다.
강봉체(20)(30)는 길이를 따라 나사산이 성형된 볼트부(21)(31)가 형성되되, 수직 강봉체(20)는 길이 양측과 길이의 중앙에 위치하여 볼트부(21)가 성형되고 수평 강봉체(30)는 길이 양측에 볼트부(31)가 성형된다.
트레이판(40)은 사각판체로, 폭 및 길이를 따라 다수개의 수직홀(41)과 사각홀(42)이 관통형성되고, 트레이판(40)에는 수직홀(41)에 수직 강봉체(20)가 관통되어 너트(N)로 고정된다.
즉, 트레이판(40)은 수직 강봉체(20)가 천정(10) 하면에 매설된 매설 너트(12)에 상부가 볼트체결되어 지지되고, 수직 강봉체(20)의 하부가 트레이판(40)을 관통하여 너트(N)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전선 분기대(50)는 평판부(51)의 사이에 다수개의 원형관부(53)가 일체 형성된 부재로, 평판부(51)의 길이 양측에 수평홀(52)이 관통되고 원형관부(53)의 중앙은 관통되어 형성된다.
즉, 전선 분기대(50)는 트레이판(40)의 사각홀(42)에 다수개가 수직하게 입설된 상태에서 수평 강봉체(30)가 관통되어 너트(N)로 체결고정된다.
한편, 전선 분기대(50)에는 상,하부에 각각 트레이판(40)이 체결된다.
상술한 케이블 트레이(90)가 건축물의 천정(10) 하면에 시공되는 순서를 간단한게 설명한다.
첫째로, 천정(10)의 하면에 매설된 매설 너트(12)에는 수직 강봉체(20)를 체결하는 단계이다.
즉, 천정(10)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매설 너트(12)가 매설되어 있는 바, 각각의 매설 너트(12)에 수직 강봉체(20)를 체결하게 된다.
둘째로, 수직 강봉체(20)에 트레이판(40)을 체결하는 단계이다.
이때 작업성의 향상을 위해 트레이판(40)에 다수개의 전선 분기대(50)를 기 설치하고 수평 강봉체(30)를 체결할 수 있다.
즉, 트레이판(40)에는 전선 분기대(50)가 다수개 수직하게 입설되고 수평 강봉체(30)가 수평홀(52)을 관통하여 너트(N)로 체결고정한다.
셋째로, 전선 분기대(50)에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등 다양한 라인(6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전선 분기대(50)에는 원형관부(53)에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등 다양한 라인(60)을 삽입설치하여 정렬되게 된다.
상술한 케이블 트레이(90)를 구성함에 있어 강봉체(20)(30), 트레이판(40) 및 전선 분기대(5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90)를 구성함에 있어, 도 4와 같이, 트레이판(40)에 전선 분기대(50)를 수직하게 삽입설치한 후 전선 분기대(50)에 수평 강봉체(30)를 체결한 단위(UNIT)로 다수개의 단위가 천정(10) 하면에 설치되어 케이블 트레이(90)를 구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물 전기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전기 트레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전기 트레이의 폭을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전기 트레이의 길이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천정 12; 매설 너트
20,30; 수직 및 수평 강봉체 21,31; 볼트부
40; 트레이판 41; 수직홀
42; 사각홀 50; 전선 분기대
51; 평판부 52; 수평홀
53; 원형관부 60;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등 다양한 라인
90; 케이블 트레이

Claims (1)

  1. 천정(10) 하면에 매설된 다수개의 매설 너트(12)에 수직하게 볼트체결되되, 길이 양측과 길이 중간 위치에 인접하여 볼트부(21)가 성형된 수직 강봉체(20);
    수직 강봉체(20)가 수직홀(41)을 관통하여 너트(N)로 체결고정되되, 사각판체로, 폭 및 길이를 따라 다수개의 수직홀(41)과 사각홀(42)이 관통형성된 트레이판(40);
    트레이판(40)의 사각홀(42)에 다수개가 수직하게 입설되되, 평판부(51)의 사이에 다수개의 원형관부(53)가 일체 형성된 부재로, 평판부(51)의 길이 양측에 수평홀(52)이 관통되고 원형관부(53)의 중앙은 관통되어 형성되어 고전압 케이블, 통신선, 전화선 등의 라인이 내부에 삽입정렬되는 전선 분기대(50);
    전선 분기대(50)의 길이 양측에 체결되어 유동을 방지하되, 길이 양측에 볼트부(31)가 성형되어 너트(N)로 체결고정되는 수평 강봉체(30);를 포함하되,
    전선 분기대(50)에는 상,하부에 각각 트레이판(40)이 체결되는 형태로 천정(10) 하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
KR1020070132201A 2007-12-17 2007-12-17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 KR100859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201A KR100859544B1 (ko) 2007-12-17 2007-12-17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201A KR100859544B1 (ko) 2007-12-17 2007-12-17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544B1 true KR100859544B1 (ko) 2008-09-23

Family

ID=4002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201A KR100859544B1 (ko) 2007-12-17 2007-12-17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5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53Y1 (ko) 2011-08-30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착탈식 수직지지부재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KR102261266B1 (ko) * 2021-04-16 2021-06-07 주식회사 더베스트솔라 공동주택 배전용 인입내선 절첩형 연결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931A (ja) * 2000-08-11 2002-02-2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931A (ja) * 2000-08-11 2002-02-2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20-025793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53Y1 (ko) 2011-08-30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착탈식 수직지지부재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KR102261266B1 (ko) * 2021-04-16 2021-06-07 주식회사 더베스트솔라 공동주택 배전용 인입내선 절첩형 연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860B1 (ko)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1220128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모듈
KR100859544B1 (ko) 건축물 전기 트레이 구조
JP2020028171A (ja) 分岐部形成装置、分岐構造、共同溝、及び、分岐部を形成する方法
KR100619136B1 (ko) 덕트 지지장치
KR101049961B1 (ko) 공동주택의 다전선 배전박스의 고정장치
US20090173519A1 (en) Insulating Element For Busbars And Insulating And Supporting Device For Busbars Comprising This Element
KR100940228B1 (ko) 배전선로 전선관 간격편
KR20140132626A (ko) 인입선 지지 구조체
RU2316637C1 (ru) Переходная опора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100807705B1 (ko) 건축물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20120022139A (ko) 케이블 트레이
RU57324U1 (ru) Переходная опора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101668056B1 (ko) 가로등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AU2010297972B2 (en) Electric fencing standard
KR200476569Y1 (ko) 전선관 지지홀더
KR100827605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배선덕트 구조
EP2388876A2 (en) Wall support for electrical conductor carrier trays
KR100847253B1 (ko) 변압기 설치부위를 가진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주.
JP3204268U (ja) 柵体における照明装置の配線構造
JP2005039938A (ja) 変圧器室設備
KR101437282B1 (ko) 송전탑 구조 연결부재
KR101617385B1 (ko) 배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200229460Y1 (ko) 부스바 절연 지지구
JP2005312267A (ja) 母線バーの接続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