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366B1 -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366B1
KR100859366B1 KR1020070023607A KR20070023607A KR100859366B1 KR 100859366 B1 KR100859366 B1 KR 100859366B1 KR 1020070023607 A KR1020070023607 A KR 1020070023607A KR 20070023607 A KR20070023607 A KR 20070023607A KR 100859366 B1 KR100859366 B1 KR 100859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unnel
main body
label
dry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819A (ko
Inventor
박홍성
Original Assignee
(주) 신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 신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070023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366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B65C3/14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 B65C3/1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by rolling the labels onto cylindrical containers, e.g. bottles
    • B65C3/163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by rolling the labels onto cylindrical containers, e.g. bottles where the label is of the wrap-around type
    • B65C3/16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by rolling the labels onto cylindrical containers, e.g. bottles where the label is of the wrap-around type the label being shrunken after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0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 B65C9/24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65C9/28Air-blas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외주면에 라벨지를 위치시킨 후 건식증기를 분사하여 라벨지가 수축되면서 용기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용기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터널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터널에 설치되어 용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공급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급수를 다시 건식증기로 생성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서 생성된 건식증기를 저장함과 동시에 터널로 공급하는 공급분배기와, 상기 터널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분배기에서 공급된 건식증기를 분사하는 스팀분사관과,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가열수단 및 공급분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벨지, 용기, 건식증기, 보일러, 과열기, 터널

Description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A affix device of courage lab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과열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급분배기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라벨지 부착장치 110 : 본체
112 : 터널 113, 114 : 입,출구
120 : 컨베이어벨트 130 : 가열수단
132 : 보일러 136, 156 : 제1,2필터부
140 : 과열기 142 : 몸체
144 : 수납공간부 145 : 가열관
146 : 연결관 147 : 배출관
148 : 히터 150 : 공급분배기
151 : 저장탱크 152 : 분배관
160 : 스팀분사관 170 : 제어부
180 : 배출덕트
본 발명은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외주면에 라벨지를 위치시킨 후 스팀을 분사하여 라벨지가 수축되면서 용기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벨지는 용기의 내용물에 대한 상표와 제조회사, 용량, 가격 등 용기 제품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표기하여 용기의 외주면에 부착함으로써 수요자들로 하여금 이 제품에 대한 인식 및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라벨지를 용기에 부착하는 방식은 열에 잘 수축되는 수축필름으로 제작된 라벨지를 부착하고자 하는 용기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 여 용기의 외주면에 삽입하고 이를 열에 의해 라벨지가 수축되면서 용기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부착되게 되어있다.
이렇게 열에 의해 수축시키는 방법을 위해서는 가열로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가열 방식은 터널 내부에 히터장치를 설치하여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터널을 통과하는 용기에 열을 가하여 용기 외주면에 끼워진 라벨지가 수축되게 하여 부착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기히터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에 라벨지를 부착시키는 방법은 전기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게 되어 에너지 낭비가 발생되고, 발열부분과 비발열 부분간에 심한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어 열에 의해 라벨지가 수축될 때 미수축부가 발생 되어 이 부분에 의해 주름이 잡히는 등의 불량제품이 생산되게 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보일러를 이용하여 용기에 라벨지를 부착시키는 방법을 채택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보일러를 이용하는 방식은 라벨지 부착장치와 보일러가 별도로 설치되어 보일러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라벨지 부착장치의 터널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여 라벨지를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일러를 이용하는 방식은 라벨지 부착장치와 보일러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게 되고, 라벨부착장치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라벨지 부착장치에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물을 가열시키는 보일러가 내부에 내장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라벨지 부착장치의 부피를 작게 하여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설치비용을 절감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보일러와 과열증기부를 통과하면서 습식증기가 건식증기로 바뀌어진 건식스팀을 터널 내부로 분사가 이루어지게 되어 고른 가열에 의해 용기의 외주면에 구비된 라벨지가 수축되면서 용기 외주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터널 내부와 연통되는 배기덕트를 더 구비하여 터널 내부의 고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컨베이어벨트와, 공급분배기와, 스팀분사관과, 제어부로 이루어진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를 가열하여 건식증기를 생성하는 가열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용기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터널이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용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본체의 터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가열수단은 공급수를 2차에 걸쳐 가열하여 건식증기를 생성되도록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분배기는 상기 가열수단에서 생성된 건식증기를 저장함과 동시에 터널로 분배하여 공급하며, 상기 스팀분사관은 상기 공급분배기에서 생성된 건식증기를 분사하되 상기 터널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가열수단 및 공급분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열수단은 공급수를 가열하는 습식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가 구비되고,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습식증기를 다시 가열시켜 건식증기를 생성하는 과열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과열기는 내부에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히터가 구비되며, 상기 전기히터를 감싸도록 설치된 가열관이 구비되며, 상기 가열관의 일측은 보일러와 연계되고 타측부는 상기 공급분배기와 연계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분배기는 건식증기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건식증기를 상기 터널로 공급하는 다수개의 분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분배관 상에는 밸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건식증기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는 상기 보일러로 공급되는 연결관 및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공급분배기의 사이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제1,2필터부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팀분사관은 상기 본체의 터널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분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양측부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는 다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터널과 연계되게 하여 상부로 돌출시켜 상기 터널의 내부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터널 입구와 출구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배기덕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과열기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공급분배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100)는 하단부 내부에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1)의 상단에는 입구(113)와 출구(114)가 형성된 터널(112)이 형성된 본체(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공간부(111)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15)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커버부재(115)는 상기 본체(110)에 볼트(116)로 체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터널(112)의 양측면에는 개폐문(117)이 더 구비되어 상기 터널(112) 내부의 고장 및 이동되는 용기(C)가 넘어져 오작동시에 개폐문(117)을 개 방하여 터널(112) 내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유지보수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터널(112)을 관통하여 양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용기(C)를 상기 입구(113)를 통하여 터널(112) 내부로 공급하여 출구(114)로 배출시키는 컨베이어벨트(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20)는 상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다리(122)가 더 구비되어 안전하게 상기 컨베이어벨트(120)가 작동을 하게 된다.
또한, 본체(110)의 공간부(111)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급수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급수를 다시 가열하여 건식증기로 생성하는 가열수단(1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130)은 외부의 공급수를 공급받아 가열하는 보일러(132)가 구비되고, 상기 보일러(132)에서 가열된 공급수는 다시 가열하여 건식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과열기(1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132)는 라벨지(L)를 부착시키는 용기(C)의 용량 또는 생산 정도에 따라 산업용 및 소형 전기보일러를 사용하게 된다.
나아가, 외부로부터 상기 보일러(132)로 공급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34)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정화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필터부(136)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과열기(140)는 내부에 수납공간부(144)가 형성된 몸체(14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42)의 수납공간부(144)에 설치되는 히터(148)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히터(148)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코일 형상으로 설치된 가열관(145) 이 구비되며, 상기 가열관(145)의 일측끝단부에는 상기 보일러(132)와 연계되는 연결관(146)이 연결되고, 타측부 끝단부에는 상기 몸체(142)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147)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과열기(140)에 형성된 배출관(147)과 연계되어 상기 과열기(140)에서 생성된 건식증기를 저장함과 동시에 터널(112)로 공급하는 공급분배기(1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분배기(150)는 상기 과열기(140)에서 생성된 건식증기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탱크(151)에 저장된 건식증기를 상기 터널(112)로 공급하는 다수개의 분배관(152)이 구비되되 상기 분배관(152)에는 상기 저장탱크(151)에 저장된 건식증기를 터널(112)로 공급하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15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51)에 저장되는 건식증기에 의해 압력이 발생되고 이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154)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과열기(140)와 공급분배기(150)의 사이에 형성된 배출관(147) 상에는 상기 과열기(140)에서 생성된 건식증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제2필터부(156)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배관(152)에 연결되어 상기 터널(1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분사관(16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팀분사관(160)은 상기 터널(112)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게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양측에 설치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스팀분사관(16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분사공(162)이 형성되되 상기 분사공(162)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20)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와 상기 가열수단(130)의 보일러(132) 및 과열기(140)와 공급분배기(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속도, 터널(112) 내부온도 등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보일러(132) 및 과열기(140)의 동작, 즉 상기 보일러(132) 및 과열기(140)의 동작을 단속하여 상기 저장탱크(151)에 저정되는 건식증기의 일정 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분배기(150)의 분배관(152)에 형성된 밸브(153)를 단속하여 라벨지(L)를 부착하고자 하는 용기(C)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상기 스팀분사관(160)으로 분사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를 동작시키는 조작부(172)가 구비되되 상기 조작부(172)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어떠한 위치에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상기 터널(112) 내부로 분사된 건식증기에 의해 발생된 폐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18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덕트(180)는 상기 터널(112)의 입구(113)와 출구(11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112)의 입구(113)와 출구(114)를 통하여 누출되는 열기 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상기 입구(113)와 출구(114)를 통하여 작업장의 주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이 열기에 의해 화상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용 라벨지(L) 부착장치는 먼저, 상기 조작부(172)의 스위치를 OFF에서 ON으로 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보일러(132)와 과열기(140)가 작동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공급관(134)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는 상기 제1필터부(136)를 통과하면서 공급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보일러(132)로 공급되고, 상기 보일러(132)로 공급된 공급수는 가열되어 습식 습식수증기가 되고, 상기 보일러(132)에서 가열된 습식수증기는 다시 상기 연결관(146)을 통하여 상기 과열기(140)로 공급된다.
이렇게 가열된 습식수증기가 상기 과열기(140)로 공급되고 상기 과열기(140)로 공급된 습식수증기는 상기 가열관(145)을 통과하면서 히터(148)에 의해 가열되어 건식증기가 생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과열기(140)의 가열관(145)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건식증기는 배출관(147)을 통하여 상기 제2필터부(156)를 거쳐 상기 저장탱크(151)로 저장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151)에 저장되는 건식증기의 압력계(154)가 높게 올라가게 되면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보일러(132) 및 과열기(140)의 동작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저장탱크(151)에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저장탱크(151)에 저장된 건식증기는 상기 분배관(152)을 통하여 상기 터널(112) 내부에 설치된 스팀분사관(160)으로 공급되고, 상기 스팀분사관(160)으로 공급된 건식증기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20) 방향으로 상기 분사공(162)을 통하여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건식증기가 터널(112) 내부로 분사되어 상기 터널(112) 내부의 온도는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터널(112) 내부로 건식증기를 분사하여 온도를 상승시킨 후에 상기 컨베이어벨트(120)를 동작시켜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부에 용기(C)를 올려놓게 되면, 즉 상기 용기(C)에 부착하고자 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라벨지(L)는 상기 용기(C)의 외주부보다 직경을 약간 크게 형성하여 상기 용기(C)의 외주부에 끼워 위치시킨 후에 동작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부에 올려놓게 되면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에 의해 상기 입구(113)를 통하여 터널(112) 내부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터널(112) 내부로 이동된 용기(C)는 상기 터널(11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용기(C)는 스팀분사관(160)에서 분사되는 건식증기와 터널(112) 내의 온도에 의해 라벨지(L)가 수축되면서 상기 용기(C)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터널(112) 내부를 통과하면서 라벨지(L)가 수축하여 용기(C)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게 되고, 상기 용기(C)는 상기 출구(1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부에 라벨지(L)를 부착되기 전의 용기(C)를 올려놓게 되면 상기 터널(112)을 통과하면서 용기(C)에 라벨지(L)가 견고하게 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터널(112) 내부로 공급되는 용기(C)의 용량, 즉 용기(C)의 재질 또는 크기에 따라 스팀분사관(160)을 통하여 분사되는 건식증기의 양을 조절할 수가 있는데, 이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분배관(152)에 구비된 밸브(153)를 조절하여 상기 터널(112) 내부로 분사되는 건식증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터널(112)의 내부로 공급되어 통과하는 용기(C)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70)에서 상기 밸브(153)를 조절하여 상기 터널(112) 내부로 공급되는 건식증기의 양을 적게 하거나, 또는 상기 밸브(153)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터널(112) 내부의 상단부에 위치한 스팀분사관(160)의 스팀 분사를 차단하고 하부에 위치한 스팀분사관(160)에서만 분사되게 하여 용기(C)에 직접 분사되게 할 수도 있다.
반대로, 용기(C)가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밸브(163)를 모두 개방하여 전체의 스팀분사관(160)에서 건식증기가 분사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터널(112) 내부로 건식증기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용기(C)에 라벨지(L)를 부착함으로써, 열에너지가 라벨지(L)에 전체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용기(C)에 변형 없이 수축되면서 견고하게 부착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터널(112) 내부의 열기는 상기 배출덕트(18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상기 터널(112) 내부의 열기가 작업장으로 배출되어 화상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터널 내부를 통과하는 용기에 부착하고자하는 라벨지에 건식증기를 직접 분사하여 라벨지에 고르게 열기가 전달되어 라벨지가 일정하게 수축되어 용기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게 되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급수를 공급하여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본체의 공간부에 설치되게 되어 장치의 부피가 작아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터널의 입구와 출구 방향에 배출덕트를 구비하여 터널 내부로 분사되는 건식증기가 입구 및 출구를 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고열에 의해 화상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본체와, 컨베이어벨트와, 공급분배기와, 스팀분사관과, 제어부로 이루어진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를 가열하여 건식증기를 생성하는 가열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용기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터널이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용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본체의 터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가열수단은 공급수를 2차에 걸쳐 가열하여 건식증기를 생성되도록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분배기는 상기 가열수단에서 생성된 건식증기를 저장함과 동시에 터널로 분배하여 공급하며,
    상기 스팀분사관은 상기 공급분배기에서 생성된 건식증기를 분사하되 상기 터널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가열수단 및 공급분배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공급수를 가열하는 습식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가 구비되고,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습식증기를 다시 가열시켜 건식증기를 생성하는 과열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기는 내부에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히터가 구비되며, 상기 전기히터를 감싸도록 설치된 가열관이 구비되며, 상기 가열관의 일측은 보일러와 연계되고 타측부는 상기 공급분배기와 연계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분배기는 건식증기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건식증기를 상기 터널로 공급하는 다수개의 분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분배관 상에는 밸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건식증기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는 상기 보일러로 공급되는 연결관 및 상기 가열수단과 상기 공급분배기의 사이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제1,2필터부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분사관은 상기 본체의 터널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분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양측부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는 다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9.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터널과 연계되게 하여 상부로 돌출시켜 상기 터널의 내부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터널 입구와 출구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배기덕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KR1020070023607A 2007-03-09 2007-03-09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KR100859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607A KR100859366B1 (ko) 2007-03-09 2007-03-09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607A KR100859366B1 (ko) 2007-03-09 2007-03-09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819A KR20080082819A (ko) 2008-09-12
KR100859366B1 true KR100859366B1 (ko) 2008-09-19

Family

ID=4002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607A KR100859366B1 (ko) 2007-03-09 2007-03-09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77195B (zh) * 2021-06-09 2023-06-16 金华市爱的日化有限公司 一种全自动贴标喷码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663B1 (ko) * 1985-01-11 1994-10-15 오오엔즈-이리노이 인코포레이팃드 용기상에 라벨을 열 수축시키는 장치 및 방법
JPH07187148A (ja) * 1993-12-22 1995-07-25 Fuji Seal Co Ltd ラベルの収縮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150812A (ja) * 1995-11-30 1997-06-10 Gordex Kk ラベル装着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663B1 (ko) * 1985-01-11 1994-10-15 오오엔즈-이리노이 인코포레이팃드 용기상에 라벨을 열 수축시키는 장치 및 방법
JPH07187148A (ja) * 1993-12-22 1995-07-25 Fuji Seal Co Ltd ラベルの収縮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150812A (ja) * 1995-11-30 1997-06-10 Gordex Kk ラベル装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819A (ko)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0271A (ko) 증기 세탁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제어 방법
US8288690B2 (en) Oven steam generator systems and methods
KR200417397Y1 (ko) 자동차 시트의 주름제거장치
CN102666962B (zh) 具有蒸汽产生装置的衣物处理装置和用于操作衣物处理装置的方法
US20140157734A1 (en) Rotary system for simultaneously blowing and filling plastic containers
AR005156A1 (es) Aparato y metodo de inyeccion ultrasonica de combustible liquido
KR100859366B1 (ko) 용기용 라벨지 부착장치
KR980008343A (ko) 접착제 공급장치용 다중배치 팰릿타이저 헤드
JP3214347B2 (ja) 包材殺菌方法及びその装置
ATE242749T1 (d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zuführrohres und eines rücklaufrohres mit dem spund eines flüssigkeitsbehälters
KR101780150B1 (ko) 스팀 포장 장치
SU1692664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нанесени защитного покрыти
CN215781601U (zh) 一种组合式热水闪蒸罐
CN202419834U (zh) 一种电加湿器
CN109157855B (zh) 一种喷雾干燥装置
CN105398623A (zh) 蒸汽包装机的蒸汽供应装置
CN107401034A (zh) 干衣机
JPH062885Y2 (ja) 蒸気のドレン除去装置
CN214168499U (zh) 加热式香水箱及手持式衣服挂烫机
CN207170061U (zh) 一种改进型水蒸气喷管
CN212511804U (zh) 一种蒸气加热的腐蚀性液体添加装置
US201102907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Powder Handling for Welding Apparatus
CN220205726U (zh) 一种制备过热蒸汽的加热装置
RU2064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распыления нагретой вязкой антикоррозионной консервационной смазки
IT202100029417A1 (it) Robot mobile per il lavaggio bifasico, personalizzato e simultaneo, interno ed esterno, di fusti di birra e bottiglie di vet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