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310B1 -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310B1
KR100859310B1 KR1020070002929A KR20070002929A KR100859310B1 KR 100859310 B1 KR100859310 B1 KR 100859310B1 KR 1020070002929 A KR1020070002929 A KR 1020070002929A KR 20070002929 A KR20070002929 A KR 20070002929A KR 100859310 B1 KR100859310 B1 KR 100859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pipe
plate
boiler
pip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811A (ko
Inventor
김학렬
Original Assignee
김학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렬 filed Critical 김학렬
Priority to KR1020070002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31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3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comprising junction pieces for four or more pip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체결부위의 용접에 따른 누수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작방법은, 보일러 시스템에서 히팅된 온수를 실내로 분배 또는 감온된 온수를 회수하기 위해 관체에 다수의 배관들이 결합된 분배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소정 폭을 갖는 판재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연결공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b) 상기 연결공을 일정 지름의 구멍으로 확관하면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절곡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링단계; c) 상기 판재를 가압수단으로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향되게 밴딩처리하는 밴딩단계; d) 상기 판재를 소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단계; e) 상기 판재를 원통형상의 분배관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f) 상기 가압수단에서 원통형상의 분배관을 탈거하는 탈거단계; g) 상기 분배관의 절개된 부위를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단계; 및 h) 상기 분배관의 양단을 축관하는 축관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보일러용 분배관, 분기관, 분배시스템, 분기시스템, 분배관 제작방법

Description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BOILER MANIFOLD PRODUCTION METHOD AND THAT MANIFOLD}
도 1은 종래의 주택용 보일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공급 및 순환분배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시스템 분배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판재
100', 100'' : 분배관
110 : 연결공 112 : 절곡면
120 : 축관홈
200 : 가압수단
210 : 상부지지대 220, 230 : 수직지지대
240 : 수평지지대 250 : 타성형틀
300 : 하금형
310 : 타형상홈 312 : 도피홀
400 : 상금형
410 : 상타형상홈
본 발명은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에 천공 및 버링 공정을 거친 후, 소정 길이로 커팅하고, 커팅된 판재를 밴딩처리하며, 이러한 판재를 하금형 상부에 안착시키고 상부로 원통형상의 타성형틀로 가압함으로써, 판재가 하금형 내부로 가압되면서 원통형상의 분배관으로 성형시키며, 성형된 분배관의 절개부위를 용접한 후 양단에 축관을 형성시켜 마무리하는 제작방법에 따라 더욱더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용접부위로 누수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용 보일러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보일러의 공급관(1)으로부터 유입되는 온수를 각 실내로 공급하는 공급분배관(3)과, 상기 각 실내로부터 유입되는 온수를 상기 보일러의 순환관(2)으로 순환 공급하는 순환분배관(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분배관(3)에는 각 실내에 설치된 온수 파이프로 공급되는 온수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다수의 유량 조절밸브(31)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분배관(4)에는 각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밸브(41)가 구비된다.
이러한 주택용 보일러 시스템은 보일러의 작동으로 히팅된 온수가 배관을 통 해 공급분배관(3)에 공급되고, 상기 공급분배관(3)으로 공급된 온수는 각 실내의 온수 파이프를 통해 실내를 순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실내가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실내로 순환하며 온도가 내려간 온수는 상기 순환분배관(4)을 통해 보일러로 복귀되어 재가열된 후 공급분배관(3)으로 재공급하여 재순환시키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공급 및 순환 분배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기 공급분배관(3) 또는 순환분배관(4)은 관체(3a)와 상기 관체(3a)의 일측에 밸브(31)가 체결되는 연결구(3b)가 다수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3b)에 밸브(31, 41)가 체결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구(3b)는 관체(3a)의 종류에 따라 암나사를 형성하여, 밸브(31, 41)가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분배노즐(미도시)을 융착시켜 상기 분배노즐에 밸브(31, 41)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분배관은 관체(3a)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구(3b)에 체결된 밸브(31, 41)를 사용자가 일일이 조작하여 각 실내로 공급되는 온수량을 조절하여 실내 온도를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밸브(31, 41)가 결합된 연결구(3b)의 타측에 자동 조절밸브(10)를 더 구성한 시스템 분배관이 사용되는 것으로, 도 3은 종래의 시스템 분배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일측에 밸브(31)가 결합된 관체(3a)로 구성된 분배관(30)에 있어서, 밸브(31)와 대향되는 타 측에 제2연결구(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제2연결구에 체결 고정되는 자동 조절밸브(10)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자동 조절밸브(1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온수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분배관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온수량을 실내에서 원격으로 조정함에 따라 종래의 수동에 의한 온수량 조절에 의한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분배관 또는 시스템 분배관은 단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종래의 분배관 또는 시스템 분배관이 고가의 재질인 청동 또는 황동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가공에 있어서도 주조법에 의한 성형법으로 형성함에 따라 재질 및 제조에 의해 고가일 수밖에 없다.
아울러, 종래의 분배관 또는 시스템 분배관은 사용 유효기간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내부에 항상 온수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청동 또는 황동으로 형성된 분배관 내부가 온수에 의해 부식되고, 더불어 부식에 의한 이물질 및 오염물이 적층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온수량의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자동 조절밸브가 구성된 시스템 분배관에서는 큰 장애로 작용하므로, 일정 사용이 된 후에는 내부를 청소하거나 또는 교체해줘야 하는 유지보수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으로 최근에는 온수에 의한 부식이 없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스텐레스 재질의 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스텐레스의 분배관은 스텐레스 파이프의 일측에 밸브를 결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공을 천공하고, 상기 천공된 연결공에 분배노즐을 고정하기 위해 알곤용접과 같은 특수 용접으로 상기 분배노즐을 고정함으로 종래의 청동 또는 황동으로 형성된 분배관에 비해 재질단가 및 가공단가가 저가라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분배노즐을 파이프에 고정시 용접에서 발생하는 고온에 의한 변형으로 파이프와 분배노즐의 수직 중심이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자동 조절밸브를 채용하는 시스템 분배관에서는 용이한 온수량의 제어가 어려워 사용의 한계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배관의 연결공에 밸브를 직접 연결한 후 용접처리하게 되어 용접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거나 용접부위가 손상되어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종래와는 달리, 판재에 천공 및 버링공정을 거친 후, 상기 판재를 밴딩 및 커팅처리하고, 이를 가압하여 원통 형상의 분배관으로 성형시키며, 성형된 분배관의 절개부위를 용접처리하고, 양단을 축관처리하며, 상기 천공 및 버링된 부위에 탭가공을 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누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은, 보일러 시스템에서 히팅된 온수를 실내로 분배 또는 감온된 온수를 회수하기 위해 관체에 다수의 배관들이 결합된 분배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소정 폭을 갖는 판재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연결공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b) 상기 연결공을 일정 지름의 구멍으로 확관하면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절곡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링단계; c) 상기 판재를 가압수단으로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향되게 밴딩처리하는 밴딩단계; d) 상기 판재를 소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단계; e) 상기 판재를 원통형상의 분배관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f) 상기 가압수단에서 원통형상의 분배관을 탈거하는 탈거단계; g) 상기 분배관의 절개된 부위를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단계; 및 h) 상기 분배관의 양단을 축관하는 축관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링단계를 통해 형성된 다수의 연결공에 나사선을 갖는 밸브가 체결될 수 있도록 탭 가공을 하는 탭가공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성형단계는, 내부로 상기 연결공의 절곡면이 삽입되는 도피홀을 갖는 반호 형상의 타형상홈이 형성되는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판재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판재를 원통형상의 분배관으로 성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은,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의 하부면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수평지지대; 및 상기 수평지지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금형의 타형상홈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판재를 원통형상으로 성형시키는 타성형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의 수평지지대에는, 상기 타성형틀에 가압된 상태의 분배관을 일측으로 탈거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지지대에 구비되는 수평지지대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은 상기 수직지지대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은, 보일러 시스템에서 히팅된 온수를 실내로 분배 또는 감온된 온수를 회수하기 위해 관체에 다수의 배관들이 결합된 분배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소정 폭을 갖는 판재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연결공을 천공하는 천공단계; b) 상기 연결공을 일정 지름의 구멍으로 확관하면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절곡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링단계; c) 상기 판재를 가압프레스장치로 중심부를 기준으로 U자 형상으로 밴딩처리하되, 양끝단이 내측으로 만곡지게 밴딩처리하는 밴딩단계; d) 상기 판재를 소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단계; e) 상기 판재를 원통형상의 분배관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f) 상기 분배관의 절개된 부위를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단계; 및 g) 상기 분배관의 양단을 축관하는 축관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링단계를 통해 형성된 다수의 연결공에 나사선을 갖는 밸브가 체결될 수 있도록 탭 가공을 하는 탭가공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성형단계는, 내부로 상기 연결공의 절곡면이 삽입되는 도피홀을 갖는 반호 형상의 타형상홈이 형성되는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금형의 타형상홈에 대향되게 상타형상홈이 형성되는 상금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금형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판재를 프레스 장치에 의해 상기 판재를 원통형상의 분배관으로 성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
도 4a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은,
보일러 시스템에서 히팅된 온수를 실내로 분배 또는 감온된 온수를 회수하기 위해 관체에 다수의 배관들이 결합된 분배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소정 폭을 갖는 판재(10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연결공(110)을 천공장치(PA)로 천공하는 천공단계;(S100)
b) 상기 연결공(110)을 버링장치(BA)로써 일정 지름의 구멍으로 확관하면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절곡면(112)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링단계;(S110)
c) 상기 판재(100)를 가압수단(200)으로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향되게 밴딩처리하는 밴딩단계;(S120)
d) 상기 판재(100)를 소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단계;(S130)
e) 상기 판재(100)를 원통형상의 분배관(100')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140)
f) 상기 가압수단(200)에서 원통형상의 분배관(100')을 탈거하는 탈거단계;(S150)
g) 상기 분배관(100')의 절개된 부위(P)를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단계;(S160)
h) 상기 분배관(100')의 양단을 축관기(PA)로 축관하는 축관단계;(S170) 및
i) 상기 버링단계(S110)를 통해 형성된 다수의 연결공(110)에 나사선(S)을 갖는 밸브(V)가 체결될 수 있도록 탭가공기(TA)로 탭 가공을 하는 탭가공단계(S180);
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관단계(S170)는 상기 분배관(100')의 양 끝단으로 보일러의 온수가 진입 또는 회수되도록 배관이 연결되는 축관홈(120)을 축관기(PA)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사용에 따라 축관단계(S170)를 제외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성형단계(S140)는, 내부로 상기 연결공(110)의 절곡면(112)이 삽입되는 도피홀(312)을 갖는 반호 형상의 타형상홈(310)이 형성되는 하금형(300)과, 상기 하금형(30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판재(100)를 가압하는 가압수단(200)에 의해 상기 판재(100)를 원통형상의 분배관(100')으로 성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수단(200)은, 상부지지대(210); 상기 상부지지대(210)의 하부면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수직지지대(220, 230); 상기 수직지지대(220, 23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수평지지대(240); 및 상기 수평지지대(240)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금형(300)의 타형상홈(310)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판재(100)를 원통형상으로 성형시키는 타성형틀(2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200)의 수평지지대(220, 230)에는, 상기 타성형틀(250)에 가압된 상태의 분배관(100')을 일측으로 탈거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지지대(220, 230)에 구비되는 수평지지대(240)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은 상기 수직지지대(220, 230)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수직지지대(220, 230)의 어느 하나에 별도의 걸이구 또는 체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지지대(220, 230)의 걸이구 또는 체결구에 수평지지대(240)의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평지지대(240)의 타단은 걸이구 또는 체결구를 구비하지 아니한 다른 쪽 수직지지대(220, 23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됨으로써 가압이 끝난 분배관(100')을 탈거할 시에 상기 수직지지대(220, 230)에서 수평지지대(240)의 일단을 분리한 후 분리된 일단으로 분배관(100')을 탈거가 가능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분배관(100')은 연결공(110)에 다수 개의 배관을 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다른 실시예
도 6a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은,
보일러 시스템에서 히팅된 온수를 실내로 분배 또는 감온된 온수를 회수하기 위해 관체에 다수의 배관들이 결합된 분배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소정 폭을 갖는 판재(10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연결공(110)을 천공하는 천공단계;(S200)
b) 상기 연결공(110)을 일정 지름의 구멍으로 확관하면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절곡면(112)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링단계;(S210)
c) 상기 판재(100)를 가압프레스장치로 중심부를 기준으로 U자 형상으로 밴딩처리하되, 양끝단이 내측으로 만곡지게 밴딩처리하는 밴딩단계;(S220)
d) 상기 판재(100)를 소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단계;(S230)
e) 상기 판재(100)를 원통형상의 분배관(100'')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240)
f) 상기 분배관(100'')의 절개된 부위를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단계;(S250) 및
g) 상기 분배관(100'')의 양단을 축관하는 축관단계;(S260)
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링단계(S210)를 통해 형성된 다수의 연결공(110)에 나사선을 갖는 밸브(V)가 체결될 수 있도록 탭 가공을 하는 탭가공단계(S27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사용에 따라 축관단계(S170)를 제외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성형단계(S240)는, 내부로 상기 연결공(110)의 절곡면(112)이 삽입되는 도피홀(312)을 갖는 반호 형상의 타형상홈(310)이 형성되는 하금형(300)과, 상기 하금형(3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금형(300)의 타형상홈(310)에 대향되게 상타형상홈(410)이 형성되는 상금형(400)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금형(30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판재(100)를 프레스 장치에 의해 상기 판재(100)를 원통형상의 분배관(100'')으로 성형시킨다.
상기 판재(100)를 U자 형상으로 밴딩처리하되, U자 형상의 판재(100) 양끝단을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금형(300)의 타형상홈(310)에 안착되면서 연결공(110)의 절곡면(112)이 하금형(300)의 도피홀(312)로 삽입되어 보호되 고, 이때 상부에 위치한 상금형(400)이 프레스 장치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U자 형상의 판재(100) 양끝단이 상금형(400)의 상타형상홈(410)에 최초 접촉하면서 서서히 원통형상의 분배관(100'')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즉, U자 형상의 판재(100) 양끝단을 만곡지게 형성함은 상기 상금형(400)의 상타형상홈(410)에 접촉하면서 원형으로 성형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은 보일러 시스템의 분배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관체에 다수의 배관이 연결되는 다기관체, 분배기 및 이와 같은 용도에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용접부위의 누수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보일러 시스템에서 히팅된 온수를 실내로 분배 또는 감온된 온수를 회수하기 위해 관체에 다수의 배관들이 결합된 분배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소정 폭을 갖는 판재(10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연결공(110)을 천공하는 천공단계;(S100)
    b) 상기 연결공(110)을 일정 지름의 구멍으로 확관하면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절곡면(112)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링단계;(S110)
    c) 상기 판재(100)를 가압수단(200)으로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향되게 밴딩처리하는 밴딩단계;(S120)
    d) 상기 판재(100)를 소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단계;(S130)
    e) 상기 판재(100)를 원통형상의 분배관(100')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140)
    f) 상기 가압수단(200)에서 원통형상의 분배관(100')을 탈거하는 탈거단계;(S150)
    g) 상기 분배관(100')의 절개된 부위를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단계;(S160) 및
    h) 상기 분배관(100')의 양단을 축관하는 축관단계;(S17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단계(S110)를 통해 형성된 다수의 연결공(110)에 나사선을 갖는 밸브(V)가 체결될 수 있도록 탭 가공을 하는 탭가공단계(S18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S140)는,
    내부로 상기 연결공(110)의 절곡면(112)이 삽입되는 도피홀(312)을 갖는 반호 형상의 타형상홈(310)이 형성되는 하금형(300)과, 상기 하금형(30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판재(100)를 가압하는 가압수단(200)에 의해 상기 판재(100)를 원통형상의 분배관(100')으로 성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200)은,
    상부지지대(210);
    상기 상부지지대(210)의 하부면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수직지지대(220, 230);
    상기 수직지지대(220, 23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수평지지대(240); 및
    상기 수평지지대(240)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금형(300)의 타형상홈(310)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판재(100)를 원통형상으로 성형시키는 타성형틀(2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200)의 수평지지대(220, 230)에는,
    상기 타성형틀(250)에 가압된 상태의 분배관(100')을 일측으로 탈거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지지대(220, 230)에 구비되는 수평지지대(240)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은 상기 수직지지대(220, 230)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6. 상기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작방법에 의해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분배관.
  7. 보일러 시스템에서 히팅된 온수를 실내로 분배 또는 감온된 온수를 회수하기 위해 관체에 다수의 배관들이 결합된 분배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a) 소정 폭을 갖는 판재(10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연결공(110)을 천 공하는 천공단계;(S200)
    b) 상기 연결공(110)을 일정 지름의 구멍으로 확관하면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절곡면(112)이 형성되도록 하는 버링단계;(S210)
    c) 상기 판재(100)를 가압프레스장치로 중심부를 기준으로 U자 형상으로 밴딩처리하되, 양끝단이 내측으로 만곡지게 밴딩처리하는 밴딩단계;(S220)
    d) 상기 판재(100)를 소정 길이로 커팅하는 커팅단계;(S230)
    e) 상기 판재(100)를 원통형상의 분배관(100'')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240)
    f) 상기 분배관(100'')의 절개된 부위를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단계;(S250) 및
    g) 상기 분배관(100'')의 양단을 축관하는 축관단계;(S2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버링단계(S210)를 통해 형성된 다수의 연결공(110)에 나사선을 갖는 밸브(V)가 체결될 수 있도록 탭 가공을 하는 탭가공단계(S27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S240)는,
    내부로 상기 연결공(110)의 절곡면(112)이 삽입되는 도피홀(312)을 갖는 반호 형상의 타형상홈(310)이 형성되는 하금형(300)과, 상기 하금형(3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금형(300)의 타형상홈(310)에 대향되게 상타형상홈(410)이 형성되는 상금형(400)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금형(30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판재(100)를 프레스 장치에 의해 상기 판재(100)를 원통형상의 분배관(100'')으로 성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10. 상기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작방법에 의해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분배관.
KR1020070002929A 2007-01-10 2007-01-10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KR100859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929A KR100859310B1 (ko) 2007-01-10 2007-01-10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929A KR100859310B1 (ko) 2007-01-10 2007-01-10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811A KR20080065811A (ko) 2008-07-15
KR100859310B1 true KR100859310B1 (ko) 2008-09-19

Family

ID=3981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929A KR100859310B1 (ko) 2007-01-10 2007-01-10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056A (ko) 2018-08-06 2020-02-14 이재윤 관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503B1 (ko) * 2015-06-11 2017-01-10 김학렬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03A (ja) 1997-06-30 1999-01-22 Pacific Ind Co Ltd 四方切換弁の管状本体の製造方法
KR20040044272A (ko) * 2002-11-21 2004-05-28 임승배 열교환기용 헤더파이프 제조장치
KR20040063537A (ko) * 2003-01-08 2004-07-14 호일정공 주식회사 알루미늄 파이프의 연결구조 및 버링공법
KR100653421B1 (ko) * 2006-07-21 2006-12-05 정찬조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 방법 및 그 제작 방법에 의해성형된 분배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03A (ja) 1997-06-30 1999-01-22 Pacific Ind Co Ltd 四方切換弁の管状本体の製造方法
KR20040044272A (ko) * 2002-11-21 2004-05-28 임승배 열교환기용 헤더파이프 제조장치
KR20040063537A (ko) * 2003-01-08 2004-07-14 호일정공 주식회사 알루미늄 파이프의 연결구조 및 버링공법
KR100653421B1 (ko) * 2006-07-21 2006-12-05 정찬조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 방법 및 그 제작 방법에 의해성형된 분배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056A (ko) 2018-08-06 2020-02-14 이재윤 관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811A (ko) 200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7258B (zh) 熱交換器
KR100859310B1 (ko)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KR100653421B1 (ko)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 방법 및 그 제작 방법에 의해성형된 분배관
EP1975538A3 (en) Heat recovery device
KR200420244Y1 (ko) 스팀 발생 장치
KR20190002601U (ko)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KR20230120238A (ko)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KR101095954B1 (ko) 유체 분배용 분기관의 제조장치
EP2642222A2 (de) Wärmepumpe mit einem Halter für Drucksensoren
KR101694503B1 (ko) 보일러용 분배관의 제작방법
JP201715076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10478928B1 (en) Method of installation and manufacturing of a stack pipe heat exchanger with integral connectors
KR20130117043A (ko) 열교환율의 조절이 가능한 열교환관
CN210100686U (zh) 一种塑料产品整形治具
KR200491761Y1 (ko) 온수 분배 장치
JP2013011410A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温水装置
CN203779732U (zh) 一种新的废管加工机装置
WO2007085257A8 (de) Ventilanordnung zum anschliessen eines wärmetauschers einer warmwasserentnahmevorrichtung an ein fernwärmenetz
CN201974076U (zh) 联箱即热型逆流式换热器
KR101990139B1 (ko) 파이프용 고정클립
EP1028293A1 (en) Integrated heat exchange and storage unit for water heating apparatus,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water heating apparatus including said unit
KR940004791B1 (ko) 난방용 온수분배기 및 그 제조방법
CN204239905U (zh) 一种带管器具与房间内伸出管线连接的定位板
CN102678684B (zh) 筒式冷却器及其制作工艺
KR102114986B1 (ko) 관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배관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