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960B1 - 엘리베이터 웨이트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웨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960B1
KR100858960B1 KR1020070128372A KR20070128372A KR100858960B1 KR 100858960 B1 KR100858960 B1 KR 100858960B1 KR 1020070128372 A KR1020070128372 A KR 1020070128372A KR 20070128372 A KR20070128372 A KR 20070128372A KR 100858960 B1 KR100858960 B1 KR 100858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lid member
binding
weigh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순
Original Assignee
강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순 filed Critical 강성순
Priority to KR102007012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960B1/ko
Priority to CNA2008101866472A priority patent/CN10145651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에 관한 것으로,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의 밸런스(balance)를 맞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중량체가 채워지며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11)를 갖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벽부(30)와; 상기 함체(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뚜껑부재(50)와; 상기 함체(1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결속홀(13)과 상기 결속홀(13)에 결속되도록 상기 뚜껑부재(5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속돌기(53)로서 상기 함체(10)와 뚜껑부재(50)를 결속시키는 결속부(70)를 포함하는 통상의 엘리베이터 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53)는 상기 결속홀(13)에 삽입되어 걸리는 쐐기형상의 돌기(53a)와; 상기 쐐기형상의 돌기(53a)가 지지되게 형성되는 돌기축(53b)과; 상기 쐐기형상의 돌기(53a)의 중앙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홈(53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함체와 뚜껑부재의 결합에 의해 함체에 충진된 중량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함체에 시멘트 혼합물을 가득 채운 후에 뚜껑으로 폐쇄하므로, 함체에는 빈 공간이 생기지 않아서 함체는 정확한 무게로 제작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웨이트, 밸런스, 함체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웨이트 {Elevator We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웨이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힌지부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완충부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부를 보인 측면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함체 20 : 완충부
30 : 내벽부
50 : 뚜껑부재 70 : 결속부
90 : 힌지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웨이트에 관한 것으로,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 프레스, 원동기의 프라이휘일이나 각종기계, 기구의 바란스를 맞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웨이트(weight)는 비중이 7.6-7.8의 주철(cast Iron) 혹은 주강(Cast Steel)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를 용해하여 주조할 때 공해 및 용철의 뜬쇠에 의하여 철의 손실이 많았고 제조공정이 번거로웠으며 또한 부대시설이 과다하였기 때문에 제조공정에 따른 시설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웨이트의 제품 가격이 상승하게 되었으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특1981-0002076호(공고일 : 1981. 12. 27) "웨이트 재(weight material)"이 있다. 이 웨이트 재는 철가루 20-30% 및 세멘트 10-20%와 무수축 경화제 소량을 교반기에 의하여 혼합하고 이에 철스크랩 50-70%을 혼합하여 금형으로 성형한 후 3일-7일 동안 자연건조시킨 후 이 웨이트들을 엘리베이터에 적층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웨이트 재는 3일-7일 동안 자연건조시킨 후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건조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 자체적인 무게가 있어 의해 운반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는 엘리베이터 웨이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체와 뚜껑부재의 결합에 의해 함체에 충진된 중량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엘리베이터 웨이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체와 뚜껑부재가 접철되는 힌지에 의해 일체로 된 엘리베이터 웨이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체의 하부에 설치된 완충부에 의해 함체와 함체가 적층될 때 충격이 완충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웨이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중량체가 채워지며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11)를 갖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벽부(30)와; 상기 함체(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뚜껑부재(50)와; 상기 함체(1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결속홀(13)과 상기 결속홀(13)에 결속되도록 상기 뚜껑부재(5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속돌기(53)로서 상기 함체(10)와 뚜껑부재(50)를 결속시키는 결속부(70)를 포함하는 통상의 엘리베이터 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53)는 상기 결속홀(13)에 삽입되어 걸리는 쐐기형상의 돌기(53a)와; 상기 쐐기형상의 돌기(53a)가 지지되게 형성되는 돌기축(53b)과; 상기 쐐기형상의 돌기(53a)의 중앙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홈(53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웨이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중량체가 채워지며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11)를 갖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벽부(30)와; 상기 함체(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뚜껑부재(50)와; 상기 함체(10)와 뚜껑부재(50)를 결속시키는 결속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함체(10)와 뚜껑부재(50)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함체(10)와 뚜껑부재(50)는 제작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워 중량체를 채우기 전에 운반이 용이하다.
그리고, 함체(10)에는 함체(10)의 무게를 증가시키기 위해 중량체인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질 수 있다. 이때, 시멘트 혼합물의 채워지는 정도에 따라 전체 중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중량체의 재질에 따라 전체 중량이 조절될 수도 있다. 이때, 함체(10)에는 시멘트 혼합물을 대신하여 모래 또는 유체가 채워질 수도 있다.
또한. 함체(10)에 채워지는 중량체는 함체(10)를 개폐하는 뚜껑부재(50)에 의해 함체(10)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중량체를 교체하고자 할 때는 뚜껑부재(50)를 개방하여 중량체를 교체할 수도 있다.
또한, 함체(10)와 뚜껑부재(50)는 결속부(70)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이때, 결속부(70)는 함체(10)의 상부와 뚜껑부재(50)의 하부를 연결하도록 하여 결속부(70)가 함체(1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벽부(30)는 상기 연통부(3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벽부(30)는 함체(10)의 외형을 유지하도록 함체(10)의 내부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결되면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내력벽일 수 있다.
그리고, 내벽부(30)에는 연통부(3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연통부(31)는 홈 또는 홀일 수 있으며, 홈일 때는 내벽부(3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홀일 때는 내벽부(30)의 중앙부분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통부(31)는 함체(10)의 내부에 채워지는 시멘트 혼합물을 상호 연결시켜 일체화되도록 유도시킬 수 있다. 즉, 연통부(31)를 통하여 일체화되면서 경화되는 시멘트 혼합물은 하나의 중량체인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중량체로 경화되는 콘크리트는 함체(10)의 외형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벽부(30)는 다수개가 상기 함체(10)의 내부에서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벽부(30)는 함체(1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각각의 양단이 함체(10)의 내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내력벽일 수 있으며, 이 내력벽은 함체(10)의 내부에서 전후좌우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호 교 차되게 격자모양으로 형성되는 내력벽은 함체(10)의 형상이 전후좌우로 뒤틀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결속부(70)는 상기 함체(1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결속홀(13)과; 상기 결속홀(13)에 결속되도록 상기 뚜껑부재(5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속돌기(5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속홀(13) 및 결속돌기(53)는 상호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각각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속홀(13) 및 결속돌기(53)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속홀(13) 및 결속돌기(53)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체(10)와 뚜껑부재(5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속홀(13) 및 결속돌기(53)가 뚜껑부재(50)의 상부에 돌출되지 않으므로, 적층되는 함체(10)들끼리 상하로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결속돌기(53)는 상기 결속홀(13)에 삽입되어 걸리는 쐐기형상의 돌기(53a)와; 상기 쐐기형상의 돌기(53a)가 지지되게 형성되는 돌기축(53b)과; 상기 쐐기형상의 돌기(53a)의 중앙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홈(53c)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함체(10)의 상부에 뚜껑부재(5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뚜껑부재(50)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쐐기형상의 돌기(53a)는 결속홀(13)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때, 사이홈(53c)의 간격에 의해 쐐기형상의 돌기(53a)는 탄력적으로 결속홀(13)을 통과한 후에 결속홀(13)의 내측에 형성된 결속턱(15)에 걸리게 된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의 측면에 결속홀(13)이 형성되고, 뚜껑부재(50)의 측면에 결속돌기(5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결속홀(13) 및 결속돌기(53)는 뚜껑부재(50)의 상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힌지부를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와 상기 뚜껑부재(50)를 연결시키는 힌지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힌지부(90)는 함체(10)의 상부 일측과 뚜껑부재(50)의 일측을 연결시키며, 함체(10)에 대해 뚜껑부재(5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힌지부(90)는 두께를 얇게 하여 부드럽게 동작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함체(10)와 뚜껑부재(50)를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할 때 힌지부(90)를 동일체로 함께 사출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힌지부(90)는 함체(10)와 뚜껑부재(50)를 연결하는 별도의 경첩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완충부를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는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10)의 중량을 완충시키는 완충부(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완충부(20)는 함체(10)와 함체(10)들이 상하로 적재될 때 상호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즉, 완충부(20)는 함체(10)의 저면에 설치되어 다른 함체(10)의 뚜껑부재(50)에 부드럽게 지지되므로, 상부에 적재되는 함체(10)의 저면에 의해 하부에 위치되는 뚜껑부재(50)의 표면은 스크래치 등의 상처 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20)는 상기 함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완충홀(15)과; 상기 완충홀(15)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1)와; 상기 삽입돌기(21)의 하부에 형성되는 완충부재(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완충부재(23)는 삽입돌기(21)의 직경보다 넓게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완충부재(23)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부를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재(50)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함체(10)를 들어올릴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함체(10)를 사람의 힘으로 들어올리기 어려울 때는 크레인 등으로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들어올릴 수도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는 상기 뚜껑부재(50)에 설치되는 너트부재(41) 또는 수평샤프트(43) 및 이들의 혼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너트부재(41)는 뚜껑부재(50)에 설치될 때 뚜껑부재(50)의 상부 표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뚜껑부재(50)의 상부에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너트부재(41)는 뚜껑부재(50)의 상부에 적층되는 함체(10)의 저면에 충격 또는 상처를 주지 않는다. 또한, 너트부재(41)는 함체(10)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함체(10)의 하부에 설치된 너트부재(41)를 이용하여 함 체(10)를 들어올려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너트부재(41)는 크레인 등에 의해 움직이도록 연결된 볼트부재(미도시)와 나사결합 될 수 있으므로, 크레인에 의해 움직이는 볼트부재의 승강 및 이동에 의해 너트부재(41)를 갖는 함체(10)는 이동될 수 있다. 즉, 볼트부재와 나사결합된 너트부재(41)에 의해 함체(10)는 엘이베이터에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수평샤프트(43)는 뚜껑부재(50)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손잡이홈(45)의 중앙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크레인 등의 걸고리(미도시)가 수평샤프트(43)를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손잡이홈(45)은 수평샤프트(43)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뚜껑부재(50)의 상부에 너트부재(41)와 수평샤프트(43)를 함께 설치하면 볼트부재 또는 걸고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제조공정 및 제조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함체와 뚜껑부재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킨 후 시멘트 혼합물을 채워서 경화되지 않은 상태로도 엘리베이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함체에 시멘트 혼합물을 가득 채운 후에 뚜껑으로 폐쇄하므로, 함체에는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시멘트 혼합물을 채울 수 있으므로, 함체는 정확한 무게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와 뚜껑부재의 결합에 의해 함체에 충진된 중량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와 뚜껑부재가 접철되는 힌지에 의해 일체로 되어 함체와 뚜껑부재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체의 하부에 설치된 완충부에 의해 함체와 함체가 적층될 때 충격이 완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부에 중량체가 채워지며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11)를 갖는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형상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벽부(30)와; 상기 함체(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뚜껑부재(50)와; 상기 함체(1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결속홀(13)과 상기 결속홀(13)에 결속되도록 상기 뚜껑부재(5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속돌기(53)로서 상기 함체(10)와 뚜껑부재(50)를 결속시키는 결속부(70)를 포함하는 통상의 엘리베이터 웨이트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53)는
    상기 결속홀(13)에 삽입되어 걸리는 쐐기형상의 돌기(53a)와;
    상기 쐐기형상의 돌기(53a)가 지지되게 형성되는 돌기축(53b)과;
    상기 쐐기형상의 돌기(53a)의 중앙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홈(53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웨이트.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128372A 2007-12-11 2007-12-11 엘리베이터 웨이트 KR10085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372A KR100858960B1 (ko) 2007-12-11 2007-12-11 엘리베이터 웨이트
CNA2008101866472A CN101456514A (zh) 2007-12-11 2008-12-11 用于升降机的配重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372A KR100858960B1 (ko) 2007-12-11 2007-12-11 엘리베이터 웨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960B1 true KR100858960B1 (ko) 2008-09-17

Family

ID=4002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372A KR100858960B1 (ko) 2007-12-11 2007-12-11 엘리베이터 웨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58960B1 (ko)
CN (1) CN1014565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877B1 (ko) * 2017-04-25 2018-04-17 삼중티엔씨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의 밸런스 웨이트 구조
KR102318869B1 (ko) * 2021-06-15 2021-10-28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방법
KR102439293B1 (ko) 2022-04-14 2022-09-01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하부 개방형 웨이트틀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KR102610501B1 (ko) * 2023-05-12 2023-12-06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무게 조정이 가능한 웨이트틀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6825A1 (de) * 2012-07-26 2014-06-12 Krones Ag Palettier-, Stapel- und/oder Handhabungsvorrichtung
CN112179696A (zh) * 2020-11-10 2021-01-05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机柜配重模拟治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9741A (en) * 1977-09-28 1979-04-19 Hitachi Ltd Counterweight for elevator
JPS54132161U (ko) * 1979-03-02 1979-09-13
KR940020662U (ko) * 1993-02-27 1994-09-17 엘리베이터의 카운터 웨이트의 방진구조
KR20050109678A (ko) * 2004-05-17 2005-11-22 신익수 엘리베이터 균형추와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9741A (en) * 1977-09-28 1979-04-19 Hitachi Ltd Counterweight for elevator
JPS54132161U (ko) * 1979-03-02 1979-09-13
KR940020662U (ko) * 1993-02-27 1994-09-17 엘리베이터의 카운터 웨이트의 방진구조
KR20050109678A (ko) * 2004-05-17 2005-11-22 신익수 엘리베이터 균형추와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877B1 (ko) * 2017-04-25 2018-04-17 삼중티엔씨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의 밸런스 웨이트 구조
KR102318869B1 (ko) * 2021-06-15 2021-10-28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방법
KR102439293B1 (ko) 2022-04-14 2022-09-01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하부 개방형 웨이트틀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KR102610501B1 (ko) * 2023-05-12 2023-12-06 주식회사 엠에스자원 무게 조정이 가능한 웨이트틀 및 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웨이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6514A (zh)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960B1 (ko) 엘리베이터 웨이트
KR20050043811A (ko) 엘리베이터 웨이트
MXPA05002974A (es) Recipiente para material a granel, de carton duro reforzado.
CN203805145U (zh) 一种装载升降料斗及具有其的建筑混泥土搅拌泵送一体机
KR101554520B1 (ko)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보관용 적재용기의 성형 몰드장치
CN205996124U (zh) 一种射芯机用落砂装置
KR20120018462A (ko) 건축용 자재 인양 박스
CN206279842U (zh) 一种地震避难仓
KR200422209Y1 (ko) 배처 플랜트용 섬유보강제 자동투입장치
CN204849726U (zh) 一种打夯工具
CN203499266U (zh) 轻便箱式混凝土震动板
CN210729414U (zh) 一种制动鼓生产用加配料系统
CN107521533A (zh) 一种篓式筐
CN107585412A (zh) 一种木材打包箱
CN205327644U (zh) 曲轴包装箱
CN207776140U (zh) 一种预制墙体的连接结构
CN213832496U (zh) 一种可拆卸胶合板材质的钢片卡扣包装箱
CN205429031U (zh) 一种电瓶锁结构
CN206132339U (zh) 混凝土振动台
CN213979886U (zh) 一种土建工程用混凝土模板
CN218086484U (zh) 自动升降书型盒
CN216041284U (zh) 一种具有防震效果的浇筑式建筑基座
CN207014535U (zh) 一种防止混凝土发生离析的模板
CN108661411A (zh) 一种通信设备支架
CN219905578U (zh) 一种脚踩式垃圾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