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505B1 - 디버링 머신 - Google Patents

디버링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505B1
KR100858505B1 KR1020070075059A KR20070075059A KR100858505B1 KR 100858505 B1 KR100858505 B1 KR 100858505B1 KR 1020070075059 A KR1020070075059 A KR 1020070075059A KR 20070075059 A KR20070075059 A KR 20070075059A KR 100858505 B1 KR100858505 B1 KR 100858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block
vertical
deburring
deburr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원
Original Assignee
(주)마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키 filed Critical (주)마이키
Priority to KR1020070075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2Deburring or defl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03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버링 머신에 관한 것으로, 피가공물에 대한 디버링 툴의 오버랩 접촉시 다양한 방향과 깊이의 미세 변위를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기계적 손상을 막는 동시에 원활한 디버링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위치 고정된 고정블록, 고정블록의 상측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변위블록, 고정블록에 설치되어 변위블록의 전측 좌우편 2지점과 후측 좌우편 2지점을 각각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변위블록의 전측 좌우편 2지점을 각각 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 변위블록에 장착되어 피가공물과 접촉하면서 버를 제거하는 디버링 툴을 포함한다.
디버링, 버

Description

디버링 머신{DEBURRING MACHINE}
본 발명은 피가공물로부터 버를 제거하는 디버링 머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가공물에 대한 디버링 툴의 오버랩 접촉시 다양한 방향과 깊이의 미세 변위를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기계적 손상을 막는 동시에 원활한 디버링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얻는데 적당한 디버링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물이나 트리밍을 거친 강판 등 대부분의 성형제품들은 외표면 품질을 조악하게 만드는 버(Burr)가 불필요하게 형성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공정이 필요하다.
버를 제거하는 작업에서, 제품의 재질 즉, 무르거나 딱딱한 정도에 따라 작업공구가 다르게 적용되는데, 고무, 플라스틱, 스티로폼, 비철금속 등과 같이 무른 제품은 커터를 이용하여 버를 제거하고, 상대적으로 딱딱하여 절삭이 어려운 강성의 제품은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버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재질이 강성인 제품의 버를 제거하는 경우 홀딩로봇 또는 머신으로 제품을 홀딩한 상태에서 디버링 툴을 접촉시켜 버를 제거해야 하였으나, 제품에 따라 표면이 불규칙하고 가공량이 일정치 않은 관계로 일부 부위의 가공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피가공물인 제품과 디버링 툴을 상당 깊이까지 오버랩(Overlap)시키는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이 경우 홀딩로봇과 디버링 툴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면서 양자간에 기계적 손상을 입거나 디버링 툴의 작동이 중단되는 등 치명적인 문제가 야기되었고, 제품의 품질은 여전히 신뢰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가공물에 대한 디버링 툴의 오버랩 접촉시 다양한 방향과 깊이의 미세 변위를 능동적으로 수용하는 디버링 머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디버링 머신은, 위치 고정된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상측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변위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변위블록의 전측 좌우편 2지점과 후측 좌우편 2지점을 각각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변위블록의 전측 좌우편 2지점을 각각 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과, 상기 변위블록에 장착되어 피가공물과 접촉하면서 버를 제거하는 디버링 툴을 포함하여, 상기 피가공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상기 디버링 툴의 변위를 수용하고 이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변위블록과 접촉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지지력을 전달하는 접촉볼을 포함하는 볼플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은 상호 직교한 수평면과 수직면을 구비하고, 상기 변위블록은 상기 고정블록의 수평면과 수직면에 대하여 미세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수평대응면과 수직대응면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고정블록의 수평면과 수평대응면 사이, 상기 수직면과 수직대응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면과 수평대응면 사이의 간격과, 수직면과 수직대응면 사이의 간격은 각각 1.5 내지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블록의 변위를 위해, 상기 변위블록을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블록받침대를 구비하되, 상기 블록받침대는 상기 변위블록과 결합되어 그 하측을 지지하는 제1받침대와, 위치 고정되고 상기 제1받침대와 플로팅 조인트되어 상기 제1받침대를 각도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받침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선단부가 고정되어 후단부가 선단부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좌우변위 겹판스프링과, 후단부가 상기 좌우변위 겹판스프링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로 선단부가 후단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하변위 겹판스프링과,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피가공물과 접촉하면서 버를 제거하는 디버링 툴을 포함하여, 상기 피가공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상기 디버링 툴의 변위를 수용하고 이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우변위 겹판스프링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판들이 좌우로 간격을 두어 적층되고 상기 수직 판들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재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좌우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지 지력을 제공하고,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평 판들이 상하로 간격을 두어 적층되고 상기 수평 판들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재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은, 피가공물에 대한 디버링 툴의 오버랩 접촉시 다양한 방향과 깊이의 미세 변위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되어 기계적 손상을 막는 동시에 원활한 디버링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버링 툴의 미세 변위를 수용하기 위해 설치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볼플런저를 사용하기 때문에 머신 가격과 유지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디버링 툴의 미세 변위를 수용하기 위해 볼플런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적응성이 뛰어나서 디버링 툴의 변위방향 및 부하량에 맞게 개수 및 설치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블록과 변위블록 사이의 간격을 1.5 내지 2.5mm로 하여 피가공물에 대한 디버링 툴의 오버랩을 충분히 수용하면서도 디버링 툴의 과도한 변위에 대해서는 제한을 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겹판스프링에 의해 디버링 툴의 변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도 피가공물에 대한 디버링 툴의 오버랩 접촉시 다양한 방향과 깊이의 미세 변위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되어 기계적 손상을 막는 동시에 원활한 디 버링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겹판스프링은 판들이 간격을 두고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판들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디버링 툴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또는 부하에 맞게 대처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의한 디버링 머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측면도, 참조평면도, 참조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치 고정된 고정블록(120), 디버링 툴(160)이 장착되고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변위블록(130), 상기 변위블록(130)을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블록받침대(140), 변위블록(130)을 탄성지지하면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다수의 볼플런저(150), 그리고 스핀들(165)에 장착된 디버링 툴(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변위블록(130)과 볼플런저(150)의 작용으로 피가공물과 직접 접촉되는 디버링 툴(160)의 변위를 능동적으로 수용하는 동시에 디버링작업이 완료되면 디버링 툴(16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기 주요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고정블록(120)은 로봇이나 베이스플레이트 등에 장착시키기 위한 브래킷(110)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브래킷(110)은 로봇이나 베이스플레이트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록(120)은 수평면(121A)을 갖는 수평평판(121)과, 상기 수평평판(121)의 선단부에 수직하게 결합 혹은 형성되어 수직면(123A)을 갖는 수직평판(1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평판(121)의 중앙부에는 상기 블록받침대(140)가 상하로 관통하여 변위블록(130)과 브래킷(11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관통구(125)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주변 전측 좌우편, 후측 좌우편 4지점에 볼플런저 설치용 통공(127)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평판(123)의 좌우편 2지점에도 볼플런저 설치용 통공(12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평판(123)은 상기 수평평판(121)의 선단부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후단부에 위치해도 무방하며 기능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한다.
상기 변위블록(130)은 상기 고정블록(120) 상측에 위치하는 사각의 평판부재이며, 그 하면과 전측면이 상기 고정블록(120)의 수평면(121A)과 수직면(123A)에 각각 대응하여 마주보는 수평대응면(130A)과 수직대응면(130B)을 이룬다. 상기 변위블록(130)은 플로팅 조인트(140C, 도 3 참조)를 구비한 블록받침대(140)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고정블록(120)과는 달리 다양한 방향으로 미세한 변위가 가능하다. 상기 변위블록(130)은 변위되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고정블록(120)과 2mm 정도(1.5 내지 2.5mm)의 미세한 간격을 두고 인접하여 있으며, 다수의 볼플런저(150)에 의해 상방향 및 후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그 간격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록(120)과 변위블록(130)간 간격 즉, 상기 수평 면(121A)과 수평대응면(130A) 사이의 간격과, 수직면(123A)과 수직대응면(130B) 사이의 간격을 2mm 정도(1.5 내지 2.5mm)로 하는 것은 이 정도의 간격이면 디버링 툴(160)과 피가공물의 오버랩 깊이를 충분히 수용하면서도 발생 가능한 디버링 툴(160)의 과도한 변위에 대해서는 제한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볼록받침대(140)는 변위블록(130)을 다양한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록받침대(140)는 상기 변위블록(130)과 결합되어 그 하측을 지지하는 제1받침대(140A)와, 상기 브래킷(110)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받침대(140A)와 플로팅 조인트되어 상기 제1받침대(140)를 변각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받침대(140B)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로팅 조인트를 위해 상기 제1받침대(140)는 그 하단부에 원통형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받침대(140)는 상기 수용홈에 약간의 유격을 두고 수용되어 다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원통형의 수용돌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받침대(140)는 그 하단부에 구형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받침대(140)는 상기 구형의 홈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타입의 구형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블록받침대(140)가 중간에 플로팅 조인트(140C)를 구비하여 변위블록(130)을 지지하게 되면, 상기 변위블록(130)은 디버링 툴(160)의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플로팅 조인트(140C)를 중심으로 다방향 변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볼플런저(150)는 상기 변위블록(130)을 지지하고 있다가 변위블록(130)이 변위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지지수단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볼플런저(150)는 상기 관통구(125)를 중심으로 변위블록(130)의 전측 좌우편 2 지점과 후측 좌우편 2지점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변위블록(130)의 전측 좌우편 2지점을 후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이처럼 상기 관통구(125)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4지점의 볼플런저(150A,150B,150C,150D)는 디버링 툴(160)이 힘을 받아 상하방향과 롤링방향으로 변위될 때 변위블록(130)에 작용하여 원위치로 복귀시켜주고, 상기 후방향으로 작용하는 2지점의 볼플런저(150E,150F)는 디버링 툴(160)이 힘을 받아 좌우방향으로 변위될 때 변위블록(130)에 작용하여 원위치로 복귀시켜준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블록(120) 수평평판(121)의 전측 좌우편 2지점에 상방향의 볼플런저(150A,150B)가 설치된다. 후측 좌우편 2지점에 상방향의 볼플런저(150C,150D)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120)의 수직평판(123) 좌우편 2지점에 후방향의 볼플런저(150E,150F)가 설치된다.
도 2에서 일부 분해된 것으로 도시된 볼플런저(150A)로부터 그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변위블록(130)을 탄성지지하기 위하여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153)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그리고 고정블록(120)에 고정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53)을 수용하는 하우징(151)과, 상기 압축스프링(153)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변위블록(130)과 접촉하여 탄성지지력을 전달하는 접촉볼(155)로 구성된다. 이같은 볼플런저(150)를 활용하여 변위블록(130)을 탄성지지토록 한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게 디버링 툴(160)의 변위를 능독적으로 수용하면서 변위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 따른 볼플런저(150)의 배치는 최소한의 설치개수로 디버링 툴(160)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방향의 변위에 대하여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볼플런저(150)의 배치를 변형하거나 수를 늘릴 수 있다. 예컨대, 디버링 툴(160)의 변위로 인한 부하가 전반적으로 크다면 볼플런저(150)의 전체 설치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특정 방향으로만 더 큰 부하의 변위가 발생한다면 부하가 많이 걸리는 특정 지점에만 볼플런저(150)의 설치개수를 증가시키거나 그 지점에 볼플런저(150)를 집중 배치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이용되는 볼플런저(150)는 디버링 툴(160)의 변위로 인한 부하에 대하여 적응성이 매우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의 동작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피가공물과의 오버랩 접촉으로 인해 디버링 툴(160)에 상하방향으로 부하가 걸리면, 상기 디버링 툴(160) 및 변위블록(130)에는 플로팅 조인트(140C)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의 각도변위가 발생한다.
상기 디버링 툴(160)에 상방향의 각도변위가 일어나는 경우 변위블록(130)에 의해 수평평판(121)의 후측 좌우편에 설치된 볼플런저(150C,150D)가 압축스프링(153)에 반하는 방향으로 눌리게 되며, 디버링 툴(160)이 해당부위의 작업을 마친 후 피가공물로부터 떨어지면 눌려있던 상기 후측 볼플런저(150C,150D)에 의해 변위블록(13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디버링 툴(160)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디버링 툴(160)에 하방향의 각도변위가 일어나는 경우 변위블록(130)에 의해 수평평판(121)의 전측 좌우편에 설치된 볼플런저(150A,150B)가 압축스프링(153)에 반하는 방향으로 눌리게 되며, 디버링 툴(160)이 해당부위의 작업을 마친 후 피가공물로부터 떨어지면 눌려있던 상기 전측 볼플런저(150A,150B)에 의해 변위블록(13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디버링 툴(160)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피가공물과의 오버랩 접촉으로 인해 디버링 툴(160)에 좌우방향으로 부하가 걸리면, 상기 디버링 툴(160) 및 변위블록(130)에는 플로팅 조인트(140C)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의 각도변위가 발생한다.
상기 디버링 툴(160)에 좌방향의 각도변위가 일어나는 경우 변위블록(130)에 의해 수직평판(123)의 우편에 설치된 볼플런저(150F)가 압축스프링(153)에 반하는 방향으로 눌리게 되며, 디버링 툴(160)이 해당부위의 작업을 마친 후 피가공물로부터 떨어지면 눌려있던 상기 우편 볼플런저(150)에 의해 변위블록(13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이에 장착된 디버링 툴(160)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디버링 툴(160)에 우방향의 각도변위가 일어나는 경우 변위블록(130)에 의해 수직평판(123)의 좌편에 설치된 볼플런저(150E)가 압축스프링(153)에 반하는 방향으로 눌리게 되며, 디버링 툴(160)이 해당부위의 작업을 마친 후 피가공물로부터 떨어지면 눌려있던 상기 좌편 볼플런저(150E)에 의해 변위블록(13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이에 장착된 디버링 툴(160)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피가공물과의 오버랩 접촉으로 인해 디버링 툴(160)에 좌우 롤링방향으로 부하가 걸리면, 상기 디버링 툴(160) 및 변위블록(130)에는 플로팅 조인트(140C)를 중심으로 좌우 롤링방향의 각도변위가 발생한다.
상기 디버링 툴(160)에 좌측 롤링방향의 각도변위가 일어나는 경우 변위블록(130)에 의해 수평평판(121)의 좌측 전후편에 설치된 볼플런저(150A,150C)가 압축스프링(153)에 반하는 방향으로 눌리게 되며, 디버링 툴(160)이 해당부위의 작업을 마친 후 피가공물로부터 떨어지면 눌려있던 상기 좌측 전후편 볼플런저(150A,150C)에 의해 변위블록(13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이에 장착된 디버링 툴(160)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디버링 툴(160)에 우측 롤링방향의 각도변위가 일어나는 경우 변위블록(130)에 의해 수평평판(121)의 우측 전후편에 설치된 볼플런저(150B,150D)가 압축스프링(153)에 반하는 방향으로 눌리게 되며, 디버링 툴(160)이 해당부위의 작업을 마친 후 피가공물로부터 떨어지면 눌려있던 상기 우측 전후편 볼플런저(150B,150D)에 의해 변위블록(13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이에 장착된 디버링 툴(160)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전술된 경우는 설명의 편의상 디버링 툴(160)의 변위방향을 상하, 좌우, 롤링방향으로 구분하였지만 실제로는 복합적인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동작 및 작용을 토대로 발생 가능한 모든 방향의 변위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을 이용한 디버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버링 머신(100)을 이송되는 피가공물(T)에 대하여 상측, 하측 및 전측 3방향에 작용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00)에 설치하면 디버링 시스템이 구성된다.
이로써 이송장치에 지지된 후단부를 제외하면 피가공물(T)의 모든 부위에 대하여 디버링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피가공물(T)의 상하측과 전측에 설치된 본 발명의 디버링 머신(100)은 피가공물(T)의 표면이 불규칙하더라도 뛰어난 적응력을 보이면서 오버랩 접촉시 발생되는 다양한 방향과 깊이의 변위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디버링 시스템은 이처럼 3개의 방향에서 피가공물(T)을 접촉할 수 있도록 디버링 머신(100)을 배치함으로써 피가공물(T)에서 발생된 모든 버(Burr)를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변형실시예]
도 7은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디버링 머신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분해조립도이며, 도9는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변형 전의 볼플런저들을 대신하여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의 변위를 수용하는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과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겹판스프링(220,230)이 설치된 형태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의 선단부만이 고정되어 브래킷(210)에 지지되면서 그 후단부를 포함한 나머지 모두 변위 가능하게 행거타입으로 연결되어 디버링 툴(240)의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같은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좌우변위를 수용하는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 상하변위를 수용하는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 디버링 툴(240) 그리고 상기 겹판스프링(220,230)과 디버링 툴(240)을 고정 및 지지하는 각종 홀더들(251,252,253,254,255,256,257)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은 선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후단부를 좌우로 변위시키면서 상기 디버링 툴(240)로부터 전달되는 좌우방향 변위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은 그 선단부가 제1홀더(251,252)에 의해 브래킷(210)에 고정되지만 후단부는 허공에 떠있는 행거타입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판들이 좌우로 간격을 두어 적층되고 상기 수직 판들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재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좌우방향으로 부하를 받는 디버링 툴(24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변형되면서 탄성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그 선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는 제한을 받지만 좌우방향으로는 변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은 선단부를 상하로 변위시키면서 상기 디버링 툴(240)로부터 전달되는 상하방향 변위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은 그 후단부가 제2홀더(253,254,255)에 의해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되지만 선단부는 허공에 떠있는 행거 타입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평 판들이 상하로 간격을 두어 적층되고 상기 수평 판들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재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하방향으로 부하를 받는 디버링 툴(24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변형되면서 탄성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그 후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선단부가 좌우방향으로는 제한을 받지만 상하방향으로는 변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디버링 툴(240)은 제3홀더(256,257)에 의해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에 장착되며, 피가공물과 접촉하면서 버를 제거한다.
상기 브래킷(210),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 및 디버링 툴(240)간을 고정 또는 결합시키는 홀더들(251,252,253,254,255,256,257)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1홀더(251,252)는 브래킷(21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의 선단부를 감싸 홀딩하는 'ㅗ'형의 부분부재(251)와 'ㄷ'형의 부분부재(25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홀더(253,254,255)는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의 후단부와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의 후단부를 감싸 결합시키는 'T'형의 부분부재(253), 'ㄷ'형의 부분부재(254) 및 '∩'형의 부분부재(255)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홀더(256,257)는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의 선단부와 디버링 툴(240)을 감싸 결합시키는 'U'형의 부분부재(257)와 'O'형의 부분부재(256)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변형실시예에서는, 피가공물과 접촉하는 디버링 툴(240) 에 상하방향의 하중이 가해져서 좌우방향으로 변위가 일어나는 경우,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의 후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변형 및 변위되면서 디버링 툴(240)의 변위를 수용한다. 이때 상기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은 상하방향의 하중이 전달되어도 변형되거나 변위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디버링 툴(240)이 해당부위의 작업을 마친 후 피가공물로부터 떨어지면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의 선단부가 탄성지지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디버링 툴(240)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디버링 툴(240)에 좌우방향의 하중이 가해져서 좌우방향으로 변위가 일어나는 경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이 그 변위를 수용하지 않고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에 그대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의 후단부가 선단부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변형 및 변위된다. 이때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은 자체 변형으로 인한 변위는 없으나 상기 좌우변위 겹판스프링(220)의 후단부가 변위되면서 그 전체가 좌우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로써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230)의 선단부에 장착된 디버링 툴(240)의 변위를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된 경우, 설명의 편의상 디버링 툴(240)의 변위방향을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만 국한지어 구분하였지만 실제로는 복합적인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된다. 하지만, 전술된 동작 및 작용을 토대로 좌우방향과 상하방향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변위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판들이 적층된 겹판스프 링(220,230)을 활용하여 디버링 툴(240)의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디버링 툴(240)의 변위를 야기하는 부하 또는 하중이 크거나 작은 경우 상기 겹판스프링(220,230)을 구성하는 판들의 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쉽게 대처할 수 있는 뛰어난 적응성이 장점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의한 디버링 머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측면도, 참조평면도, 참조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버링 머신을 이용한 디버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7은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디버링 머신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분해조립도.
도9는 변형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20 : 브래킷 120 : 고정블록
130 : 변위블록 140 : 블록받침대
150 : 볼플런저 160, 240 : 디버링 툴
220,230 : 겹판스프링

Claims (7)

  1. 위치 고정된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상측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변위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변위블록의 전측 좌우편 2지점과 후측 좌우편 2지점을 각각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변위블록의 전측 좌우편 2지점을 각각 후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과;
    상기 변위블록에 장착되어 피가공물과 접촉하면서 버를 제거하는 디버링 툴을 포함하여,
    상기 피가공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상기 디버링 툴의 변위를 수용하고 이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변위블록과 접촉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지지력을 전달하는 접촉볼을 포함하는 볼플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호 직교한 수평면과 수직면을 구비하고, 상기 변위블록은 상기 고정블록의 수평면과 수직면에 대하여 미세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수평대응면과 수직대응면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고정블록의 수평면과 수평대응면 사이, 상기 수직면과 수직대응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과 수평대응면 사이의 간격과, 수직면과 수직대응면 사이의 간격은 각각 1.5 내지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블록의 변위를 위해, 상기 변위블록을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블록받침대를 구비하되,
    상기 블록받침대는 상기 변위블록과 결합되어 그 하측을 지지하는 제1받침대와, 상기 제1받침대와 플로팅 조인트되어 상기 제1받침대를 각도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받침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6. 선단부가 고정되어 후단부가 선단부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좌우변위 겹판스프링과;
    후단부가 상기 좌우변위 겹판스프링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로 선단부가 후단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상하변위 겹판스프링과;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피가공물과 접촉하면서 버를 제거하는 디버링 툴을 포함하여,
    상기 피가공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상기 디버링 툴의 변위를 수용하고 이를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변위 겹판스프링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판들이 좌우로 간격을 두어 적층되고 상기 수직 판들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재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좌우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지지력을 제공하고,
    상기 상하변위 겹판스프링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평 판들이 상하로 간격을 두어 적층되고 상기 수평 판들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간격유지재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링 머신.
KR1020070075059A 2007-07-26 2007-07-26 디버링 머신 KR100858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059A KR100858505B1 (ko) 2007-07-26 2007-07-26 디버링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059A KR100858505B1 (ko) 2007-07-26 2007-07-26 디버링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505B1 true KR100858505B1 (ko) 2008-09-12

Family

ID=4002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059A KR100858505B1 (ko) 2007-07-26 2007-07-26 디버링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5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7661A (zh) * 2019-10-21 2020-04-10 广州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补偿的去毛刺装置及机械手
KR102204076B1 (ko) * 2019-11-20 2021-01-20 (주) 다리온 불산 가스 배관 제작 공정 중에서 폴리에틸렌 면사상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9110A (ja) 1983-05-30 1984-12-10 Taihei Kogyo Kk 鉄鋼製品の自動バリ取り装置
JPS6292114U (ko) 1985-11-28 1987-06-12
JPH0171013U (ko) * 1987-10-30 1989-05-11
JPH0885020A (ja) * 1994-09-13 1996-04-02 Unisia Jecs Corp ばり取り装置
JPH08290327A (ja) * 1995-04-20 1996-11-05 Mitsubishi Materials Corp バリ取り装置
JPH0976107A (ja) * 1995-09-13 1997-03-25 Nissan Motor Co Ltd バリ取り装置およびバリ取り方法
JPH09117823A (ja) * 1995-10-24 1997-05-06 Unie Craft Nagura Kk バリ取り装置用工具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9110A (ja) 1983-05-30 1984-12-10 Taihei Kogyo Kk 鉄鋼製品の自動バリ取り装置
JPS6292114U (ko) 1985-11-28 1987-06-12
JPH0171013U (ko) * 1987-10-30 1989-05-11
JPH0885020A (ja) * 1994-09-13 1996-04-02 Unisia Jecs Corp ばり取り装置
JPH08290327A (ja) * 1995-04-20 1996-11-05 Mitsubishi Materials Corp バリ取り装置
JPH0976107A (ja) * 1995-09-13 1997-03-25 Nissan Motor Co Ltd バリ取り装置およびバリ取り方法
JPH09117823A (ja) * 1995-10-24 1997-05-06 Unie Craft Nagura Kk バリ取り装置用工具ホルダ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7661A (zh) * 2019-10-21 2020-04-10 广州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补偿的去毛刺装置及机械手
CN110977661B (zh) * 2019-10-21 2024-05-07 广州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补偿的去毛刺装置及机械手
KR102204076B1 (ko) * 2019-11-20 2021-01-20 (주) 다리온 불산 가스 배관 제작 공정 중에서 폴리에틸렌 면사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0753B2 (ja) 面取り面を有する取付け部を有する旋削目的用の分断刃
JP4382099B2 (ja) 工作機械
KR100858505B1 (ko) 디버링 머신
US8152423B2 (en) 3-dimensional variable-axis machine
JP3161128U (ja) ワーク固定装置
KR20180003254A (ko) 터닝 센터의 공구대 장치
JP5048251B2 (ja) プレスブレーキ用上型ホルダ装置
EP3012063B1 (en) Tool positioning and holding mechanism
CN203003712U (zh) 具有定位功能的夹钳机构
JP4466225B2 (ja) プレス装置
CN204771613U (zh) 工件加工夹具
JP2015037817A (ja) 両頭側面フライス盤
CN114060358A (zh) 卡接装置
CN201645243U (zh) 送料器
CN217098365U (zh) 轴承装置及单杆切割机
CN210677885U (zh) 一种车床加工用固定夹具
CN100407330C (zh) 斜块安装夹具
CN217964194U (zh) 冲压折弯模
CN215824545U (zh) 一种激光雕刻机
CN212095254U (zh) 一种钢板倒角机
EP2011613A1 (en) Fence assembly for a jointer
CN215036487U (zh) 一种稳定性好的抛光夹头
CN215751332U (zh) 一种全自动视觉印刷机的上下平台锁紧装置
CN212145978U (zh) 一种新型磨块
JP4080181B2 (ja) 加工装置およびプリント基板加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9